KR101188625B1 - 클램프를 이용하여 배터리 포스트에 수직 결합이 가능한 포스트 터미널 - Google Patents

클램프를 이용하여 배터리 포스트에 수직 결합이 가능한 포스트 터미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8625B1
KR101188625B1 KR1020120022104A KR20120022104A KR101188625B1 KR 101188625 B1 KR101188625 B1 KR 101188625B1 KR 1020120022104 A KR1020120022104 A KR 1020120022104A KR 20120022104 A KR20120022104 A KR 20120022104A KR 101188625 B1 KR101188625 B1 KR 101188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nut
base plate
panel portion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2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춘식
권세문
Original Assignee
태성전장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성전장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성전장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2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86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8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8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8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 H01R11/281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for connections to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배터리 포스트에 장착되고 케이블 연결단자를 고정하는 포스트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포스트 터미널은 적어도 일단에 절개된 부위를 갖는 원통 형상의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와, 상기 절개된 부위의 양단 외측으로 나란하게 각각 연장 형성된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 조임용 제1패널부 및 제2패널부와, 상기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연결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를 갖는 바디; 및 상기 제1패널부와 제2패널부를 관통하여 제공되되, 적어도 양단의 일부가 상기 패널부들과 나란하게 형성된 부분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제1패널부 사이의 공간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삽입되는 볼트와, 상기 공간의 상부에서 하부로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와, 상기 너트의 조임 조작에 따라 서로 이격되는 위치로 변위되는 제1클램프 및 제2클램프를 포함하는 클램핑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배터리를 교체하기 위해 배터리의 포스트에 장착되는 포스트 터미널의 단자결합구를 제거하거나 장착할 때, 너트를 수직 방향으로 체결함으로써 장착과 탈착이 용이하여 작업 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클램프를 이용하여 배터리 포스트에 수직 결합이 가능한 포스트 터미널 {POST TERMINAL CONNECTED WITH BATTERY POST VERTICALLY USING CLAMPING MEANS}
본 발명은 차량의 배터리 포스트에 장착되고 케이블 연결단자를 고정하는 포스트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엔진이나 차량 내부의 전기장치들이 필요로 하는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서 차량 내에 배터리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배터리의 전기에너지는 엔진을 통해 생성되는 에너지를 알터네이터(alternator)를 이용하여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통해 충전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차량용 배터리는 영구 사용이 가능하지 않아 시간이 지날수록 자체 충전되는 양이 감소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배터리에 충전되는 전기에너지의 양이 차량에서 필요한 적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게 되어 배터리의 교체가 불가피하게 된다.
이때, 차량의 배터리는 차체 내부의 복잡한 장치들로 인하여 공간이 협소하여 배터리의 교체를 위한 볼트의 제거 또는 조임 조작이 쉽지 않다.
그러나 대부분의 포스트 터미널이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으로 관통하는 볼트와 너트의 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배터리의 포스트에 결합되는 포스트 터미널은 플러스와 마이너스 극성에 따라 케이블 단자를 서로 접지한 다음에 배터리의 포스트에 장착되는데, 양자를 관통하도록 볼트를 장착하고 이 볼트에 너트를 결합하는 것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볼트와 너트로 구성된 단자 결합부를 가진 포스트 터미널은 차량의 주행 중에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너트의 조임이 풀릴 수 있고 너트의 조임이 풀림에 따라 단자간에 생긴 미세한 틈이 전압을 상승시켜 전기적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볼트와 너트의 조임 방향이 수평으로 이루어지는데 차량의 보닛 내부의 협소한 공간으로 인해 작업자가 쉽게 장착하지 못하여 작업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122532호에서 경사부 조임부를 갖는 배터리 포스트 터미널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매니지먼트 장치를 출원한 바 있다. 이는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수평 방향으로 볼트와 너트가 결합되는 경사각을 가진 결합 형태를 제공하는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이를 통해 작업자는 배터리를 교체하기 위해 볼트와 너트의 체결과 해체하는 데 있어서, 옆으로 몸을 심하게 비틀지 않아도 되게 하여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포스트 터미널은 이의 경사각의 방향에 따라 작업자의 작업 위치가 결정되므로 가끔 작업의 어려움을 초래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122532호 (발명의 명칭 "경사조임부를 갖는 배터리 포스트 터미널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매니지먼트 장치")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 포스트에 포스트 터미널을 결합시키는 결합부의 장착과 탈착이 용이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볼트와 너트를 결합하는 포스트 터미널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터리 포스트와 포스트 터미널의 결합 강도를 높임으로써 차량의 운행 중에 진동으로 인해 너트의 조임이 풀려 발생한 미세한 틈에 의한 전기적 성능 저하를 방지하는 구조의 포스트 터미널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및 그 밖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용 배터리 포스트와 연결되는 포스트 터미널에 있어서,
적어도 일단에 절개된 부위를 갖는 원통 형상의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와, 상기 절개된 부위의 양단 외측으로 나란하게 각각 연장 형성된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 조임용 제1패널부 및 제2패널부와, 상기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연결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를 갖는 바디; 및
상기 제1패널부와 제2패널부를 관통하여 제공되되, 적어도 양단의 일부가 상기 패널부들과 나란하게 형성된 부분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끝단과 상기 제1패널부 사이의 공간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삽입되는 볼트와, 상기 공간의 상부에서 하부로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와, 상기 너트의 조임 조작에 따라 서로 이격되는 위치로 변위되는 제1클램프 및 제2클램프를 포함하는 클램핑부;를 포함하며,
상기 볼트에 너트가 체결됨에 따라 상기 제1클램프와 상기 제2클램프간의 이격 거리가 멀어져 상기 제1패널부와 상기 제2패널부의 간격이 좁혀져서 상기 배터리 삽입구의 직경이 축소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 터미널을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 상기 제1클램프와 상기 제2클램프는 상호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너트의 조임 조작에 따라 상기 제1클램프와 상기 제2클램프가 각각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호 간격이 증대됨에 따라 상기 제1패널부와 상기 제2패널부의 간격이 좁아지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선단에 상기 제1패널부 또는 상기 제2패널부의 이동을 차단하는 선단 돌기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 상기 제1클램프와 상기 제2클램프의 상단에는 일정 각도의 경사면을 갖는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너트의 하부에는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축소되는 테이퍼링부를 갖도록 형상화되어 있어, 상기 너트의 조임 조작에 따라 상기 제1클램프와 상기 제2클램프가 상호 이격됨에 따라 상기 제1패널부와 상기 제2패널부의 간격이 좁아지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선단에 상기 제1패널부 또는 상기 제2패널부의 이동을 차단하는 선단 돌기가 형성된다. 다르게는, 상기 볼트의 하단에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에 연장되어 형성되되 수직 상부로 형상화되어 있는 수직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에 의해 상기 제1클램프 또는 상기 제2클램프의 이동을 차단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 1패널부와 상기 제2패널부의 상단에 상호 내측으로 만곡된 각각의 제1만곡부와 제2만곡부를 가지며, 상기 너트의 최대 조임 조작 이전에 상기 제1만곡부와 상기 제2만곡부가 접촉되게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바디의 상부에 복수의 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배터리를 교체하기 위해 배터리의 포스트에 장착되는 포스트 터미널의 단자결합구를 제거하거나 장착할 때, 너트를 수직 방향으로 체결함으로써 장착과 탈착이 용이하여 작업 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너트가 풀리는 힘의 방향과 바디가 벌어지려는 방향이 상호 수직이므로 연결 단자가 서로 견고하게 고정되어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너트의 풀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전압의 상승과 이로 인한 전기적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 터미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포스트 터미널에 적용되는 바디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포스트 터미널에 적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포스트 터미널에 적용되는 볼트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포스트 터미널에 적용되는 클램프의 배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클팸프의 배치 모습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포스트 터미널에 적용되는 너트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포스터 터미널에 적용되는 보호캡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B-B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2에 도시된 바디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 터미널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포스트 터미널에 적용되는 바디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포스트 터미널에 적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포스트 터미널에 적용되는 볼트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2에 도시된 포스트 터미널에 적용되는 클램프의 배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2에 도시된 포스트 터미널에 적용되는 너트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2의 C-C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 터미널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포스트 터미널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19에 도시된 포스트 터미널에 적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19에 도시된 포스트 터미널에 적용되는 볼트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19에 도시된 포스트 터미널에 적용되는 클램프의 배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12에 도시된 포스트 터미널에 적용되는 너트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19의 D-D 단면도이다.
도 26 및 도 27은 종래의 포스트 터미널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예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도면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12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제1실시예")에 따른 포스트 터미널이 도시되어 있다. 포스트 터미널은 차량의 배터리 포스트에 연결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 터미널은 배터리 포스트에 직접적으로 결속되는 바디(110)와 상기 바디(110)의 직경을 축소시킴으로써 상기 바디(110)가 차량의 배터리 포스트(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견고하게 결합되게 하는 클램핑부를 포함한다.
도 1과 함께 도 2를 참조하면, 바디(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절개된 부위, 즉, 절개되어 상호 이격된 부위를 갖는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111)를 포함한다. 여기서 절개된 부위는 상호 이격되어 있어 이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면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111)의 직경이 작아져 배터리 포스트에 대한 삽입 고정이 강화되고 반대로 절개된 부위가 상호 이격되어 간격이 넓어지게 되면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의 직경이 커져 배터리 포스트에 대한 고정이 해제된다.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111)는 차량의 배터리 포스트(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삽입되기 쉽게 대체로 하부의 직경이 상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111)의 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포스트 삽입구(111)는 후술되어 있는 클램핑부에 의한 조임 조작에 의해 그 직경이 작아지게 됨으로써 차량의 배터리 포스트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된다. 또한,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111)에는 이의 상측 원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다수의 홈(112)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홈(112)은 이의 제작 시 경사진 원주면을 용이하게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만약, 이러한 홈(112)이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111)에 형성되지 않은 상태로 바디(110)의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111)를 제작한 후 경사진 원주면을 형성시키게 되면 하부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111)의 상부가 원위치 복원되려는 성향이 강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111)의 상부에 홈(112)이 마련되면 그 직경이 축소된 후에도 원위치 복원력이 상기한 경우보다 훨씬 작아져 그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상기 바디(110)에 형성된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111)의 절개 부위의 양단 외측으로는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111)를 조이기 위한 각각의 패널(114)이 나란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패널(114)을 구분하여 도면부호 114a의 제1패널부와 도면부호 114b의 제2패널부라 칭하고, 이들 모두를 패널부(114)라 칭한다.
상기 제1패널부(114a)와 제2패널부(114b)에는 도 3에 도시된 베이스 플레이트(120)가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는 관통공(115a, 115b)이 각각 형성된다(도 2 참조). 따라서 상기 관통공(115a, 115b)의 형상은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삽입측 형상을 따른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 자 형상으로 관통공(115a, 115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바디(110)에 형성된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111)에는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도시되어 있지 않음)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118)가 상기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111)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연결부(118)의 끝단에는 도면상 하부로 단차진 션트레지스터 접합부(117)가 상기 연결부(118)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바디(110)의 상기한 구성요소들은 도 1에 박스 형태로 도시된 보호케이스에 의해 보호된다. 상기 션트레지스터 접합부(117)에는 션트레지스터(shunt resistor)(170)의 제1구리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션트레지스터(170)는 제1구리단자, 망간인(manganin) 및 제2구리단자로 순차적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연결부(118)에는 펀칭기 등의 압착 수단에 의해 2개의 홈(119a)이 형성되며, 이에 의해 그 반대면에는 돌기(119b)가 형성된다. 그러나, 홈(119a)과 돌기(119b)의 수에는 제한은 없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된다.
이러한 바디(110)는 판금재를 사용하여 제조되거나 단조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바디(110)의 패널부(114)에 형성된 "ㄷ" 자 모양의 관통공(115)을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120)가 설치된다. 베이스 플레이트(120)는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의 선단에 2개의 선단 돌기(123)와 이의 후단에 T 형태의 면으로 형상화된 배리어(121)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리어(121)가 T 형태의 면으로 형상화되어 있으나, 바디(110)의 제2패널부(114b)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그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선단측 돌기(123)와 후단측 배리어(121)는 상기 패널부(114)와 나란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앞쪽에 형성된 구멍(124)을 통해 볼트(130)가 제공된다. 도 4에 이러한 볼트(130)의 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볼트(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나사산 부분(131a)을 가지며, 이의 하부에 원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131b)을 갖는다. 볼트(130)의 원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131b)은 이의 원주면을 따라 각각의 클램프들이 그 면을 따라 쉽게 이동하거나 무리 없이 쉽게 변형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이러한 볼트(130)는 이의 하단에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는 수평부(132)와 이의 끝단에 수직 상방으로 형상화된 수직부(133)를 갖는다. 상기 볼트(130)의 수직부(133)는 볼트(130)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0)에 형성된 구멍(124)을 통해 제공될 때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양 모서리 부분 중의 어느 한 부분과 접할 수 있도록 수평부(132)로부터 연장되어 수직화되게 형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볼트(130)의 수직부(133)에 의해 너트(140)의 조임 조작에 의해서도 볼트(130)가 겉도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러한 형상의 볼트(130)는 하부에서 상부로 제공된다. 이는 너트(140)를 위에 설치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너트(140)를 쉽게 조작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측 선단 돌기(123)와 상기 바디측 제1패널부(114a) 사이의 공간에는 상호 경사면을 갖는 한 쌍의 클램프(150)가 상기한 볼트(130)에 끼움 결합된 채로 제공된다. 이러한 클램프(150)는 경사면을 기준으로 대체로 상부의 제1클램프(150a)와 하부의 제2클램프(150b)로 구성된다. 상기 제1클램프(150a)와 제2클램프(150b)에는 상기 볼트(130)가 끼워질 수 있도록 경사면쪽으로 개방된 반타원 형상의 홈(151a, 151b)이 수직으로 형성된다. 제1클램프(150a)와 제2클램프(150b)의 구조는 상기한 경사면과 이들에 형성된 홈(151a, 151b)을 제외하고는 상이하게 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그 모양에 있어서도 제1클램프(150a)와 제2클램프(150b)의 구조는 동일하게 구성된다. 본 실시예와 같이 제1클램프(150a)와 제2클램프(150b)를 동일한 형상 및 동일한 구조로 구성하게 되면, 별도의 제1클램프 또는 제2클램프를 만들 필요가 없게 되어 제작비용이 절감된다. 뿐만 아니라 부품의 결손으로 인한 부품의 교체가 매우 용이해지게 된다. 제1클램프(150a)와 제2클램프(150b)는 이들에 형성된 반타원 형상의 홈(151a, 151b)에 볼트(130)가 끼워진 상태로 이들의 경사면이 접촉할 때 각각의 후단이 베이스 플레이트(120)에 형성된 선단 돌기(123)와 바디측 제1패널부(114a)에 접촉되게 구성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20)에 형성된 홈(124)에 볼트(130)가 끼워지고 상기한 제1클램프(150a)와 제2클램프(150b)가 이들에 형성된 반타원 형상의 홈(151a, 151b)의 도움으로 볼트(130)에 끼워진 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140)가 체결된다. 이러한 너트(140)는 특히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부(140a)와 이의 하부에 플랜지(140b)를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포스트 터미널은 차량용 배터리 포스트와 연결된다. 이때, 포스트 터미널은 도 1의 A-A 단면도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작과 그 조작에 따른 형상 변형에 의해 차량용 배터리 포스트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보다 상세하게, 도 8을 참조하면, 작업자가 위에서 아래로 너트(140)를 볼트(130)에 삽입한 후, 이들의 체결을 위해 너트(140)를 조이게 되면, 너트(140)의 하부, 즉, 도면상 너트(140)의 하부에 형성된 플랜지(140b) 부분이 도면상 좌측에 도시된 제1클램프(150a)의 상면과 접촉하여 제1클램프(150a)를 아래 방향으로 밀게 된다. 이때, 도면상 좌측에 도시된 제1클램프(150a)와 도면상 우측에 도시된 제2클램프(150b)는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선단 돌기(123)와 바디(110)의 제1패널부(114a)에 구속된 상태이므로, 제1클램프(150a)는 이의 전방으로 이의 경사면에 접촉되어 있는 제2클램프(150b)를 경사면을 따라 밀게 되고 이에 따라 제2클램프(150b)는 이와 접촉되어 있는 제2패널부(114a)를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밀게 된다. 이와 함께, 제2클램프(150b)는 이의 후방으로 이와 접촉되어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선단 돌기(123)를 밀게 되고, 이에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후단에 형성되어 있는 배리어(121)가 바디(110)에 연장 형성되어 있는 제2패널부(114)를 이의 내측으로 밀게 된다. 이에 의해 제1패널부(114a)와 제2패널부(114b)는 상호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안쪽으로 그 간격이 좁혀지게 되고, 이에 따라 차량용 배터리 포스트(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체결되어 있는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111)가 조여지면서 배터리 포스트와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111) 간의 결속력이 강화된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14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140b)의 하단면과 제2클램프(150b)의 상단면의 간격(a)과 각 패널부(111)의 상단에 내측으로 만곡되어 형성된 만곡부(116a, 116b)의 간격(b)이 고려의 대상이 된다. 전자의 경우에는, 너트(140)가 볼트(130)의 나사산 부분(131a)에 최대 이상으로 체결될 때 이의 겉도는 현상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너트(140)가 볼트(130)의 나사산 부분(131a)에 최대로 체결되기 전에 너트(140)의 플랜지(140b) 부분이 제2클램프(150a)의 상단면에 접촉되어 더 이상 회전되지 않게 구성된다. 또한, 후자의 경우에는, 상기 전자의 경우처럼 너트(140)가 볼트(130)의 나사산 부분(131a)에 최대로 체결되기 전에 이들 만곡부(116a, 116b)가 서로 그 거리를 좁혀 접촉되게 구성함으로써 시각적으로 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더 이상의 체결이 요구되지 않는 한계에 이르게 되어 너트(140)의 오버토크가 방지된다.
다시 도 1 및 도 2와 함께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바디(110)에 형성된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111)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118)가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111)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연결부(118)의 끝단에는 하부로 단차진 션트레지스터 접합부(117)가 상기 연결부(118)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션트레지스터(170)는 배터리의 전류량을 측정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온도에 따라 저항 변화가 작은 소자로 제작되며, 실질적으로 상기 바디(110)의 끝단에 형성된 션트레지스터 접합부(117)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구리단자와 이의 반대편에 제2구리단자를 포함하며, 이들 사이에 망간인(manganin)이 구성된다. 도 1에서는 노출되어 도시된 션트레지스터(170) 부분이 제2구리단자에 해당한다. 션트레지스터(170)의 제1구리단자에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피씨비(PCB) 터미널이 접합된다. 이때, 션트레지스터(170)의 제1구리단자와 상기한 션트레지스터 접합부(117)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하지만 바디(110)의 연결부(118)와 션트레지스터(170)의 제2구리단자는 서로 접속되어서는 안 된다. 그러나 예를 들어 이의 제작 공정 및/또는 접합 공정 중 판재형상의 연결부(118)가 변형을 일으켜 원치 않게도 바디(110)의 연결부(118)와 션트레지스터(170)의 제2구리단자가 상호 접속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이들은 보호케이스에 의해 보호되므로 이의 원치 않는 전기적 접속으로 오작동을 일으켜도 배터리의 사용 상태를 확인할 수 없게 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방지하고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보호캡(160)이 바디(110)의 연결부(118), 즉, 도 2의 도면부호 119a로 도시되어 있는 연결부(118) 근처에 결합된다. 즉, 바디(110)의 하부로 단차진 션트레지스터 접합부(117)에 션트레지스터(170)의 제1구리단자 부분이 결합되고, 바디(110)의 연결부(118)와는 연결부 보호캡(160)에 의해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되어 바디(110)의 연결부(118)와 션트레지스터(170)의 제2구리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가능성이 완전히 배제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호캡(160)을 상기 바디(110)의 연결부(118)의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고 견고하게 안착 및 유지되게 하기 위해서, 상기 바디(110)의 연결부(118)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서 하부로 펀칭기 등의 압착 수단에 의해 2개 홈(119b)을 형성시킴으로써 그 반대면에 돌기(119b)가 형성되게 하였으며, 상기 돌기(119b)와 대응되는 상기 보호캡(160)의 내측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162)을 형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보호캡(160)의 재질로서 탄성재질을 선택하여 상기 바디(110)의 연결부(118)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끼워지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구조의 바디측 연결부(110)에 형성된 홈 형성에 의한 2개의 돌기(119b)와 보호캡(160)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2개의 홈(162)이 이들의 결합 도중에 상호 결합되므로 원하는 위치에 보호캡(160)을 정확하고 견고하게 안착 및 유지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바디측 연결부(118)에 홈 형성에 의한 2개의 돌기(119b)는 도 11에 잘 나타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 터미널이 차량이 배터리 포스트에 체결되어 견고하게 고정된다.
도 12 내지 도 18에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제2실시예)에 따른 포스트 터미널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 터미널은 배터리 포스트에 직접적으로 결속되는 바디(210)와 상기 바디(210)의 직경을 축소시킴으로써 상기 바디(210)가 차량의 포스트(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견고하게 결합되게 하는 클램핑부를 포함한다.
도 12와 함께 도 13을 참조하면, 바디(210)는 상기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211), 상기 포스트 삽입구(211)의 상부에 형성된 홈(212), 상기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211)의 절개부위로부터 나란하게 연장되어 형성된 패널부(214)(제1패널부(214a), 제2패널부(214b)), 상기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211)의 후방으로 형성된 연결부(218), 상기 연결부(218)에 대하여 하부로 단차지게 형성된 션트레지스터 접합부(217)를 갖는다. 따라서, 바디(210)의 상기한 구성에 대해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바디(210)의 패널부(214)에는 도 14에 도시된 베이스 플레이트(220)가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는 관통공(215a, 215b)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관통공(215a, 215b)의 형상은 상기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달리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I" 모양으로 형성된다.
다시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바디(210)의 패널부(214)에 형성된 "I" 모양의 관통공(215)을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220)가 설치된다. 베이스 플레이트(220)는 특히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의 후단에 T 형태의 면으로 형상화된 배리어(221)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리어(221)가 T 형태의 면으로 형상화되어 있으나, 바디(210)의 제2패널부(214b)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그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달리 2개의 선단 돌기가 생략된 형태를 갖는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20)의 앞쪽에 형성된 구멍(224)을 통해 볼트(230)가 제공된다. 도 15에 이러한 볼트(230)의 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볼트(23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나사산 부분(231a)을 가지며, 이의 하부에 원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231b)을 갖는다. 볼트(230)의 원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231b)은 이의 원주면을 따라 각각의 클램프들이 그 면을 따라 쉽게 이동하거나 무리 없이 쉽게 변형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이러한 볼트(230)는 이의 하단에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는 수평부(232)와 이의 끝단에 수직 상방으로 형상화된 수직부(233)를 갖는다. 상기 볼트(230)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20)에 형성된 구멍(224)을 통해 제공될 때 볼트(230)의 수직부(233)가 베이스 플레이트(220)의 선단쪽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볼트(230)의 설치 방식은 상기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는 다소 상이한 것이다. 즉, 상기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볼트(130)의 수직부(133)가 베이스 플레이트(120)의 양 모서리 중의 어느 한 모서리와 접하도록 설치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볼트(230)의 수직부(233)가 베이스 플레이트(220)의 선단쪽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볼트(230)의 설치 방식에 의해 너트(240)의 조임 조작에 의해서도 볼트(230)가 겉도는 현상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후술되는 클램프들의 후방을 지지함으로써 실질적인 클램핑 조작에 관여하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된다. 이러한 형상의 볼트(230)는 하부에서 상부로 제공된다. 이는 너트(240)를 위에 설치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너트(240)를 쉽게 조작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볼트(230)의 수직부(233)와 상기 바디측 제1패널부(214a) 사이의 공간에는 특히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 쌍의 클램프(250)가 상기한 볼트(230)에 끼움 결합된 채로 제공된다. 이러한 클램프(250)는 후방이 볼트(230)의 수직부(233)이 접하는 제1클램프(250a)와 후방이 바디측 제1패널부(214a)에 접하는 제2클램프(250b)로 구성된다. 제1클램프(250a)와 제2클램프(250b)에는 상기 볼트(230)가 끼워질 수 있도록 볼트(230)쪽으로 개방된 원호 형상의 홈(251a, 251b)이 수직으로 형성된다. 제1클램프(250a)와 제2클램프(250b)에 형성된 홈(251a, 251b)은 도 18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경사지게 형상화된다. 제1클램프(250a)와 제2클램프(250b)의 구조는 상기한 경사면과 이들에 형성된 홈(251a, 251b)을 제외하고는 상이하게 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그 모양에 있어서도 제1클램프(250a)와 제2클램프(250b)의 구조는 동일하게 구성된다. 본 실시예와 같이 제1클램프(250a)와 제2클램프(250b)를 동일한 형상 및 동일한 구조로 구성하게 되면, 별도의 제1클램프 또는 제2클램프를 만들 필요가 없게 되어 제작비용이 절감된다. 뿐만 아니라 부품의 결손으로 인한 부품의 교체가 매우 용이해지게 된다. 제1클램프(250a)와 제2클램프(250b)는 이들에 형성된 원호 형상의 홈(251a, 251b)에 볼트(230)가 끼워진 상태로 각각의 후단이 볼트(230)의 수직부(233)와 바디측 제1패널부(214a)에 접촉되게 구성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220)에 형성된 홈(224)에 볼트(230)가 끼워지고 상기한 제1클램프(250a)와 제2클램프(250b)가 이들에 형성된 원호 형상의 홈(251a, 251b)의 도움으로 볼트(230)에 끼워진 후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240)가 체결된다. 이러한 너트(240)는 특히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부(240a)와 이의 하부에 플랜지(240b)를 갖는다. 또한, 이러한 너트(241)는 상기한 플랜지(240b)의 하부로 깔때기 모양의 테이퍼링부(240c)를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포스트 터미널은 차량용 배터리 포스트와 연결된다. 이때, 포스트 터미널은 도 12의 C-C 단면도인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작과 그 조작에 따른 형상 변형에 의해 차량용 배터리 포스트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보다 상세하게, 도 18을 참조하면, 작업자가 위에서 아래로 너트(240)를 볼트(230)에 삽입한 후, 이들의 체결을 위해 너트(240)를 조이게 되면, 너트(240)의 하부에 형성된 테이퍼링부(240c)가 제1클램프(250a)와 제2클램프(250b)를 양 옆으로 밀게 된다. 이때, 도면상 좌측에 도시된 제1클램프(250a)와 도면상 우측에 도시된 제2클램프(250b)는 볼트(230)의 수직부(233)와 바디(210)의 제1패널부(214a)에 구속된 상태이므로, 제1클램프(250a)와 제2클램프(250b)의 사이로 너트(240)의 테이퍼링부(240c)가 진입함에 따라 제2클램프(250b)에 의해 바디측 제1패널부(214a)와 제2패널부(214b)의 간격이 좁혀지게 되고, 이에 따라 차량용 배터리 포스트(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체결되어 있는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211)가 조여지면서 배터리 포스트와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211) 간의 결속력이 강화된다.
이때,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패널부(214)의 상단에 내측으로 만곡되어 형성된 만곡부(216a, 216b)의 간격(b')이 고려의 대상이 된다. 즉, 너트(240)가 볼트(230)의 나사산 부분(231a)에 최대로 체결되기 전에 이들 만곡부(216a, 216b)가 서로 그 거리를 좁혀 접촉되게 구성함으로써 시각적으로 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더 이상의 체결이 요구되지 않는 한계에 이르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 터미널의 도면상 후방에 위치한 연결부 및 이에 부속하는 부분들은 상기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미설명 도면부호 270은 션트레지스터를 나타낸다.
도 19 내지 도 2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제3실시예)에 따른 포스트 터미널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상기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를 조합하여 구성한 이들의 변형예에 속한다.
먼저,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 터미널은 배터리 포스트에 직접적으로 결속되는 바디(310)와 상기 바디(310)의 직경을 축소시킴으로써 상기 바디(310)가 차량의 포스트(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견고하게 결합되게 하는 클램핑부를 포함한다.
바디(310)는 상기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그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 터미널의 도면상 후방에 위치한 연결부 및 이에 부속하는 부분들은 상기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1 내지 도 24에는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각 부품이 도시되어 있다. 도 21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와 같은 모양의 베이스 플레이트(320)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면부호 321은 "T" 형태의 면으로 형상화되어 있는 배리어를 나타내고, 도면부호 322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바닥면을 나타내며, 도면부호 324는 볼트(330)가 삽입되는 구멍을 나타내고, 도면부호 323은 선단 돌기를 나타낸다. 도 22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거의 유사한 모양의 볼트(330)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면부호 331a는 나사산 부분을 나타내고, 도면부호 331b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나타내고, 도면부호 332는 수평부를 나타내며, 도면부호 333은 수직부를 나타낸다. 도 23에는 이의 하부에 베이스 플레이트 관통홀(352a, 352b)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같은 모양의 클램프(350)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면부호 350a와 350b는 각각 제1클램프와 제2클램프를 나타내고, 도면부호 351a와 351b는 원호 형상의 홈을 나타낸다. 도 24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같은 모양의 너트(340)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면부호 340a는 너트부를 나타내고, 도면부호 340b는 플랜지를 나타내며, 도면부호 340c는 테이퍼링부를 나타낸다. 이들은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이들에 대한 설명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를 충분히 숙지한 당업자라면 이를 토대로 하고 도 19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충분히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포스트 터미널은 차량용 배터리 포스트와 연결된다. 이때, 포스트 터미널은 도 19의 C-C 단면도인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작과 그 조작에 따른 형상 변형에 의해 차량용 배터리 포스트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보다 상세하게, 도 25를 참조하면, 작업자가 위에서 아래로 너트(340)를 볼트(330)에 삽입한 후, 이들의 체결을 위해 너트(340)를 조이게 되면, 너트(340)의 하부에 형성된 테이퍼링부(340c)가 제1클램프(350a)와 제2클램프(350b)를 양 옆으로 밀게 된다. 이때, 도면상 좌측에 도시된 제1클램프(350a)와 도면상 우측에 도시된 제2클램프(350b)는 베이스 플레이트(320)의 선단 돌기(323)와 바디(310)의 제1패널부(314a)에 구속된 상태이므로, 제1클램프(350a)와 제2클램프(350b)의 사이로 너트(340)의 테이퍼링부(340c)가 진입함에 따라 제2클램프(350b)에 의해 바디측 제1패널부(314a)와 제2패널부(314b)의 간격이 좁혀지게 되고, 이에 따라 차량용 배터리 포스트(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체결되어 있는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311)가 조여지면서 배터리 포스트와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311) 간의 결속력이 강화된다.
이때,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패널부(314)의 상단에 내측으로 만곡되어 형성된 만곡부(316a, 316b)의 간격(b")이 고려의 대상이 된다. 즉, 너트(340)가 볼트(330)의 나사산 부분(331a)에 최대로 체결되기 전에 이들 만곡부(316a, 316b)가 서로 그 거리를 좁혀 접촉되게 구성함으로써 시각적으로 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더 이상의 체결이 요구되지 않는 한계에 이르게 된다.
또한, 볼트(3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의 수직부(333)가 베이스 플레이트(320)의 선단에 고정되므로 너트(340)에 의한 조임 조작에 의해도 겉도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 터미널의 도면상 후방에 위치한 연결부 및 이에 부속하는 부분들은 상기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미설명 도면부호 370은 션트레지스터를 나타낸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210, 310 : 바디
111, 211, 311 :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
114 (114a, 114b), 214 (214a, 214b), 314 (314a, 314b) : 패널부 (제1패널부, 제2패널부)
116, 216, 316 : 만곡부
120, 220, 320 : 베이스 플레이트
123, 323 : 선단 돌기
130, 230, 330 : 볼트
140, 240, 340 : 너트
140a, 240a, 340a : 너트부
140b, 240b, 34b : 플랜지
240c, 340c : 테이퍼링부
150(150a, 150b), 250(250a, 250b), 350(350a, 350b) : 클램프(제1클램프, 제2클램프)
160 : 보호캡
170, 270, 370 : 션트레지스터

Claims (8)

  1. 차량용 배터리 포스트와 연결되는 포스트 터미널에 있어서,
    적어도 일단에 절개된 부위를 갖는 원통 형상의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와, 상기 절개된 부위의 양단 외측으로 나란하게 각각 연장 형성된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 조임용 제1패널부 및 제2패널부와, 상기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연결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를 갖는 바디; 및
    상기 제1패널부와 제2패널부를 관통하여 제공되되, 적어도 양단의 일부가 상기 패널부들과 나란하게 형성된 부분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끝단과 상기 제1패널부 사이의 공간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삽입되는 볼트와, 상기 공간의 상부에서 하부로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와, 상기 너트의 조임 조작에 따라 서로 이격되는 위치로 변위되는 제1클램프 및 제2클램프를 포함하는 클램핑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클램프와 상기 제2클램프는 상호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볼트에 대한 상기 너트의 조임 조작에 따라 상기 제1클램프와 상기 제2클램프가 각각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호 간격이 증대됨에 따라 상기 제1패널부와 상기 제2패널부의 간격이 좁혀져서 상기 배터리 삽입구의 직경이 축소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 터미널.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선단에 상기 제1패널부 또는 상기 제2패널부의 이동을 차단하는 선단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 터미널.
  4. 차량용 배터리 포스트와 연결되는 포스트 터미널에 있어서,
    적어도 일단에 절개된 부위를 갖는 원통 형상의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와, 상기 절개된 부위의 양단 외측으로 나란하게 각각 연장 형성된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 조임용 제1패널부 및 제2패널부와, 상기 배터리 포스트 삽입구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연결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를 갖는 바디; 및
    상기 제1패널부와 제2패널부를 관통하여 제공되되, 적어도 양단의 일부가 상기 패널부들과 나란하게 형성된 부분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끝단과 상기 제1패널부 사이의 공간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삽입되는 볼트와, 상기 공간의 상부에서 하부로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와, 상기 너트의 조임 조작에 따라 서로 이격되는 위치로 변위되는 제1클램프 및 제2클램프를 포함하는 클램핑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클램프와 상기 제2클램프의 상단에는 일정 각도의 경사면을 갖는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너트의 하부에는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축소되는 테이퍼링부를 갖도록 형상화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선단에 상기 제1패널부 또는 상기 제2패널부의 이동을 차단하는 선단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볼트의 하단에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에 연장되어 형성되되 수직 상부로 형상화되어 있는 수직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부에 의해 상기 제1클램프 또는 상기 제2클램프의 이동을 차단하게 구성되어 있어, 상기 너트의 조임 조작에 따라 상기 제1클램프와 상기 제2클램프가 상호 이격됨에 따라 상기 제1패널부와 상기 제2패널부의 간격이 좁아지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 터미널.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 청구항 3 및 청구항 4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패널부와 상기 제2패널부의 상단에 상호 내측으로 만곡된 각각의 제1만곡부와 제2만곡부를 가지며, 상기 너트의 최대 조임 조작 이전에 상기 제1만곡부와 상기 제2만곡부가 접촉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 터미널.
  8. 청구항 1, 청구항 3 및 청구항 4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상부에 복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 터미널.
KR1020120022104A 2012-03-05 2012-03-05 클램프를 이용하여 배터리 포스트에 수직 결합이 가능한 포스트 터미널 KR101188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104A KR101188625B1 (ko) 2012-03-05 2012-03-05 클램프를 이용하여 배터리 포스트에 수직 결합이 가능한 포스트 터미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104A KR101188625B1 (ko) 2012-03-05 2012-03-05 클램프를 이용하여 배터리 포스트에 수직 결합이 가능한 포스트 터미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8625B1 true KR101188625B1 (ko) 2012-10-09

Family

ID=47287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2104A KR101188625B1 (ko) 2012-03-05 2012-03-05 클램프를 이용하여 배터리 포스트에 수직 결합이 가능한 포스트 터미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86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6511B1 (ko) 2012-11-27 2014-05-20 주식회사 경신 배터리 단자용 접속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660Y1 (ko) * 2006-06-05 2006-09-19 주식회사 창환단자공업 축전지용 접속단자
JP2010003583A (ja) * 2008-06-20 2010-01-07 Sumitomo Wiring Syst Ltd バッテリーターミナ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660Y1 (ko) * 2006-06-05 2006-09-19 주식회사 창환단자공업 축전지용 접속단자
JP2010003583A (ja) * 2008-06-20 2010-01-07 Sumitomo Wiring Syst Ltd バッテリーターミナ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6511B1 (ko) 2012-11-27 2014-05-20 주식회사 경신 배터리 단자용 접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8637B1 (ko) 배터리 포스트에 대한 회전 및 교차 홀딩력이 개선된 포스트 터미널
JP2009301874A (ja) 電極構造
CN109155385B (zh) 汇流排组装结构和电池模块
EP2732490A1 (en) Fuse unit
KR20150076761A (ko)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KR20130069858A (ko) 전류 센서 결합형 배터리 단자
KR20140062741A (ko) 축전지용 접속단자
KR101188625B1 (ko) 클램프를 이용하여 배터리 포스트에 수직 결합이 가능한 포스트 터미널
KR101188631B1 (ko) 바디의 구조가 개선된 포스트 터미널
US8986052B2 (en) Connecting terminal for storage battery
JP2014066343A (ja) ワッシャ
US10608230B2 (en) External connection busbar holding module and connection module
JP6605227B2 (ja) バッテリー・センサ・クランプ・アセンブリ
KR101188629B1 (ko) 클램프를 이용하여 배터리 포스트에 수직 결합이 가능한 포스트 터미널
KR20160054685A (ko) 케이블 레이스 웨이용 조인트
JP2013255347A (ja) 電気接続箱
KR20130011659A (ko) 착탈식 터미널
JP6855924B2 (ja) バッテリーターミナル
JP2017027677A (ja) 蓄電池用接続体
US9368779B2 (en) Cover of battery wiring module, battery wiring module, and battery module
KR101361349B1 (ko) 차량용 배터리터미널 고정장치
JP2015011866A (ja) バッテリーターミナル
JP5698967B2 (ja) バッテリーターミナル
KR102016349B1 (ko)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케이스의 체결장치
KR20110123015A (ko) 차량 현가암의 부시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