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7005A - 배터리 접속용 터미널 - Google Patents

배터리 접속용 터미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7005A
KR20130057005A KR1020110122700A KR20110122700A KR20130057005A KR 20130057005 A KR20130057005 A KR 20130057005A KR 1020110122700 A KR1020110122700 A KR 1020110122700A KR 20110122700 A KR20110122700 A KR 20110122700A KR 20130057005 A KR20130057005 A KR 20130057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rimping
battery post
fastening
p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2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6328B1 (ko
Inventor
홍인기
이영일
박세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2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6328B1/ko
Publication of KR20130057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7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6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6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28Fixed electrical connections, i.e. not intended for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접속용 터미널에 관한 것으로서, 배터리 포스트 상에서 축 방향의 홀딩력과 회전방향의 홀딩력을 증대시켜 배터리 포스트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접속용 터미널을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배터리 포스트의 외주면을 압착하는 압착부와; 상기 압착부의 양 끝단에 각각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양측의 체결홀에 체결된 볼트의 조임력에 의해 상기 압착부가 배터리 포스트를 압착하도록 하는 체결부와; 상기 압착부의 일측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케이블이 접속되는 바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압착부의 내주면에 배터리 포스트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가압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접속용 터미널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배터리 접속용 터미널{Terminal for battery}
본 발명은 배터리 접속용 터미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 포스트 상에서 축 방향의 홀딩력과 회전방향의 홀딩력을 증대시켜 배터리 포스트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접속용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자동차에는 시동모터, 점등장치, 멀티미디어 기기 등 차량에 장착된 각종 전장부품에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가 필수적으로 탑재되고 있다.
이러한 자동차의 배터리는 충, 방전 가능한 이차전지 형태로 제공되고 있는데, 충전시 발전기에서 생산된 전력을 케이블을 통해 공급받아 저장하였다가, 저장된 전력을 케이블을 통해 각 전장부품에 공급하게 되면서 방전된다.
상기와 같은 배터리의 이용을 위해서는 배터리 포스트(배터리 측 터미널)에 케이블을 연결해야 하는바, 도체로 제작된 배터리 접속용 터미널이 배터리 포스트에 고정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터미널에 연결된 케이블을 시동모터 등의 전장부품에 연결하여, 배터리 전력이 터미널 및 케이블 등을 통해 전장부품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종래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배터리 접속용 터미널(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포스트가 삽입되는 삽입공(12)을 가지는 링 형상의 압착부(11)를 가진다.
상기 압착부(11)의 삽입공(12) 내측으로 배터리 포스트를 삽입한 상태에서 볼트(13)를 체결하여 조여줌으로써 압착부(11)가 볼트의 조임력에 의해 배터리 포스트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고, 배터리 포스트에 압착부(11)가 고정 체결됨으로써 배터리와 케이블이 터미널(10)을 매개로 접속된 상태가 된다.
도시된 예의 터미널(10)에서 도면부호 14는 미도시된 케이블의 단부에 고정된 터미널이 체결되는 고정볼트이며, 이 고정볼트(14)에 케이블의 터미널이 조립된 뒤 너트를 조여 압착하게 되면 케이블이 터미널(10)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배터리 접속용 터미널(10)은 압착부(11)가 볼트(13)의 조임력에 의해 배터리 포스트를 단순 압착하는 체결 구조이므로 배터리 포스트에 장착된 후 홀딩력이 저하되면서 배터리 포스트로부터 쉽게 이탈될 수 있고, 그로 인한 차량 시동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배터리 포스트 상에서 축 방향의 홀딩력과 회전방향의 홀딩력을 증대시켜 배터리 포스트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접속용 터미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터리 포스트의 외주면을 압착하는 압착부와; 상기 압착부의 양 끝단에 각각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양측의 체결홀에 체결된 볼트의 조임력에 의해 상기 압착부가 배터리 포스트를 압착하도록 하는 체결부와; 상기 압착부의 일측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케이블이 접속되는 바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압착부의 내주면에 배터리 포스트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가압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접속용 터미널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배터리 포스트에서 압착부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상기 압착부의 내주면에는 배터리 포스트의 외주면 부분과 결합하게 되는 축 방향의 긴 홈이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착부와 연결되는 바렐부의 단부에는 측방으로 확장된 날개 모양의 리브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리브가 압착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연결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착부와 연결되는 바렐부의 단부는 배터리 포스트 주변의 배터리 상면부에 안착되어 접촉될 수 있도록 압착부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착부의 각 끝단에 형성된 양측의 두 체결부 중 어느 하나에는 상대측 체결부에 접촉되어 두 체결부 간의 간극을 유지하기 위한 스토퍼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배터리 접속용 터미널에서는 압착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가압돌기와 축 방향의 홈, 체결부에 형성된 스토퍼, 바렐부에 형성된 배터리 표면 안착 구조인 리브가 구비됨으로써, 축 방향의 홀딩력과 회전방향의 홀딩력을 모두 증대시킬 수 있고, 터미널의 유동과 과토크 체결시의 변형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배터리 접속용 터미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접속용 터미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접속용 터미널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접속용 터미널에서 가압돌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접속용 터미널에서 체결부의 스토퍼 측면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배터리 포스트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케이블을 배터리 포스트에 접속하기 위한 배터리 접속용 터미널에 것으로서, 배터리 포스트 상에서 축 방향의 홀딩력과 회전방향의 홀딩력을 증대시킨 배터리 접속용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접속용 터미널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접속용 터미널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접속용 터미널에서 가압돌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접속용 터미널에서 체결부의 스토퍼 측면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6은 배터리 포스트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접속용 터미널(100)은 배터리 포스트(2)의 외주면을 압착하여 접속되는 압착부(110)와, 상기 압착부(110)의 양 끝단에 각각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체결홀(121)에 체결된 볼트(122)의 조임력에 의해 상기 압착부(110)가 배터리 포스트(2)를 압착하도록 하는 체결부(120)와, 상기 압착부(110)의 일측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케이블(3)이 압착 접속되는 바렐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압착부(110)는 배터리 포스트(2)의 외주면을 압착할 수 있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이 개구된 구조를 가지므로 개구된 부분을 통해 양측으로 벌려줄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체결부(120)를 통해 가해지는 조임력에 의해 개구된 압착부(110)의 끝단이 모아지면서 압착부(110)의 내주면이 배터리 포스트(2)의 외주면을 압착하도록 되어 있다.
압착부(110)에서 배터리 포스트(2)가 끼워지는 내부 형상은 배터리 포스트의 외주면을 고르게 압착할 수 있도록 배터리 포스트의 외형에 매칭되는 형상을 가져야 한다.
이때, 배터리 포스트(2)의 형상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측 바닥면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므로, 압착부(110)의 형상 역시 하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커지는 테이퍼진 원통 형상으로 형성됨이 마땅하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착부(110)의 내주면에는 배터리 포스트(2)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가압돌기(111)가 형성되고, 이와 별개로 압착부(110)의 내주면에 배터리 포스트(2)의 외주면 부분과 결합하게 되는 축 방향의 긴 홈(112)이 형성된다.
상기 가압돌기(111)는 배터리 포스트(2)를 압착하고 있는 압착부(110)가 배터리 포스트로부터 축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축 방향에 대한 압착부의 홀딩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축 방향의 홈(112)은 압착부(110)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는데, 압착부(110)의 내주면이 배터리 포스트(2)의 외주면을 압착하게 될 때 압착부와 배터리 포스트 간 접촉 면적을 증대시켜 회전방향에 대한 압착부의 홀딩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압착부(110)를 포함한 터미널(100) 전체가 배터리 포스트(2)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배터리 포스트(2)는 연질의 납 재질로 되어 있는데, 압착부(110)의 내주면이 배터리 포스트의 외주면을 압착하게 되면, 배터리 포스트의 외주면 부분에서는 축 방향의 홈(112)과 접촉하는 부분에서 약간의 변형이 발생하고, 이때 축 방향의 홈 내부로 배터리 포스트의 변형된 외주면 부분이 삽입되면서 끼워지게 된다(배터리 포스트의 변형된 표면 부분이 홈에 물림).
이에 압착부(110)와 배터리 포스트(2) 간의 접촉 면적이 증대될 수 있는 것이며, 터미널(100) 전체가 회전되지 않도록 유지해주는 회전방향의 홀딩력이 증대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터미널(100)에서 가압돌기(111)는 압착부(110)의 외주면에 딤플(dimple) 가공을 하여 압착부 내주면 상에 돌기를 만들어주는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축 방향의 홈(112)은 압착부 내주면에 대해 세레이션(serration) 가공을 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120)는 압착부(110)의 양 끝단에서 판 상으로 연장된 구조를 가지며, 양측의 각 체결부(120)에 볼트(122)가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는 체결홀(121)이 각각 형성된다.
이에 양측의 체결홀(121)이 일치된 상태에서 체결홀에 볼트(122)를 삽입한 뒤 반대쪽에서 너트(123)를 체결해줌으로써 양측의 체결부(120)가 조여질 수 있게 되고, 이때 발생하는 조임력이 전달되면서 압착부(110)가 배터리 포스트(2)의 외주면을 압착하게 된다.
상기 체결부(120)는 압착부(110)에서 소정 각도로 꺾인 경사방향의 판상 구조물로 형성되는데, 이는 너트(123) 체결시 작업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방향을 설정한 것이다.
또한 볼트-너트 체결시 압착부(110)의 각 끝단에 형성된 양측의 두 체결부(120)는 간극이 줄어드는 방향으로 조여지게 되는데, 볼트-너트 체결시 과도한 토크를 주어 체결하면 배터리 포스트(2)의 변형이 심하게 발생할 수 있는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양측의 두 체결부(120) 중 어느 하나의 끝단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토퍼(124)가 꺾임 구조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124)는 볼트-너트 체결시 과도한 토크를 주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너트(123)를 조여 체결할 때 일정 수준에 도달하면 스토퍼(124) 끝단이 상대측의 체결부(120)에 접촉되고, 이때의 접촉으로 인해 양측 체결부(120) 간 간극이 일정 수준을 유지한 상태로 더 이상 좁혀지지 않게 된다.
이러한 간극 유지 작용에 의해 볼트-너트 체결시 과다한 토크 인가 및 체결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체결부(120)로부터 전달되는 조임력에 의해 압착부(110)가 배터리 포스트(2)를 과도하게 압착하는 것을 막아 배터리 포스트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양측 두 체결부(120) 간의 직접적인 면 접촉시에 비해 스토퍼(124) 끝단이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과토크 체결시 체결부(120)의 복원력 유지가 가능해지며, 과토크 체결시 체결부를 포함한 터미널 측 변형을 막을 수 있어 변형으로 인한 터미널의 헐거움이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바렐부(130)는 동선과 피복을 함께 압착하는 압착 방식으로 케이블(3)의 단부에 접속되며, 압착부(110) 외주면에서 상기 체결부(120)가 위치한 반대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렐부(130)는 배터리 포스트(2)에 결합되는 압착부(110)로부터 연장되어 중간 부분이 상방으로 소정 각도만큼 꺾인 구조로 형성되고, 이때 압착부(110)에 연결된 바렐부(130)의 단부에는 측방으로 확장된 형상의 리브(131)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리브(131)는 날개 모양으로 확장된 형상을 가지며, 압착부(110)에 원주방향을 따라 연결된 구조를 가지므로 압착부(110)에서 바렐부(130)가 꺾이거나 부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리브(131)가 형성된 바렐부(130)의 단부는 압착부(110)의 하단부에 연결된 구조, 즉 압착부(110)의 하단부에 바렐부(130)가 연장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바렐부(130)가 압착부(110)의 하단부에 형성된 구조에서는 압착부(110)가 배터리 포스트(2)에 결합된 상태일 때, 리브(131)를 포함한 바렐부(130)의 단부가 배터리 포스트의 바닥면, 즉 배터리 포스트 주변의 배터리(1) 상면부에 안착된 상태로 면 접촉을 하게 된다.
즉, 터미널(100)이 배터리 포스트(2)에 체결되었을 때 바렐부(130)의 단부는 배터리 상면부로부터 들뜬 상태로 이격되는 구조가 아닌 밀착된 상태가 되며, 바렐부의 단부가 배터리 상면부에 안착된 구조에 의해 압착부를 포함한 터미널 전체가 유동이나 이탈 없이 안정적으로 체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만약, 바렐부(130)가 압착부(110)의 상부에 연결되는 경우 바렐부가 배터리 상면부로부터 들뜬 구조가 되며, 이때 케이블(3)을 통해 전해지는 힘이 작용하게 되면 압착부(110)의 상부에 응력이 집중되면서 압착부가 배터리 포스트(2)에서 유동하거나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더욱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터리 포스트(2)는 아래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므로 체결 불량 상태로 압착부(110)의 상부에 힘이 집중되면 터미널(100)의 유동 및 이탈 현상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터미널(100)에서는 압착부(110)의 내주면에 형성된 가압돌기(111)와 축 방향의 홈(112), 체결부(120)에 형성된 스토퍼(124), 바렐부(130)에 형성된 배터리 표면 안착 부분인 리브(131)가 구비됨으로써, 축 방향의 홀딩력과 회전방향의 홀딩력을 모두 증대시킬 수 있고, 터미널의 유동과 과토크 체결시의 변형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 : 배터리 2 : 배터리 포스트
3 : 케이블 100 : 터미널
110 : 압착부 111 : 가압돌기
112 : 홈 120 : 체결부
121 : 체결홀 122 : 볼트
123 : 너트 124 : 스토퍼
130 : 바렐부 131 : 리브

Claims (5)

  1. 배터리 포스트(2)의 외주면을 압착하는 압착부(110)와;
    상기 압착부(110)의 양 끝단에 각각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양측의 체결홀(121)에 체결된 볼트(122)의 조임력에 의해 상기 압착부(110)가 배터리 포스트(2)를 압착하도록 하는 체결부(120)와;
    상기 압착부(110)의 일측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케이블(3)이 접속되는 바렐부(1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압착부(110)의 내주면에 배터리 포스트(2)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가압돌기(11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접속용 터미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포스트(2)에서 압착부(110)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상기 압착부(110)의 내주면에는 배터리 포스트(2)의 외주면 부분과 결합하게 되는 축 방향의 긴 홈(112)이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접속용 터미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110)와 연결되는 바렐부(130)의 단부에는 측방으로 확장된 리브(131)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리브(131)가 압착부(110)에 원주방향을 따라 연결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접속용 터미널.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110)와 연결되는 바렐부(130)의 단부는 배터리 포스트(2) 주변의 배터리(1) 상면부에 안착되어 접촉될 수 있도록 압착부(110)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접속용 터미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110)의 각 끝단에 형성된 양측의 두 체결부(120) 중 어느 하나에는 상대측 체결부(120)에 접촉되어 두 체결부(120) 간의 간극을 유지하기 위한 스토퍼(124)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접속용 터미널.
KR1020110122700A 2011-11-23 2011-11-23 배터리 접속용 터미널 KR101776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2700A KR101776328B1 (ko) 2011-11-23 2011-11-23 배터리 접속용 터미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2700A KR101776328B1 (ko) 2011-11-23 2011-11-23 배터리 접속용 터미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7005A true KR20130057005A (ko) 2013-05-31
KR101776328B1 KR101776328B1 (ko) 2017-09-08

Family

ID=48664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2700A KR101776328B1 (ko) 2011-11-23 2011-11-23 배터리 접속용 터미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63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354Y1 (ko) * 2013-06-05 2015-06-04 유정선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5149B1 (ko) * 2001-06-19 2004-08-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 케이블 연결구조
JP2005122971A (ja) * 2003-10-15 2005-05-12 Hitachi Mobile Co Ltd バッテリターミナル用簡易接続器
KR100792416B1 (ko) * 2006-09-20 2008-01-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스프링 레버 타입의 축전지 단자 접속장치
KR200443839Y1 (ko) * 2007-10-26 2009-03-16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배터리 단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354Y1 (ko) * 2013-06-05 2015-06-04 유정선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6328B1 (ko) 2017-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7128B2 (en) Part fitted with fastening member, and method of attaching the same
US8992268B2 (en) Electrical connection bus
US8500475B2 (en) Harness connector
RU2449438C2 (ru) Кабельное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батареи
KR20150076761A (ko)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US10637173B2 (en) Apparatus for establishing an electrically conductive connection
CN108140798B (zh) 电极帽、电池、端子以及电接触单元
US20120214042A1 (en) Quick Connect Battery Terminals
KR101366118B1 (ko) 배터리 접속용 터미널
US4797111A (en) Terminal for side-mount battery
KR20130057005A (ko) 배터리 접속용 터미널
JPH05109399A (ja) バツテリケーブルの連結方法とその装置
US11239534B2 (en) Compression clamp battery connection system
KR20160000576U (ko)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KR100986424B1 (ko) 배터리 단자 연결 조립체
US5616433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storage batteries
JP4497803B2 (ja) 樹脂製部品の締結部構造
WO2020087279A1 (en) Power connector
US6857914B1 (en) Battery post connector apparatus
KR100445149B1 (ko) 차량용 배터리 케이블 연결구조
KR20160107164A (ko) 자동 정렬되는 고전압 인터페이스
JP2003092101A (ja) バッテリターミナル
JP2003249281A (ja) 電線接続端子及び電線接続構造
JP2003168502A (ja) 電線接続端子
KR100997368B1 (ko) 전기 기계의 접촉을 위한 접속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