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888Y1 - 선박의 거주구 구조 - Google Patents

선박의 거주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888Y1
KR200476888Y1 KR20100010194U KR20100010194U KR200476888Y1 KR 200476888 Y1 KR200476888 Y1 KR 200476888Y1 KR 20100010194 U KR20100010194 U KR 20100010194U KR 20100010194 U KR20100010194 U KR 20100010194U KR 200476888 Y1 KR200476888 Y1 KR 2004768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dence
ship
cabin
bow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101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2537U (ko
Inventor
임인용
최문기
김지연
김귀영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000101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888Y1/ko
Publication of KR201200025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5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8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88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18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venting collision or grounding; reducing collision damage
    • B63B2043/185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venting collision or grounding; reducing collision damage using shock absorbing telescoping buffers

Abstract

본 고안은 선박의 거주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선박의 거주구 구조는 거주구가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되, 거주구의 좌우측이 좌현으로부터 우현까지 연장되도록 설치되며, 거주구의 전측이 선수의 끝단까지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거주구의 공간 활용도를 증대시키고, 이로 인해 선실을 고려한 진동원이나 소음원의 최적 배치를 가능하도록 하며, 거주구의 공간 증대로 인한 층수의 감소를 가능하게 하여 선박의 안정성과 스피드 증대에 기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의 거주구 구조{STRUCTURE OF ACCOMMODATION OF SHIP}
본 고안은 거주구의 공간 활용도를 증대시키고, 층수의 감소를 가능하게 하여 선박의 안정성과 스피드 증대에 기여할 수 있도록 구성된 선박의 거주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는 선원들이 생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거주구(Accommodation)가 마련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선박의 거주구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하층의 메인 데크(Main deck; 11)로부터 최상층의 탑 데크(Top deck; 12)까지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되, 탑 데크(12)의 아래에 조타실(13)이 위치하며, 조타실(13)과 메인 데크(11) 사이에 다수의 데크(14)가 위치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선박의 거주구 구조는 메인 데크(11)로부터 조타실(13) 아래의 데크(14)가 동일한 규격으로 수직되게 적층됨으로써 박스구조를 이루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따른 선박의 거주구 구조는 메인 데크(11)와 데크(14)들이 제한된 규격으로 수직되게 적층되는 박스 구조를 가짐으로써 선박에서의 공간 활용도를 감소시키고, 이로 인해 선실을 고려한 진동원이나 소음원에 따른 최적 배치가 불가능하며, 공간 확보를 위해 층수의 증가가 불가피하여 선박의 안정성(Stability)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선박의 스피드 증대에 장애를 초래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거주구의 공간 활용도를 증대시키고, 이로 인해 선실에 대한 진동원이나 소음원에 따른 최적 배치를 가능하도록 하며, 층수의 감소를 가능하게 하여 선박의 안정성을 높임과 아울러 선박의 스피드 증대에 기여하도록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박의 거주구 구조에 있어서, 상기 거주구가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거주구의 좌우측이 좌현으로부터 우현까지 연장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거주구의 전측이 선수의 끝단까지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거주구 구조가 제공된다.
상기 거주구는 전방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상기 거주구는 전방 하부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거주구는 메인 데크의 하부 공간까지 연장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거주구에는 위에서 아래로 조타실, 선실, 공용시설, 기계실이 배치되어, 기계실의 진동 및 소음이 선실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거주구의 공간 활용도를 증대시키고, 이로 인해 선실을 고려한 진동원이나 소음원의 최적 배치를 가능하도록 하며, 거주구의 공간 증대로 인한 층수의 감소를 가능하게 하여 선박의 안정성과 스피드 증대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선박의 거주구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선박의 거주구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선박의 거주구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선박의 거주구 구조는 거주구(100)가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되, 거주구(100)의 좌우측이 선박(1)의 좌현부터 우현까지 연장되도록 설치되며, 거주구(100)의 전측이 선수(2)의 끝단까지 연장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거주구(100)의 좌우측과 전측이 선박(1)에서 최대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거주구(100)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거주구(100)의 공간 확대를 가져오며, 이로 인해 거주구(100)의 층수를 축소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선박(1)의 안정성(Stability)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거주구(100)는 전방 부분, 적어도 전방 하부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거주구(100)에서 하부에 위치하는 데크(110,120,130)의 전방이 전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경사부(140)가 형성됨으로써 항해시 공기 저항을 감소시키며, 속도의 증대에 기여할 수 있다. 한편, 거주구(100)의 상부에 적층되는 데크(150,160,170)는 본 실시예에서처럼 수직으로 동일한 규격을 가지도록 형성되거나, 그 밖에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주구(100)의 최상층 데크(170)로부터 최하층 데크(110)까지 하향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거주구(100)에서 선수측에는 스토어(store), 라커(Locker) 등과 같이 선원이 상주하지 않는 룸들이 선수에 배치될 수 있으며, 메인 데크(110)의 상부 공간에는 공공 공간(Public space)을 배치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머스터 스테이션(Muster station)으로 활용될 수 있다.
거주구(100)는 메인 데크(110)의 하부 공간까지 연장되는 하부 데크(180)를 가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데크(180)에는 퍼블릭 룸(Public room)을 배치할 수 있고, 메인 데크(110)에 비례하여 넓은 공간을 가짐으로써 최대 수용 공간을 배치할 수 있으며, 기계실이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진동이나 소음 장비가 배치되어 선실 등으로부터 진동원과 소음원을 최대한 이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선박의 거주구 구조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선박의 거주구 구조에서 거주구(100)는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조타실과, 선실과, 식당, 휴게실, 세탁실 등의 공용시설과, 창고, 체육관 등과, 공조실(Heaing, Ventilating and Air Conditioning room; HVAC room)과, 전기실과, 기계실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기계실이 선실로부터 최대한 이격됨으로써 선실에 진동이나 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거주구(100)가 선박(1)의 좌현과 우현은 물론 선수(2)의 끝단까지 연장되도록 설치됨으로써 넓은 공간을 확보하도록 함과 아울러 공간 활용도가 우수하며, 이로 인해 거주구(100)의 층수를 축소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선박의 안정성(Stability)와 속도 등과 같은 선박 고유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구명정(Life boat)의 설치 위치 및 타입 개선이 가능하다. 특히, 거주구(100)의 전방 하부가 하향 경사진 경사부(140)를 이루게 됨으로써 공기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선박(1)의 선수(2)측 끝단 부근에는 앵커링 장비(190)가 설치되어 있는데, 거주구(100)를 선박(1)에 있어서 선수(2)의 끝단까지 연장함에 있어서 이 앵커링 장비(190)가 방해되어 거주구(100)를 선수(2)의 끝단까지 연장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하지만, 본 고안자들은 앵커링 장비(190)를 덮어씌우도록 하여 거주구(100)를 선수(2)의 끝단까지 연장시킴으로써 문제를 해결한다. 이와 같이 앵커링 장비(190)에 커버를 씌워 거주구(100)의 내부에 위치시키도록 하면, 특히 극지용 드릴쉽과 같이 외부 환경이 좋지 않은 곳에서 사용하는 선박에 있어서 앵커링 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장비 유지보수의 용이함, 내구성 향상 등의 측면에서 장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에 있어서, 거주구(100)가 선박(1)에 있어서 선수(2)의 끝단까지 연장된다는 표현은, 거주구(100)의 하단이 선수(2)의 끝단과 완벽하게 일치하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거주구(100)의 하단이 앵커링 장비(190)보다 선수측에 위치하여 선수 부근에 설치된 앵커링 장비(190)가 거주구(100)의 내부에 위치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거주구는, 거주구가 선박의 선수측에 설치되는 선박이라면 어떠한 종류의 선박이라도 적용될 수 있으며, 선박 이외에도 특정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해상에서 부유된 채 사용되는 Oil FPSO, LNG FPSO, LNG FSRU, 드릴쉽, 특히 극지용 드릴쉽 등의 해상 플랜트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선박이라는 용어는 이러한 해상 플랜트까지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0 : 선박
11 : 선수
100 : 거주구
110 : 메인 데크
120,130,150,160,170 : 데크
140 : 경사부
180 : 하부 데크

Claims (5)

  1. 선박의 거주구 구조에 있어서,
    상기 거주구가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거주구의 좌우측이 좌현으로부터 우현까지 연장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거주구는 메인 데크의 하부 공간까지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거주구의 전방이 선수의 끝단까지 연장되고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앵커링 장비는 커버를 씌워 상기 거주구의 내부에 배치시킴으로써, 상기 거주구의 전방 하단은 상기 앵커링 장비보다 선수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거주구 구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주구에는 위에서 아래로 조타실, 선실, 공용시설, 기계실이 배치되어, 기계실의 진동 및 소음이 선실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거주구 구조.
  4. 삭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선박은 극지용 드릴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거주구 구조.
KR20100010194U 2010-10-04 2010-10-04 선박의 거주구 구조 KR2004768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10194U KR200476888Y1 (ko) 2010-10-04 2010-10-04 선박의 거주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10194U KR200476888Y1 (ko) 2010-10-04 2010-10-04 선박의 거주구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537U KR20120002537U (ko) 2012-04-13
KR200476888Y1 true KR200476888Y1 (ko) 2015-04-10

Family

ID=46606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10194U KR200476888Y1 (ko) 2010-10-04 2010-10-04 선박의 거주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88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8158A (ko) 2015-06-16 2016-12-2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화물 적재 선박 및 방법
KR20170053267A (ko) 2015-11-06 2017-05-1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화물 적재 선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7129A (ko) * 2012-04-17 2013-10-2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구조물의 상부구조물 구조
KR101985451B1 (ko) * 2012-11-28 2019-06-0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거주구 구조
NO337334B1 (no) * 2013-06-19 2016-03-21 Aker Engineering & Tech As Konfigurasjon av boligkvarter ombord på et produksjonsfartøy
KR200479576Y1 (ko) 2014-06-10 2016-02-1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시추선의 외부소음 절감 시스템
KR20150145988A (ko) 2014-06-20 2015-12-3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시추선의 외부소음 절감 구조물
KR101668456B1 (ko) 2014-11-05 2016-10-2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화물 적재 선박
KR101644453B1 (ko) 2014-11-05 2016-08-0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화물 적재 선박
KR101668458B1 (ko) 2014-11-12 2016-10-2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화물 적재 선박
KR20170019901A (ko) 2015-08-13 2017-02-2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구명정의 보호 구조체
KR102243147B1 (ko) * 2019-07-31 2021-04-22 (주)한국해사기술 안정적인 거주구역 확보가 가능한 연구조사선 공간배치 방법 및 공간배치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0800U (ko) * 1986-09-22 1988-04-06
JP2003514702A (ja) * 1999-05-11 2003-04-22 シーメン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舵取り推進機に最適な船体を備え針路の安定した高速海洋船
JP2007223351A (ja) 2006-02-21 2007-09-06 Hiroshima Univ 船舶の居住区構造
KR200437039Y1 (ko) 2006-10-23 2007-10-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안전 지대에 주 발전기를 구비한 부유식 생산 저장 선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0800U (ko) * 1986-09-22 1988-04-06
JP2003514702A (ja) * 1999-05-11 2003-04-22 シーメン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舵取り推進機に最適な船体を備え針路の安定した高速海洋船
JP2007223351A (ja) 2006-02-21 2007-09-06 Hiroshima Univ 船舶の居住区構造
KR200437039Y1 (ko) 2006-10-23 2007-10-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안전 지대에 주 발전기를 구비한 부유식 생산 저장 선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8158A (ko) 2015-06-16 2016-12-2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화물 적재 선박 및 방법
KR20170053267A (ko) 2015-11-06 2017-05-1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화물 적재 선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537U (ko) 2012-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6888Y1 (ko) 선박의 거주구 구조
US10370064B2 (en) Marine surface vessel
JP2016088214A (ja) 液化ガス用浮体構造物
WO2018070239A1 (ja) 液化ガス運搬船
WO2010084249A2 (en) A floating structure, a vessel or the like
US9227702B2 (en) Ballast system for floating offshore platforms
KR101985451B1 (ko) 선박의 거주구 구조
KR102258663B1 (ko) 하이브리드 구조의 쌍동선 선체 및 상기 선체를 이용한 선박
US10640179B2 (en) Turret mooring system arrangement
JP6575033B2 (ja) 船舶
KR101956673B1 (ko) 드릴쉽의 구명보트용 배치 및 탑승 영역 배치 구조
KR20150087571A (ko) 진동저감 구조물을 구비한 데크 하우스
KR20160017006A (ko) 부유 기능을 갖는 거주구가 설치된 선박
CN204713355U (zh) 一种机舱壁结构
KR20140103726A (ko) 자동차 운반선의 수직형 선수 거주구
KR20150133451A (ko) 부유 기능을 갖는 거주구가 설치된 선박
WO2023120078A1 (ja) 浮体構造物
KR20120109031A (ko) 선박의 데크하우스 배치구조
KR20160150416A (ko) 부유식 해상구조물 및 그의 스프레드 계류 라인 간섭 방지구조
KR102243147B1 (ko) 안정적인 거주구역 확보가 가능한 연구조사선 공간배치 방법 및 공간배치 구조
KR20160089908A (ko) 보이드 스페이스에 데크 탱크를 구비한 엘피지선
KR20150115060A (ko) 경사형 더블 데크 구조를 가진 박막형 액화천연가스선
KR20230113058A (ko) 선박의 데크하우스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1615007B1 (ko) 침몰대비 객실 분리시스템이 구축된 여객선
CN204548396U (zh) 一种画舫船用的船顶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