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3451A - 부유 기능을 갖는 거주구가 설치된 선박 - Google Patents

부유 기능을 갖는 거주구가 설치된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3451A
KR20150133451A KR1020140060161A KR20140060161A KR20150133451A KR 20150133451 A KR20150133451 A KR 20150133451A KR 1020140060161 A KR1020140060161 A KR 1020140060161A KR 20140060161 A KR20140060161 A KR 20140060161A KR 20150133451 A KR20150133451 A KR 20150133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ship
residence
watertight
side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0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홍일
이도형
이병록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0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33451A/ko
Publication of KR20150133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34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유 기능을 갖는 거주구가 설치된 선박에 관한 것으로, 특정 위치에 수밀 격벽을 포함하고 선박의 선체 상부에 배치되는 거주구, 상기 선체로부터 상기 거주구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상기 선체와 상기 거주구 사이에 형성되는 고정 결합부 및 상기 고정 결합부와 연결되어 상기 선체와 상기 거주구의 분리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부유 기능을 갖는 거주구가 설치된 선박은 선박에 침수가 발생하여 부력에 의해 거주구가 선체로부터 분리되면, 구조 신호(SOS)를 인근 선박 및 해상교통관제센터(VTS)에 구조 신호를 송신하여 해상 사고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Description

부유 기능을 갖는 거주구가 설치된 선박{SHIP WHICH INSTALL FLOAT CAPABLE DECKHOUSE}
본 발명은 부유 기능을 갖는 거주구가 설치된 선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에 침수가 발생하여 부력에 의해 거주구가 선체로부터 분리되면, 구조 신호(SOS)를 인근 선박 및 해상교통관제센터(VTS)에 구조 신호를 송신하여 해상 사고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부유 기능을 갖는 거주구가 설치된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거주구는 기관실 상부(1-Island type) 또는 선체 중앙부 화물창 상부(2-Island type)에 위치하고 선체와 일체로 용접되어 있으며 장기간 항해하는 선원들을 위해 각종 생활 설비가 갖춰져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22771호는 비상시 분리 가능한 휠 하우스가 구비된 선박을 개시한다. 이러한 선박은 선박의 선체상에 구비된 거주구에 탈착 결합되고 비상시 거주구와 분리되어 해상에 부유할 수 있도록 한 휠 하우스의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기존의 구명보트 등과 같은 탈출 용구와 함께 최대한의 인원을 승선시킬 수 있도록 하여 인명 피해를 극소화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02217호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작업실 배치를 기존 선박과 달리 하나로 통합하여 상부구조에 배치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작업실 배치구조 및 방법을 개시한다. 이러한 배치구조는 선체 내부에 각종 설비들을 설치할 여유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선체 내부 기계실의 공간에도 여유를 주어 기계실 장비 배치를 최적화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19041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02217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선박에 침수가 발생하면 부력에 의해 거주구가 선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부유 기능을 갖는 거주구가 설치된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선박에 침수가 발생하여 부력에 의해 거주구가 선체로부터 분리되면, 구조 신호(SOS)를 인근 선박 및 해상교통관제센터(VTS)에 송신하여 해상 사고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부유 기능을 갖는 거주구가 설치된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거주구에 포함된 격벽에 의해 거주구가 해상에서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도록 하여 인명 및 재산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부유 기능을 갖는 거주구가 설치된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부유 기능을 갖는 거주구가 설치된 선박은 선박 선체, 특정 위치에 수밀 격벽을 포함하고 선박의 선체 상부에 배치되는 거주구 및 상기 선체로부터 상기 거주구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상기 선체와 상기 거주구 사이에 형성되는 고정 결합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밀 격벽은 상기 거주구의 형상에 따라 상기 거주구의 특정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거주구는 상기 수밀 격벽의 하단부에 일정 크기 이상의 부력이 가해지면 상기 고정 결합부에 의해 상기 선체와 분리되어 부유할 수 있다.
상기 거주구는 상기 수밀 격벽의 하부 공간으로 해수가 유입되면 부력이 발생하지 않는 하단부의 자중에 의해 상기 해수 상에서 기립할 수 있다. 상기 거주구는 하단부에 적어도 하나의 추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 결합부는 상기 거주구에 일정 크기 이상의 부력이 가해지면 상기 거주구를 상기 선체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부유 기능을 갖는 거주구는 상단 부재, 상기 상단 부재의 양하단에 각각 결합하고 특정 위치에 수밀 격벽을 포함하는 복수의 측면 부재 및 상기 복수의 측면 부재의 하단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측면 부재를 선체로부터 분리시키는 고정 결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 기능을 갖는 거주구가 설치된 선박은 선박에 침수가 발생하면 부력에 의해 거주구가 선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 기능을 갖는 거주구가 설치된 선박은 선박에 침수가 발생하여 부력에 의해 거주구가 선체로부터 분리되면, 구조 신호(SOS)를 인근 선박 및 해상교통관제센터(VTS)에 송신하여 해상 사고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 기능을 갖는 거주구가 설치된 선박은 거주구에 포함된 격벽에 의해 거주구가 해상에서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도록 하여 인명 및 재산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거주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 기능을 갖는 거주구가 설치된 선박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부유 기능을 갖는 거주구가 설치된 선박에서 거주구가 분리되어 해수에 부유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 기능을 갖는 거주구가 설치된 선박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있는 부유 기능을 갖는 거주구가 설치된 선박에서 거주구가 분리되어 해수에 부유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 기능을 갖는 거주구가 설치된 선박을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있는 부유 기능을 갖는 거주구가 설치된 선박에서 거주구가 분리되어 해수에 부유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부유 기능을 갖는 거주구가 설치된 선박(100)(이하, 선박(100))은 선체(110), 거주구(120), 고정 결합부(130) 및 센서부(140)를 포함한다.
선체(110)는 컨테이너 선적을 위하여 부두에 설치된 외부 크레인을 통해 그 내부에 복수의 화물들이 적재되는 복수의 화물창을 포함한다. 이러한 화물창은 선체(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선체 횡격벽을 통해 구분될 수 있다. 선체(110)는 복수의 화물들을 화물창 및 최상 갑판(즉, Upper deck) 상단에 적재가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체(110)의 양 상부에는 거주구(120)와 연결되는 고정 결합부(130)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선체(110)는 선박(100)의 규모 및 용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부에 설치되는 거주구(120)와 고정 결합부(130)의 크기 및 설치 위치가 상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 선체(110)는 상부에 설치되는 거주구(120)의 형상에 따라 선체(110)의 상부 또는 그 내부에서 거주구(120)를 지지하는 거주구 지지부가 배치될 수 있다.
거주구(120)는 선체(110)의 상부 중앙에서 배치되고, 복수의 격벽을 통해 내부가 분리되어 복수의 층을 이루며, 선박(100)의 선원들이 거주 또는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선실 및 기타 편의 시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거주구(120)는 선박(100)의 선측면을 향하여 각각 연장되는 복수의 브리지 윙들과 복수의 층 최상단의 양 측면이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거주구(120)는 특정 위치에 수밀 격벽(121)을 포함할 수 있다. 거주구(120)는 수밀 격벽(121)에 의해 상단부와 하단부로 나눠질 수 있다. 여기에서, 수밀 격벽(121)은 수압을 가해도 물이 새지 않도록 한 선체(110) 내부의 벽으로, 선체(110)의 손상으로 인하여 침수 또는 내부에 화재 발생시 피해가 확산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수밀 격벽(121)은 거주구(120)의 형상에 따라 설치되는 크기 및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수밀 격벽(120)은 해상 사고로 인하여 선박(100)이 침몰되면 거주구(120)의 하단부로 유입된 다량의 해수(10)가 거주구(120)의 상단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거주구(120)를 해수(10) 위로 부유시키는 부력을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밀 격벽(121)은 거주구(120)의 중앙, 중앙에서 상부 내지 중앙에서 하부로 치우친 위치에서 형성되어 거주구(120)의 내부를 수평 방향으로 구획하며 형성되어 거주구(120)의 내부를 상단부 및 하단부로 분할할 수 있다.
거주구(120)는 하단부 및 선체(110)의 상단에 형성된 고정 결합부(130)를 통해 선체(110)와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거주구(120)는 선박(100)이 침몰되어 수밀 격벽(121)의 하단부에 유입된 다량의 해수(10)에 의하여 일정 크기 이상의 부력이 발생하면 고정 결합부(130)와의 결속이 해체되어 선체(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여기에서, 거주구(120)는 수밀 격벽(121)의 하부 공간으로 해수(10)가 유입되면 부력이 발생하지 않는 하단부의 자중에 의해 해수(10) 상에서 기립하여 부유할 수 있다.
고정 결합부(130)는 선체(110)로부터 거주구(120)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선체(110)와 거주구(120) 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고정 결합부(130)는 선체(110)의 상단 및 거주구(120)의 하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고정 결합부(130)는 선체(110)를 기준으로 수평 방향으로 작용하는 흔들림(즉, 횡동요 운동(Rolling))에는 거주구(120)와 강하게 결속되어 거주구(120)의 이탈을 방지하고, 선체(110)를 기준으로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는 흔들림(즉, 종횡동요 운동(Pitching 또는 Heave))에는 거주구(120)와 상대적으로 약하게 결속되어 선박(100) 침몰시 거주구(120)에 생성되는 부력에 의해 선체(11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결합부(130)는 도 5와 같이, 거주구(120)의 하부에서 선체를 향하여 요철 형상으로 돌출되는 볼트형 결합부(131) 및 선체(110)의 상부에서 내부를 향하여 함몰되고, 볼트형 결합부(131)와 결합되는 너트형 결합부(132)로 형성될 수 있다.
센서부(140)는 고정 결합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선체(110)와 거주구(120)의 분리를 감지하고, 구조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센서부(140)는 해상 재난으로 인하여 거주구(120)에 부력이 생성되어 선체(110)로부터 분리될 경우, 거주구(120)의 부력으로 인하여 고정 결합부(130)에 가해지는 힘 내지 압력이 감지되면, 통신 모듈을 통해 구조 신호를 생성하여 인근 해역에 운항 중인 선박 및 해상교통관제센터(VTS)에 구조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구조 신호는 해상에서의 조난된 선박의 위치 좌표를 포함하여 보다 신속하게 선박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 기능을 갖는 거주구가 설치된 선박을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있는 부유 기능을 갖는 거주구가 설치된 선박에서 거주구가 분리되어 해수에 부유하는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거주구(300)는 복수의 측면 부재(310), 상단 부재(320), 고정 결합부(130) 및 센서부(14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거주구(300)는 고정 결합부(130)를 통해 선체(110) 또는 거주구 지지대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측면 부재(310)는 선체(110) 또는 거주구 지지대의 양 상단에 각각 배치된다. 예를 들어, 복수의 측면 부재(310)는 선체(110)의 상부에서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측면 부재(310)는 직사각형으로 설명하였지만, 선박(100)의 크기 및 종류에 따라 그 크기 및 형상이 상이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측면 부재(310)는 상단에 상단 부재(320)가 배치되어 각각의 상단부와 결합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측면 부재(310)는 상단 부재(320)를 통해 하나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측면 부재(310)는 내부의 특정 위치에서 연장되는 수밀 격벽(31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수밀 격벽(311)은 복수의 측면 부재(310)의 형상에 따라 특정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밀 격벽(311)은 거주구(120)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연결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거주구(120)의 내부를 구획할 수 있다.
복수의 측면 부재(310)는 하단부 또는 선체(110)의 상단부에 형성된 고정 결합부(130)를 통해 선체(110)와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거주구(300)는 선박(100)이 침몰되어 수밀 격벽(311)의 하부에 유입된 다량의 해수(10)에 의하여 일정 크기 이상의 부력이 발생하면 고정 결합부(130)와의 결속이 해체되어 선체(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측면 부재(310)는 복수의 격벽을 통해 내부가 분리되어 복수의 층을 이루며, 선박(100)의 선원들이 거주 또는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선실 및 기타 편의 시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단 부재(320)는 선박(100)의 운항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조타실, 제어실 및 선원들이 거주 또는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선실 및 기타 편의 시설들을 포함한다. 상단 부재(320)는 양 하단에서 각각 복수의 측면 부재(31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상단 부재(320)와 복수의 측면 부재(310)는 선체(110)의 길이 방향을 향하여 오픈된 [ㄷ] 형상을 갖도록 결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측면 부재(310)와 상단 부재(320)는 하나의 구조물의 형태인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결합부(130)는 선체(110) 내지 거주구 지지부로부터 거주구(300)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복수의 측면 부재(310) 하단에는 볼트형 결합부(131)가 형성될 수 있고, 선체(110)의 상단 내지 거주구 지지부의 상단에는 너트형 결합부(132)가 형성될 수 있다.
센서부(140)는 고정 결합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도 1 및 도 2의 설명에서와 같이 해상 재난의 발생시 고정 결합부(130)에 가해지는 힘 또는 압력을 감지하여 선체(110)로부터 복수의 측면 부재(310)의 분리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부유 기능을 갖는 거주구가 설치된 선박
110: 선체
120, 300: 거주구 121, 311: 수밀 격벽
130: 고정 결합부 131: 볼트형 결합부
132: 너트형 결합부
140: 센서부
310: 복수의 측면 부재
320: 상단 부재
10: 해수

Claims (6)

  1. 특정 위치에 수밀 격벽을 포함하고 선박의 선체 상부에 배치되는 거주구;
    상기 선체로부터 상기 거주구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상기 선체와 상기 거주구 사이에 형성되는 고정 결합부; 및
    상기 고정 결합부와 연결되어 상기 선체와 상기 거주구의 분리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부유 기능을 갖는 거주구가 설치된 선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주구는
    상기 수밀 격벽의 하단부에 일정 크기 이상의 부력이 가해지면 상기 고정 결합부에 의해 상기 선체와 분리되어 부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기능을 갖는 거주구가 설치된 선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주구는
    상기 수밀 격벽의 하부 공간으로 해수가 유입되면 부력이 발생하지 않는 하단부의 자중에 의해 상기 해수 상에서 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기능을 갖는 거주구가 설치된 선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결합부는
    상기 거주구에 일정 크기 이상의 부력이 가해지면 상기 거주구를 상기 선체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기능을 갖는 거주구가 설치된 선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고정 결합부에 인가되는 압력 변화(즉, 부력의 인가)가 감지되면 구조 신호를 생성하여 인근 해역에 운항중인 선박 또는 관제 시설에 송신하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기능을 갖는 거주구가 설치된 선박.
  6. 상단 부재;
    상기 상단 부재의 양하단에 각각 결합하고 특정 위치에 수밀 격벽을 포함하는 복수의 측면 부재; 및
    상기 복수의 측면 부재의 하단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측면 부재를 선체로부터 분리시키는 고정 결합부를 포함하는 부유 기능을 갖는 거주구.
KR1020140060161A 2014-05-20 2014-05-20 부유 기능을 갖는 거주구가 설치된 선박 KR201501334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0161A KR20150133451A (ko) 2014-05-20 2014-05-20 부유 기능을 갖는 거주구가 설치된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0161A KR20150133451A (ko) 2014-05-20 2014-05-20 부유 기능을 갖는 거주구가 설치된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3451A true KR20150133451A (ko) 2015-11-30

Family

ID=54867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0161A KR20150133451A (ko) 2014-05-20 2014-05-20 부유 기능을 갖는 거주구가 설치된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3345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01642A (zh) * 2017-11-29 2018-05-08 上海船舶研究设计院(中国船舶工业集团公司第六0四研究院) 船舶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01642A (zh) * 2017-11-29 2018-05-08 上海船舶研究设计院(中国船舶工业集团公司第六0四研究院) 船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ouse Seamanship techniques: shipboard and marine operations
KR20190013705A (ko) 해저 원격 동작 차량(rov) 허브
US11192613B2 (en) Floating structure for the deployment and the recovery of at least one autonomous watercraft by a vessel, corresponding method, corresponding system and corresponding vessel
US20130287502A1 (en) Ballast System For Floating Offshore Platforms
KR101985451B1 (ko) 선박의 거주구 구조
KR20160017006A (ko) 부유 기능을 갖는 거주구가 설치된 선박
KR20150133451A (ko) 부유 기능을 갖는 거주구가 설치된 선박
KR20170106853A (ko) 부유식 해양구조물용 계류장치
Grannemann SWATH-A new concept for the Safety and Security at Sea
CN204507195U (zh) 多功能平台供应船
KR100577901B1 (ko) 해안의 물양장 구축시설
KR101948641B1 (ko) 부력 장치
KR20150092970A (ko) 부유 기능을 갖는 거주구가 설치된 선박
JP2013133030A (ja) 船舶及び船舶の復原性確保方法
JP2018508414A (ja) 半潜水式海洋構造物
RU2648555C1 (ru) Способ проводки плавсредства по мелководным участкам водоема
RU2614748C1 (ru) Корпус судна
KR101732508B1 (ko) 선박
WO2014032107A3 (en) A double wall compartmented tank for undersea liquid storage
KR20150008303A (ko) 부력 장치
KR102594823B1 (ko) 유동 저감 시스템을 구비한 바지선
Borlase Research opportunities identified during the casualty analysis of the fishing vessel Arctic Rose
KR101615007B1 (ko) 침몰대비 객실 분리시스템이 구축된 여객선
KR20140056733A (ko) 드릴쉽의 구명보트용 배치 및 탑승 영역 배치 구조
KR101948644B1 (ko) 부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