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7571A - 진동저감 구조물을 구비한 데크 하우스 - Google Patents

진동저감 구조물을 구비한 데크 하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7571A
KR20150087571A KR1020140007693A KR20140007693A KR20150087571A KR 20150087571 A KR20150087571 A KR 20150087571A KR 1020140007693 A KR1020140007693 A KR 1020140007693A KR 20140007693 A KR20140007693 A KR 20140007693A KR 20150087571 A KR20150087571 A KR 20150087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ater
storage tank
residence
seawater storage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7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민
양성붕
이철원
정태석
Original Assignee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7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7571A/ko
Publication of KR20150087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75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81Vibration isolation or damping elements or arrangements, e.g. elastic support of deck-ho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02Cabins or other living spaces; Construction or arrangement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저감 구조물을 구비한 데크 하우스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거주구 본체; 상기 거주구 본체의 높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연장되며 그 외벽면에 설치되는 해수저장탱크; 상기 해수저장탱크로 물을 공급함과 아울러 수위를 조절하는 해수공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해수의 질량을 이용하여 엔진의 특정 RPM 변화에 따른 상기 거주구 본체에 전달되는 고유 진동수를 용이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진동저감 구조물을 구비한 데크 하우스{DECK HOUSE HAVING VIBRATION REDUCING STRUCTURE}
본 발명은 진동저감 구조물을 구비한 데크 하우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 운항시 데크 하우스로 전달되는 진동을 효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진동저감 구조물을 구비한 데크 하우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는 선원들이 생활할 수 있도록 마련된 데크 하우스(deck house, 거주구)가 형성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선박의 데크 하우스는 다수의 층을 형성하는 메인 데크(Main deck; 11)와, 최상층에 설치되는 탑 데크(Top deck; 12)로 이루어지며, 상기 탑 데크(12)에는 조타실(13)이 위치한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상기 데크 하우스는 메인 데크가 사각 형상의 박스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선박 운항시 엔진의 작동에 의한 진동이 고스란히 메인 데크로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 데크에서 생활하는 선원들은 진동 소음에 의해 수명에 방해를 받거나 불쾌감을 유발시켜 선원들의 안락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선박 건조 후 시험 운전을 통해 데크 하우스에 전달되는 진동을 파악한 후 그에 따른 보강재 등을 이용한 공진회피설계를 추가적으로 진행하고 있으나, 상기 공진회피설계는 선박 건조 시간과 비용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2-0002537호(2012.04.1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발명의 목적은 선박 운항시 데크 하우스로 전달되는 진동을 효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진동저감 구조물을 구비한 데크 하우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진동저감 구조물을 구비한 데크 하우스는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거주구 본체; 상기 거주구 본체의 높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연장되며 그 외벽면에 설치되는 해수저장탱크; 상기 해수저장탱크로 물을 공급함과 아울러 수위를 조절하는 해수공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해수저장탱크는 하우스 구조물의 모서리부분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해수저장탱크는 선박의 엔진의 특정 RPM 또는 상기 거주구 본체의 크기에 따라 저장되는 해수의 양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주구 본체 내부에는 상기 해수저장탱크와 연통하는 연결파이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평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연결파이프는 상기 거주구 본체 내부를 직선방향으로 분기하는 구조로 연결하거나 지그재그 방향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해수공급수단은 해수를 유입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에 연결되어 해수공급라인과, 상기 해수저장탱크의 수위를 체크하는 감지센서를 구비한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거주구 본체의 높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연장되며 그 외벽면에 설치되는 해수저장탱크 및 해수공급수단을 구성함으로써, 해수의 질량을 이용하여 엔진의 특정 RPM 변화에 따른 상기 거주구 본체에 전달되는 고유 진동수를 용이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선박의 데크 하우스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저감 구조물을 구비한 데크 하우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해수저장탱크 및 해수공급수단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거주구 본체 내에 설치되는 연결파이프 배열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동저감 구조물을 구비한 데크 하우스는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거주구 본체(100)와, 상기 거주구 본체(100)의 높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연장되며 그 외벽면에 설치되는 해수저장탱크(200)와, 상기 해수저장탱크(200)로 해수를 공급함과 아울러 수위를 조절하는 해수공급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거주구 본체(100)는 사람들이 거주하는 일정 크기를 가지는 건물로써, 선박의 데크(갑판) 위에 설치되는 하우스(집)이다.
이러한 상기 거주구 본체(100) 내부에는 생활에 필요한 편의시설이나, 선박의 항해를 위한 항해설비들이 전부 갖추어져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거주구 본체(100) 내부에는 잠을 자기 위한 침실(room), 주방(galley), 식당(restaurant), 휴게실 등은 물론, 방화시설(FireFighting)이나 전기실, 기계실 등의 항해설비는 물론, 상기 거주구 본체(100)의 맨 꼭대기층에는 조타실(110)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해수저장탱크(200)는 상기 거주구 본체(100)의 높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연장되며 그 외벽면에 세워지는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선박 운항시 엔진 작동에 따른 진동이 상기 거주구 본체(100)로 전달되는 수치를 억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선박 운항 시, 엔진 작동에 의한 진동이 거주구 본체(100)로 전달되게 된다. 그리고 엔진은 선박의 초기와 말기를 제외한 거의 일정한 RPM으로 정상 운항하게 된다. 따라서, 선박의 정상 운항 조건 시 상기 거주구 본체(100)로 전달되는 진동을 최소화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박 엔진의 RPM이 일정 범위로 유지하는 일반 운항시 발생하는 고유진동수를 변화시켜 상기 거주구 본체(100)로 전달되는 주기진원의 공진현상을 회피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해수저장탱크(200)를 이용하여 상기 거주구 본체의 무게를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거주구 본체(100)로 전달되는 고유진동수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즉, 상기 해수저장탱크(200)에 채워지는 해수 무게에 의해 상기 거주구 본체(100)에 전달되는 진동수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해수저장탱크(200)는 상기 거주구 본체(100)의 모서리부분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해수저장탱크(200)는 선박의 엔진의 특정 RPM에 따라 저장되는 해수의 양이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이는 선박의 또는 거주구 본체(100)의 크기 및 선박의 운항 정보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발생할 수 있는 고유진동수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해수저장탱크(200)는 해수의 질량을 이용하여 엔진의 특정 RPM 변화에 따른 상기 거주구 본체(100)로 전달되는 고유 진동수를 용이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해수공급수단(300)은 상기 거주구 본체(100)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해수저장탱크(200)로 해수를 공급함과 아울러 수위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해수공급수단(300)은 해수를 유입하는 펌프(310)와, 상기 펌프(310)에 연결되는 해수공급라인(320)과, 상기 해수저장탱크(200) 내의 해수 수위를 체크하는 감지센서(331)를 구비한 제어부(330)로 구성된다.
상기 펌프(310)는 상기 해수저장탱크(200)로 해수를 공급함과 아울러 저장된 해수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개폐용 댐퍼(31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30)는 선박의 특정 RPM 도달시 상기 해수저장탱크(200)로 해수를 공급하거나 상기 개폐용 댐퍼(311)의 작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거주구 본체(100) 내부에는 상기 해수저장탱크(200)와 연통하는 연결파이프(400)가 설치된다.
상기 연결파이프(400)는 상기 거주구 본체(100) 내에 화재발생시 해수를 이용하여 화재를 효과적으로 진압할 수 있는 소화전 역할을 수행한다.
물론, 상기 연결파이프(400)의 길이방향에는 해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설치된 다수의 스프링쿨러(미도시)가 설치되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연결파이프(400)는 평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하우스 구조물 내부를 직선방향으로 분기하는 구조로 연결하거나, 지그재그 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거주구 본체(100)는 선박의 선수 또는 선미에 설치되는 선박이라면 어떠한 종류의 선박이라도 적용될 수 있으며, 선박 이외에도 특정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해상에서 부유된 채 사용되는 Oil FPSO, LNG FPSO, LNG FSRU, 드릴쉽, 특히 극지용 드릴쉽 등의 해상 플랜트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선박이라는 용어는 이러한 해상 플랜트까지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거주구 본체(100)의 높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연장되며 그 외벽면에 설치되는 해수저장탱크(200) 및 해수공급수단(300)을 구성함으로써, 해수의 질량을 이용하여 엔진의 특정 RPM 변화에 따른 상기 거주구 본체(100)에 전달되는 고유 진동수를 용이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0 : 거주구 본체
200 : 해수저장탱크
300 : 해수공급수단
310 : 펌프
320 : 해수공급라인
330 : 제어부

Claims (6)

  1.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거주구 본체;
    상기 거주구 본체의 높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연장되며 그 외벽면에 설치되는 해수저장탱크;
    상기 해수저장탱크로 물을 공급함과 아울러 수위를 조절하는 해수공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저감 구조물을 구비한 데크 하우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저장탱크는 하우스 구조물의 모서리부분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저감 구조물을 구비한 데크 하우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저장탱크는 선박의 엔진의 특정 RPM 또는 상기 거주구 본체의 크기에 따라 저장되는 해수의 양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저감 구조물을 구비한 데크 하우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주구 본체 내부에는 상기 해수저장탱크와 연통하는 연결파이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저감 구조물을 구비한 데크 하우스.
  5. 제4항에 있어서,
    평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연결파이프는 상기 거주구 본체 내부를 직선방향으로 분기하는 구조로 연결하거나 지그재그 방향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저감 구조물을 구비한 데크 하우스.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공급수단은,
    해수를 유입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에 연결되어 해수공급라인과,
    상기 해수저장탱크의 수위를 체크하는 감지센서를 구비한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저감 구조물을 구비한 데크 하우스.
KR1020140007693A 2014-01-22 2014-01-22 진동저감 구조물을 구비한 데크 하우스 KR201500875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693A KR20150087571A (ko) 2014-01-22 2014-01-22 진동저감 구조물을 구비한 데크 하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693A KR20150087571A (ko) 2014-01-22 2014-01-22 진동저감 구조물을 구비한 데크 하우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7571A true KR20150087571A (ko) 2015-07-30

Family

ID=53876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7693A KR20150087571A (ko) 2014-01-22 2014-01-22 진동저감 구조물을 구비한 데크 하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757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0802A (ko) 2015-09-10 2017-03-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구조물의 거주구의 에어 배기 겸용 자연광 공급장치 및 거주구의 자연광 공급방법
KR20180001343U (ko) 2016-10-28 2018-05-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소음저감 구조를 갖는 데크 하우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0802A (ko) 2015-09-10 2017-03-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구조물의 거주구의 에어 배기 겸용 자연광 공급장치 및 거주구의 자연광 공급방법
KR20180001343U (ko) 2016-10-28 2018-05-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소음저감 구조를 갖는 데크 하우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6888Y1 (ko) 선박의 거주구 구조
KR20150087571A (ko) 진동저감 구조물을 구비한 데크 하우스
JP2019151291A (ja) 液化水素運搬船および船体保護方法
KR20150109727A (ko)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의 밸러스트 시스템
JP6388150B2 (ja) Lng船
WO2018070239A1 (ja) 液化ガス運搬船
KR20190078983A (ko) 컨테이너선의 갑판 상부 소화시스템
US11668141B2 (en) Disruptive coupling systems and methods for subsea systems
WO2019039132A1 (ja) 液化ガス貯蔵タンク構造、浮体構造物、貯蔵タンクの内部圧力の逃がし方法
KR20130142513A (ko) 빌지 처리 장치
ITMI20110113A1 (it) Unita' flottante per la produzione di energia
KR20150001166U (ko) 소화전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KR20140006605A (ko) 반잠수식 선박
JP2013541467A (ja) 密閉型デリックのダンパ構造
KR200487932Y1 (ko) 선박의 발라스트 시스템
KR101327749B1 (ko) 통로 박스를 갖는 횡동요 저감 탱크를 가지는 해상 구조물
WO2018043591A1 (ja) 浮体式生産貯蔵積出設備
KR20150127938A (ko) 스러스터 홀 저항 저감장치
KR101654227B1 (ko) 횡동요 저감 장치를 가지는 해양 부유식 구조물
KR20150100004A (ko) 밸러스트 워터 배출 파이프 배치구조를 갖는 flng 밸러스트 워터 배출 장치
KR20130141054A (ko) 선박의 오버보드 파이프 라인 구조
KR20170035580A (ko) 모듈형 펀넬 구조
KR20130003699U (ko) 선박용 응축수 배수장치
KR20170036157A (ko) 균형유지가 가능한 부유식 액체 저장시설
KR20150133451A (ko) 부유 기능을 갖는 거주구가 설치된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