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7749B1 - 통로 박스를 갖는 횡동요 저감 탱크를 가지는 해상 구조물 - Google Patents

통로 박스를 갖는 횡동요 저감 탱크를 가지는 해상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7749B1
KR101327749B1 KR1020110078606A KR20110078606A KR101327749B1 KR 101327749 B1 KR101327749 B1 KR 101327749B1 KR 1020110078606 A KR1020110078606 A KR 1020110078606A KR 20110078606 A KR20110078606 A KR 20110078606A KR 101327749 B1 KR101327749 B1 KR 101327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reduction tank
lateral
wall
passag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8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6583A (ko
Inventor
이영범
남종오
이동영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8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7749B1/ko
Publication of KR20130016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6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7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77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02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displacement of masses
    • B63B39/03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displacement of masses by transferr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63B43/06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using ballast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52Anti-slosh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횡동요 저감 탱크를 상하방향으로 통과하는 계단, 파이프, 배선 등의 연결통로인 통로 박스를 내부에 설치한 횡동요 저감 탱크 및 이를 가지는 해상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해상에서 부유된 채 사용되는 해상 구조물의 횡동요를 감소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횡동요 저감 탱크로서, 상기 해상 구조물의 선체 내부에서 좌우현 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유체가 수용되는 탱크 본체와; 상기 횡동요 저감 탱크의 상하를 연결하도록 상기 탱크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통로 박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동요 저감 탱크 및 이를 가지는 해상 구조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통로 박스를 갖는 횡동요 저감 탱크를 가지는 해상 구조물 {A MARINE STRUCTURE HAVING AN ANTI-ROLLING TANK WITH A PASSAGE BOX}
본 발명은 해상에서 부유된 채 사용되는 해상 구조물의 횡동요를 저감시키기 위한 횡동요 저감 탱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 횡동요 저감 탱크를 상하방향으로 통과하는 계단, 파이프, 배선 등의 연결통로인 통로 박스를 내부에 설치한 횡동요 저감 탱크 및 이를 가지는 해상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선박의 횡동요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서 횡동요 저감 탱크(Anti-rolling tank)가 중소형 선박뿐만 아니라 대형선박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횡동요 저감 탱크는, 외부로부터 동력이 전달되거나 별도의 제어를 행하지 않는 수동형(passive type)과, 동력이나 제어가 가해지는 능동형(active type)으로 구분되는데, 수동형의 경우에는 1911년 Frahm이 U-튜브 타입(tube type)의 횡동요 저감 탱크를 개발하고, Stigter가 이를 이론적으로 규명하고 해석을 수행함에 따라 많은 선박에 적용되어 왔다. 수동형은 별도의 동력 및 제어가 필요하지 않아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선박의 고유 횡동요 주기를 벗어난 주파수 영역에서는, 오히려 횡동요 저감 탱크를 사용하지 않을 때보다 횡동요가 더 크게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이런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서 능동형 횡동요 저감 탱크가 도입되었다. 독일의 Intering사는 대표적인 능동형 횡동요 저감 탱크의 제작사인데, 공기밸브를 개폐시켜가면서 주기 변화를 줄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한편, 탱크의 형상에 따라 횡동요 저감 탱크는 자유면 타입(free surface type)의 횡동요 저감 탱크와 U-튜브 타입의 횡동요 저감 탱크로 나눌 수 있는데, 기본적으로는 횡동요 저감 탱크 내부에 수용된 유체의 고유진동수를 이용한다는 점에서 원리는 같다고 할 수 있다.
횡동요 저감 탱크는 선박의 횡동요를 줄이기 위한 것이 목적이므로, 선박이 운동함에 따라 내부 유체가 주기적으로 좌/우 방향으로 원활히 유동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야 한다. 그러므로, 일반적으로는 유체의 흐름을 막는 내부재는 가능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하지만 수동형 횡동요 저감 탱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선박의 횡동요 주기 근처에서는 선박의 횡동요를 줄여주지만 주기에서 멀어지는 주파수 영역에서는 오히려 선박의 횡동요가 커지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횡동요 저감 탱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주파수비가 대략 1인 공진점 주위에서 선박은 횡동요가 피크값을 갖게 되는데, 횡동요 저감 탱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피크였던 주파수비가 대략 1인 공진점에서 선박의 횡동요가 거의 없을 정도로 감소되지만, 주파수비가 대략 0.8과 1.1 근방에서 각각 새로운 피크를 갖게 되면서 오히려 이런 구간에서는 횡동요 저감 탱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보다 안 좋은 결과를 얻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횡동요 저감 탱크의 내부 유동에 댐핑(damping)을 증가시키는 방법이 있는데, 이렇게 되면 뚜렷하던 두 개의 피크가 뭉개지면서, 거의 전 주기영역에서 완만한 형태의 횡동요 값을 갖게 된다.
한편, 횡동요 저감 탱크를 설계할 때, 선체 내부에 있는 보강벽들의 연속성을 확보해 주어야 구조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나아가 프로펠러, 엔진 등의 기진원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문제를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보강벽들의 연속성을 만족시키기 위해 횡동요 저감 탱크의 내부에 내부벽을 설치할 경우, 횡동요 저감 탱크 내부의 유체 이동을 어렵게 할 우려가 있으므로, 구조 및 진동 관점뿐만 아니라 횡동요 저감 탱크의 성능까지 고려하여 횡동요 저감 탱크를 설계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횡동요 저감 탱크의 내부에 통로 박스를 설치함으로써 이 횡동요 저감 탱크를 상하방향으로 통과하는 계단, 파이프, 배선 등의 연결통로를 확보하는 동시에 작동유체의 이동거리를 증가시켜 안정적인 횡동요 저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횡동요 저감 탱크 및 이를 가지는 해상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해상에서 부유된 채 사용되는 해상 구조물의 횡동요를 감소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횡동요 저감 탱크로서, 상기 해상 구조물의 선체 내부에서 좌우현 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유체가 수용되는 탱크 본체와; 상기 횡동요 저감 탱크의 상하를 연결하도록 상기 탱크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통로 박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동요 저감 탱크가 제공된다.
상기 통로 박스는, 상기 탱크 본체의 내부에서, 탱크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중앙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로 박스는, 상기 탱크 본체의 내부에서, 탱크 본체의 기다란 전방벽과 후방벽 중 어느 한쪽 벽면에 밀착되도록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횡동요 저감 탱크는 상기 탱크 본체의 내부에서 서로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내부 벽들과; 상기 내부 벽에 형성되는 개구;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횡동요 저감 탱크는, 횡동요 저감 탱크 상부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기둥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둥은 상기 개구에 하나 이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해상에서 부유된 채 사용되는 해상 구조물로서, 선체의 갑판 상에 설치되는 거주구역과; 상기 거주구역의 아래에서 상기 선체 내에 배치되는 횡동요 저감 탱크; 를 포함하며, 상기 횡동요 저감 탱크는, 상기 해상 구조물의 좌우현 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유체가 수용되는 탱크 본체와, 상기 횡동요 저감 탱크의 상하를 연결하도록 상기 탱크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통로 박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동요 저감 탱크를 가지는 해상 구조물이 제공된다.
상기 통로 박스는, 상기 탱크 본체의 내부에서, 탱크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중앙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로 박스는, 상기 탱크 본체의 내부에서, 탱크 본체의 기다란 전방벽과 후방벽 중 어느 한쪽 벽면에 밀착되도록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횡동요 저감 탱크는, 상기 탱크 본체의 내부에서 서로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내부 벽들과, 상기 내부 벽에 형성되는 개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구에는 하나 이상의 기둥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체의 내부에는 선체 보강을 위한 복수의 보강 벽이 설치되고, 상기 횡동요 저감 탱크 내부의 상기 내부 벽 및 상기 기둥과 상기 보강 벽은 일직선상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에 통로 박스를 설치한 횡동요 저감 탱크 및 이를 가지는 해상 구조물이 제공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이 횡동요 저감 탱크를 상하방향으로 통과하는 계단, 파이프, 배선 등의 연결통로를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작동유체의 이동거리를 증가시켜 안정적인 횡동요 저감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횡동요 저감 탱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횡동요 저감 탱크가 설치된 해상 구조물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횡동요 저감 탱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해상 구조물이란, 유동이 발생하는 해상에서 부유된 채 사용되는 해상 플랜트와 선박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예를 들어 Oil 또는 LNG FPSO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나 LNG FSRU (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와 같은 해상 플랜트뿐만 아니라 화물선, 컨테이너선, LNG 수송선 등과 같은 선박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횡동요 저감 탱크(20)는, 해상 구조물의 선체 내부에서 좌우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탱크 본체(21)와, 이 탱크 본체(21)의 내부에서 서로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내부 벽(23)들과, 이들 복수의 내부 벽(23)에 형성되는 개구(25)를 포함한다.
각각의 개구(25)에는 상부면과 하부면을 연결하여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기둥(26)이 설치된다. 기둥(26)은 하나의 개구(25)에 각각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으며, 하나의 개구(25)에 복수의 기둥(26)이 설치될 경우 기둥들 사이의 간격은 설계시 적절하게 정해질 수 있다. 도 1에서는 예를 들어 하나의 개구(25)에 2개의 기둥(26)이 설치되고, 기둥(26)에 의해 개구(25)가 균등하게 분할될 수 있도록 2개의 기둥(26)을 배치한 것이 예시되어 있다.
또한, 횡동요 저감 탱크(20)의 탱크 본체(21) 내부의 일측 중앙에는, 횡동요 저감 탱크(20)의 상하를 연결하는 엘리베이터, 계단, 파이프, 및 배선류 등의 배치를 위해 통로 박스(27)가 설치될 수 있다. 통로 박스(27)는 대략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도 1에서는 그 상부면이 폐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부면은 물론 하부면이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어 횡동요 저감 탱크의 상하부를 연결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통로 박스(27)는, 횡동요 저감 탱크(20)의 탱크 본체(21) 내부에서, 탱크 본체(21)의 좌우측벽으로부터 대략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길이방향으로 대략 중앙에 위치될 수 있으며, 탱크 본체(21)의 기다란 전방벽과 후방벽 중 어느 한쪽 벽면에 밀착되도록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통로 박스(27)의 좌우측벽은 내부 벽(23)으로서 기능할 수 있으므로, 내부 벽(23)과 동일한 구성으로 간주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횡동요 저감 탱크(20)는, 설명의 편의상, 상부면을 제거한 상태로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기다란 직육면체 형상의 탱크로서 내부의 유체가 노출되지 않도록 모든 면이 폐쇄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동요 저감 탱크(20)를 해상 구조물(10)의 거주구역(15)의 바로 아래쪽에 배치한다. 횡동요 저감 탱크(20)가 해상 구조물(10)의 거주구역(15) 아래에 설치되는 경우, 탱크 본체(21)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 벽(23)들은, 해상 구조물(10)의 선체(11) 내부에 보강을 위해 설치되는 복수의 보강 벽(12)들과 일직선상으로 연속되게 설치된다. 아울러, 개구(25)에 배치되는 기둥(26) 역시 복수의 보강 벽(12)들과 일직선상으로 연속되게 설치된다. 그에 따라 갑판(13)의 상부에 설치되는 거주구역(15)의 하중이 내부 벽(23) 및 기둥(26)을 통해 보강 벽(12)으로 전달되어 지지될 수 있어 구조적인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기둥(26)은 횡동요 저감 탱크(20)의 위쪽에 위치하는 구조물의 하중을 횡동요 저감 탱크(20)의 아래쪽으로 전달할 수 있는 하중 지지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내부 벽(23) 역시 기둥(26)과 함께 하중 지지수단으로서 기능한다. 필요시 기둥(26) 혹은 내부 벽(23)이 단독으로 하중 지지수단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횡동요 저감 탱크(20)의 탱크 본체(21)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 벽(23)은 대략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내부 벽(23)들은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되되, 내부 벽(23)과 횡동요 저감 탱크(20)의 탱크 본체(21)의 좌우 양쪽 측벽과 내부 벽 사이의 간격은 내부 벽들 사이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어느 경우에나,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 벽(23)들의 위치는 선체(11) 내부의 보강 벽(12)들의 위치와 동일하다.
각각의 내부 벽(23)에는 횡동요 저감 탱크(20) 내부에서의 유체의 자유로운 유동을 위해 하나 이상의 개구(25)가 형성된다. 개구(25)의 크기 및 배치 위치는 모든 내부 벽(23)에 있어서 동일하게 혹은 동일하지 않게 정해질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탱크 본체(21)의 내부에는 총 6개의 내부 벽(23)들이 설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내부 벽(23) 사이의 간격은 동일하고 탱크 본체(21)의 좌우 양쪽 측벽과 내부 벽(23) 사이의 간격은 내부 벽들 사이의 간격보다 좁다.
본 발명의 횡동요 저감 탱크(20)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개구(25)를 갖는 복수의 내부 벽(23)들이 탱크 본체(2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내부에 수용된 유체의 유동을 허용하지만 이러한 내부 유동으로 인한 공진이 발생하지 않는 구조를 갖는다.
그에 따라, 내부 벽(23) 및 기둥(26)으로 인해 구조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진동을 줄이고 내부 유체에 의한 충격하중을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 벽을 이용하여 내부 유동에 댐핑 효과를 발생함으로써, 전 주기 영역에서 횡동요 저감 탱크의 효과를 확보할 수 있다. 이 경우, 내부 벽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횡동요 저감 탱크의 공진 주기에서 급격한 wave의 발생이 억제되고 유체충격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횡동요 저감 탱크를 사용하는 이유는, 선박의 복원성이 너무 좋은 경우인데, 횡동요 저감 탱크를 사용하면 자유표면효과(Free surface effect)에 따라 복원성이 줄게 되고, 선박의 횡동요 주기가 길어지게 되어 전체적으로 횡동요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게 된다. 따라서, 횡동요 저감 탱크의 효과는 내부 유동의 동적 효과 뿐만 아니라 정적 효과(자유표면효과)에 기인하는 부분도 크다.
또한, 내부 벽(23)이 보강 벽(12)과 연속성을 가지고 가기 때문에 구조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구조 연속성 때문에 거주구역(15)이 해상 구조물(10)의 전후로 움직이는 진동 모드에 대해서 보다 높은 강성을 갖게 되어 진동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자유면 타입(free surface type)의 횡동요 저감 탱크는 기본적으로 작동 유체가 잘 움직여야 하므로,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형사의 탱크를 이용한다. 그러나, 횡동요 저감 탱크의 실제 배치에 있어서는 여러 가지 제약 조건들이 있게 된다. 예를 들어 횡동요 저감 탱크를 갑판 상부의 거주구역(15) 아래쪽, 즉 거주구역(15)과 연료 오일 탱크(도시생략) 사이에 배치할 경우, 거주구역과 연료 오일 탱크 사이에는 엘리베이터, 계단, 파이프, 밸브, 각종 전기 배선 등이 서로 연결되어야 하는데, 해양 구조물(10)의 제한된 공간 내에서 이것들의 배치를 고려한다면 제대로 된 횡동요 저감 탱크를 구현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자는, 횡동요 저감 탱크 내에 수밀이 되는 구조물, 즉 통로 박스(27)를 횡동요 저감 탱크의 중앙부분 일측에 위치시켜, 이 통로 박스(27)의 내부에 위에서 언급한 각종 장비 및 장치 등을 배치하도록 하였다.
나아가서, 이와 같이 횡동요 저감 탱크의 내부에 통로 박스(27)를 배치한 경우에도 횡동요 저감 탱크로서의 성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는가에 대한 검토 및 확인을 위해서, 본 발명자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테스트하였다. 즉,
(1) 횡동요 저감 탱크의 내부에 배치되는 통로 박스의 크기에 따라 탱크 내 유체의 고유주기가 어떻게 변동하는지, 그리고
(2) 내부에 통로 박스를 갖는 횡동요 저감 탱크의 성능과, 내부에 통로 박스가 없어 대략 직육면체 형태의 내부공간을 갖는 횡동요 저감 탱크의 성능과 유사한지 여부를 테스트하였다.
우선, 상기 (1)번 사항의 검토를 위해 본 발명자는 조선/기계/항공에서 사용되는 수치기법인 경계요소기법(Boundary Element Method)를 사용하여, 내부에 통로 박스를 갖는 횡동요 저감 탱크에 대하여 내부 유체 고유주기를 구해 보았다. 내부에 통로 박스가 없는 경우에는 17.8초, 그리고 내부에 통로 박스가 있는 경우에는 20.3초가 계산되었다. 이는 내부에 통로 박스가 있는 경우, 물리적으로 유체의 실제 이동거리가 길어지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유체 주기가 길어지면 얻게 되는 다른 장점이 있다. 직사각형에서 있어서 유체의 고유주기는 수위가 높아질수록 짧아지게 되는데, 선박의 고유주기가 긴 경우, 횡동요 저감 탱크에서 고유주기를 길게 하기 위해서는 결국 물을 적게 넣을 수밖에 없다. 그러나, 물 양이 너무 적어지면 유체의 운동이 비선형적으로 움직이게 되어, 고유주기도 잘 맞지 않을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hydraulic jump와 같은 현상 등이 발생하여, 탱크 내 벽면에 충격이 가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횡동요 저감 탱크의 내부에 통로 박스를 배치함으로써 통로 박스가 없는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위를 높게 가져가면서 동일한 유체 주기를 얻을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횡동요 저감 탱크로서의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번 사항의 검토를 위해 본 발명자는 수조 내에서의 모형 실험을 실시하여, 횡동요 저감 탱크 내부의 통로 박스 유무에 따른 모형배의 롤(roll) 값을 계측 및 비교하였다.
유의파고가 5m이고 파 주기가 17, 21.5, 26초인 각각의 파에 대하여, 실 해역 3시간 해상 상태에 맞추어 롤(roll) 값을 계측하였다.
해양파주기(Tp,sec) 17 21.5 26
횡동요 저감 탱크가 없는 경우 9.65 14.32 14.01
통로 박스가 없는 횡동요 저감 탱크를 설치한 경우 3.15 3.90 4.37
통로 박스를 갖는 횡동요 저감 탱크를 설치한 경우 4.21 6.78 6.85
표 1을 참조하면, 횡동요 저감 탱크가 없는 경우에는 대략 9 ~ 14도 정도의 롤이 발생하고, 통로 박스가 없는 횡동요 저감 탱크를 설치한 경우에는 대략 3 ~ 4.5도의 롤이 발생하고, 통로 박스를 갖는 횡동요 저감 탱크를 설치한 경우에는 대략 4 ~ 7도 정도의 롤이 발생하는 것을 보여준다.
통로 박스가 있는 경우, 비록 통로 박스가 없는 횡동요 저감 탱크에 비해서는 다소 떨어지는 성능을 보여주지만, 횡동요 저감 탱크가 없는 경우에 비해서는 여전히 좋은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횡동요 저감 탱크의 내부에 통로 박스를 설치함으로써, 엘리베이터, 계단, 파이프, 전기 장치, 배선 등을 위해서 꼭 필요한 공간을 제공하면서도 횡동요 저감 기능을 확보할 수 있다고 하는 현저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해상 구조물 11 : 선체
12 : 보강 벽 13 : 갑판
15 : 거주구역 20 : 횡동요 저감 탱크
21 : 탱크 본체 23 : 내부 벽
25 : 개구 26 : 기둥
27 : 통로 박스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해상에서 부유된 채 사용되는 해상 구조물로서,
    선체의 갑판 상에 설치되는 거주구역과;
    상기 거주구역의 아래에서 상기 선체 내에 배치되는 횡동요 저감 탱크; 를 포함하며,
    상기 횡동요 저감 탱크는, 상기 해상 구조물의 좌우현 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유체가 수용되는 탱크 본체와,
    상기 횡동요 저감 탱크의 상하를 연결하도록 상기 탱크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통로 박스;
    를 포함하며,
    상기 선체의 내부에는 선체 보강을 위한 복수의 보강 벽이 설치되고, 상기 횡동요 저감 탱크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 벽과 상기 보강 벽은 일직선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동요 저감 탱크를 가지는 해상 구조물.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통로 박스는, 상기 탱크 본체의 내부에서, 탱크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중앙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동요 저감 탱크를 가지는 해상 구조물.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통로 박스는, 상기 탱크 본체의 내부에서, 탱크 본체의 기다란 전방벽과 후방벽 중 어느 한쪽 벽면에 밀착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동요 저감 탱크를 가지는 해상 구조물.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횡동요 저감 탱크는, 상기 탱크 본체의 내부에서 서로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내부 벽들과, 상기 내부 벽에 형성되는 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동요 저감 탱크를 가지는 해상 구조물.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횡동요 저감 탱크 상부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기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동요 저감 탱크를 가지는 해상 구조물.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기둥은 상기 개구에 하나 이상 설치되며, 상기 횡동요 저감 탱크 내부의 상기 기둥과 상기 보강 벽은 일직선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동요 저감 탱크를 가지는 해상 구조물.
KR1020110078606A 2011-08-08 2011-08-08 통로 박스를 갖는 횡동요 저감 탱크를 가지는 해상 구조물 KR101327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8606A KR101327749B1 (ko) 2011-08-08 2011-08-08 통로 박스를 갖는 횡동요 저감 탱크를 가지는 해상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8606A KR101327749B1 (ko) 2011-08-08 2011-08-08 통로 박스를 갖는 횡동요 저감 탱크를 가지는 해상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6583A KR20130016583A (ko) 2013-02-18
KR101327749B1 true KR101327749B1 (ko) 2013-11-11

Family

ID=47895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8606A KR101327749B1 (ko) 2011-08-08 2011-08-08 통로 박스를 갖는 횡동요 저감 탱크를 가지는 해상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77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227B1 (ko) * 2014-08-01 2016-09-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횡동요 저감 장치를 가지는 해양 부유식 구조물
CN110188493B (zh) * 2019-06-03 2024-01-19 上海船舶研究设计院(中国船舶工业集团公司第六0四研究院) 船舶减摇控制方法、装置及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2692U (ko) * 1986-09-25 1988-04-08
JPH0520994U (ja) * 1991-08-30 1993-03-19 三井造船株式会社 タンカーのカーゴタンク用通路
KR20100090364A (ko) * 2009-02-06 2010-08-1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슬로싱 억제용 부력캡이 설치된 액체화물 운반선 화물창
KR20100113970A (ko) * 2009-04-14 2010-10-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횡동요 저감형 선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2692U (ko) * 1986-09-25 1988-04-08
JPH0520994U (ja) * 1991-08-30 1993-03-19 三井造船株式会社 タンカーのカーゴタンク用通路
KR20100090364A (ko) * 2009-02-06 2010-08-1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슬로싱 억제용 부력캡이 설치된 액체화물 운반선 화물창
KR20100113970A (ko) * 2009-04-14 2010-10-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횡동요 저감형 선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6583A (ko) 2013-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85118B2 (ja) 船舶、洋上浮体式設備、及び液化天然ガス貯蔵方法
CN108820148B (zh) 半潜平台及其下浮体
US20200406185A1 (en) Ship desulfurization device and ship equipped with ship desulfurization device
JP5624146B2 (ja) 横揺れ低減型船舶
KR20140031888A (ko) 슬로싱 방지 장치 및 슬로싱 방지 방법
KR101148067B1 (ko) 횡동요 저감형 선박
KR101327749B1 (ko) 통로 박스를 갖는 횡동요 저감 탱크를 가지는 해상 구조물
KR20190087403A (ko) 액화가스 운반선
KR101221547B1 (ko) 횡동요 저감장치를 가지는 해상 구조물
KR101897727B1 (ko) 액화 가스 탱크의 선체 지지 구조 및 액화 가스 운반선
KR20130016584A (ko) 챔퍼를 갖는 횡동요 저감 탱크 및 이를 가지는 해상 구조물
KR101818519B1 (ko) 횡동요 저감 탱크 및 이를 가지는 해상 구조물
KR20130012357A (ko) 하중 지지수단을 갖는 횡동요 저감 탱크 및 이를 가지는 해상 구조물
KR100802584B1 (ko) 상갑판에 연료유 저장탱크를 갖는 선박
KR101826681B1 (ko) 유동 차단수단을 갖는 횡동요 저감 탱크 및 이를 가지는 해상 구조물
KR101826680B1 (ko) 유동 차단용 기구를 갖는 횡동요 저감 탱크 및 이를 가지는 해상 구조물
KR101454346B1 (ko) 해양 구조물의 상부갑판 구조물
KR102027907B1 (ko) 선박의 거주구 구조
US10081412B2 (en) Floating vessel with tank trough deck
KR20160000614U (ko) 횡동요 저감 장치를 가지는 해양 부유식 구조물
KR20120014633A (ko) 유조선의 화물창 구조
KR20170001996U (ko) 횡동요 저감 탱크 및 이를 가지는 해상 구조물
JP2005219559A (ja) 貨物船
KR20120044879A (ko) 선박용 컨테이너 적재 구조물
CN215826931U (zh) 可适于浅水域运输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