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150Y1 - 농업용 고소작업대 - Google Patents

농업용 고소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150Y1
KR200476150Y1 KR2020130003437U KR20130003437U KR200476150Y1 KR 200476150 Y1 KR200476150 Y1 KR 200476150Y1 KR 2020130003437 U KR2020130003437 U KR 2020130003437U KR 20130003437 U KR20130003437 U KR 20130003437U KR 200476150 Y1 KR200476150 Y1 KR 2004761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driving motor
driving
wire
main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34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5752U (ko
Inventor
여운
Original Assignee
여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운 filed Critical 여운
Priority to KR20201300034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150Y1/ko
Publication of KR201400057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7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1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1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3/00Accessories for digging harvesters
    • A01D33/14Lifting or lowering mechanisms for the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승강수단을 갖는 차량이나 대차의 트레일러에 탈착 가능한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직방향으로 이동되어 고정됨으로써 높이조절이 가능한 메인패널에 측방향으로 보조패널이 가이드부재를 따라 안내되어 출몰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보조패널을 빼내거나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메인패널의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 상기 메인패널의 타측에 고정설치되는 도르래, 양측 단부가 상기 회전축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권취되어 고정되고 내측의 일부가 상기 도르래에 권취되는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와이어의 일부가 상기 보조패널의 후방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보조패널이 수평방향으로 안내되어 출몰됨으로써 확장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패널이 구비된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농업용 고소작업대{Agricultural workbench offers expanded panel}
본 고안은 승강수단을 갖는 차량이나 대차의 트레일러에 탈착 가능한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직방향으로 이동되어 고정됨으로써 높이조절이 가능한 메인패널에 측방향으로 보조패널이 가이드부재를 따라 안내되어 출몰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보조패널을 빼내거나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메인패널의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 상기 메인패널의 타측에 고정설치되는 도르래, 양측 단부가 상기 회전축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권취되어 고정되고 내측의 일부가 상기 도르래에 권취되는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와이어의 일부가 상기 보조패널의 후방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보조패널이 수평방향으로 안내되어 출몰됨으로써 확장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수원이나 하우스 등에서 사용되는 고소작업대는 서있는 상태의 작업이 곤란한 높은 위치에서 작업을 수행하고자 할 대, 예를 들어 과수의 가지치기, 과실수확 등에 사용된다. 이러한 고소작업대는 이동 및 정지수단을 갖는 차량이나 대차에 단순히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도록 하는 승강수단이 구비되어 있어 작업자가 높은 위치에서 소정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비이다.
이러한 고소작업대는 대부분 중앙의 메인패널에서 양쪽으로 보조패널이 안내되어 출몰되게 마련되고 상기 보조패널은 메인패널에서 실린더나 스크류기어에 의해 연동되어 출몰되도록 마련된 것이다.
이러한 기술과 관련된 트레일러용 고소작업대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91048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7314호 및 대한민국 특허 제10-0933921호에 제시되어 있다.
상기 공개실용신안에는 메인답판의 저면에서 슬라이딩레일을 따라 메인답판의 양측으로 일정길이 만큼 출몰 가능하게 한 쌍의 보조답판이 마련되고 상기 슬라이딩레일 양측단부의 지지대연결관에 메인답판을 일정높이로 공중에 띄워놓는 지지대가 마련되며 상기 지지대연결관의 전후단부분에 농약살포차량(일명, "SS기"라 칭함)에 탑재된 트레일러 양측의 벽체 상단부와 연결 고정되는 연결부재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개실용신안은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어있는 고소작업대의 하부로 트레일러가 탑재된 농약 살포차량을 운전하여 위치시킨 후 상기 트레일러를 상승시켜 고소작업대를 연결 장착하고 고소작업대에서 지지대를 제거한 다음 소정의 고속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고소작업대에 있어서는, 보조답판이 메인답판 전체의 폭에 ㅍ정도의 폭으로 마련되어 메인답판과 보조답판의 단차가 거의 없으나 메인답판에서 연장되는 보조답판의 길이가 짧으며, 보조답판을 출몰시키기 위한 구동구조가 정역구동모터에 의해 연동되는 스프로킷과 체인으로 구동되는 것이어서 그 구성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특허는 트레일러와 이 트레일러에 탈착되는 적재함 및 상기 트레일러를 안전하게 지지하는 지지수단으로 구성되되 상기 적재함은 하면에 층을 이루고 마련되는 안내프레임과, 이 안내프레임에서 슬라이딩되는 가이드판과, 이 가이드판을 가동시키는 2개의 실린더와 상기 가이드판의 가장자리에 마련되는 난간대 및 이 난간대를 안내하는 다수의 롤러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특허는 위의 공개실용신안과 마찬가지로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어있는 적재함의 하부로 트레일러(농약살포차량을 잘못 표현한 것으로 사료됨)를 운전하여 위치시킨 후 상기 트레일러의 실린더(리프트)를 상승시켜 적재함을 연결 장착하고 적재함에서 지지대를 제거하고, 상기 트레일러의 지지수단을 이용하여 지면에 대하여 트레일러를 안전하게 지지하고 트레일러의 실린더(리프트)를 소정높이로 상승시켜 소정의 고소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특허에 있어서는, 적재함 하면의 안내프레임에서 적재함과 동일한 사이즈인 가이드판이 2층으로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판은 각각의 실린더로 출몰시켜 적재함의 크기를 보다 크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나, 적재함에서 양측으로 가이드판이 연장되면 적재함에 대하여 양측의 가이드판이 각기 다른 단차를 가지므로 적재함에 탑승한 작업자가 이동할 때 발이 걸려 넘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적재함의 안내프레임에서 가이드판이 각각의 실린더에 의해 양측으로 출몰될 때 빠른 속도로 출몰되므로 적재함의 가이드판에 작업자가 탑승한 경우 넘어지거나 낙상으로 인한 산업안전사고의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개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메인페널과 보조패널의 단차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보조패널이 와이어에 의해 슬라이딩되므로 부드럽게 동작되고 보조패널의 길이를 연장하더라도 저렴한 설치비용으로 조절가능한 고소작업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작업공간 내에서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충격에도 안정적으로 고정되며 장치의 파손을 최소화하며 견딜 수 있는 고소작업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수직방향으로 이동되어 고정됨으로써 높이조절이 가능한 메인패널(1)에 측방향으로 보조패널(2)이 가이드부재(3)를 따라 안내되어 출몰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보조패널(2)을 빼내거나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구동수단(10)을 포함하는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10)은, 상기 메인패널의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구동모터(11);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12); 상기 메인패널의 타측에 고정설치되는 도르래(13); 양측 단부가 상기 회전축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권취되어 고정되고 내측의 일부가 상기 도르래에 권취되는 와이어(1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와이어(14)의 일부가 상기 보조패널(2)의 후방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구동모터(11)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보조패널(2)이 수평방향으로 안내되어 출몰됨으로써 확장가능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구동모터(11)과 회전축(12)을 연결하는 구동력 전달수단(15)과 상기 회전축(12)의 타측에 수동구동수단(16)을 구비하여, 상기 구동력 전달수단(15)을 분리하고 상기 수동구동수단(16)으로 회전축(12)을 수동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구동력 전달수단(15)은 상기 구동모터(11)의 단부와 회전축(12)의 단부에 동일한 크기의 스프로켓(151)을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스프로켓의 외주면에 치합하는 각각의 체인(152a,152b)을 구비하되 상기 각각의 체인 마디를 서로 연결하는 지주핀(153)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체인(152a,152b)을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구동모터(11)와 회전축(12)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동구동수단(16)는 상기 회전축(12)의 타측에 제1웜기어(161)를 구비하고,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1웜기어에 치합되는 제2웜기어(162)가 구비되는 수동축(163)을 구비하고, 상기 수동축의 단부를 수용하는 수용홈(164)이 형성되어 수동축이 끼움되어 고정되는 손잡이(16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보조패널(2)이 메인패널(1)의 측방향으로 출몰되되, 상기 보조패널(2)이 2개 이상 구비되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출몰되고, 각 보조패널을 구동하는 구동수단이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구동모터(11)의 전원을 On/OFF 하거나 회전방향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선택하여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메인페널과 보조패널의 단차를 최소화하여 협소한 공간에도 설치가 가능하며, 출몰되는 보조패널의 연장되는 길이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보조패널이 와이어에 의해 슬라이딩되므로 부드럽게 동작되고 보조패널의 길이를 연장하더라도 저렴한 설치비용으로 조절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구동모터에 구비되는 기어부에 의해 경사지에서 작업하더라도 보조패널이 안정적으로 출몰되어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고 견고하여 작업공간 내에서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충격에도 파손되지 않으며 유지 보수비용이 저렴한 효과가 있다.
또한, 과실수가 식재된 과수원 등과 같은 농장에서도 용이하게 이동이 가능하며, 출몰되는 보조패널이 작동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넓혀줄 수 있어 과실수확이나 고소작업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보조패널이 돌출되어 확장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확장발판과 승강수단의 결합을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메인패널과 보조패널의 결합을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패널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도 4의 일부분을 나타낸 부분확대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보조패널의 종단면을 나타낸 절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보조패널의 출몰을 나타낸 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구동력 전달수단을 나타낸 개략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수동구동수단을 나타낸 개략도
본 고안은 수직방향으로 이동되어 고정됨으로써 높이조절이 가능한 메인패널(1)에 측방향으로 보조패널(2)이 가이드부재(3)를 따라 안내되어 출몰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보조패널(2)을 빼내거나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구동수단(10)을 포함하는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10)은 상기 메인패널의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구동모터(11),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12), 상기 메인패널의 타측에 고정설치되는 도르래(13), 양측 단부가 상기 회전축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권취되어 고정되고 내측의 일부가 상기 도르래에 권취되는 와이어(1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와이어(14)의 일부가 상기 보조패널(2)의 후방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구동모터(11)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보조패널(2)이 수평방향으로 안내되어 출몰됨으로써 확장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구동모터(11)과 회전축(12)을 연결하는 구동력 전달수단(15)과 상기 회전축(12)의 타측에 수동구동수단(16)을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상기 구동력 전달수단(15)을 분리하고 상기 수동구동수단(16)으로 회전축(12)을 수동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보조패널(2)이 메인패널(1)의 측방향으로 출몰되되, 상기 보조패널(2)이 2개 이상 구비되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출몰되고, 각 보조패널을 구동하는 구동수단이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구동모터(11)의 전원을 On/OFF 하거나 회전방향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선택하여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농업용 고소작업대의 확장패널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인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먼저, 본 고안은 수직방향으로 이동되어 고정됨으로써 높이조절이 가능한 메인패널(1)에 측방향으로 보조패널(2)이 가이드부재(3)를 따라 안내되어 출몰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보조패널(2)을 빼내거나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구동수단(10)을 포함하는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10)은 상기 메인패널의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구동모터(11),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12), 상기 메인패널의 타측에 고정설치되는 도르래(13), 양측 단부가 상기 회전축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권취되어 고정되고 내측의 일부가 상기 도르래에 권취되는 와이어(1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와이어(14)의 일부가 상기 보조패널(2)의 후방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구동모터(11)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보조패널(2)이 수평방향으로 안내되어 출몰됨으로써 확장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고소작업대는 이동 및 정지수단을 갖는 트랙터와 같은 이동수단의 후방에 연결되어 견인되는 트레일러나 대차에 단순히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도록 하는 승강수단(A)을 구비한다.
본 고안은 상기 승강수단(A)에 의해 이동되어 고정됨으로써 높이조절이 가능한 메인패널(1)에 측방향으로 보조패널(2)이 가이드부재(3)를 따라 안내되어 출몰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보조패널(2)을 빼내거나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구동수단(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메인패널(1)은 고소작업대의 승강수단(A)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메인패널(1)의 저면에는 메인패널을 승강수단에 안착하여 설치하기 위한 구조프레임(4)이 구비된다.
상기 보조패널(2)은 상기 구조프레임(4)의 양측에 설치되는 가이드부재(3)에 의해 안내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된다.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수단(10)은 상기 메인패널(1)의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구동모터(11),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12), 상기 메인패널의 타측에 고정설치되는 도르래(13), 양측 단부가 상기 회전축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권취되어 고정되고 내측의 일부가 상기 도르래에 권취되는 와이어(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모터(11)는 상기 구조프레임(4)의 일측에 고정설치되며 트랙터나 차량으로부터 전달받는 전원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전원부로부터 전달받도록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11)는 회전하는 구동축에 기어부(111)를 구비하여 전원이 인가되지 않더라도 구동축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11)는 상기 보조패널(2)이 이동 가능한 공간을 최대한 확보하고 보조패널(2)과 간섭되지 않도록 사선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어부(11)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웜기어를 구동기어와 종동기어로 구성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 구동기어와 종동기어의 회전방향이 서로 직교되어 치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구동모터(11)에 의해 구동기어가 회전하지 않으면 종동기어가 로드에 의해 회전되지 않고 고정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축(12)은 상기 구조프레임(4)의 전방 일측에서 베어링이 내삽된 하우징(121)에 끼움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구동모터(11)에 연결된다.
상기 도르래(13)는 상기 구조프레임(4)의 후방 일측에서 중심축을 관통하는 체결구(131)에 의해 고정설치된다.
상기 와이어(14)는 양측 단부가 상기 회전축(12)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권취되어 고정되고 내측의 일부가 상기 도르래(13)에 권취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14)는 상기 회전축(12)에 체결공을 구비하고 상기 체결공에 와이어(14)의 양측 단부가 각각 삽입하여 고정하되, 상기 와이어(14)의 양측 단부는 회전축(12)의 외주면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권취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도6과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 와이어(14)의 일부가 상기 보조패널(2)의 후방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구동모터(11)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보조패널(2)이 수평방향으로 안내되어 메인패널(1)의 측방향으로 출몰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8과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11)과 회전축(12)을 연결하는 구동력 전달수단(15)과 상기 회전축(12)의 타측에 수동구동수단(16)을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상기 구동력 전달수단(15)을 분리하고 상기 수동구동수단(16)으로 회전축(12)을 수동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력 전달수단(15)은 상기 구동모터(11)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을 회전축(12)에 전달하는 것으로, 상기 구동모터(11)의 단부와 회전축(12)의 단부에 동일한 크기의 스프로켓(151)을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스프로켓의 외주면에 치합하는 각각의 체인(152a,152b)을 구비하되 상기 각각의 체인 마디를 서로 연결하는 지주핀(153)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체인(152a,152b)을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구동모터(11)와 회전축(12)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반적인 커플링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수동구동수단(16)는 상기 회전축(12)의 타측에 제1웜기어(161)를 구비하고,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1웜기어에 치합되는 제2웜기어(162)가 구비되는 수동축(163)을 구비하고, 상기 수동축의 단부를 수용하는 수용홈(164)이 형성되어 수동축이 끼움되어 고정되는 손잡이(16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동축(163)을 회전가능하도록 고정하는 브라켓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상기 구동력 전달수단(15)을 제거함으로써 구동모터(11)와 회전축(12)을 분리하고 상기 수동구동수단(16)으로 회전축(12)을 수동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보조패널(2)의 출몰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보조패널(2)이 메인패널(1)의 측방향으로 출몰되되, 상기 보조패널(2)이 2개 이상 구비되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출몰되고, 각 보조패널을 구동하는 구동수단이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각형으로 설치되는 메인패널(1)의 하측에 보조패널(2)을 복수층으로 구비하되, 상기 보조패널(2)의 출몰되는 방향을 서로 상이하게 설치함으로써 전후방 및 좌우측방향으로 각각 출몰되는 보조패널(2)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각 보조패널(2)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3)와 구동수단(10)을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구동모터(11)의 전원을 On/OFF 하거나 회전방향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선택하여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보조패널(2)을 빼내거나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구동수단(10)을 포함하는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10)은 상기 메인패널의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구동모터(11),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12), 상기 메인패널의 타측에 고정설치되는 도르래(13), 양측 단부가 상기 회전축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권취되어 고정되고 내측의 일부가 상기 도르래에 권취되는 와이어(1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와이어(14)의 일부가 상기 보조패널(2)의 후방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구동모터(11)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보조패널(2)이 수평방향으로 안내되어 출몰됨으로써 메인패널을 확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00: 보조패널이 구비된 고소작업대
A: 승강수단
1: 메인패널
2: 보조패널
3: 가이드부재
4: 구조프레임
10: 구동수단
11: 구동모터
12: 회전축
13: 도르래
14: 와이어

Claims (4)

  1. 수직방향으로 이동되어 고정됨으로써 높이조절이 가능한 메인패널(1)에 측방향으로 보조패널(2)이 가이드부재(3)를 따라 안내되어 출몰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보조패널(2)을 빼내거나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구동수단(10)을 포함하는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10)은, 상기 메인패널의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구동모터(11);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12); 상기 메인패널의 타측에 고정설치되는 도르래(13); 양측 단부가 상기 회전축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권취되어 고정되고 내측의 일부가 상기 도르래에 권취되는 와이어(1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와이어(14)의 일부가 상기 보조패널(2)의 후방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구동모터(11)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보조패널(2)이 수평방향으로 안내되어 출몰됨으로써 확장가능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구동모터(11)과 회전축(12)을 연결하는 구동력 전달수단(15)과 상기 회전축(12)의 타측에 수동구동수단(16)을 구비하여, 상기 구동력 전달수단(15)을 분리하고 상기 수동구동수단(16)으로 회전축(12)을 수동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구동력 전달수단(15)은 상기 구동모터(11)의 단부와 회전축(12)의 단부에 동일한 크기의 스프로켓(151)을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스프로켓의 외주면에 치합하는 각각의 체인(152a,152b)을 구비하되 상기 각각의 체인 마디를 서로 연결하는 지주핀(153)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체인(152a,152b)을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구동모터(11)와 회전축(12)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동구동수단(16)는 상기 회전축(12)의 타측에 제1웜기어(161)를 구비하고,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1웜기어에 치합되는 제2웜기어(162)가 구비되는 수동축(163)을 구비하고, 상기 수동축의 단부를 수용하는 수용홈(164)이 형성되어 수동축이 끼움되어 고정되는 손잡이(16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고소작업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패널(2)이 메인패널(1)의 측방향으로 출몰되되, 상기 보조패널(2)이 2개 이상 구비되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출몰되고, 각 보조패널을 구동하는 구동수단이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고소작업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11)의 전원을 On/OFF 하거나 회전방향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선택하여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고소작업대.
KR2020130003437U 2013-05-02 2013-05-02 농업용 고소작업대 KR2004761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437U KR200476150Y1 (ko) 2013-05-02 2013-05-02 농업용 고소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437U KR200476150Y1 (ko) 2013-05-02 2013-05-02 농업용 고소작업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752U KR20140005752U (ko) 2014-11-12
KR200476150Y1 true KR200476150Y1 (ko) 2015-02-04

Family

ID=52452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3437U KR200476150Y1 (ko) 2013-05-02 2013-05-02 농업용 고소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150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7994A (ja) * 1998-09-11 2000-03-28 Shigenori Nakamura ねじジャッキ操作用ジョイントおよびこのジョイントを用いたねじジャッキによる被持上物の持ち上げ方法
KR200398608Y1 (ko) * 2005-07-14 2005-10-13 손경하 고소 작업용 리프트 장치
KR20090011499A (ko) * 2007-07-26 2009-02-02 (주)티오피 캠 구동방식의 승하강 장치
KR101223960B1 (ko) 2012-08-06 2013-01-21 주식회사 에이치케이이엔씨 다단 스크류 잭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7994A (ja) * 1998-09-11 2000-03-28 Shigenori Nakamura ねじジャッキ操作用ジョイントおよびこのジョイントを用いたねじジャッキによる被持上物の持ち上げ方法
KR200398608Y1 (ko) * 2005-07-14 2005-10-13 손경하 고소 작업용 리프트 장치
KR20090011499A (ko) * 2007-07-26 2009-02-02 (주)티오피 캠 구동방식의 승하강 장치
KR101223960B1 (ko) 2012-08-06 2013-01-21 주식회사 에이치케이이엔씨 다단 스크류 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752U (ko) 2014-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49793B1 (en) Vehicle mounted lift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311218B1 (ko) 붐 가용접 조립장치
CN105967094A (zh) 用于配电柜安装的升降装置
CN105947926A (zh) 液压式配电柜安装的升降装置
CN109850825B (zh) 一种可移动式物料装卸升降装置
US8899405B2 (en) Assembly work conveyor device
CN218620225U (zh) 一种辅助杆上作业的电动旋转升降绝缘平台
KR101635168B1 (ko)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고소작업대용 승강장치
KR101358679B1 (ko) 붐 결합 힌지 조립장치
KR200450022Y1 (ko) 농약살포차량용 작업대
KR101823592B1 (ko) 농업용 고소 작업 장치
KR101555057B1 (ko) 과일 수확용 작업장치
KR101773255B1 (ko) 고소작업대
KR200476150Y1 (ko) 농업용 고소작업대
KR101353295B1 (ko) 농업용 고소작업차
KR20090006377U (ko) 작업용 자동승강 리프트
KR100615920B1 (ko) 견인차량의 측면 리프트장치
CN205973587U (zh) 一种多用吊架
CN113353580B (zh) 一种能够实现自动翻转的烘烤接驳输送线体
KR101536625B1 (ko) 루프 탑 텐트 설치용 리프팅장치
CN210710569U (zh) 上下井装置
CN108502828B (zh) 一种用于动车头检修的通用作业平台
KR101358677B1 (ko) 고소작업차용 실린더 힌지핀 조립장치
EP2778107A1 (en) Scaffold module as well as a lift suitable for such a scaffold module
CN218912181U (zh) 一种可调节高度的稳定型工程建筑施工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