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1499A - 캠 구동방식의 승하강 장치 - Google Patents

캠 구동방식의 승하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1499A
KR20090011499A KR1020070075142A KR20070075142A KR20090011499A KR 20090011499 A KR20090011499 A KR 20090011499A KR 1020070075142 A KR1020070075142 A KR 1020070075142A KR 20070075142 A KR20070075142 A KR 20070075142A KR 20090011499 A KR20090011499 A KR 200900114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link
cam
base plate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5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7869B1 (ko
Inventor
송진헌
Original Assignee
(주)티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오피 filed Critical (주)티오피
Priority to KR1020070075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7869B1/ko
Publication of KR20090011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7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7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41Single levers, e.g. parallel li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08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driven by screw or 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25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with wheels for moving around the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반도체 부품 등을 이송시키는 작업라인의 소정구간에서 이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경우, 구동부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링크부재의 링크운동에 의해 복수개소(일예로서 4군데를 말함)에 설치된 캠을 각각 캠운동시켜 복수의 승강부(일예로서 4군데의 승강부를 말함)를 연동시켜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캠 구동방식의 승하강 장치는, 컬럼과,
컬럼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베이스플레이트에 장착되는 구동부와,
구동부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며, 구동부의 구동시 연동되어 링크운동되는 제1,2링크부재와,
제1,2링크부재의 링크운동시 연동되어 베이스플레이트를 컬럼에 대해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한다.
승하강 장치, 캠, 랙기어, 웜 및 웜휠, 링크부재

Description

캠 구동방식의 승하강 장치{up and down apparatus of using cam}
본 발명은 반도체 부품 등을 이송시키는 작업라인(또는 반도체 부품 등을 조립하는 장치를 말함)의 소정구간에서 이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경우 구동부에 의해 캠 구동방식의 승강부가 연동되어 승,하강될 수 있도록한 캠 구동방식의 승하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부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링크부재의 링크운동에 의해 복수개소(일예로서 4군데를 말함)에 설치된 캠을 각각 캠운동시켜 복수의 승강부(일예로서 4군데의 승강부를 말함)를 연동시켜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한 캠 구동방식의 승하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유압식 승하강 장치는, 베이스플레이트(100)와,
베이스플레이트(100)에 대해 승강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소정의 물품을 승강시키는 승강판(101)과,
베이스플레이트(100)에 하단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승강판(101)에 상단이 슬라이딩되도록 지지되는 제1아암(102)과, 제1아암(102)에 중간측이 절첩가능하게 고정되고, 승강판(101)에 상단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슬라이딩되도록 지지되는 제2아암(103)으로 이루어진 승강수단과,
제1,2아암(102,103)의 고정부위에 로드측이 고정되고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실린더측이 고정되는 유압실린더(104)와,
유압실린더(104)에 작동유를 공급 및 제어하는 유압유니트(105)를 포함한다.
따라서, 전술한 유압실린더(104)의 신축구동으로 인해 제1,2아암(102,103)을 힌지핀을 중심축으로 절첩시킴에 따라 승강되는 승강판(101)에 의해 소정의 물품을 상승시키거나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유압식 승하강 장치는, 전술한 승강판(101)을 승강시키도록 유압실린더(104)를 구동시키는 동력원으로서 유압을 사용하므로 구동시 소음이 심하게 발생되고, 해당 유압부품으로부터 누유 발생시 작업장 및 주변환경 오염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한편, 도면에는 미 도시되었으나, 베이스플레이트에 대해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판을 구동모터 구동으로 인해 절첩가능한 아암을 구동시킴에 따라, 승강판을 승강시키는 기술내용과 관련되어 많은 출원건이 공개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동모터의 구동으로 인해 승강판을 승강시키는 경우, 아암 등의 해당 부품의 사이즈로 인해 승강판이 최저 높이를 유지하는데 한계가 있어, 승강판 의 승강높이(스트로크(stroke)를 말함)가 낮은 작업장에서는 사용이 제한을 받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구동모터로부터의 동력을 아암에 전달하는 과정이 복잡하여 해당 부품수가 증가되므로 원가비용 및 제작비용이 상승되고, 잦은 고장으로 인해 사후관리비용을 부담하게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반도체 부품 등을 이송시키는 작업라인의 소정구간에서 이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경우, 구동부의 구동으로 승강부를 승,하강시키는 승강장치의 구조를 간단화 및 컴팩트화하여 장소 및 주변환경에 간섭을 받지않고 설치할 수 있도록한 캠 구동방식의 승하강 장치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승강장치의 부품수를 줄여 원가비용 및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한 캠 구동방식의 승하강 장치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승강장치의 구동수단을 기계적인 메카니즘으로 구성하여 고장 발생을 줄임에 따라 사후관리가 불필요하여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한 캠 구동방식의 승하강 장치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캠 구동방식의 승하강 장치는, 컬럼과,
컬럼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베이스플레이트에 장착되는 구동부와,
구동부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며, 구동부의 구동시 연동되어 링크운동되는 제1,2링크부재와,
제1,2링크부재의 링크운동시 연동되어 베이스플레이트를 컬럼에 대해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캠 구동방식의 승하강 장치는, 캐스터가 바닥면에 장착되는 컬럼과,
컬럼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고, 캠홈이 각각 형성된 서포터가 상면에 장착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베이스플레이트에 장착되는 구동부와,
구동부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며, 구동부의 구동시 연동되어 링크운동되는 제1,2링크부재와,
컬럼 및 캠홈을 관통하여 각각 결합되는 제1,2회동축, 제1,2링크부재의 일단부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2구동축 및 제1,2힌지축에 의해 캠운동하도록 지지되며, 구동방향에 따라 컬럼에 대해 베이스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캠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승강수단은,
베이스플레이트 상면에 형성된 서포터 및 컬럼의 캠홈에 결합되는 제1,2회동축과,
제1,2링크부재의 일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2구동축과,
베이스플레이트 상면에 형성되는 지지편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힌지축과,
제1,2회동축, 제1,2구동축 및 제1,2힌지축에 의해 캠운동하도록 서포터 외측면에 지지되며, 제1,2링크부재의 구동시 제1,2힌지축을 중심축으로 제1,2회동축이 캠홈을 따라 캠운동하는 구동방향에 따라 베이스플레이트를 컬럼에 대해 승강시키는 캠을 포함한다.
전술한 구동부는
웜이 형성되는 구동축과,
웜과 치합되는 웜휠이 형성되고, 하단부에 피니언이 형성되는 피동축과,
제1링크부재의 제1구동링크 내측면에 형성되고, 피니언과 치합되는 제1랙기어와,
제2링크부재의 제2구동링크 내측면에 제1랙기어와 대항되게 형성되고, 피니언과 치합되는 제2랙기어를 포함한다.
전술한 구동축은 구동축에 연결되는 핸들에 의해 수동으로 조작된다.
전술한 구동축은 구동축에 연결되는 구동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조작된다.
전술한 제1링크부재는
제1구동축에 일단이 힌지연결되는 제1구동링크와,
베이스플레이트에 중간측이 제1힌지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제1구동링크의 일단에 힌지연결되는 제1힌지부재와,
제1힌지부재의 타단에 일단이 힌지연결되고 제2구동축에 타단이 힌지연결되며, 구동부의 구동시 제1힌지핀을 중심축으로 회동되는 제1힌지부재에 의해 제1구동링크와 반대방향으로 구동되어 제2구동축을 구동시키는 제1피동링크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제2링크부재는
제2구동축에 일단이 힌지연결되는 제2구동링크와,
베이스플레이트에 중간측이 제2힌지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제2구동링크의 중간측에 힌지연결되는 제2힌지부재와,
제2힌지부재의 타단에 일단이 힌지연결되고 제1구동축에 타단이 힌지연결되며, 구동부의 구동시 제2힌지핀을 중심축으로 회동되는 제2힌지부재에 의해 제2구동링크와 반대방향으로 구동되어 제1구동축을 구동시키는 제2피동링크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베이스플레이트의 모서리에 승강가능하게 장착되는 높이조절구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베이스플레이트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2힌지부재에 양단부가 고정되고, 베이스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구동력의 밸런싱을 유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제1,2링크부재의 들뜸을 방지하는 가압편을 더 포함한다.
전술한 컬럼 바닥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캐스터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제1회동축, 제1구동축 및 제1힌지축은, 전술한 제2회동축, 제2구동축 및 제2힌지축에 대해 각각 좌우대칭형으로 배치된다.
전술한 제1,2링크부재는 구동부 구동시 연동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구동되도록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캠 구동방식의 승하강 장치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반도체 부품 등을 이송시키는 작업라인의 소정구간에서 이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경우, 구동부에 의해 승강부를 승,하강시키는 승강장치의 구조를 간단화 및 컴팩트화하여 장소 및 주변 물품의 간섭을 받지않고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승강장치의 부품수를 줄여 원가비용 및 제작비용이 절감되므로 가격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승강장치를 기계적인 메카니즘으로 구성하여 고장 발생을 줄임에 따라 사후관리가 불필요하여 사용수명이 연장되므로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2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캠 구동방식의 승하강 장치는, 바닥면에 캐스터(1)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컬럼(2-5)과,
컬럼(2-5)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고, 한 쌍의 캠홈(6)이 각각 대항되게 형성된 서포터(7-10)(support)가 상면에 장착되는 베이스플레이트(11)와,
베이스플레이트(11)의 상면에 장착되는 구동부와,
구동부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며, 구동부의 구동시 연동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링크운동되는 제1,2링크부재(12,13)와,
베이스플레이트(11)로부터 제1,2링크부재(12,13)의 들뜸을 방지하도록 베이스플레이트(11)에 고정되는 가압편(14,15)과,
제1,2링크부재(12,13)의 링크운동시 연동되어 베이스플레이트(11)를 컬럼(2-5)에 대해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한다.
전술한 승강수단은,
베이스플레이트(11)의 상면에 형성된 서포터(7-10) 및 컬럼(2-5)의 캠홈(6,2a)에 결합되는 제1,2회동축(16,17)과,
제1,2링크부재(12,13)의 일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2구동축(18,19)과,
베이스플레이트(11)의 상면에 형성되는 지지편(44)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힌지축(20,21)과,
제1,2회동축(16,17), 제1,2구동축(18,19) 및 제1,2힌지축(20,21)에 의해 캠운동하도록 서포터(7-10) 외측면에 지지되며, 제1,2링크부재(12,13)의 구동시 제1,2힌지축(20,21)을 중심축으로 제1,2회동축(16,17)이 캠홈(6)을 따라 캠운동하는 구동방향에 따라 베이스플레이트(11)를 컬럼(2-5)에 대해 소정 스트로크(stroke)(캠홈(6)의 상사점(6a)과 하사점(6b) 사이의 거리를 말함)승강시키는 캠(22-25)을 포함한다.
전술한 구동부는
웜(26)이 형성되는 구동축(27)과,
웜(26)과 치합되는 웜휠(28)이 형성되고, 하단부에 피니언(29)이 형성되는 피동축(30)과,
제1링크부재(12)의 제1구동링크(31) 내측면에 형성되고, 피니언(29)과 치합되는 제1랙기어(32)와,
제2링크부재(13)의 제2구동링크(33) 내측면에 제1랙기어(32)와 대항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피니언(29)과 치합되는 제2랙기어(34)를 포함한다.
전술한 구동축(27)은 구동축(27)에 연결되는 핸들(35)에 의해 수동으로 조작될 수 있다.
전술한 구동축(27)은 구동축(27)에 연결되는 구동모터(미도시됨)에 의해 자동으로 조작될 수 있다.
전술한 제1링크부재(12)는
제1구동축(18)에 일단이 힌지연결되는 제1구동링크(31)와,
베이스플레이트(11)에 중간측이 제1힌지핀(36)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제1구동링크(31)의 일단부에 일단이 힌지연결되는 제1힌지부재(37)와,
제1힌지부재(37)의 타단에 일단이 힌지연결되고 제2구동축(19)에 타단이 힌지연결되며, 구동부의 구동시 제1힌지핀(36)을 중심축으로 회동되는 제1힌지부재(37)에 의해 제1구동링크(31)와 반대방향으로 구동되어 제2구동축(19)을 구동시키는 제1피동링크(38)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제2링크부재(13)는
제2구동축(19)에 일단이 힌지연결되는 제2구동링크(33)와,
베이스플레이트(11)에 중간측이 제2힌지핀(39)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제2구동링크(33)의 중간측에 일단이 힌지연결되는 제2힌지부재(40)와,
제2힌지부재(40)의 타단에 일단이 힌지연결되고 제1구동축(18)에 타단이 힌지연결되며, 구동부의 구동시 제2힌지핀(39)을 중심축으로 회동되는 제2힌지부재(40)에 의해 제2구동링크(33)와 반대방향으로 구동되어 제1구동축(18)을 구동시키는 제2피동링크(41)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베이스플레이트(11)의 4모서리에 승강가능하게 장착되는 높이조절구(42)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베이스플레이트(11)에 제1,2힌지핀(36,39)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2힌지부재(37,40)에 양단부가 고정되고, 베이스플레이트(11)를 승강시키는 구동력의 밸런싱을 유지하는 탄성부재(43)(일예로서 인장코일스프링이 사용됨)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제1,2힌지축(20,21)의 단면형상은 다각형(일예로서 육각형이 사용됨)으로 형성된다.
전술한 제1회동축(16), 제1구동축(18) 및 제1힌지축(20)은, 전술한 제2회동축(17), 제2구동축(19) 및 제2힌지축(21)에 대해 각각 좌우대칭형으로 배치된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44는 제1,2구동축(18,19) 및 제1,2힌지축(20,21)을 지지하는 지지편이고, 50은 베이스플레이트(11)의 가장자리에 탑재되며 구동부 구동시 승강되는 베이스플레이트(11)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물체(일예로서 반도체 부품 등을 조립하는 장치를 말함)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캠 구동방식의 승하강 장치의 사용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캠 구동방식의 승하강 장치에서 베이스플레이트를 설정된 최저높이로 하강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2,3,4,5,6,7,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구동축(27)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35)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구동축(27)에 형성된 웜(26)과 웜휠(28)의 상호 치합에 의해 피동축(3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웜(26)과 웜휠(28)의 기어비율이 40:1이므로 핸들(35)을 적은 힘으로도 회전시킬 수 있다.
전술한 피동축(30)에 형성된 피니언(29)과 제1랙기어(32)의 상호 치합에 의해 제1구동링크(31)를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키고(화살표로 표기됨), 동시에 피니언(29)과 제2랙기어(34)의 상호 치합에 의해 제2구동링크(33)를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화살표로 표기됨).
이때, 제1구동링크(31)의 일단부에 힌지연결된 제1힌지부재(37)가 제1힌지핀(36)을 중심축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1힌지부재(37)의 일단에 힌지연결된 제1피동링크(38)를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화살표로 표기됨).
이와 동시에, 제2구동링크(33)의 중간측에 힌지연결된 제2힌지부재(40)가 제2힌지핀(39)을 중심축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2힌지부재(40)의 일단에 힌지연결된 제2피동링크(41)를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화살표로 표기됨).
따라서, 제1구동링크(31)의 일단부와, 제2피동링크(41)의 일단부에 힌지연결된 제1구동축(18)의 구동에 의해 캠(22,23)을 제1힌지축(20)을 중심축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캠운동시킨다. 이로 인해 제1회동축(16)은 캠홈(6)을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되어 캠홈(6)의 상사점(6a)까지 이동된다.
이와 동시에, 제2구동링크(33)의 일단부와, 제1피동링크(38)의 일단부에 힌지연결된 제2구동축(19)의 구동에 의해 캠(24,25)을 제2힌지축(21)을 중심축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캠운동시킨다. 이로 인해 제2회동축(17)은 캠홈(6)을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되어 상사점(6a)까지 이동된다.
이로 인해, 베이스플레이트(11)를 컬럼(2-5)을 따라 하강시켜 설정된 최저높이로 하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플레이트(11)의 4모서리에 안착되는 승강물체(50)의 4군데를 동시에 소정높이로 낮출 수 있다. 이때 작업라인을 설정된 소정높이로 조절한 경우 베이스플레이트(11)의 4모서리에 승강가능하게 장착되는 높이조절구(42)에 의해 작업라인의 설정된 높이를 유지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캠 구동방식의 승하강 장치에서 베이스플레이트를 설정된 최고높이로 상승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2,3,4,5,8,9,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구동축(27)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35)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구동축(27)에 형성된 웜(26)과 웜휠(28)의 상호 치합에 의해 피동축(3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전술한 피동축(30)에 형성된 피니언(29)과 제1랙기어(32)의 상호 치합에 의해 제1구동링크(31)를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동시에 피니언(29)과 제2랙기어(34)의 상호 치합(기어 이맞물림을 말함)에 의해 제2구동링크(33)를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제1구동링크(31) 일단부에 힌지연결된 제1힌지부재(37)가 제1힌지핀(36)을 중심축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1힌지부재(37)의 일단에 힌지연결된 제1피동링크(38)를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동시에, 제2구동링크(33)의 중간측에 힌지연결된 제2힌지부재(40)가 제2힌지핀(39)을 중심축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2힌지부재(40)의 일단에 힌지연결된 제2피동링크(41)를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제1구동링크(31)의 일단부와, 제2피동링크(41)의 일단부에 힌지연결된 제1구동축(18)의 구동에 의해 캠(22,23)을 제1힌지축(20)을 중심축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캠운동시킨다. 이로 인해 제1회동축(16)은 캠홈(6)을 따라 하방향으로 이동되어 캠홈(6)의 하사점(6b)까지 이동된다.
이와 동시에, 제2구동링크(33)의 일단부와, 제1피동링크(38)의 일단부에 힌지연결된 제2구동축(19)의 구동에 의해 캠(24,25)을 제2힌지축(21)을 중심축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캠운동시킨다. 이로 인해 제2회동축(17)은 캠홈(6)을 따라 하방향으로 이동되어 캠홈(6)의 하사점(6b)까지 이동된다.
이로 인해, 베이스플레이트(11)를 컬럼(2-5)을 따라 상승시켜 설정된 최고높이로 상승시킬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플레이트(11)의 4모서리에 안착되는 승강물체(50)의 4군데를 동시에 소정높이로 들어올릴 수 있다. 이때 작업라인을 설정된 소정높이로 조절한 경우 베이스플레이트(11)의 4모서리에 승강가능하게 장착되는 높이조절구(42)에 의해 작업라인의 설정된 높이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구동부 구동으로 인해 베이스플레이트(11)를 승강시킬 경우, 웜(26)과 웜휠(28)의 기어비가 40:1을 유지하므로, 베이스플레이트(11)에 탑재되는 물체가 중량체인 경우에도 적은 힘으로 핸들(35)을 조작하여 베이스플레이트(11)를 용이하게 승강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캠 구동방식의 승하강 장치는, 반도체 물품 등을 이송시키는 작업라인의 소정구간에서 작업라인을 소정높이로 상승 또는 하강시켜 높낮이를 조절하는 경우, 승강장치의 구동수단으로서 링크와 캠을 이용한 기계적인 메카니즘으로 구성하여 구조의 간단화 및 컴팩트화가 가능하므로 장소 및 주변환경에 간섭 받는 것을 최소화하여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유압식 승하강 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캠 구동방식의 승하강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캠 구동방식의 승하강 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캠 구동방식의 승하강 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캠 구동방식의 승하강 장치에서 승강부의 요부를 발췌한 분리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캠 구동방식의 승하강 장치에서 베이스플레이트를 설정된 최저높이로 이동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승하강 장치의 작동과 관련되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캠 구동방식의 승하강 장치에서 베이스플레이트를 설정된 최고높이로 이동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승하강 장치의 작동과 관련되는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캠 구동방식의 승하강 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캠 구동방식의 승하강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면중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 캐스터
3,5;컬럼
7,9; 서포터
11; 베이스플레이트
13; 제2링크부재
15; 가압편
17; 제2회동축
19; 제2구동축
21; 제2힌지축
23,25; 캠
27; 구동축
29; 피니언
31; 제1구동링크
33; 제2구동링크
35; 핸들
37; 제1힌지부재
39; 제2힌지핀
41; 제2피동링크
43; 탄성부재

Claims (14)

  1. 컬럼;
    상기 컬럼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장착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며, 상기 구동부의 구동시 연동되어 링크운동되는 제1,2링크부재; 및
    상기 제1,2링크부재의 링크운동시 연동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컬럼에 대해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 구동방식의 승하강 장치.
  2. 캐스터가 바닥면에 장착되는 컬럼;
    상기 컬럼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고, 캠홈이 각각 형성된 서포터가 상면에 장착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장착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며, 구동부의 구동시 연동되어 링크운동되는 제1,2링크부재;
    상기 컬럼 및 캠홈을 관통하여 각각 결합되는 제1,2회동축, 상기 제1,2링크부재의 일단부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2구동축 및 제1,2힌지축에 의해 캠운동하도록 지지되며, 구동방향에 따라 상기 컬럼에 대해 베이스플레이트를 승강 시키는 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 구동방식의 승하강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면에 형성된 서포터 및 컬럼의 캠홈에 결합되는 제1,2회동축;
    상기 제1,2링크부재의 일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2구동축;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면에 형성되는 지지편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힌지축; 및
    상기 제1,2회동축, 제1,2구동축 및 제1,2힌지축에 의해 캠운동하도록 상기 서포터 외측면에 지지되며, 상기 제1,2링크부재의 구동시 제1,2힌지축을 중심축으로 상기 제1,2회동축이 캠홈을 따라 캠운동하는 구동방향에 따라 베이스플레이트를 컬럼에 대해 승강시키는 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 구동방식의 승하강 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웜이 형성되는 구동축;
    상기 웜과 치합되는 웜휠이 형성되고, 하단부에 피니언이 형성되는 피동축;
    상기 제1링크부재의 제1구동링크 내측면에 형성되고, 피니언과 치합되는 제1랙기어; 및
    상기 제2링크부재의 제2구동링크 내측면에 제1랙기어와 대항되게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과 치합되는 제2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 구동방식의 승하강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은 상기 구동축에 연결되는 핸들에 의해 수동으로 조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 구동방식의 승하강 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은 상기 구동축에 연결되는 구동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조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 구동방식의 승하강 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부재는
    상기 제1구동축에 일단이 힌지연결되는 제1구동링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중간측이 제1힌지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제1구동링크의 일단에 힌지연결되는 제1힌지부재; 및
    상기 제1힌지부재의 타단에 일단이 힌지연결되고 상기 제2구동축에 타단이 힌지연결되며, 상기 구동부의 구동시 상기 제1힌지핀을 중심축으로 회동되는 제1힌지부재에 의해 상기 제1구동링크와 반대방향으로 구동되어 상기 제2구동축을 구동시키는 제1피동링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 구동방식의 승하강 장치.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링크부재는
    상기 제2구동축에 일단이 힌지연결되는 제2구동링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중간측이 제2힌지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제2구동링크의 중간측에 힌지연결되는 제2힌지부재; 및
    상기 제2힌지부재의 타단에 일단이 힌지연결되고 상기 제1구동축에 타단이 힌지연결되며, 상기 구동부의 구동시 상기 제2힌지핀을 중심축으로 회동되는 제2힌지부재에 의해 상기 제2구동링크와 반대방향으로 구동되어 상기 제1구동축을 구동시키는 제2피동링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 구동방식의 승하강 장치.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모서리에 승강가능하게 장착되는 높이조절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 구동방식의 승하강 장치.
  10.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2힌지부재에 양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구동력의 밸런싱을 유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 구동방식의 승하강 장치.
  1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제1,2링크부재의 들뜸을 방지하는 가압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 구동방식의 승하강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컬럼 바닥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캐스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 구동방식의 승하강 장치.
  1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회동축, 제1구동축 및 제1힌지축은, 상기 제2회동축, 제2구동축 및 제2힌지축에 대해 각각 좌우대칭형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 구동방식의 승하강 장치.
  1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2링크부재는 상기 구동부 구동시 연동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구동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 구동방식의 승하강 장치.
KR1020070075142A 2007-07-26 2007-07-26 캠 구동방식의 승하강 장치 KR100917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5142A KR100917869B1 (ko) 2007-07-26 2007-07-26 캠 구동방식의 승하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5142A KR100917869B1 (ko) 2007-07-26 2007-07-26 캠 구동방식의 승하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499A true KR20090011499A (ko) 2009-02-02
KR100917869B1 KR100917869B1 (ko) 2009-09-16

Family

ID=40682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5142A KR100917869B1 (ko) 2007-07-26 2007-07-26 캠 구동방식의 승하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786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150Y1 (ko) * 2013-05-02 2015-02-04 여운 농업용 고소작업대
KR20160100417A (ko) * 2015-01-05 2016-08-24 주식회사 아바더스트콜렉터 복열 박스형 필터 탈부착 장치
CN106081992A (zh) * 2016-07-27 2016-11-09 江苏江达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多点卸料器升降平台装置
CN109399503A (zh) * 2018-12-05 2019-03-01 杭州迦智科技有限公司 一种举升装置及其自动引导车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3743A (ja) * 2004-05-13 2005-11-24 Chuo Spring Co Ltd 搬送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150Y1 (ko) * 2013-05-02 2015-02-04 여운 농업용 고소작업대
KR20160100417A (ko) * 2015-01-05 2016-08-24 주식회사 아바더스트콜렉터 복열 박스형 필터 탈부착 장치
CN106081992A (zh) * 2016-07-27 2016-11-09 江苏江达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多点卸料器升降平台装置
CN109399503A (zh) * 2018-12-05 2019-03-01 杭州迦智科技有限公司 一种举升装置及其自动引导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7869B1 (ko) 2009-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79479B1 (en) Scissor lift mechanism
US4360187A (en) Compact hoisting device
KR100917869B1 (ko) 캠 구동방식의 승하강 장치
KR100905293B1 (ko) 틸팅 및 승강 조절이 가능한 전동식 테이블
JP5852349B2 (ja) 昇降機構
JP5529231B2 (ja) リフト装置
US20090145255A1 (en) Parallel kinematic device
JP2014005086A (ja) テーブルリフト装置
EP0936177B1 (en) Power lift for vehicles
CA2680001A1 (en) Transfer robot
JP7490440B2 (ja) 処理装置、開閉機構およびリンク機構
JP5531878B2 (ja) プレス機械
KR102461059B1 (ko) 관절형 평행 구동체 그리퍼
KR20070043942A (ko) 다관절 로봇
GB2459458A (en) A means for rotating a cart
JP2004129932A (ja) 什器等の昇降装置
JPH11239986A (ja) 昇降作業台
JP6874591B2 (ja) 無人搬送車
JP3156061U (ja) 昇降調節式作業台
EP2762204B1 (en) Tilting and folding device for a treadmill
JP2010155662A (ja) ジャッキ昇降装置
JP2642340B2 (ja) 加工または組立ラインの作業装置
KR200186534Y1 (ko) 비닐하우스의 작업바구니 이동용 이동대차
EP4076325B1 (en) Bed lifting mechanism
JP4213538B2 (ja) パレットチェンジャ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