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8608Y1 - 고소 작업용 리프트 장치 - Google Patents

고소 작업용 리프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8608Y1
KR200398608Y1 KR20-2005-0020557U KR20050020557U KR200398608Y1 KR 200398608 Y1 KR200398608 Y1 KR 200398608Y1 KR 20050020557 U KR20050020557 U KR 20050020557U KR 200398608 Y1 KR200398608 Y1 KR 2003986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member
work
coupled
support plat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05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경하
Original Assignee
손경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경하 filed Critical 손경하
Priority to KR20-2005-00205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86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86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86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2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actuated by lazy-tongs mechanisms or articulated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건물 등의 내, 외벽에서 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고소 작업용 리프트 장치가 개시된다.
종래에는 작업대가 상하 방향으로만 승강됨으로써 작업이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작업 능률이 저하되고 안전성을 해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하부링크 및 상부링크가 서로 연결되어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승강 작동되고, 상기 상부링크의 상단에는 지지판이 고정된 고소 작업용 리프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30)에는 구동 모터(31)의 정, 역회전에 따라 이송되는 이송체인(40)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되는 슬라이드부재(50)가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드부재(50)에는 전진용 와이어(70) 및 후진용 와이어(71)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되는 작업대(60)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용 리프트 장치가 제공된다.
따라서 구동모터의 정, 역회전에 의해 슬라이드부재 및 작업대가 전진 또는 후진을 행함으로써 고소 작업이나 자재 등의 이송이 편리하며 작업 능률이 향상되고, 더욱이 안정된 자세로 작업이 가능케 되어 안전사고 등의 발생이 방지된다.

Description

고소 작업용 리프트 장치{Lifting apparatus for height work}
본 고안은 고소 작업용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내, 외벽 등에 작업을 하기 위한 작업대가 일 방향으로 인출되도록 하여 작업이 매우 편리하도록 된 고소 작업용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내, 외벽 등의 높은 곳에 작업을 할 경우에는 사다리를 이용하게 되는데, 이는 설치 상태가 불안 할 뿐만 아니라 고소 작업에는 부적절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종래에도 고소 작업용 리프트 장치가 제안되어 있으며 이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등에 탑재되는 고정판(10)의 상측에는 복수 개의 링크(11)가 서로 회동 가능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링크(11)의 상단에는 작업대(12)가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판(10) 및 상측의 링크(11)에는 유압 실린더(13)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위치에서 유압 실린더(13)가 작동하면 링크(11)가 소정의 각도로 세워짐으로써 상단에 고정된 작업대(12)가 소정의 높이로 상승하게 됨으로써 고소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작업대가 상하 방향으로만 승강됨으로써 고소 작업시 건물 등의 측방에서 행하는 작업에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작업 능률이 저하된다고 하는 등의 문제점들이 내재되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작업대가 일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되도록 하여 고소 작업시 작업이 매우 편리할 뿐만 아니라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소 작업용 리프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고소 작업용 리프트 장치는, 복수 개의 하부링크 및 상부링크가 서로 연결되어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승강 작동되고, 상기 상부링크의 상단에는 지지판이 고정된 고소 작업용 리프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에는 구동 모터의 정, 역회전에 따라 이송되는 이송체인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되는 슬라이드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드부재에는 전진용 와이어 및 후진용 와이어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되는 작업대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구동모터의 정, 역회전에 의해 슬라이드부재 및 작업대가 전진 또는 후진을 행함으로써 고소 작업이나 자재 등의 이송이 편리하며 작업 능률이 향상되고, 더욱이 안정된 자세로 작업이 가능케 되어 안전사고 등의 발생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고소 작업용 리프트 장치를 도시한 일측면도로서, 차량 등에 탑재되는 고정판(20)이 하측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판(20)에는 서로 대향측에 한 쌍의 하부 링크(21)가 회동 가능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링크(21)의 선단에는 한 쌍의 상부 링크(22)가 회동 가능케 결합되어 있다.
상기 하부 링크(21)와 상부 링크(22)에는 유압 또는 공기압이 작용함에 따라 작동되는 실린더(23) 및 로드(2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링크(22)의 상측에는 지지판(30)이 고정 설치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판(30)의 상측에는 슬라이드부재(50)가 전진 및 후진 가능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부재(50)의 상측에는 작업대(60)가 전진 및 후진 가능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작업대(60)는 작업자가 작업을 행하는 공간일 뿐만 아니라 작업 공구, 자재 등을 운반하거나 적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판(30)에는 상기 슬라이드부재(50) 및 작업대(60)를 슬라이드 작동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 모터(31) 및 이 구동 모터(31)의 회전력을 감속시키기 위한 감속기(32)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감속기(32)에는 구동휠(33)이 회전 가능케 결합되어 있고, 상기 구동휠(33)의 일측에는 제1회전축(34)이 회전 자유롭게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타단에는 제2회전축(35)이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회전축(34)에는 내측에 상기 구동휠(33)로부터 전동체인(36)을 통하여 회전력을 전달받는 회전휠(37)이 고정 설치되어 있고, 양 단에도 한 쌍의 회전휠(38)이 고정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회전축(35)의 양단에도 한 쌍의 회전휠(39)이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양 회전휠(38)(39)에는 각각 이송체인(40)이 감겨져 있고, 상기 이송체인(40)의 양단은 슬라이드부재(50)의 일 측면에 고정부(41a)(41b)로써 각각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회전축(34) 및 제2회전축(35)의 양측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울러(42)가 결합되어 이 로울러(42)의 상측에 안착된 슬라이드부재(50)가 원활하게 슬라이드 작동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전동체인(36)에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제1회전축(34)이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 이송체인(40)이 도 3에서 시계방향으로 이송됨과 동시에 이 이송체인(40)의 선단에 고정된 슬라이드부재(50)가 전진하게 되고, 반대로 상기 제1회전축(34)이 타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이송체인(40)이 반시계방향으로 이송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부재(50)는 후진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슬라이드부재(50)의 선단 양측에는 와이어 감김휠(51)이 결합되어 있고, 배면 측에는 내측 로울러(52) 및 와이어 감김휠(53)을 양측에 결합시킨 회전축(54)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부재(50)의 외측에는 지지판(30)의 상부 내측에 삽입되어 회전되는 외측 로울러(55)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내측 로울러(52)의 상측에는 작업대(60)가 슬라이드 작동 자유롭게 안착되어 있으며, 외측에는 외측 로울러(61)가 회전 자유롭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30)과 상기 작업대(60)대에는 전진용 와이어(70) 및 후진용 와이어(71)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진용 와이어(70)는 일단이 지지판(30)의 앞쪽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은 작업대(60)의 앞쪽에 고정되어 있으며, 중앙은 상기 슬라이드부재(50)의 후측에 설치된 와이어 감김휠(53)에 감겨져 있다.
상기 후진용 와이어(71)는 일단은 지지판(30)의 뒤쪽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은 작업대(60)의 앞쪽 하측에 고정되어 있으며, 중앙은 상기 슬라이드부재(50)의 앞쪽에 결합된 와이어 감김휠(51)에 감겨져 있다.
그리고 상기 작업대(60)는 가장자리에 가이드바(62)가 세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바(62)에는 작업자 등이 출입할 수 있도록 개폐가 가능한 회동바(63)가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고소 작업용 리프트 장치는 고정판(20)이 차량의 적재함에 탑재되거나 저부에 바퀴가 결합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됨은 물론이다.
먼저 작업 하고자 하는 위치에 고정판(20)을 위치시키고 실린더(23)를 작동시키면 로드(24)가 전진함으로써 하부 및 상부링크(21)(22)가 서로 상호 작동으로 상측으로 펼쳐지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상부 링크(22)에 고정된 지지판(30)이 소정의 높이로 상승하게 된다.
이때 구동 모터(31)를 작동시키면 회전력이 감속기(32)에서 충분히 감속된 후 구동휠(33)로 출력되고, 이 회전력은 전동체인(36)을 통하여 회전휠(37)로 전달됨으로써 제1회전축(34)이 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1회전축(34)이 일 방향, 즉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이송체인(40)이 시게방향으로 이송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이송체인(40)의 양단 고정부(41a)(41b)가 고정된 슬라이드부재(50)가 이송체인(40)과 함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으로 전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부재(50)가 전진 작동함과 동시에 일단이 상기 지지판(30)에 고정되고 타단이 작업대(60)에 고정된 전진용 와이어(70)의 당김 작용에 의해 상기 작업대(60)도 상기 슬라이드부재(50)의 전진 거리와 동일한 거리만큼 전진 작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후진용 와이어(71)는 작업대(60)에 힘을 가하지 않게 되며, 상기 작업대(60)가 전진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부재(50)의 전진 거리만큼 같이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슬라이드부재(50) 및 작업대(60)의 전진 작동이 완료되면 작업대(60)에서 작업자가 소정의 작업을 행하거나 자재 등을 이송하는 것이 가능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부재(50) 및 작업대(60)의 전진 거리는 구동 모터(31)의 작동에 의해 조절이 가능케 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부재(50) 및 작업대(60)는 다수의 로울러(42)(52)(55)(61)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지지됨으로써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소음의 발생이 최소화된다.
한편 전진된 슬라이드부재(50) 및 작업대(60)를 후진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구동 모터(31)를 역회전 시키면 된다.
즉, 상기 구동 모터(31)를 역회전시키면 제1회전축(34) 및 이송체인(4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이에 따라 슬라이드부재(50)가 후진함과 동시에 작업대(60)도 후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작업대(60)는 후진용 와이어(71)에 의해 당겨져 후진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며, 전진용 와이어(70)는 작업대(60)에 힘을 가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구동모터의 정, 역회전에 의해 슬라이드부재 및 작업대가 전진 또는 후진을 행함으로써 고소 작업이나 자재 등의 이송이 편리하며 작업 능률이 향상되고, 더욱이 안정된 자세로 작업이 가능케 되어 안전사고 등의 발생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고소 작업용 리프트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고소 작업용 리프트 장치를 도시한 전체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고소 작업용 리프트 장치의 일부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고소 작업용 리프트 장치의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고소 작업용 리프트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고소 작업용 리프트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일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지지판 31: 구동 모터
34: 제1회전축 35: 제2회전축
38,39: 회전휠 40: 이송체인
41a,41b: 고정부 42: 로울러
50: 슬라이드부재 51,53: 와이어 감김휠
52: 내측 로울러 55,61: 외측 로울러
60: 작업대 70: 전진용 와이어
71: 후진용 와이어

Claims (4)

  1. 복수 개의 하부링크 및 상부링크가 서로 연결되어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승강 작동되고, 상기 상부링크의 상단에는 지지판이 고정된 고소 작업용 리프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30)에는 구동 모터(31)의 정, 역회전에 따라 이송되는 이송체인(40)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되는 슬라이드부재(50)가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드부재(50)에는 전진용 와이어(70) 및 후진용 와이어(71)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되는 작업대(60)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용 리프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체인(40)은 양단이 슬라이드부재(50)에 고정되고, 일측은 지지판(30)에 장착된 구동 모터(31)에서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정, 역회전하는 제1회전축(34)의 양측에 결합된 회전휠(38)에 감겨지고, 타측은 상기 지지판(30)의 배면 측에 설치된 제2회전축(35)의 양측에 결합된 회전휠(39)에 감겨져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용 리프트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진용 와이어(70)는 일단이 지지판(30)의 전방에 고정되고 타단은 슬라이드부재(50)의 배면 측에 결합된 와이어 감김휠(53)에 감겨진 후 작업대(60)에 고정되며, 상기 후진용 와이어(71)는 일단이 지지판(30)의 배면 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슬라이드부재(50)의 앞쪽에 결합된 와이어 감김휠(51)에 감겨진 후 작업대(60)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용 리프트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축(34) 및 제2회전축(35)에는 슬라이드부재(50)가 안착되는 로울러(42)가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드부재(50)의 양측에는 작업대(60)의 저면이 안착되는 내측 로울러(52) 및 상기 지지판(30)의 내측에 삽입되는 외측 로울러(55)가 결합되며, 상기 작업대(60)의 양측에는 상기 슬라이드부재(50)의 상부 내측에 삽입되는 외측 로울러(6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 는 고소 작업용 리프트 장치.
KR20-2005-0020557U 2005-07-14 2005-07-14 고소 작업용 리프트 장치 KR2003986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557U KR200398608Y1 (ko) 2005-07-14 2005-07-14 고소 작업용 리프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557U KR200398608Y1 (ko) 2005-07-14 2005-07-14 고소 작업용 리프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8608Y1 true KR200398608Y1 (ko) 2005-10-13

Family

ID=43699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0557U KR200398608Y1 (ko) 2005-07-14 2005-07-14 고소 작업용 리프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860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150Y1 (ko) * 2013-05-02 2015-02-04 여운 농업용 고소작업대
CN108466992A (zh) * 2018-05-14 2018-08-31 郑州天点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通讯工程的辅助支撑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150Y1 (ko) * 2013-05-02 2015-02-04 여운 농업용 고소작업대
CN108466992A (zh) * 2018-05-14 2018-08-31 郑州天点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通讯工程的辅助支撑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06990B (zh) 矿用挖掘机工作机构及矿用挖掘机
KR200398608Y1 (ko) 고소 작업용 리프트 장치
KR101348616B1 (ko) 선박용 핸드카
AU2004276114B2 (en) Cab slide device of industrial machinery
US6942198B2 (en) Lifter
KR20150062693A (ko) 대형 의장품 취급용 리프터
CN112209258B (zh) 一种大吨位平台吊装用带有索具调节配件的吊装设备
KR20130016796A (ko) 화물운반용 리프트기
CN211766688U (zh) 一种托盘分放机及砌块输送设备
JP3631608B2 (ja) 電気式荷役車両
CN111606204A (zh) 一种滑触线吊运工装
JP5941943B2 (ja) 蓋体開閉装置およびマルチチャンバー処理システム
JP2550932Y2 (ja) リフト装置
JP7461730B2 (ja) 重量物搬送ローラー装置
CN218946399U (zh) 台钻
JP4225340B2 (ja) 作業台車
KR100460187B1 (ko) 이동형 주차장치
KR200497297Y1 (ko) 석재이송장치용 집게의 벌림장치
CN210392734U (zh) 瓷砖生产线用翻转机
CN219118692U (zh) 一种建筑施工用脚手架
CN114835058B (zh) 一种避免货物运输过程中视野受阻风险的小型电动叉车
KR960029181A (ko) 물류이송장치
CN212450328U (zh) 一种滑触线吊运工装
JP3145192U (ja) 人力駆動用台車
KR100988798B1 (ko) 반도체장비의 상판 이송 및 회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