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2693A - 대형 의장품 취급용 리프터 - Google Patents

대형 의장품 취급용 리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2693A
KR20150062693A KR1020130147609A KR20130147609A KR20150062693A KR 20150062693 A KR20150062693 A KR 20150062693A KR 1020130147609 A KR1020130147609 A KR 1020130147609A KR 20130147609 A KR20130147609 A KR 20130147609A KR 20150062693 A KR20150062693 A KR 20150062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er
equipment
base
levers
mounting 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7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종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7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2693A/ko
Publication of KR20150062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26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8Load gripping or reta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25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 B66F9/22Hydraulic devices o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게가 무겁거나 부피가 큰 의장품을 위보기 공사로 장착하는 등 작업조건이 열악하거나 난해하더라도 의장품을 안전하고 쉽게 들어올려 알맞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대형 의장품 취급용 리프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대형 의장품 취급용 리프터는, 복수의 바퀴(120)가 설치되어 작업장 바닥을 이동가능하며, 상기 바퀴(12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원이 탑재되는 기초대(100); 상기 기초대(100)의 좌우 양측에 기립하여 설치되는 마스트(200); 상기 좌우의 마스트(200)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하 이송대(300); 상기 상하 이송대(30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 구동기구(400); 상기 상하 이송대(300)의 전방에 장착되는 설치대(500); 상기 설치대(500)의 좌우 양측에서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기초단부가 제1 힌지축(502)으로 수평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자유단부가 서로 폭이 좁아지는 방향과 넓어지는 방향으로 동작하여 의장품의 측방 둘레면을 파지하는 클램핑 레버(600); 상기 좌우 양측의 클램핑 레버(600)를 회동 구동하는 레버 작동기구(7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대형 의장품 취급용 리프터{LIFTER FOR HANDLING LARGE OR HEAVY EQUIPMENTS}
본 발명은 선박의 환기통과 같은 대형 의장품을 위보기로 장착하는 경우처럼, 무게가 무겁거나 부피가 큰 의장품을 위보기 공사로 장착하는 등 작업조건이 열악하거나 난해하더라도 의장품을 안전하고 쉽게 들어올려 알맞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대형 의장품 취급용 리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조립 공사에서는, 선체를 구성하는 후판, 보강재, 배관, 의장품 등의 부재를 조립장으로 반입한 후, 소조립 블록, 중조립 블록 및 대조립 블록으로 순차적으로 만든 후, 선대나 도크와 같은 총조장에 탑재하여 블록들을 연결함으로써 선박을 완성한다.
이러한 선체 블록 제작에 있어서는, 후판에 보강재 등을 용접하고 배관이나 의장품을 설치하여 선체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입체적인 단위 블록들로 조립한다.
선체 블록 제작시 용접의 품질과 효율을 위해 후판에 보강재들을 용접하는 공정은 위보기 용접을 피하여 아래 보기 용접이 되도록 공정을 설계하거나, 아래 보기 용접 후 블록을 반전시키는 공정을 삽입하여 나머지 용접도 아래 보기로 진행할 수 있도록 안배하기도 한다.
그런데 의장품이나 배관의 조립에 있어서는, 그것들이 설치되는 위치의 특성이나 주 조립 작업의 편의를 위해 위보기 작업을 수행할 수밖에 없는 경우가 있고, 선박을 여러 층으로 분할한 형태로 단위 블록을 제작하는 경우에는 위층의 바닥 부분의 공사는 위보기로 진행할 수밖에 없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선박의 의장품 중 하나인 버섯형 환기통(mushroom vent)(도 1 참조)의 경우에는 선박의 갑판 상에 돌출되어 갑판 하부의 선실이나 화물창 내부의 공기나 가스를 배출시키는 것인데, 갑판을 포함하는 블록을 제작할 때에는 갑판 표면을 이루는 후판의 안쪽에 보강재, 배관, 의장품을 용접하고 설치하는 공정이 대부분을 차지하므로 후판을 아래쪽으로 위치시켜 서포트로 받친 상태에서 그것의 상면에 보강재를 용접하는 등의 주요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버섯형 환기통과 같이 갑판 외부에 설치되는 몇 안 되는 의장품들은 어쩔 수 없이 후판의 아래쪽 작업장 바닥에서 위보기로 장착하게 된다.
그런데 버섯형 환기통과 같은 의장품은 무게가 무겁고 부피가 크기 때문에, 그것을 작업자가 들어올려 후판에 장착하기란 매우 어려운 작업이 된다. 일반적으로 버섯형 환기통을 들어올려 장착하기 위한 별도의 장비가 없는 경우에는 6명의 작업자가 여러 가지 간단한 도구를 사용하여 수작업으로 들어올려 장착하는 등, 많은 인력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투입 인력에 비해 지나치게 많은 시간이 들어가므로 생산성이 극히 떨어지며, 특히 작업자의 안전사고 위험이 크다는 폐단이 있다.
공개 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2008-0005218호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9-0089534호
따라서, 본 발명은, 선박의 버섯형 환기통과 같이 무게가 무겁고 부피가 큰 의장품을 위보기로 장착하는 경우, 해당 의장품을 안전하게 파지하여 들어올리고, 설치 지점에 알맞게 이동시키고 위치시킴으로써, 조립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작업자의 안전사고 방지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는 대형 의장품 취급용 리프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대형 의장품 취급용 리프터는, 복수의 바퀴(120)가 설치되어 작업장 바닥을 이동가능하며, 상기 바퀴(12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원이 탑재되는 기초대(100); 상기 기초대(100)의 좌우 양측에 기립하여 설치되는 마스트(200); 상기 좌우의 마스트(200)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하 이송대(300); 상기 상하 이송대(30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 구동기구(400); 상기 상하 이송대(300)의 전방에 장착되는 설치대(500); 상기 설치대(500)의 좌우 양측에서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기초단부가 제1 힌지축(502)으로 수평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자유단부가 서로 폭이 좁아지는 방향과 넓어지는 방향으로 동작하여 의장품의 측방 둘레면을 파지하는 클램핑 레버(600); 상기 좌우 양측의 클램핑 레버(600)를 회동 구동하는 레버 작동기구(700)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승강 구동기구(400)는, 상기 기초대(100)에 기립 설치되는 유체 실린더(410); 상기 유체 실린더(410)의 피스톤(414)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프로킷(420); 상기 상하 이송대(300)에 한쪽 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스프로킷(420)에 걸쳐져서 반대쪽 단부가 기초대(100) 또는 마스트(200)에 고정되는 체인(422)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장품 취급용 리프터에 있어서, 상기 설치대(500)는, 상기 상하 이송대(3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510)이 일체로 연장되어, 설치대(500)와 클램핑 레버(600)가 상기 상하 이송대(300)에 의한 승강 동작에 병행하여 회전동작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상하 이송대(300)에는, 상기 설치대(500)의 회전축(510)을 회전구동하는 구동 모터(520)와, 상기 구동 모터(520)의 구동력을 상기 회전축(510)의 회전력으로 전환하기 위한 전환기어박스(53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의장품 취급용 리프터에 있어서, 상기 좌우 양측의 클램핑 레버(600)를 회동 구동하기 위한 레버 작동기구(700)로서, 상기 좌우의 클램핑 레버(600)의 기초단부로부터 각각 자유 단부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 레버(602)가 형성되고, 상기 좌우의 연장 레버(602) 사이에는 유체 실린더(710)가 설치되며, 상기 유체 실린더(710)의 실린더(712)와 피스톤(714)의 단부가 각각 좌우의 연장 레버(602)에 제3 힌지축(716)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의장품 취급용 리프터에 있어서, 상기 좌우의 클램핑 레버(600)의 단부에는, 의장품의 측방 둘레면을 향하는 압착 블록(720)을 힌지핀(722)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압착 블록(720)에는 상기 의장품의 측방 둘레면에 밀착하여 가압하기 위한 가압 패드(73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의장품 취급용 리프터에 있어서, 좌우의 클램핑 레버(600)의 기초단부에는 각각 제1 힌지축(502)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서로 외접으로 맞물리는 싱크로 기어(650)가 일체로 형성되어 좌우의 클램핑 레버(600)의 회동운동을 동기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좌우의 클램핑 레버(600)의 기초단부를 서로 연결하여 구속하는 링크 플레이트(660)가 설치되고, 상기 제1 힌지축(502)은 상기 링크 플레이트(660)를 관통하여 클램핑 레버(600)와 싱크로 기어(650)를 수평으로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하며; 상기 링크 플레이트(660)의 중간 부분은 설치대(500)에 제2 힌지축(670)에 의해 수평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클램핑 레버(600), 싱크로 기어(650), 링크 플레이트(660) 및 제1 힌지축(502)이 함께 설치대(500)에 대해 수평으로 회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링크 플레이트(660)로부터 스토퍼(800)가 구비되고, 상기 설치대(500)에는 상기 스토퍼(800)가 삽입되어 스토퍼(800)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는 안내 장공(504)이 형성되는 구조를 추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대형 의장품 취급용 리프터에 의하면, 의장품을 클램핑 레버를 작동시켜 쉽고 안전하게 파지할 수 있고, 파지한 후에는 이동, 승강, 반전이 가능하므로 설치 위치까지 쉽고 정확하게 옮겨 작업할 수 있다.
따라서, 버섯형 환기통과 같이 무게가 무겁고 부피가 큰 의장품을 설치하거나 취급할 때, 수작업을 배제하여 쉽고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으며, 그것에 의해 조립 생산성이 향상되고 안전사고 방지에도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장품 취급용 리프터의 개략 사시도 및 그것으로 버섯형 환기통을 파지하여 들어올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장품 취급용 리프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 레버 및 레버 작동기구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A-A 선 및 도 6의 B-B 선에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주요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장품 취급용 리프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장품 취급용 리프터의 개략 사시도 및 그것으로 버섯형 환기통을 파지하여 들어올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장품 취급용 리프터는, 복수의 바퀴(120)가 설치되어 작업장 바닥을 이동하는 기초대(100)와, 기초대(100)의 좌우 양측에 기립하여 설치되는 마스트(200)와, 좌우의 마스트(200)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하 이송대(300)와, 상하 이송대(30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 구동기구(400)와, 상하 이송대(300)의 전방에 장착되는 설치대(500)와, 설치대(500)의 좌우 양측에서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설치되는 클램핑 레버(600)를 포함한다.
이러한 의장품 취급용 리프터는, 바퀴에 의해 작업장 바닥을 이동하고, 클램핑 레버(600)를 작동시켜 버섯형 환기통(2)과 같은 의장품을 파지하며, 파지한 상태에서 상하 이송대(300)를 상하로 이동시켜 의장품을 들어올리거나 내려놓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더 나아가서는, 후술하겠지만, 설치대(500)를 상하 이송대(3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하여 클램핑 레버(600)를 회전시킴으로써 의장품을 뒤집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의장품이 반입될 때의 상태와 설치할 때의 상태가 반대 방향인 경우에, 의장품을 파지하여 반전시킴으로써 설치를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장품 취급용 리프터의 전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에는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도 2의 우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기초대(100)는 장비 전체를 지지하는 한편 바퀴(120)를 통해 작업장을 이동하는 것으로서, 복수의 바퀴(120) 중 구동을 위한 바퀴는 소정의 모터(130)에 벨트 등의 동력전달기구를 통해 동력 연결된다. 기초대(100) 상에는 상기의 모터(130)를 포함하는 각종의 구동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축전지, 유체압(유압 또는 공압) 발생기 등을 설치하기 위한 보조기기 박스(140)가 탑재되며, 보조기기 박스(130)에는 리프터의 이동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 레버(150) 등이 설치된다.
기초대(100)의 좌우 양측에 기립하여 설치되는 마스트(200)에는 상하 이송대(300)가 롤러(31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다. 마스트(200)는, 여러 개의 마스트를 롤러로 지지하여 상하방향으로 길게 신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단형 마스트 조립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하 이송대(300)는 승강 구동기구(40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승강 구동기구(400)는, 기초대(100)에 기립 설치되는 유체 실린더(410)에 의해 상하로 이동된다. 유체 실린더(410)는 실린더(412)와 피스톤(414)으로 이루어지고, 피스톤(414)의 단부에는 스프로킷(42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프로킷(420)에는 체인(422)이 설치된다. 체인(422)의 한쪽 단부는 상하 이송대(300)에 연결되고 반대쪽 단부는 기초대(100) 또는 마스트(200)에 고정된다. 따라서, 피스톤(414)의 신축에 의해 스프로킷(420)과 체인(422)이 상하 이송대(300)를 들어 올려지거나 내려진다.
상하 이송대(300)의 전방에는 설치대(500)가 장착되며, 설치대(500)에는 클램핑 레버(600)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설치대(500)는 상하 이송대(3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를 위해 상하 이송대(300)에는 회전축(510)이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설치대(5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설치대(500)와 클램핑 레버(600)가 상기 상하 이송대(300)에 의한 승강 동작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함과 함께 회전동작도 가능하다.
설치대(500)를 회전시키기 위해, 상하 이송대(300)에는 설치대(500)의 회전축(510)을 회전구동하는 구동 모터(520)가 설치되고, 구동 모터(520)의 구동력을 회전축(510)의 회전력으로 전환하기 위한 전환기어박스(530)가 설치된다. 전환기어박스(530) 내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동력방향을 전환하고 감속하기 위한 통상의 위한 웜 기어 세트와 같은 기어 기구가 설치되며, 설치대(500)의 회전축(510)에는 기어 기구로부터 동력을 받기 위한 종동기어가 구비된다. 또한, 설치대(500)의 회전축(510)은 상하 이송대(300)에 베어링 등의 축받이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 된다.
클램핑 레버(600)는, 설치대(500)의 좌우 양측에서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설치되며, 상하 두 개의 판재 사이에 간격유지부재(610)를 끼워 결합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클램핑 레버(600)는, 그것의 기초단부가 설치대(500)에 제1 힌지축(502)으로 수평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그것의 자유단부가 제1 힌지축(502)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서로 폭이 좁아지는 방향과 넓어지는 방향으로 동작하여 의장품의 측방 둘레면을 파지한다.
의장품의 파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좌우의 클램핑 레버(600)의 단부에는, 의장품의 측방 둘레면을 향하는 압착 블록(720)을 힌지핀(722)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압착 블록(720)에는 의장품의 측방 둘레면에 밀착하여 가압하기 위한 가압 패드(730)를 구비할 수 있다.
좌우 양측의 클램핑 레버(600)는 레버 작동기구(700)에 의해 회동 구동된다.
또한, 후술하겠지만, 클램핑 레버(600) 전체 기구는, 제2 힌지축(670)에 의해 설치대(500)에 수평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클램핑 레버(600) 전체 기구를 설치대(500)에 대해 수평으로 각운동 할 수 있게 구성하면, 의장품을 장착 지점에 가까이 한 상태에서 미세 조정을 통해 위치를 좀 더 쉽게 잡을 수 있다.
클램핑 레버(600) 전체의 수평 회전 각도 제한을 위해, 클램핑 레버(600)에는 스토퍼(800)가 구비되고, 설치대(500)에는 상기의 스토퍼(800)가 삽입되어 스토퍼(800)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는 안내 장공(504)이 형성된다.
도 5 내지 도 7은 클램핑 레버(600) 및 레버 작동기구(700)를 자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5에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도 5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도 5의 A-A 선 및 도 6의 B-B 선에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주요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좌우의 클램핑 레버(600)의 기초단부는 각각 제1 힌지축(502)을 통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또한, 좌우의 클램핑 레버(600)는 서로 회동운동이 어긋나지 않고 동기(同期) 되도록 하기 위해, 좌우의 클램핑 레버(600)의 기초단부에는 각각 제1 힌지축(502)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서로 외접으로 맞물리는 싱크로 기어(650)가 일체로 형성된다. 싱크로 기어(650)는 별도로 제작하여 좌우의 클램핑 레버(600)에 각각 용접 등의 방법으로 일체화한다. 이 경우 제 힌지축(502)은 클램핑 레버(600)와 싱크로 기어(650)를 관통한다. 좌우의 클램핑 레버(600)의 기초단부가 서로 싱크로 기어(650)에 의해 맞물리므로 좌우의 클램핑 레버(600)가 동시에 움직여 폭이 좁아지는 방향과 넓어지는 방향으로 동작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힌지축(502)을 직접 설치대(500)에 결합할 수 있지만, 클램핑 레버(600) 전체 기구의 각운동을 위해 클램핑 레버(600) 전체 기구와 설치대(500) 사이에 중간 연결 매개체를 개재한다. 따라서, 제1 힌지축(502)은 클램핑 레버(600) 전체 기구를 잡아주는 부재에 설치된다.
이를 위해, 좌우의 클램핑 레버(600)의 기초단부에는 링크 플레이트(660)가 설치되고, 링크 플레이트(660)는 좌우의 클램핑 레버(600)를 서로 연결하여 서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구속한다. 제1 힌지축(502)은 링크 플레이트(660)를 관통한 후 클램핑 레버(600)와 싱크로 기어(650)의 중심을 관통함으로써, 클램핑 레버(600)와 싱크로 기어(650)가 제1 힌지축(502)을 중심으로 링크 플레이트(660)에 대해 수평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클램핑 레버(600) 전체 기구를 설치대(500)에 대해 각운동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링크 플레이트(660)의 중간 부분은 설치대(500)에 제2 힌지축(670)에 의해 수평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클램핑 레버(600), 싱크로 기어(650), 링크 플레이트(660) 및 제1 힌지축(502)이 함께 설치대(500)에 대해 수평으로 회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클램핑 레버(600) 전체 기구의 각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링크 플레이트(660)와 설치대(500) 사이에는 슬라이드 플레이트(900)가 설치대(500)에 대해 미끄럼 가능한 상태로 개재된다. 이 경우, 제2 힌지축(670)은 슬라이드 플레이트(900)와 링크 플레이트(660)를 설치대(500)에 회전가능하게 힌지 연결한다. 또한, 제1 힌지축(502)을 슬라이드 플레이트(900)를 관통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제1 힌지축(502)의 머리부(502a)를 슬라이드 플레이트(900)의 구멍(902)에 잠입하도록 하여 슬라이드 플레이트(900)와 링크 플레이트(660)가 수평방향으로 단일체를 이루어 서로 어긋나지 않게 된다. 제1 힌지축(502)의 선단부에는 너트(506)를 체결하여 고정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의장품 취급용 리프터를 사용하여 버섯형 환기통(2)과 같이 무게가 무겁고 부피가 큰 의장품을 위보기로 설치하는 경우에, 리프터의 바퀴(120)를 구동시켜 입고되어 있는 의장품을 향해 이동한다.
이어서, 레버 작동기구(700)를 작동시켜 클램핑 레버(600)를 넓게 벌린 다음, 클램핑 레버(600)의 압착 블록(720)이 의장품의 둘레 중간까지 진입할 때까지 리프터를 전진시킨다.
이어서, 레버 작동기구(700)를 반대로 작동시켜 좌우의 클램핑 레버(600)를 조여 의장품의 둘레면을 파지한다. 이때 좌우의 클램핑 레버(600)는 각각 제1 힌지축(502)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며, 서로 싱크로 기어(650)에 의해 맞물려 있으므로 좌우 클램핑 레버(600)가 동일하게 반대방향으로 움직인다. 또한, 좌우의 클램핑 레버(600)가 제1 힌지축(502)을 중심으로 폭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회동하여 압착블록(720)이 의장품의 둘레면에 접촉하는 시점부터는, 압착 블록(720)이 힌지핀(722)을 중심으로 약간씩 회동하는 것에 의해 가압 패드(730)가 의장품의 둘레면 중앙에 알맞게 자리 잡아 잘 밀착하게 된다.
의장품을 파지한 후에는, 승강 구동기구(400)에 유체를 공급하여 피스톤(414)을 위쪽으로 신장시키면, 피스톤(414)에 구비된 스프로킷(420)이 함께 상승하게 되고, 그에 따라 체인(422)이 위로 당겨져서 상하 이송대(300)를 상승시킨다. 상하 이송대(300)는 그것의 롤러(310)가 마스트(200)의 가이드 홈을 따라 굴러 위로 올라가게 된다.
상하 이송대(300)의 상승으로 의장품을 일정 높이 들어올린 상태에서, 필요한 경우 의장품을 반전시킬 수 있다. 즉, 의장품이 반입될 때의 상태와 설치할 때의 상태가 반대 방향인 경우에, 의장품을 본 발명에 따른 리프터라고 하는 기계장치를 통해 쉽게 반전시킬 수 있다.
의장품의 반전은 클램핑 레버(600)를 반전시킴으로써 이루어지며, 클램핑 레버(600)의 반전은 설치대(500)를 반전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구동 모터(520)를 작동시키면, 구동 모터(520)의 회전력이 전환기어박스(530) 내에서 방향전환된 다음 설치대(500)의 회전축(510)을 회전시키게 된다. 설치대(500)의 회전축(510)을 180도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의장품의 반전이 완료된다.
위와 같이 의장품을 들어올린 상태에서, 의장품의 설치 지점 아래까지 리프터를 이동시키고, 다시 승강 구동기구(400)를 작동시켜 상하 이송대(300)를 더욱 높이 들어올려 의장품을 설치 지점에 위치시킨 후 설치작업을 수행한다.
한편, 의장품을 파지하거나 설치하는 작업에 임하여, 클램핑 레버(600)의 좌우 위치나 의장품의 좌우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작업자가 클램핑 레버(600) 전체를 옆으로 밀어 조정한다. 즉, 클램핑 레버(600)를 옆으로 밀면, 좌우의 클램핑 레버(600)에 제1 힌지축(502)에 의해 걸쳐 있는 링크 플레이트(660)와 슬라이드 플레이트(900)가 함께 전체적으로 제2 힌지축(670)을 중심으로 회전되므로 의장품의 좌우 방향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클램핑 레버(600) 전체 기구가 수평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슬라이드 플레이트(900)와 함께 스토퍼(800)도 회전하게 되며, 스토퍼(800)의 회전량은 설치대(500)에 형성된 안내 장공(504)에 의해 제한된다. 즉, 안내 장공(504)의 범위 내에서만 클램핑 레버(600) 전체 기구를 회전시켜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프터는, 무게가 무겁고 부피가 큰 의장품을 수작업에 의하지 아니하고 쉽게 옮기고 들어올려 설치할 수 있으나, 의장품의 설치 작업 이외에 의장품의 위치를 옮기거나 정렬시키는데에도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0 : 기초대
120 : 바퀴
130 : 모터
140 : 보조기기 박스
150 : 조작 레버
200 : 마스트
300 : 상하 이송대
310 : 롤러
400 : 승강 구동기구
410 : 유체 실린더
412 : 실린더
414 : 피스톤
420 : 스프로킷
422 : 체인
500 : 설치대
502 : 제1 힌지축
502a : 머리부
504 : 안내 장공
506 : 너트
510 : 회전축
520 : 구동 모터
530 : 전환기어박스
600 : 클램핑 레버
602 : 연장 레버
650 : 싱크로 기어
660 : 링크 플레이트
670 : 제2 힌지축
700 : 레버 작동기구
710 : 유체 실린더
712 : 실린더
714 : 피스톤
716 : 제3 힌지축
720 : 압착 블록
722 : 힌지핀
730 : 가압 패드
800 : 스토퍼
900 : 슬라이드 플레이트

Claims (9)

  1. 복수의 바퀴(120)가 설치되어 작업장 바닥을 이동가능하며, 상기 바퀴(12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원이 탑재되는 기초대(100);
    상기 기초대(100)의 좌우 양측에 기립하여 설치되는 마스트(200);
    상기 좌우의 마스트(200)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하 이송대(300);
    상기 상하 이송대(30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 구동기구(400);
    상기 상하 이송대(300)의 전방에 장착되는 설치대(500);
    상기 설치대(500)의 좌우 양측에서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기초단부가 제1 힌지축(502)으로 수평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자유단부가 서로 폭이 좁아지는 방향과 넓어지는 방향으로 동작하여 의장품의 측방 둘레면을 파지하는 클램핑 레버(600);
    상기 좌우 양측의 클램핑 레버(600)를 회동 구동하는 레버 작동기구(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장품 취급용 리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구동기구(400)는,
    상기 기초대(100)에 기립 설치되는 유체 실린더(410);
    상기 유체 실린더(410)의 피스톤(414)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프로킷(420);
    상기 상하 이송대(300)에 한쪽 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스프로킷(420)에 걸쳐져서 반대쪽 단부가 기초대(100) 또는 마스트(200)에 고정되는 체인(42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장품 취급용 리프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대(500)는, 상기 상하 이송대(3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510)이 일체로 연장되어, 설치대(500)와 클램핑 레버(600)가 상기 상하 이송대(300)에 의한 승강 동작에 병행하여 회전동작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상하 이송대(300)에는, 상기 설치대(500)의 회전축(510)을 회전구동하는 구동 모터(520)와, 상기 구동 모터(520)의 구동력을 상기 회전축(510)의 회전력으로 전환하기 위한 전환기어박스(53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장품 취급용 리프터.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양측의 클램핑 레버(600)를 회동 구동하기 위한 레버 작동기구(700)로서,
    상기 좌우의 클램핑 레버(600)의 기초단부로부터 각각 자유 단부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 레버(602)가 형성되고,
    상기 좌우의 연장 레버(602) 사이에는 유체 실린더(710)가 설치되며,
    상기 유체 실린더(710)의 실린더(712)와 피스톤(714)의 단부가 각각 좌우의 연장 레버(602)에 제3 힌지축(716)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장품 취급용 리프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의 클램핑 레버(600)의 단부에는, 의장품의 측방 둘레면을 향하는 압착 블록(720)이 힌지핀(722)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장품 취급용 리프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 블록(720)에는 상기 의장품의 측방 둘레면에 밀착하여 가압하기 위한 가압 패드(73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장품 취급용 리프터.
  7. 제1항, 제3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좌우의 클램핑 레버(600)의 기초단부에는 각각 제1 힌지축(502)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서로 외접으로 맞물리는 싱크로 기어(650)가 일체로 형성되어 좌우의 클램핑 레버(600)의 회동운동을 동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장품 취급용 리프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의 클램핑 레버(600)의 기초단부를 서로 연결하여 구속하는 링크 플레이트(660)가 설치되고, 상기 제1 힌지축(502)은 상기 링크 플레이트(660)를 관통하여 클램핑 레버(600)와 싱크로 기어(650)를 수평으로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하며,
    상기 링크 플레이트(660)의 중간 부분은 설치대(500)에 제2 힌지축(670)에 의해 수평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클램핑 레버(600), 싱크로 기어(650), 링크 플레이트(660) 및 제1 힌지축(502)이 함께 설치대(500)에 대해 수평으로 회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장품 취급용 리프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플레이트(660)로부터 스토퍼(800)가 구비되고, 상기 설치대(500)에는 상기 스토퍼(800)가 삽입되어 스토퍼(800)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는 안내 장공(50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장품 취급용 리프터.
KR1020130147609A 2013-11-29 2013-11-29 대형 의장품 취급용 리프터 KR201500626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7609A KR20150062693A (ko) 2013-11-29 2013-11-29 대형 의장품 취급용 리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7609A KR20150062693A (ko) 2013-11-29 2013-11-29 대형 의장품 취급용 리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2693A true KR20150062693A (ko) 2015-06-08

Family

ID=53500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7609A KR20150062693A (ko) 2013-11-29 2013-11-29 대형 의장품 취급용 리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269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5375B1 (ko) * 2015-10-02 2016-07-01 태평림건설 주식회사 관 접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 시공방법
KR102016935B1 (ko) * 2019-04-23 2019-09-02 진재경 컨베이어벨트용 원단롤의 이송작업 및 작업성 개선을 위한 전동식 리프트장치
CN111268597A (zh) * 2020-01-20 2020-06-12 惠州普瑞康建筑材料有限公司 一种墙板翻转机
KR20220036539A (ko) * 2020-09-16 2022-03-23 (주) 늘푸른동방 덕트 리프트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5375B1 (ko) * 2015-10-02 2016-07-01 태평림건설 주식회사 관 접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 시공방법
KR102016935B1 (ko) * 2019-04-23 2019-09-02 진재경 컨베이어벨트용 원단롤의 이송작업 및 작업성 개선을 위한 전동식 리프트장치
CN111268597A (zh) * 2020-01-20 2020-06-12 惠州普瑞康建筑材料有限公司 一种墙板翻转机
CN111268597B (zh) * 2020-01-20 2021-10-19 惠州普瑞康建筑材料有限公司 一种墙板翻转机
KR20220036539A (ko) * 2020-09-16 2022-03-23 (주) 늘푸른동방 덕트 리프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62693A (ko) 대형 의장품 취급용 리프터
US7568575B2 (en) Engine support system
CN103878578B (zh) 一种螺母拧紧装置
KR101395121B1 (ko) 금속판재 이송 로봇
KR102108710B1 (ko) 합판 운반장치
JP2009113186A (ja) ねじ締付装置
KR200482680Y1 (ko) 배관용 리프터
CA2810126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manoeuvring and support of panels
CN211332009U (zh) 一种适用于钢梁的270度变位机
CN106044145B (zh) 一种翻转机
CN211639898U (zh) 一种五轴机械手
US8881359B2 (en) Machine tool assembling apparatus and method of assembling machine tool using machine tool assembling apparatus
CN117161630A (zh) 一种配电柜连续焊接设备
KR101327816B1 (ko) 프로펠러 턴 오버 장치 및 그 프로펠러 턴 오버 장치를 이용한 턴 오버 방법
CN212149513U (zh) 封口机尾部旋转装置
CN214079353U (zh) 一种通过式的钻孔机
KR200455417Y1 (ko) 기계실의 장비 이동 장치
US7559280B2 (en) Adjustable link system
KR200462582Y1 (ko) 다중 토크 작업이 가능한 굴삭기 스윙모터 체결용 볼팅장치
CN216805866U (zh) 一种全机型飞机驾驶员座椅维修工作台
KR20170091880A (ko) 기계실 바닥을 이용한 장비이동 장치
CN213539766U (zh) 一种装配式工业厂房搭建用辅助装置
CN220947146U (zh) 一种光伏熔断器底座的自动侧面移印设备
KR101933174B1 (ko) 하물의 자동이송이 가능한 회전식 하물적재장치
CN219603150U (zh) 一种升降装置及输送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