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924Y1 - 클러치 기어 및 이를 구비한 미러 액추에이터 - Google Patents

클러치 기어 및 이를 구비한 미러 액추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924Y1
KR200471924Y1 KR2020120009060U KR20120009060U KR200471924Y1 KR 200471924 Y1 KR200471924 Y1 KR 200471924Y1 KR 2020120009060 U KR2020120009060 U KR 2020120009060U KR 20120009060 U KR20120009060 U KR 20120009060U KR 200471924 Y1 KR200471924 Y1 KR 2004719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circumferential surface
outer circumferential
gear member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90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시연
고정우
최병대
박완영
박응석
채성복
신동민
Original Assignee
(주)오앤케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앤케이테크 filed Critical (주)오앤케이테크
Priority to KR20201200090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924Y1/ko
Priority to PCT/KR2012/008681 priority patent/WO201404633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9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92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60R1/07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for adjusting the mirror relative to its ho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F16H2019/046Facilitating the engagement or stopping of 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스프링 자체의 가공성과 클러치 기어를 조립할 때 조립성이 향상되는 클러치 기어와, 이를 구비한 미러 액추에이터가 개시된다. 개시된 클러치 기어는, 모터의 동력 전달 방향을 따라 자신의 상류측 기어에 치합되는 제1 기어부를 외주면에 구비하고, 중앙에 중앙 통공이 형성된 제1 기어 부재, 모터의 동력 전달 방향을 따라 자신의 하류측 기어에 치합되는 제2 기어부를 외주면에 구비하고, 중앙 통공에 끼워져 일 측 단부가 상기 중앙 통공을 관통하며, 일 측 단부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외주면 그루브(groove)가 형성된 제2 기어 부재, 및 알파벳 C자 형상으로 일 측이 개방되고, 절곡되어 주변보다 융기된 적어도 하나의 요철부를 구비하며, 개방된 일 측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외주면 그루브에 끼워져 제1 기어 부재와 제2 기어 부재가 서로 밀착되도록 탄성 가압하는 판 스프링을 구비한다. 적어도 하나의 요철부의 내측 엣지(edge)가 적어도 하나의 외주면 그루브에 안착되어 외주면 그루브의 일 측면에 밀착되고, 적어도 하나의 요철부 이외의 부분은 제1 기어 부재에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클러치 기어 및 이를 구비한 미러 액추에이터{Clutch gear and mirror actuator with the same}
본 고안은 자동차의 리어 미러(rear view mirror) 또는 사이드 미러(side view mirror)의 기울임 각을 조정하는 데 사용되는 미러 액추에이터와, 이에 구비되는 클러치 기어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운전시 후방 시야 확보를 위한 리어 미러(rear view mirror) 또는 사이드 미러(side view mirror)가 구비된다. 리어 미러나 사이드 미러는 운전자의 특성에 맞춰 기울임 각이 조정되어야 하며, 근래에는 손으로 미러를 잡고 조정하는 매뉴얼 방식보다 버튼(button) 조작으로 편리하게 기울임 각을 조정할 수 있는 전동 방식이 선호되고 있다. 전동 방식에는 리어 미러나 사이드 미러를 구동하는 미러 액추에이터가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미러 액추에이터는 모터와 기어(gear)들이 수용된 하우징(housing)과, 상기 모터와 기어들의 작용으로 하우징에 대해 회동하는 회동 쉘(shell) 및 이에 고정된 미러 지지 플레이트(plate)를 구비한다. 하우징 내부의 기어들 중에서 클러치 기어(clutch gear)는 모터의 동력을 랙 기어(rack gear)에 전달하기 위해 사용된다. 미러 액추에이터에 사용되는 종래의 클러치 기어는, 모터의 동력을 제공받기 위해 다른 기어에 치합되는 제1 기어 부재와, 상기 제1 기어 부재를 통해 전달된 동력을 랙 기어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 랙 기어에 치합되는 제2 기어 부재와, 상기 제1 기어 부재를 제2 기어 부재 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spring)을 구비한다. 그런데, 종래의 클러치 기어에 구비된 스프링은 고리 형상의 스프링으로서 가공성과 조립성이 좋지 않았다. 그래서 클러치 기어 조립 비용이 증대되고 조립 생산성이 열화되었다.
본 고안은, 스프링 자체의 가공성과 클러치 기어를 조립할 때 조립성이 향상되는 클러치 기어와, 이를 구비한 미러 액추에이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알파벳 C자 형상의 판형 스프링을 구비한 클러치 기어와, 이를 구비한 미러 액추에이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모터의 동력 전달 방향을 따라 자신의 상류측 기어에 치합되는 제1 기어부를 외주면에 구비하고, 중앙에 중앙 통공이 형성된 제1 기어 부재, 상기 모터의 동력 전달 방향을 따라 자신의 하류측 기어에 치합되는 제2 기어부를 외주면에 구비하고, 상기 중앙 통공에 끼워져 일 측 단부가 상기 중앙 통공을 관통하며, 상기 일 측 단부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외주면 그루브(groove)가 형성된 제2 기어 부재, 및 알파벳 C자 형상으로 일 측이 개방되고, 절곡되어 주변보다 융기된 적어도 하나의 요철부를 구비하며, 상기 개방된 일 측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주면 그루브에 끼워져 상기 제1 기어 부재와 상기 제2 기어 부재가 서로 밀착되도록 탄성 가압하는 판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철부의 내측 엣지(edge)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주면 그루브에 안착되어 상기 외주면 그루브의 일 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철부 이외의 부분은 상기 제1 기어 부재에 밀착되도록 구성된 클러치 기어를 제공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주면 그루브는 한 쌍이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외주면 그루브는 상기 제2 기어 부재의 길이 방향 축선에 대해 대칭되게 반대측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철부는 상기 한 쌍의 외주면 그루브에 대응되게 한 쌍이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요철부 사이의 간격이 상기 한 쌍의 외주면 그루브 사이의 간격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한 쌍의 요철부의 내측 엣지가 상기 한 쌍의 외주면 그루브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외주면 그루브에 진입하여 상기 판 스프링이 상기 한 쌍의 외주면 그루브에 끼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중앙 통공의 내주면은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제2 기어 부재는 상기 내주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내주면의 경사와 동일한 경사각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외주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2 기어 부재가 상기 하류측 기어로부터 받는 하중이 미리 정한 기준을 초과하면 상기 제1 기어 부재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중앙 통공의 내주면이 상기 제2 기어 부재의 외주면에 대해 미끄러져 상기 제2 기어 부재는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어부와 상기 제2 기어부는 기어부의 외경이 서로 다르고, 동축(同軸)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동 가능한 회동 쉘(shell),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것으로, 상기 회동 쉘을 회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회동력 제공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회동력 제공 유닛은, 모터, 상기 모터의 동력이 전달되어 회전하는, 상술한 클러치 기어, 및 상기 클러치 기어의 제2 기어부에 치합되고, 상단부가 상기 하우징을 벗어나 상기 회동 쉘에 체결되는 랙 기어(rack gear)를 구비하는 미러 액추에이터를 제공한다.
상기 회동력 제공 유닛은, 상기 모터의 동력 전달 방향을 따라 상기 모터와 상기 클러치 기어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클러치 기어의 제1 기어부에 치합되는 이중기어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알파벳 C자 형상의 판형 스프링의 개방된 일 측을 통해 제2 기어 부재에 그 스프링을 끼움으로써 클러치 기어 조립을 용이하게 끝낼 수 있고, 알파벳 C자 형상의 판 스프링은 프레스 가공 방법만으로 빠르고 쉽게 가공할 수 있다. 따라서, 클러치 기어의 생산성이 향상되고, 비용이 절감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미러 액추에이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회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요소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클러치 기어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보고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클러치 기어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보고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 기어 및 이를 구비한 미러 액추에이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미러 액추에이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회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요소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미러 액추에이터(10)는 반구형의 하우징(11)과, 하우징(11)에 대해 회동 가능한, 링(ring) 형상의 회동 쉘(shell)(20)과, 회동 쉘(20)에 고정 결합되는 미러 지지 플레이트(25)를 구비한다. 하우징(11)은 사발(bowl) 형태의 하부 하우징(12)과, 하부 하우징(12)의 상측 개구를 폐쇄하는 상부 하우징(17)을 구비한다.
상부 하우징(17)의 중앙부와 미러 지지 플레이트(25)의 중앙부는 후크(33)에 의해 밀착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스프링(30)이 사이에 개재된 채 반구형의 피봇 캡(pivot cap)(28)과 후크(33)가 결합된다. 미러 지지 플레이트(25)의 중앙부가 상부 하우징(17)의 중앙부 위에 올려 지고, 상기 피봇 캡(28)과 결합된 후크(33)가 상부 하우징(17) 측으로 내려져 후크(33)의 하단부가 상부 하우징(17)의 중앙부와 체결된다. 그리고, 중심 파이프(37)가 후크(33)의 중앙 통공에 끼워지고 Z축에 평행한 중심축(CL)을 따라 내려져 그 하단이 하부 하우징(12) 바닥의 중앙 홀(13)에 끼워져 고정된다.
하우징(11)의 내부 공간에는 한 쌍의 제1 및 제2 회동력 제공 유닛이 구비된다. 제1 회동력 제공 유닛은 회동 쉘(20)을 X축과 평행한 제1 회동축에 대해 회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고, 제2 회동력 제공 유닛은 회동 쉘(20)을 Y축과 평행한 제2 회동축에 대해 회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한다. 제1 회동력 제공 유닛의 체결 돌기(59)와 제2 회동력 제공 유닛의 체결 돌기(79)가 각각 회동 쉘(20)의 체결공(22, 23)에 삽입 체결된다.
제1 회동력 제공 유닛의 모터(41)에 전기 신호가 인가되면 회동 쉘(20)과 미러 지지 플레이트(25)가 상기 제1 회동축에 대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제2 회동력 제공 유닛의 모터(61)에 전기 신호가 인가되면 회동 쉘(20)과 미러 지지 플레이트(25)가 상기 제2 회동축에 대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제1 및 제2 회동축에 대한 독립적인 회동이 가능하여 미러(mirror)의 기울어짐 각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회동력 제공 유닛은 각각, 모터(41, 61), 제1 이중기어(45, 65), 제2 이중기어(50, 70), 클러치 기어(clutch gear)(100A, 100B), 및 체결 돌기(59, 79)를 구비한 랙 기어(rack gear)(58, 78)를 구비한다. 모터(41, 61)의 회전축에는 웜 기어(worm gear)(43, 63)가 형성된다. 모터(41, 61)의 회전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축선(P11, P21)은 XY 평면과 평행하다.
제1 이중기어(45, 65)는 하부 하우징(12)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제1 이중기어(45, 65)는 웜 기어(43, 63)에 치합되는 모터축 치합 기어부(46, 66)과, 모터축 치합 기어부(46, 66)와 동축(同軸) 회전하는 제2 이중기어 치합 기어부(48, 68)를 구비한다. 제1 이중기어(45, 65)의 회전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축선(V11, V21)은 Z축과 평행하다. 모터축 치합 기어부(46, 66)가 아래에 배치되고, 제2 이중기어 치합 기어부(48, 68)가 위에 배치된다. 모터축 치합 기어부(46, 66)의 외주면에는 웜 기어(43, 63)와 치합되어 손실 없이 정확하게 동력 전달 받을 수 있도록, 기울어진 기어치를 구비한 헬리컬 기어(helical gear)가 형성된다.
제2 이중기어(50, 70)는 제2 이중기어 치합 기어부(48, 68)에 치합되는 제1 이중기어 치합부(51, 71)와, 제1 이중기어 치합부(51, 71)와 동축(同軸) 회전하는 웜(worm) 기어부(52, 72)를 구비한다. 제2 이중기어(50, 70)의 회전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축선(V12, V22)은 Z축과 평행하다. 제1 이중기어 치합부(51, 71)가 아래에 배치되고, 웜 기어부(52, 72)가 위에 배치된다.
클러치 기어(100A, 100B)는 제2 이중기어(50, 70)의 웜 기어부(52, 72)에 치합되는 제1 기어부(102A, 102B)와, 상기 제1 기어부(102A, 102B)와 동축(同軸) 회전하는 제2 기어부(120A, 120B)를 구비한다. 제1 기어부(102A, 102B)의 외경이 제2 기어부(120A, 120B)의 외경보다 크다. 클러치 기어(100A, 100B)의 회전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축선(P12, P22)은 XY 평면과 평행하다. 제1 기어부(102A, 102B)의 외주면에는 웜 기어부(52, 72)와 치합되어 손실 없이 정확하게 동력 전달 받을 수 있도록, 기울어진 기어치를 구비한 헬리컬 기어(helical gear)가 형성된다. 제2 기어부(120A, 120B)의 외주면에는 랙 기어(58, 78)와 치합되는 스퍼 기어(spur gear)가 형성된다.
랙 기어(58, 78)는 하부 하우징(12) 경사진 내측벽에 고정 지지되어 경사지게 연장되며, 제2 기어부(120A, 120B)에 치합된다. 랙 기어(58, 78)의 상단부는 상부 하우징(17)을 관통하여 하우징(11) 외부로 돌출되고, 체결 돌기(59, 79)가 랙 기어(58, 78)의 상단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체결 돌기(59, 79)는 상술한 바와 같이 회동 쉘(20)의 체결공(22, 23)에 삽입 체결된다.
상술한 제1 및 제2 회동력 제공 유닛에서 모터(41, 61)의 동력 전달 경로는 모터 샤프트의 웜 기어(43, 63) → 제1 이중 기어(45, 65) → 제2 이중 기어(50, 70) → 클러치 기어(100A, 100B) → 랙 기어(58, 78)의 순서이다. 여기서, 랙 기어(58, 78)에 치합된 클러치 기어(100A, 100B)의 제2 기어부(120A, 120B)는, 회동 쉘(20)이 최대 각도까지 회동되면 더 이상 회전할 수 없다. 따라서 클러치 기어(100A, 100B)는, 회동 쉘(20)이 최대 각도까지 회동한 이후에도 전기 신호가 추가로 입력되어 모터(41, 61)가 회전하면 제2 기어부(120A, 120B)는 회전하지 않고 제1 기어부(102A, 102B)만 회전하도록, 제1 기어부(102A, 102B)와 제2 기어부(120A, 120B)가 분리된 구성을 갖는다. 이하에서, 클러치 기어(100A, 100B)의 구성에 대해 상술한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클러치 기어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보고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1의 클러치 기어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보고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서, 이 도면들을 참조하면, 클러치 기어(100A, 100B)는 제1 기어 부재(101), 제2 기어 부재(110), 및 판 스프링(130)을 구비한다. 제1 기어 부재(101)는 모터(41, 61)의 동력 전달 방향을 따라 자신의 상류측 기어, 즉 제2 이중기어(50, 70)에 치합되는 제1 기어부(102A, 102B)를 외주면에 구비하고, 중앙에 중앙 통공(104)이 형성된다.
제2 기어 부재(110)는 모터(41, 61)의 동력 전달 방향을 따라 자신의 하류측 기어, 즉 랙 기어(58, 78)에 치합되는 제2 기어부(120A, 120B)를 외주면에 구비한다. 제2 기어 부재(110)는 제1 기어 부재(101)의 중앙 통공(104)에 끼워지며, 일 측 단부가 중앙 통공(104)을 관통한다. 제2 기어 부재(110)는 클러치 기어(100A, 100B)의 회전축이 되는 것으로, 제2 기어부(120A, 120B)측 말단의 제1 회전축(115)과 그 반대측 말단의 제2 회전축(117)이 각각, 하부 하우징(12)에 형성된 제1 회전축 홀더(145A, 145B)(도 2 참조)와 제2 회전축 홀더(148A, 148B)(도 2 참조)에 끼워져 지지된다.
중앙 통공(104)을 관통하는 제2 기어 부재(110) 일 측 단부의 외주면에는 한 쌍의 외주면 그루브(groove)(123)가 형성된다. 한 쌍의 외주면 그루브(123)는 제2 기어 부재(110)의 길이 방향 축선(P12, P22)(도 2 참조)에 대해 대칭되게 반대측 외주면에 형성된다. 외주면 그루브(123)는 제2 기어 부재(110)의 원호를 따라 연장되고 일정한 폭(W)을 갖는다. 외주면 그루브(123)의 폭(W) 방향 양 측에 제1 및 제2 단차면(124, 125)이 형성되고, 제1 및 제2 단차면(124, 125)의 깊이는 외주면 그루브(123)의 중앙부가 가장 깊고 주변으로 갈수록 얕다.
판 스프링(130)은 판형의 스프링 강재를 프레스 가공 방법으로 찍어 눌러 형성한다. 판 스프링(130)은 알파벳 C자 형상으로 일 측(131)이 개방되어 있다. 판 스프링(130)은 개방된 일 측(131)으로 인해 서로 분리된 한 쌍의 말단부(133)와, 상기 개방된 일 측(131)의 반대편에 이어진 연결부(135)를 구비한다. 또한, 연결부(135)와 한 쌍의 말단부(133) 사이에는 절곡되어 주변보다 융기된 한 쌍의 요철부(137)를 구비한다. 요철부(137)의 융기된 높이(H)는 외주면 그루브(123)의 폭(W)보다 작다.
판 스프링(130)은 상기 개방된 일 측(131)을 통해 한 쌍의 외주면 그루브(123)에 끼워져 제1 기어 부재(101)와 제2 기어 부재(110)가 서로 밀착되도록 탄성 가압한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요철부(137)의 내측 엣지(edge)(139)가 한 쌍의 외주면 그루브(123)에 안착되어 제1 단차면(124)에 밀착된다. 제1 단차면(124)은 외주면 그루브(123)의 한 쌍의 단차면(124, 125) 중에 제2 회전축(117)에 더 가까운 단차면이다. 한 쌍의 요철부(137) 이외의 부분, 즉 연결부(135) 및 한 쌍의 말단부(133)는 제1 기어 부재(101)에 밀착된다.
한 쌍의 요철부(137)가 한 쌍의 외주면 그루브(123)에 끼워질 수 있도록 판 스프링(130)의 한 쌍의 요철부(137) 사이의 간격(G2)은 한 쌍의 외주면 그루브(123) 사이의 간격(G1)보다 크거나 같다. 판 스프링(130)은 제2 기어 부재(110)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즉 외주면 그루브(123)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진입하여 한 쌍의 외주면 그루브(123)에 끼워진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요철부(137)의 내측 엣지(139)가 한 쌍의 외주면 그루브(123)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한 쌍의 외주면 그루브(123)에 진입하여 안착된다.
한편, 제1 기어 부재(101)의 중앙 통공(104)의 내주면(105)은 제1 회전축(115)에서 제2 회전축(117)을 향한 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연장된다. 제1 기어 부재(101)에 끼워지는 제2 기어 부재(110) 중간 부분의 외주면(112)은 상기 경사진 내주면(105)에 접촉되도록 내주면(105)의 경사와 동일한 경사각으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판 스프링(130)이 외주면 그루브(123)에 끼워져 체결됨으로 인해 제1 기어 부재(101)의 경사진 내주면(105)과 제2 기어 부재(110)의 경사진 외주면(112)이 탄성 밀착된다.
상술한 동력 전달 경로를 따라 모터(41, 61)(도 2 참조)의 동력이 제1 기어 부재(101)에 전달되면 제1 기어 부재(101)가 회전하고, 탄성 밀착된 내주면(105)과 외주면(112)을 통해 그 회전력이 전달되어 제2 기어 부재(110)가 회전하여 하류측의 랙 기어(58, 78)를 구동한다. 그러나, 랙 기어(58, 78)가 움직일 수 있는 한계까지 이동된 때에는 제2 기어 부재(110)는 더 이상 회전할 수 없고 모터(41, 61)의 동력이 제1 기어 부재(101)에 전달된다 하더라도 제1 기어 부재(101)만 회전하게 된다. 부연하면, 제2 기어 부재(110)가 하류측 기어, 즉 랙 기어(58, 78)로부터 받는 하중(load)이 미리 정해진 기준, 즉 최대 하중을 초과하여 제1 기어 부재(101)가 회전하더라도 중앙 통공(104)의 내주면(105)이 제2 기어 부재(110)의 외주면(112)에 대해 미끄러져 제2 기어 부재(110)는 회전하지 않게 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A, 100B: 클러치 기어 101: 제1 기어 부재
102A, 102B: 제1 기어부 104: 중앙 통공
110: 제2 기어 부재 120A, 120B: 제2 기어부
123: 외주면 그루브 130: 판 스프링

Claims (6)

  1. 모터의 동력 전달 방향을 따라 자신의 상류측 기어에 치합되는 제1 기어부를 외주면에 구비하고, 중앙에 중앙 통공이 형성된 제1 기어 부재;
    상기 모터의 동력 전달 방향을 따라 자신의 하류측 기어에 치합되는 제2 기어부를 외주면에 구비하고, 상기 중앙 통공에 끼워져 일 측 단부가 상기 중앙 통공을 관통하며, 상기 일 측 단부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외주면 그루브(groove)가 형성된 제2 기어 부재; 및,
    알파벳 C자 형상으로 일 측이 개방되고, 절곡되어 주변보다 융기된 적어도 하나의 요철부를 구비하며, 상기 개방된 일 측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주면 그루브에 끼워져 상기 제1 기어 부재와 상기 제2 기어 부재가 서로 밀착되도록 탄성 가압하는 판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철부의 내측 엣지(edge)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주면 그루브에 안착되어 상기 외주면 그루브의 일 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철부 이외의 부분은 상기 제1 기어 부재에 밀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기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주면 그루브는 한 쌍이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외주면 그루브는 상기 제2 기어 부재의 길이 방향 축선에 대해 대칭되게 반대측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철부는 상기 한 쌍의 외주면 그루브에 대응되게 한 쌍이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요철부 사이의 간격이 상기 한 쌍의 외주면 그루브 사이의 간격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한 쌍의 요철부의 내측 엣지가 상기 한 쌍의 외주면 그루브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외주면 그루브에 진입하여 상기 판 스프링이 상기 한 쌍의 외주면 그루브에 끼워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기어.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통공의 내주면은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제2 기어 부재는 상기 내주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내주면의 경사와 동일한 경사각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외주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2 기어 부재가 상기 하류측 기어로부터 받는 하중이 미리 정한 기준을 초과하면 상기 제1 기어 부재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중앙 통공의 내주면이 상기 제2 기어 부재의 외주면에 대해 미끄러져 상기 제2 기어 부재는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기어.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부와 상기 제2 기어부는 기어부의 외경이 서로 다르고, 동축(同軸) 회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 기어.
  5.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동 가능한 회동 쉘(shell);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것으로, 상기 회동 쉘을 회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회동력 제공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회동력 제공 유닛은,
    모터; 상기 모터의 동력이 전달되어 회전하는,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의 클러치 기어; 및, 상기 클러치 기어의 제2 기어부에 치합되고, 상단부가 상기 하우징을 벗어나 상기 회동 쉘에 체결되는 랙 기어(rack gear)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액추에이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력 제공 유닛은, 상기 모터의 동력 전달 방향을 따라 상기 모터와 상기 클러치 기어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클러치 기어의 제1 기어부에 치합되는 이중기어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액추에이터.
KR2020120009060U 2012-09-24 2012-10-09 클러치 기어 및 이를 구비한 미러 액추에이터 KR2004719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060U KR200471924Y1 (ko) 2012-10-09 2012-10-09 클러치 기어 및 이를 구비한 미러 액추에이터
PCT/KR2012/008681 WO2014046334A1 (ko) 2012-09-24 2012-10-22 클러치 기어 및 미러 액추에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060U KR200471924Y1 (ko) 2012-10-09 2012-10-09 클러치 기어 및 이를 구비한 미러 액추에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1924Y1 true KR200471924Y1 (ko) 2014-03-26

Family

ID=51484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9060U KR200471924Y1 (ko) 2012-09-24 2012-10-09 클러치 기어 및 이를 구비한 미러 액추에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92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60384B2 (en) 2014-11-24 2018-12-25 Hyundai Motor Company Mirror actuator for vehic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5917Y1 (ko) * 2000-09-26 2001-03-15 최정곤 자동차 사이드 밀러의 경사각도 자동 조정장치
KR20050060207A (ko) * 2003-12-16 2005-06-22 한국프로큅인터내셔널(주) 차량용 아웃사이더 미러 조립체의 미러조정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5917Y1 (ko) * 2000-09-26 2001-03-15 최정곤 자동차 사이드 밀러의 경사각도 자동 조정장치
KR20050060207A (ko) * 2003-12-16 2005-06-22 한국프로큅인터내셔널(주) 차량용 아웃사이더 미러 조립체의 미러조정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60384B2 (en) 2014-11-24 2018-12-25 Hyundai Motor Company Mirror actuator for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125337A1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軸連結器
JP5801692B2 (ja) ギヤードモータ
CN103569192B (zh) 电动动力转向装置
US9376139B2 (en) Ball screw having bearing compensation
WO2013161845A1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EP1335154A1 (en)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CN102205850A (zh) 动力转向装置
KR20140140851A (ko) 유성기어가 구비된 감속기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
CN105752151A (zh) 电动动力转向装置
KR20140034319A (ko) 하나 이상의 멈춤부를 포함하는 자동차 시트용 조절 장치
JP2019536686A (ja) ステアリング伝動機構およびステアリングシステム
KR200471924Y1 (ko) 클러치 기어 및 이를 구비한 미러 액추에이터
JP3765276B2 (ja)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4815216B2 (ja) ワイパモータ
JP2006281815A (ja) 可変舵角比操舵装置ガタ詰め構造。
JP4487014B1 (ja) 雲台装置
JP6057611B2 (ja) 軸連結機構
JP2007203947A (ja)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用ウォーム減速機及びこれを組み込んだ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US20050092119A1 (en) Delashing mechanism for fixed parallel based gear pairs
CN105083371A (zh) 电动动力转向装置
JP2015113051A (ja)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403034B1 (ko) 미러 액추에이터
WO2014046334A1 (ko) 클러치 기어 및 미러 액추에이터
JP5573590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5021521B2 (ja) ブレーキ装置及び減速機構付モ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