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3034B1 - 미러 액추에이터 - Google Patents

미러 액추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3034B1
KR101403034B1 KR1020120106058A KR20120106058A KR101403034B1 KR 101403034 B1 KR101403034 B1 KR 101403034B1 KR 1020120106058 A KR1020120106058 A KR 1020120106058A KR 20120106058 A KR20120106058 A KR 20120106058A KR 101403034 B1 KR101403034 B1 KR 101403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turning
gear portion
providing unit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6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9648A (ko
Inventor
고시연
고정우
최병대
박완영
박응석
채성복
신동민
Original Assignee
(주)오앤케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앤케이테크 filed Critical (주)오앤케이테크
Priority to KR1020120106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3034B1/ko
Priority to PCT/KR2012/008681 priority patent/WO2014046334A1/ko
Publication of KR20140039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9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3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3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60R1/07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for adjusting the mirror relative to its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25Rear-view mirror arrangements comprising special mechanical means for correcting the field of view in relation to particular driving conditions, e.g. change of lane; scanning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05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trucks, e.g. by C-shaped support means
    • B60R1/06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trucks, e.g. by C-shaped support means with remote position control adjustment
    • B60R1/061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trucks, e.g. by C-shaped support means with remote position control adjustment by electrically actuated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자동차의 리어 미러(rear view mirror) 또는 사이드 미러(side view mirror)의 기울임 각을 조정하는 데 사용되는 미러 액추에이터가 개시된다. 개시된 미러 액추에이터는 회동 쉘을 제1 회동축에 대해 회동시키는 제1 회동력 제공 유닛과, 회동 쉘을 제2 회동축에 대해 회동시키는 제2 회동력 제공 유닛을 구비한다. 제1 및 제2 회동력 제공 유닛은 각각, 회전축에 웜 기어(worm gear)가 형성된 모터, 웜 기어에 치합되는 모터축 치합 기어부와, 모터축 치합 기어부와 동축(同軸) 회전하는 제2 이중기어 치합 기어부를 구비한 제1 이중기어, 제2 이중기어 치합 기어부에 치합되는 제1 이중기어 치합 기어부와, 제1 이중기어 치합 기어부와 동축(同軸) 회전하는 웜(worm) 기어부를 구비한 제2 이중기어, 제2 이중기어의 웜 기어부에 치합되는 웜 기어부 치합 기어부와, 웜 기어부 치합 기어부와 동축(同軸) 회전하는 랙 기어(rack gear) 치합 기어부를 구비한 클러치 기어(clutch gear), 랙 기어 치합 기어부에 치합되며, 상단부가 미러 액추에이터의 하우징을 벗어나 돌출되는 랙 기어, 및 랙 기어의 상단에 형성되고 회동 셀에 체결되는 체결 돌기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미러 액추에이터{Mirror actuator}
본 발명은 자동차의 리어 미러(rear view mirror) 또는 사이드 미러(side view mirror)의 기울임 각을 조정하는 데 사용되는 미러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운전시 후방 시야 확보를 위한 리어 미러(rear view mirror) 또는 사이드 미러(side view mirror)가 구비된다. 리어 미러나 사이드 미러는 운전자의 특성에 맞춰 기울임 각이 조정되어야 하며, 근래에는 손으로 미러를 잡고 조정하는 매뉴얼 방식보다 버튼(button) 조작으로 편리하게 기울임 각을 조정할 수 있는 전동 방식이 선호되고 있다. 전동 방식에는 리어 미러나 사이드 미러를 구동하는 미러 액추에이터가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미러 액추에이터는 모터와 기어(gear)들이 수용된 하우징(housing)과, 상기 모터와 기어들의 작용으로 하우징에 대해 회동하는 회동 쉘(shell) 및 이에 고정된 미러 지지 플레이트(plate)를 구비한다. 미러의 기울임 각을 조정하기 위해서는 회동 쉘이 직교하는 2개의 축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동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하우징 내부의 공간적 제약 때문에 모터와 기어들을 적절히 배치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모터에서 기어들을 거쳐 회동 쉘까지 모터의 동력이 전달되는 경로에서 동력 손실이 많아 고출력의 모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원활한 각도 조절 성능을 발휘할 수 없다. 이에 따라 고출력의 모터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전력 소모가 크다.
본 발명은, 회동 쉘의 회동 각도를 조정함에 있어 모터의 동력 손실이 최소화되도록 동력 전달 요소들이 배열된 미러 액추에이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회동 쉘을 직교하는 2개의 축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동시키는 구동 요소들이 하우징 내에 콤팩트(compact)하게 배치된 미러 액추에이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기하학적 중심에서 서로 직교 교차하는 제1 및 제2 회동축에 대해 회동 가능한 회동 쉘(shell),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것으로, 상기 회동 쉘을 상기 제1 회동축에 대해 회동시키는 제1 회동력 제공 유닛과, 상기 회동 쉘을 상기 제2 회동축에 대해 회동시키는 제2 회동력 제공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회동력 제공 유닛 및 제2 회동력 제공 유닛은 각각, 회전축에 웜 기어(worm gear)가 형성된 모터, 상기 웜 기어에 치합되는 모터축 치합 기어부와, 상기 모터축 치합 기어부와 동축(同軸) 회전하는 제2 이중기어 치합 기어부를 구비한 제1 이중기어, 상기 제2 이중기어 치합 기어부에 치합되는 제1 이중기어 치합 기어부와, 상기 제1 이중기어 치합 기어부와 동축(同軸) 회전하는 웜(worm) 기어부를 구비한 제2 이중기어; 상기 제2 이중기어의 웜 기어부에 치합되는 웜 기어부 치합 기어부와, 상기 웜 기어부 치합 기어부와 동축(同軸) 회전하는 랙 기어(rack gear) 치합 기어부를 구비한 클러치 기어(clutch gear), 상기 랙 기어 치합 기어부에 치합되며, 상단부가 상기 하우징을 벗어나 돌출되는 랙 기어, 및 상기 랙 기어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회동 셀에 체결되는 체결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회동력 제공 유닛의 체결 돌기의 연장선은 상기 제2 회동축과 일치하고, 상기 제2 회동력 제공 유닛의 체결 돌기의 연장선은 상기 제1 회동축과 일치하도록 구성된 미러 액추에이터를 제공한다.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클러치 기어의 회전축은 상기 제1 회동축 및 상기 제2 회동축에 의해 한정되는 평면과 평행하고, 상기 제1 이중기어의 회전축과 상기 제2 이중기어의 회전축은 상기 제1 회동축 및 상기 제2 회동축에 의해 한정되는 평면에 직교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동력 제공 유닛과 상기 제2 회동력 제공 유닛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반분하여 차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중기어의 모터축 치합 기어부와, 상기 클러치 기어의 웜 기어부 치합 기어부는 헬리컬 기어(helical gear)일 수 있다.
상기 모터축 치합 기어부의 기어치(gear teeth) 개수가 상기 제2 이중기어 치합 기어부의 기어치 개수보다 많고, 상기 제2 이중기어 치합 기어부의 기어치 개수와 상기 제1 이중기어 치합 기어부의 기어치 개수의 차이는 0 내지 3 일 수 있다.
상기 웜 기어부 치합 기어부의 기어치 개수는 상기 랙 기어 치합 기어부의 기어치 개수보다 많고, 상기 랙 기어 치합 기어부의 기어치 개수는 상기 랙 기어의 기어치 개수보다 적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러 액추에이터는 복수의 이중 기어를 연이어 사용하여 모터의 동력을 랙 기어에 전달하여 회동 쉘을 회동시킨다. 따라서, 모터의 동력 손실을 저감할 수 있고 저출력 모터로도 만족스러운 각도 조정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회동 쉘의 두 방향의 회동축이 서로 직교하고, 그 2개의 회동축이 교차하는 점이 하우징의 기하학적 중심과 일치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회동 쉘의 회동 각도를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러 액추에이터는, 회동 쉘을 서로 직교하는 2개의 축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동시키는 구동 요소들이 하우징 내부의 공간을 반분하여 콤팩트(compact)하게 배치되므로,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러 액추에이터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하부 하우징과 그 내부에 배치된, 회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요소들을 도시한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러 액추에이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러 액추에이터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러 액추에이터(10)는 반구형의 하우징(11)과, 하우징(11)에 대해 회동 가능한, 링(ring) 형상의 회동 쉘(shell)(20)과, 회동 쉘(20)에 고정 결합되는 미러 지지 플레이트(25)를 구비한다. 하우징(11)은 사발(bowl) 형태의 하부 하우징(12)과, 하부 하우징(12)의 상측 개구를 폐쇄하는 상부 하우징(17)을 구비한다.
상부 하우징(17)의 중앙부와 미러 지지 플레이트(25)의 중앙부는 후크(33)에 의해 밀착된다. 구체적으로, 반구형의 스프링(30)이 사이에 개재된 채 피봇 캡(pivot cap)(28)과 후크(33)가 결합된다. 미러 지지 플레이트(25)의 중앙부는 상부 하우징(17)의 중앙부 위에 올려 지고, 상기 피봇 캡(28)과 결합된 후크(33)가 상부 하우징(17) 측으로 내려져 후크(33)의 하단부가 상부 하우징(17)의 중앙부와 체결된다. 그리고, 중심 파이프(37)가 후크(33)의 중앙 통공에 끼워지고 Z축에 평행한 중심축(CL)을 따라 내려져 그 하단이 하부 하우징(12)의 중앙 홀(13)(도 4 참조)에 끼워 고정된다.
하우징(11)의 내부 공간에는 제1 회동력 제공 유닛(40)(도 4 참조)과 제2 회동력 제공 유닛(60)(도 4 참조)이 배치된다. 제1 회동력 제공 유닛(40)은 회동 쉘(20)을 X축과 평행한 제1 회동축(R1)(도 4 참조)에 대해 회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고, 제2 회동력 제공 유닛(60)은 회동 쉘(20)을 Y축과 평행한 제2 회동축(R2)(도 4 참조)에 대해 회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한다. 제1 회동력 제공 유닛(40)의 체결 돌기(59)와 제2 회동력 제공 유닛(60)의 체결 돌기(79)가 각각 회동 쉘(20)의 체결공(22, 23)에 삽입 체결된다.
미러 지지 플레이트(25)에는 미러(미도시)가 부착 지지되고, 미러 액추에이터(10)는 하부 하우징(12)의 아래로부터 중심 파이프(37)로 삽입 체결되는 볼트(bolt)(미도시)에 의해 지지대(미도시)에 고정 장착된다. 제1 회동력 제공 유닛(40)(도 4 참조)에 전기 신호가 인가되면 회동 쉘(20)과 미러 지지 플레이트(25)가 제1 회동축(R1)(도 4 참조)에 대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제2 회동력 제공 유닛(60)(도 4 참조)에 전기 신호가 인가되면 회동 쉘(20)과 미러 지지 플레이트(25)가 제2 회동축(R2)(도 4 참조)에 대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제1 및 제2 회동축(R1, R2)에 대한 독립적인 회동이 가능하여 미러(mirror)의 기울어짐 각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하부 하우징과 그 내부에 배치된, 회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요소들을 도시한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 회동력 제공 유닛(40)과 제2 회동력 제공 유닛(60)은 중심축(CL)을 교차하여 직선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분할 라인(HL)을 기준으로 일 측 및 타 측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분할 라인(HL)은 서로 직교하며 중심축(CL)에서 교차하는 제1 회동축(R1)과 제2 회동축(R2)에 대해 등각도를 형성하는 직선으로 하부 하우징(12) 내부 공간은 반분되고, 제1 회동력 제공 유닛(40)과 제2 회동력 제공 유닛(60)은 각각 상기 반분되는 하부 하우징(12) 내부 공간의 일 측 및 타 측을 차지한다. 뿐만 아니라,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1 회동력 제공 유닛(40)과 제2 회동력 제공 유닛(60)이 분할 라인(HL)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된다.
제1 회동력 제공 유닛(40) 및 제2 회동력 제공 유닛(60)은 각각, 모터(41, 61), 제1 이중기어(45, 65), 제2 이중기어(50, 70), 클러치 기어(clutch gear)(54, 74), 랙 기어(rack gear)(58, 78), 및 체결 돌기(59, 79)를 구비한다. 모터(41, 61)는 DC 모터일 수 있고, 그 회전축에는 웜 기어(worm gear)(43, 63)가 형성된다. 모터(41, 61)의 회전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축선(P11, P21)은 제1 회동축(R1) 및 제2 회동축(R2)에 의해 한정되는 가상의 평면과 평행하다. 다시 말해, XY 평면과 평행하다.
제1 이중기어(45, 65)는 분할 라인(HL)에 근접하여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제1 이중기어(45, 65)는 웜 기어(43, 63)에 치합되는 모터축 치합 기어부(46, 66)과, 모터축 치합 기어부(46, 66)와 동축(同軸) 회전하는 제2 이중기어 치합 기어부(48, 68)를 구비한다. 모터축 치합 기어부(46, 66)의 직경이 제2 이중기어 치합 기어부(48, 68)의 직경보다 크다. 제1 이중기어(45, 65)의 회전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축선(V11, V21)은 제1 회동축(R1) 및 제2 회동축(R2)에 의해 한정되는 가상의 평면에 직교한다. 다시 말해, Z축과 평행하다. 모터축 치합 기어부(46, 66)가 아래에 배치되고, 제2 이중기어 치합 기어부(48, 68)가 위에 배치된다. 모터축 치합 기어부(46, 66)의 외주면에는 평행한 기어치(teeth)를 구비한 스퍼 기어(spur gear)가 형성될 수도 있으나, 웜 기어(43, 63)와 치합되어 손실 없이 정확하게 동력 전달 받을 수 있도록, 기울어진 기어치를 구비한 헬리컬 기어(helical gear)가 형성된다.
제2 이중기어(50, 70)는 제2 이중기어 치합 기어부(48, 68)에 치합되는 제1 이중기어 치합부(51, 71)와, 제1 이중기어 치합부(51, 71)와 동축(同軸) 회전하는 웜(worm) 기어부(52, 72)를 구비한다. 제2 이중기어(50, 70)의 회전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축선(V12, V22)은 제1 회동축(R1) 및 제2 회동축(R2)에 의해 한정되는 가상의 평면에 직교한다. 다시 말해, Z축과 평행하다. 제1 이중기어 치합부(51, 71)가 아래에 배치되고, 웜 기어부(52, 72)가 위에 배치된다.
클러치 기어(54, 74)는 제2 이중기어(50, 70)의 웜 기어부(52, 72)에 치합되는 웜 기어부 치합 기어부(55, 75)와, 웜 기어부 치합 기어부(55, 75)와 동축(同軸) 회전하는 랙 기어 치합 기어부(57, 77)를 구비한다. 웜 기어부 치합 기어부(55, 75)의 직경이 랙 기어 치합 기어부(57, 77)의 직경보다 크다. 클러치 기어(54, 74)의 회전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축선(P12, P22)은 제1 회동축(R1) 및 제2 회동축(R2)에 의해 한정되는 가상의 평면과 평행하다. 다시 말해, XY 평면과 평행하다. 웜 기어부 치합 기어부(55, 75)의 외주면에는 웜 기어부(52, 72)와 치합되어 손실 없이 정확하게 동력 전달 받을 수 있도록, 기울어진 기어치를 구비한 헬리컬 기어(helical gear)가 형성된다.
랙 기어(58, 78)는 하부 하우징(12) 경사진 내측벽에 고정 지지되어 경사지게 연장되며, 랙 기어 치합 기어부(57, 77)에 치합된다. 랙 기어(58, 78)의 상단부는 상부 하우징(17)(도 2 참조)을 관통하여 하우징(11) 외부로 돌출된다. 체결 돌기(59. 79)는 랙 기어(58, 78)의 상단에 랙 기어(58, 78)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회동 쉘(20)(도 2 참조)의 체결공(22, 23)에 삽입 체결된다.
제1 회동력 제공 유닛(40)의 체결 돌기(59)의 돌출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연장선은 제2 회동축(R2)과 일치하고, 제2 회동력 제공 유닛(60)의 체결 돌기(79)의 돌출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연장선은 제1 회동축(R1)과 일치한다. 따라서, 제1 회동축(R1)과 제2 회동축(R2)에 대해 회동 쉘(20)(도 2 참조) 및 미러 지지 플레이트(25)가 독립적으로 미리 정한 각도만큼 회동할 수 있으며, 모터(41, 61)의 동력이 정확히 체결 돌기(59, 79)에 전달되어 작동 에러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부분적인 하중의 집중으로 인한 제1 회동력 제공 유닛(40)과 제2 회동력 제공 유닛(60)의 구성하는 구성 부품들의 손상이 억제된다.
미러 지지 플레이트(25)의 회동에 있어 회동력과 회동 속도의 요구 조건을 만족하기 위하여 기어치의 개수도 적절하게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이중기어(45, 65)의 모터축 치합 기어부(46, 66)의 기어치(teeth) 개수는 제2 이중기어 치합 기어부(48, 68)의 기어치 개수보다 많다. 또한, 제2 이중기어 치합 기어부(48, 68)의 기어치 개수와 제2 이중기어(50, 70)의 제1 이중기어 치합 기어부(51, 71)의 기어치 개수의 차이는 0 내지 3개이다. 예를 들어, 모터축 치합 기어부(46, 66)의 기어치(teeth) 개수는 28개, 제2 이중기어 치합 기어부(48, 68)의 기어치 개수는 16개, 제1 이중기어 치합 기어부(51, 71)의 기어치 개수는 17개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클러치 기어(54, 74)의 웜 기어부 치합 기어부(55, 75)의 기어치 개수는 랙 기어 치합 기어부(57, 77)의 기어치 개수보다 많고, 랙 기어 치합 기어부(57, 77)의 기어치 개수는 랙 기어(58, 78)의 기어치 개수보다 적다. 예를 들어, 웜 기어부 치합 기어부(55, 75)의 기어치 개수는 17개, 랙 기어 치합 기어부(57, 77)의 기어치 개수는 9개, 랙 기어(58, 78)의 기어치 개수는 13개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미러 액추에이터 11: 하우징
20: 회동 쉘 25: 미러 지지 플레이트
40, 60: 회동력 제공 유닛 41, 61: 모터
43, 63: 웜 기어 45, 65: 제1 이중기어
50, 70: 제2 이중기어 54, 74: 클러치 기어
58, 78: 랙 기어 59, 79: 체결 돌기

Claims (6)

  1. 삭제
  2.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기하학적 중심에서 서로 직교 교차하는 제1 및 제2 회동축에 대해 회동 가능한 회동 쉘(shell);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것으로, 상기 회동 쉘을 상기 제1 회동축에 대해 회동시키는 제1 회동력 제공 유닛과, 상기 회동 쉘을 상기 제2 회동축에 대해 회동시키는 제2 회동력 제공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회동력 제공 유닛 및 제2 회동력 제공 유닛은 각각,
    회전축에 웜 기어(worm gear)가 형성된 모터; 상기 웜 기어에 치합되는 모터축 치합 기어부와, 상기 모터축 치합 기어부와 동축(同軸) 회전하는 제2 이중기어 치합 기어부를 구비한 제1 이중기어; 상기 제2 이중기어 치합 기어부에 치합되는 제1 이중기어 치합 기어부와, 상기 제1 이중기어 치합 기어부와 동축(同軸) 회전하는 웜(worm) 기어부를 구비한 제2 이중기어; 상기 제2 이중기어의 웜 기어부에 치합되는 웜 기어부 치합 기어부와, 상기 웜 기어부 치합 기어부와 동축(同軸) 회전하는 랙 기어(rack gear) 치합 기어부를 구비한 클러치 기어(clutch gear); 상기 랙 기어 치합 기어부에 치합되며, 상단부가 상기 하우징을 벗어나 돌출되는 랙 기어; 및, 상기 랙 기어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회동 셀에 체결되는 체결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회동력 제공 유닛의 체결 돌기의 연장선은 상기 제2 회동축과 일치하고, 상기 제2 회동력 제공 유닛의 체결 돌기의 연장선은 상기 제1 회동축과 일치하며,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클러치 기어의 회전축은 상기 제1 회동축 및 상기 제2 회동축에 의해 한정되는 평면과 평행하고, 상기 제1 이중기어의 회전축과 상기 제2 이중기어의 회전축은 상기 제1 회동축 및 상기 제2 회동축에 의해 한정되는 평면에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액추에이터.
  3.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기하학적 중심에서 서로 직교 교차하는 제1 및 제2 회동축에 대해 회동 가능한 회동 쉘(shell);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것으로, 상기 회동 쉘을 상기 제1 회동축에 대해 회동시키는 제1 회동력 제공 유닛과, 상기 회동 쉘을 상기 제2 회동축에 대해 회동시키는 제2 회동력 제공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회동력 제공 유닛 및 제2 회동력 제공 유닛은 각각,
    회전축에 웜 기어(worm gear)가 형성된 모터; 상기 웜 기어에 치합되는 모터축 치합 기어부와, 상기 모터축 치합 기어부와 동축(同軸) 회전하는 제2 이중기어 치합 기어부를 구비한 제1 이중기어; 상기 제2 이중기어 치합 기어부에 치합되는 제1 이중기어 치합 기어부와, 상기 제1 이중기어 치합 기어부와 동축(同軸) 회전하는 웜(worm) 기어부를 구비한 제2 이중기어; 상기 제2 이중기어의 웜 기어부에 치합되는 웜 기어부 치합 기어부와, 상기 웜 기어부 치합 기어부와 동축(同軸) 회전하는 랙 기어(rack gear) 치합 기어부를 구비한 클러치 기어(clutch gear); 상기 랙 기어 치합 기어부에 치합되며, 상단부가 상기 하우징을 벗어나 돌출되는 랙 기어; 및, 상기 랙 기어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회동 셀에 체결되는 체결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회동력 제공 유닛의 체결 돌기의 연장선은 상기 제2 회동축과 일치하고, 상기 제2 회동력 제공 유닛의 체결 돌기의 연장선은 상기 제1 회동축과 일치하며,
    상기 제1 회동력 제공 유닛과 상기 제2 회동력 제공 유닛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반분하여 차지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액추에이터.
  4.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기하학적 중심에서 서로 직교 교차하는 제1 및 제2 회동축에 대해 회동 가능한 회동 쉘(shell);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것으로, 상기 회동 쉘을 상기 제1 회동축에 대해 회동시키는 제1 회동력 제공 유닛과, 상기 회동 쉘을 상기 제2 회동축에 대해 회동시키는 제2 회동력 제공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회동력 제공 유닛 및 제2 회동력 제공 유닛은 각각,
    회전축에 웜 기어(worm gear)가 형성된 모터; 상기 웜 기어에 치합되는 모터축 치합 기어부와, 상기 모터축 치합 기어부와 동축(同軸) 회전하는 제2 이중기어 치합 기어부를 구비한 제1 이중기어; 상기 제2 이중기어 치합 기어부에 치합되는 제1 이중기어 치합 기어부와, 상기 제1 이중기어 치합 기어부와 동축(同軸) 회전하는 웜(worm) 기어부를 구비한 제2 이중기어; 상기 제2 이중기어의 웜 기어부에 치합되는 웜 기어부 치합 기어부와, 상기 웜 기어부 치합 기어부와 동축(同軸) 회전하는 랙 기어(rack gear) 치합 기어부를 구비한 클러치 기어(clutch gear); 상기 랙 기어 치합 기어부에 치합되며, 상단부가 상기 하우징을 벗어나 돌출되는 랙 기어; 및, 상기 랙 기어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회동 셀에 체결되는 체결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회동력 제공 유닛의 체결 돌기의 연장선은 상기 제2 회동축과 일치하고, 상기 제2 회동력 제공 유닛의 체결 돌기의 연장선은 상기 제1 회동축과 일치하며,
    상기 제1 이중기어의 모터축 치합 기어부와, 상기 클러치 기어의 웜 기어부 치합 기어부는 헬리컬 기어(helical gea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액추에이터.
  5.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기하학적 중심에서 서로 직교 교차하는 제1 및 제2 회동축에 대해 회동 가능한 회동 쉘(shell);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것으로, 상기 회동 쉘을 상기 제1 회동축에 대해 회동시키는 제1 회동력 제공 유닛과, 상기 회동 쉘을 상기 제2 회동축에 대해 회동시키는 제2 회동력 제공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회동력 제공 유닛 및 제2 회동력 제공 유닛은 각각,
    회전축에 웜 기어(worm gear)가 형성된 모터; 상기 웜 기어에 치합되는 모터축 치합 기어부와, 상기 모터축 치합 기어부와 동축(同軸) 회전하는 제2 이중기어 치합 기어부를 구비한 제1 이중기어; 상기 제2 이중기어 치합 기어부에 치합되는 제1 이중기어 치합 기어부와, 상기 제1 이중기어 치합 기어부와 동축(同軸) 회전하는 웜(worm) 기어부를 구비한 제2 이중기어; 상기 제2 이중기어의 웜 기어부에 치합되는 웜 기어부 치합 기어부와, 상기 웜 기어부 치합 기어부와 동축(同軸) 회전하는 랙 기어(rack gear) 치합 기어부를 구비한 클러치 기어(clutch gear); 상기 랙 기어 치합 기어부에 치합되며, 상단부가 상기 하우징을 벗어나 돌출되는 랙 기어; 및, 상기 랙 기어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회동 셀에 체결되는 체결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회동력 제공 유닛의 체결 돌기의 연장선은 상기 제2 회동축과 일치하고, 상기 제2 회동력 제공 유닛의 체결 돌기의 연장선은 상기 제1 회동축과 일치하며,
    상기 모터축 치합 기어부의 기어치(gear teeth) 개수가 상기 제2 이중기어 치합 기어부의 기어치 개수보다 많고, 상기 제2 이중기어 치합 기어부의 기어치 개수와 상기 제1 이중기어 치합 기어부의 기어치 개수의 차이는 0 내지 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액추에이터.
  6.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기하학적 중심에서 서로 직교 교차하는 제1 및 제2 회동축에 대해 회동 가능한 회동 쉘(shell);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것으로, 상기 회동 쉘을 상기 제1 회동축에 대해 회동시키는 제1 회동력 제공 유닛과, 상기 회동 쉘을 상기 제2 회동축에 대해 회동시키는 제2 회동력 제공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회동력 제공 유닛 및 제2 회동력 제공 유닛은 각각,
    회전축에 웜 기어(worm gear)가 형성된 모터; 상기 웜 기어에 치합되는 모터축 치합 기어부와, 상기 모터축 치합 기어부와 동축(同軸) 회전하는 제2 이중기어 치합 기어부를 구비한 제1 이중기어; 상기 제2 이중기어 치합 기어부에 치합되는 제1 이중기어 치합 기어부와, 상기 제1 이중기어 치합 기어부와 동축(同軸) 회전하는 웜(worm) 기어부를 구비한 제2 이중기어; 상기 제2 이중기어의 웜 기어부에 치합되는 웜 기어부 치합 기어부와, 상기 웜 기어부 치합 기어부와 동축(同軸) 회전하는 랙 기어(rack gear) 치합 기어부를 구비한 클러치 기어(clutch gear); 상기 랙 기어 치합 기어부에 치합되며, 상단부가 상기 하우징을 벗어나 돌출되는 랙 기어; 및, 상기 랙 기어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회동 셀에 체결되는 체결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회동력 제공 유닛의 체결 돌기의 연장선은 상기 제2 회동축과 일치하고, 상기 제2 회동력 제공 유닛의 체결 돌기의 연장선은 상기 제1 회동축과 일치하며,
    상기 웜 기어부 치합 기어부의 기어치 개수는 상기 랙 기어 치합 기어부의 기어치 개수보다 많고, 상기 랙 기어 치합 기어부의 기어치 개수는 상기 랙 기어의 기어치 개수보다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액추에이터.

KR1020120106058A 2012-09-24 2012-09-24 미러 액추에이터 KR101403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058A KR101403034B1 (ko) 2012-09-24 2012-09-24 미러 액추에이터
PCT/KR2012/008681 WO2014046334A1 (ko) 2012-09-24 2012-10-22 클러치 기어 및 미러 액추에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6058A KR101403034B1 (ko) 2012-09-24 2012-09-24 미러 액추에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9648A KR20140039648A (ko) 2014-04-02
KR101403034B1 true KR101403034B1 (ko) 2014-06-03

Family

ID=50650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6058A KR101403034B1 (ko) 2012-09-24 2012-09-24 미러 액추에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30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2889B1 (ko) * 2015-03-13 2016-09-01 주식회사 호영자동차부품 자동차용 아웃사이드미러 조정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5917B1 (ko) 1997-06-16 1999-08-16 김복중 기름 수거 장치
KR200215917Y1 (ko) 2000-09-26 2001-03-15 최정곤 자동차 사이드 밀러의 경사각도 자동 조정장치
KR20050060207A (ko) * 2003-12-16 2005-06-22 한국프로큅인터내셔널(주) 차량용 아웃사이더 미러 조립체의 미러조정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5917B1 (ko) 1997-06-16 1999-08-16 김복중 기름 수거 장치
KR200215917Y1 (ko) 2000-09-26 2001-03-15 최정곤 자동차 사이드 밀러의 경사각도 자동 조정장치
KR20050060207A (ko) * 2003-12-16 2005-06-22 한국프로큅인터내셔널(주) 차량용 아웃사이더 미러 조립체의 미러조정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9648A (ko) 2014-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37398B1 (en) Mirror device for vehicle
JP4974012B2 (ja) 自動車用駆動システム、駆動モジュール及びバックミラーユニット
CA2574916A1 (en) Two-axis swivel joint
EP3000718B1 (en) Electrical propulsion device
WO2016167252A1 (ja) 減速機付モータおよびリヤワイパモータ
CN109764234A (zh) 稳定器折叠结构及手持式稳定器
TW201433057A (zh) 馬達、具有馬達的旋轉機構與電子裝置
KR101403034B1 (ko) 미러 액추에이터
CN106969109B (zh) 一种拆装方便的致动器
CN112923198B (zh) 手持云台
JP6693829B2 (ja) 動力伝達装置
CN109720193A (zh) 车辆用轮内电动机驱动装置
JP4487014B1 (ja) 雲台装置
CN105793127A (zh) 雨刮装置
CN209705670U (zh) 稳定器折叠结构及手持式稳定器
CN219306626U (zh) 清洁机构和清洁机器人
CN216067529U (zh) 关节转动结构及机器人
JP6660709B2 (ja) 自動車のミラーアクチュエータ
CN210284083U (zh) 齿轮组件及具有其的汽车外后视镜的电动折叠器
JP2018047729A (ja) 車両用ドアミラー装置
JP2002544050A (ja) ミラーアクチュエータハウジング構造
JPH0471734B2 (ko)
KR101867277B1 (ko) 반중공형 액추에이터 모듈
KR200471924Y1 (ko) 클러치 기어 및 이를 구비한 미러 액추에이터
CN219504777U (zh) 一种魔方机器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