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315Y1 - 장애인용 전기자동차의 슬로프형 도어장치 - Google Patents

장애인용 전기자동차의 슬로프형 도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315Y1
KR200471315Y1 KR2020120002381U KR20120002381U KR200471315Y1 KR 200471315 Y1 KR200471315 Y1 KR 200471315Y1 KR 2020120002381 U KR2020120002381 U KR 2020120002381U KR 20120002381 U KR20120002381 U KR 20120002381U KR 200471315 Y1 KR200471315 Y1 KR 2004713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pe
type door
electric vehicle
movable plate
disa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23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5760U (ko
Inventor
정진홍
Original Assignee
덕원이엔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원이엔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덕원이엔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23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315Y1/ko
Publication of KR201300057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7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3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31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61G3/061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using r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A61G3/067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with compartment for horizontally storing the ramp or li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20/00Adaptations of particular transporting means
    • A61G2220/14Cars
    • A61G2220/145Cars driven by a patient sitting in a wheelchair

Landscapes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장애인용 전기자동차의 슬로프형 도어장치는 상기 전기자동차의 차체와 힌지 조립되어 하향 회전되는 상기 슬로프형도어와; 상기 슬로프형도어 내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슬로프형도어의 양단부에 평행하게 조립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과, 상기 고정플레이트 위로 겹쳐지게 조립되되, 그 양단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조립되어 이동 가능한 이동플레이트와; 상기 슬로프형도어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고, 작동로드의 일단부는 상기 이동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있는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은 휠체어에 앉은 상태에서 조작스위치를 조작하여 슬로프형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할 수 있게 되며, 슬로프형도어의 높이를 짧게 구성하면서도 슬로프형도어를 개방하여 펼쳤을 때 완만의 경사각도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휠체어를 타고 혼자서도 무리 없이 편리하게 승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슬로프형도어의 경사각도를 스위치의 조작만으로 손쉽게 조절하여 차량의 정차 위치에 따른 주변 상황을 고려하여 차제의 높이를 추가적으로 더 낮출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장애인용 전기자동차의 슬로프형 도어장치{The door device Slopes type of Electric Vehicles for Disabled}
본 고안은 장애인용 전기자동차의 슬로프형 도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슬로프형 도어를 스위치 조작에 의해 간편하게 자동으로 개방할 수 있으며, 슬로프형도어의 경사각을 완만하게 조절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장애인이 휠체어를 탄 상태에서도 전기자동차 운전석에 편리하게 탑승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장애인용 전기자동차의 슬로프형 도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개발되어 장애인들이 휠체어를 탄 상태에서 운행할 수 있는 장애인용 전기자동차가 있다.
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자동차(1) 후방에 마련된 슬로프형 도어(2)를 아래 방향으로 개방하면 슬로프형 도어(2)가 일정한 경사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휠체어(도시하지 않음)에 탑승한 장애인은 이 슬로프형 도어(2)의 경사판(3)을 이용하여 본인 혼자서도 전기자동차에 승차할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전기자동차 슬로프형 도어(2)는 휠체어를 탄 상태에서 혼자서 개방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제3자의 도움으로 슬로프형 도어(2)를 열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슬로프형 도어(2)를 개방한 후 그 경사 각도를 완만하게 하기 위해 차량의 후방 전체 높이에 해당되는 큰 크기로 슬로프형 도어가 제작됨으로써 슬로프형 도어(2)를 개방하여 펼칠 경우 휠체어를 타고 승차하기 위한 후방의 공간을 충분히 확보한 상황에서만 개방해야 하는 공간상의 제약이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슬로프형 도어(2)가 작게 제작된 경우에는 슬로프형 도어(2)를 펼쳤을 때 심한 경사 각도을 이루게 됨으로써 장애인 혼자힘으로는 휠체어를 타고 도저히 승차하기가 곤란한 문제가 있어서 제3자의 도움으로 전기자동차에 승차 또는 하자 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에 따른 장애인용 전기자동차의 슬로프형 도어장치 다음과 같은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한다.
첫째, 휠체어에 앉은 상태에서 조작스위치를 조작하여 슬로프형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슬로프형 도어의 높이 크기를 짧게 구성하면서도 슬로프형 도어를 슬라이드 절첩식으로 펼쳐지도록 하면서 그 연결 부위는 턱이 없도록 구성함으로써 도어를 개방하여 펼쳤을 때 완만의 경사 각도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휠체어를 타고 혼자서도 무리 없이 간편하게 승차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슬로프형 도어의 경사 각도를 스위치의 조작으로 손쉽게 조절하여 차량의 정차 위치에 따른 주변 상황을 고려하여 차제의 높이를 더 낮출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장애인용 전기자동차의 슬로프형도어장치는, 휠체어에 탑승한 상태에서 운전석 위치로 승차하기 위한 슬로프형도어가 구비되어 있는 장애인용 전기자동차 있어서, 상기 전기자동차의 차체와 힌지 조립되어 하향 회전되는 상기 슬로프형도어와; 상기 슬로프형도어 내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슬로프형도어의 양단부에 평행하게 조립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과, 상기 고정플레이트 위로 겹쳐지게 조립되되, 그 양단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조립되어 이동 가능한 이동플레이트와; 상기 슬로프형도어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고, 작동로드의 일단부는 상기 이동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있는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수단은 유압 또는 공압으로 동작하는 실린더 장치로 이루어지고, 그 작동로드는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저면에 힌지 조립되는 상기 실린더장치의 로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슬로프형도어의 힌지 축에는 정역감속모터가 설치되어 구성됨으로써 상기 슬로프형도어를 자동으로 회전시켜 출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수단 및 정역감속모터는 차량 출입구 일측에 구비되는 조작스위치 및 상기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와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조작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상기 슬로프형 도어를 회동시킨 후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펼쳐지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플레이트 외측단부와 상기 이동플레이트 내측단부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장애인용 전기자동차의 후방 현가장치는 커플드 토션빔 액슬(CTBA:coupled torsion beam axle) 현가장치로 이루어지되, 상기 CTBA현가장치의 상기 상측서스펜션암에는 제2실린더장치가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2실린더장치의 작동로드는 상기 상측서스펜션암과 힌지 조립된 하측서스펜션암 사이에 설치되는 쇽업소바의 코일스프링과 상기 하측서스펜션암(52)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그 단부에는 상기 하측서스펜션암 밑면에 지지되는 걸림구가 조립되어 이루어짐으로써 차체 높이를 스위치 조작만으로 슬로프형도어의 경사각도를 더 낮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장애인용 전기자동차의 슬로프형도어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휠체어에 앉은 상태에서 조작스위치를 조작하여 슬로프형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할 수 있게 되며, 슬로프형도어의 높이를 짧게 구성하면서도 슬로프형도어를 개방하여 펼쳤을 때 완만의 경사각도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휠체어를 타고 혼자서도 무리 없이 편리하게 승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슬로프형도어의 경사각도를 스위치의 조작만으로 손쉽게 조절하여 차량의 정차 위치에 따른 주변 상황을 고려하여 차제의 높이를 추가적으로 더 낮 출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장애인용 전기자동차의 슬로프형 도어의 문제점을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장애인용 전기자동차의 슬로프형 도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장애인용 전기자동차의 슬로프형 도어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장애인용 전기자동차의 슬로프형 도어장치의 승강플레이트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장애인용 전기자동차의 슬로프형 도어장치의 승강플레이트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장애인용 전기자동차의 슬로프형 도어의 경사각도 조절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들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용 전기자동차의 슬로프형 도어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장애인용 전기자동차의 슬로프형 도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장애인용 전기자동차의 슬로프형 도어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장애인용 전기자동차의 슬로프형 도어장치의 승강플레이트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장애인용 전기자동차의 슬로프형 도어장치의 승강플레이트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장애인용 전기자동차의 슬로프형 도어장치의 경사각도 조절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들이다.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장애인용 전기자동차의 슬로프형 도어장치는 휠체어(도시하지 않음)에 탑승한 상태에서 운전석 위치로 승차하기 위한 슬로프형 도어(20)가 구비되어 있는 장애인용 전기자동차의 기본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자동차의 슬로프형 도어(20)는 3분의 2지점을 기준으로 그 위쪽은 상측으로 개방되는 도어로 되고, 그 아래쪽은 슬로프형 도어(20)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이러한 슬로프형 도어(20)는 지면 방향으로 개방되기 위하여 그 일단부가 상기 전기자동차(10)의 차체와 힌지(22)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슬로프형 도어(20) 그 내측면에는 휠체어가 이동하기 위한 고정플레이트(30)가 구비되는데, 이 고정플레이트(30)의 양단부에는 상기 슬로프형 도어(20)에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21)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레일(21)은 출입 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30)위에는 이동플레이트(31)가 얹혀져서 그 양단이 가이드레일(21)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휠체어 출입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도록 조립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30)와 이동플레이트(31)는 판형으로 이루어지며, 그 표면에는 휠체어가 경사면을 이동할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논슬립(non-slip)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동플레이트(31)는 상기 가이드레일(21)을 따라 접혔을 때 고정플레이트(30) 위로 겹쳐지게 되며, 펼쳐졌을 때에는 그 경계면에 턱이 생기지 않게 그 이음부가 평면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상기 고정플레이트(30) 외측단부와 상기 이동플레이트(31) 내측단부는 경사면(32)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이동플레이트(31)를 슬라이드 시키기 위한 구동수단(40)은 상기 슬로프형 도어(20)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구동수단(40)은 상기 고정플레이트(30) 밑면에 구비되는 공간에 그 일단부가 고정 설치되며, 그 작동 로드(41) 단부는 상기 이동플레이트(31)의 선단부 저면에 힌지 조립되어 상기 작동로드(41)가 왕복 운동하면서 상기 구동수단(40) 작동시 이동플레이트(31)가 고정플레이트(30)에 대해 휠체어 출입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구동수단(40)의 일례로서, 유압 또는 공압으로 동작하는 실린더장치로 이루어지고, 그 작동 로드(41)는 상기 이동플레이트(31)의 저면에 힌지 조립된다.
상기 실린더장치 등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펌프 등은 전기자동차의 엔진 룸 등에 설치되어 그 배관이 연결되는 것이 일반적이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슬로프형 도어(20)를 자동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스로프형 도어(20)의 힌지(22)에는 차체 내부에 정역감속모터(11)가 설치되어 구성됨으로써, 정역감속모터(11)에 의해 상기 슬로프형 도어(20)를 자동으로 회전시켜 출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수단(40)과 정역감속모터(11)는 차량 후방 출입구 일측에 구비되는 조작스위치(12)에 의해 작동되도록 회로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기자동차(10)의 배터리(도시하지않음)의 전원을 이용하여 시동을 걸지 않은 상태에서도 슬로프형 도어(20)를 개폐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30) 및 이동플레이트(31)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제어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체어에 탑승한 상태에서 차량 외부에 마련된 조작스위치(12)를 조작하여 상기 슬로프형 도어(20)를 개방시킴과 동시에 상기 이동플레이트(31)를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지면에 대해 대략 10~15도의 완만한 경사 각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휠체어 탑승자는 혼자의 힘으로 슬로프형 도어(20)의 경사면을 별무리 없이 올라갈 수 있게 되므로 편리한 승차를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플레이트(30) 외측단부와 상기 이동플레이트(31) 내측 단부는 경사면(32)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이동플레이트(31)가 펼쳐졌을 때 고정플레이트(30)와 이동플레이트(31)가 만나는 부위에는 턱이 없이 평면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그 내측 단부가 고정플레이트(30)의 외측단부와 접하게 된다.
만약, 고정플레이트(30)와 이동플레이트(31) 단부가 직각으로 접하게 된다면 다시 접히는 과정에서 턱에 걸려 원상태로 접혀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고정플레이트(30)와 이동플레이트(31)가 만나는 단부를 경사면(32)으로 형성하면 이동플레이트(31)가 다시 접히는 초기 동작시 경사면(32)을 따라 고정플레이트(30) 상측으로 자연스럽게 이동하여 원상태로 포개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휠체어에 탄 상태에서 차제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더욱 완만한 경사 각도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즉,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애인용 전기자동차(10)의 후방에는 편안한 승차감을 위해 현가장치(50)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현가장치(50)는 여러 가지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지만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차체의 높이 조절 구성을 적용하기 위하여 커플드 토션빔 액슬(CTBA:coupled torsion beam axle) 타입의 현가장치(50)를 적용한 것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 CTBA 현가장치(50)의 기본 구성으로서, 차체 섀시(14)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상측서스펜션암(51)이 구비되어 있고, 이 상측서스펜션암(51)과 그 일단이 힌지 조립된 하측서스펜션암(52)이 마련되어 있으며, 하측서스펜션암(52)의 단부에는 뒷바퀴(53)가 조립되어 있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상측서스펜션암(51) 및 하측서스펜션암(53) 사이에는 코일스프링(54) 방식의 쇽업소바(55)가 설치됨으로써 주행 중 발생되는 노면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상측서스펜션암(61)에는 별도의 제2실린더장치(66)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작동로드(57)는 상기 상측서스펜션암(51)과 힌지 조립된 하측서스펜션암(52) 사이에 설치된 쇽업소바(55)의 코일스프링(54) 중앙을 통과하여 상기 하측서스펜션암(52)을 관통하여 상,하로 작동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로드(57) 단부에는 상기 하측서스펜션암(52) 밑면에 지지되는 걸림구(58)가 조립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평상시 주행 중에는 기존과 같이 쇽업소바(55)의 코일스프링(54)에 의해 완충 작용이 이루어지며, 차체 바닥(13) 높이를 낮추기 위해 조작스위치(12)를 조작하여 제2실린더장치(56)를 구동시키게 되면 작동로드(57)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걸림구(58)가 하측서스펜션암(51,52)을 위로 당기게 된다.
이와 동시에 코일스프링(54)이 압축되면서 상기 상측서스펜션암(51)과 하측서스펜션암(52)은 오므라들게 되어 결국 차체 바닥(13)은 서서히 하강되어 슬로프형 도어(20)의 경사 각도가 더 낮은 각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휠체어를 타고 있는 장애인은 차량이 정차하고 있는 위치의 지면의 경사도를 감안하여 차체의 높이를 추가적으로 더 낮출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슬로프 도어(20)의 경사 각도를 더 낮게 조절한 후 승차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장애인용 전기자동차의 슬로프형 도어(20)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일부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전기자동차 11: 정역감속모터
12: 조작스위치 13: 바닥
20: 슬로프형 도어 21: 가이드레일
22: 힌지
30: 고정플레이트 31: 이동플레이트
32: 경사면 40: 구동수단
41: 작동로드 50: 현가장치
51: 상측서스펜션암 52: 하측서스펜션암
53: 뒷바퀴 54: 코일스프링
55: 쇽업소바 56: 제2실린더장치
57: 작동로드 58: 걸림구

Claims (6)

  1. 휠체어에 탑승한 상태에서 운전석 위치로 승차하기 위해 차체와 힌지 조립되어 하향 회전되는 슬로프형도어와, 상기 슬로프형도어 내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슬로프형도어의 양단부에 평행하게 조립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과, 상기 고정플레이트 위로 겹쳐지게 조립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에 양단부가 안내되어 이동 가능한 이동플레이트와,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이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구비된 장애인용 전기자동차 있어서,
    상기 슬로프형 도어(20)의 힌지(22)에는 정역감속모터(11)가 설치되어 상기 슬로프형 도어(20)를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켜 출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수단(40)은 공지의 공압 실린더장치로 이루어지되, 상기 실린더장치의 작동로드(41)는 상기 이동플레이트(31)의 저면에 힌지 조립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30) 외측단부와 상기 이동플레이트(31) 내측단부는 경사면(32)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이동플레이트(31)가 상기 고정플레이트(30)로부터 슬라이드 이동되어 펼쳐졌을 때 상기 경사면(32)이 서로 맞닿도록 하여 경계면에 턱이 생기지 않도록 하며, 상기 이동플레이트(31)가 다시 접히는 초기 동작시에는 상기 이동플레이트(31)가 상기 경사면(32)을 따라 상기 고정플레이트(30) 상측으로 이동하여 포개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전기자동차의 슬로프형 도어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역감속모터(11) 및 상기 구동수단(40)은 상기 휠체어 출입구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전기자동차(10)의 배터리와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조작스위치(12)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정역감속모터(11)를 구동하여 상기 슬로프형 도어(20)를 회동시킨 후 상기 실린더장치를 구동하여 상기 이동플레이트(31)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펼쳐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전기자동차의 슬로프형 도어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인용 전기자동차의 후방 현가장치(50)는 커플드 토션빔 액슬(CTBA:coupled torsion beam axle) 현가장치로 이루어지되, 상기 CTBA현가장치는 상기 전기자동차의 차체 섀시(14)로부터 상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연장 형성된 후 수평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상측서스펜션암(51)에 제2실린더장치(56)가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2실린더장치(56)의 작동로드(57)는 상기 상측서스펜션암(51)과 힌지 조립된 하측서스펜션암(52) 사이에 설치되는 쇽업소바(55)의 코일스프링(54)과 상기 하측서스펜션암(52)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작동로드(57) 단부에는 상기 하측서스펜션암(52) 밑면에 지지되는 걸림구(58)가 조립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용 전기자동차의 슬로프형 도어장치.



KR2020120002381U 2012-03-26 2012-03-26 장애인용 전기자동차의 슬로프형 도어장치 KR2004713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381U KR200471315Y1 (ko) 2012-03-26 2012-03-26 장애인용 전기자동차의 슬로프형 도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381U KR200471315Y1 (ko) 2012-03-26 2012-03-26 장애인용 전기자동차의 슬로프형 도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760U KR20130005760U (ko) 2013-10-07
KR200471315Y1 true KR200471315Y1 (ko) 2014-02-17

Family

ID=51419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2381U KR200471315Y1 (ko) 2012-03-26 2012-03-26 장애인용 전기자동차의 슬로프형 도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31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29132A (ja) * 2018-08-21 2020-02-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気自動車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7164A (ja) * 2000-09-11 2002-03-26 Aisin Keikinzoku Co Ltd 車両用スロープ装置
JP2009040261A (ja) * 2007-08-09 2009-02-26 Aisin Keikinzoku Co Ltd 車両用スロープ装置
KR20100012327A (ko) * 2008-07-28 2010-02-08 서재구 휠체어 통로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7164A (ja) * 2000-09-11 2002-03-26 Aisin Keikinzoku Co Ltd 車両用スロープ装置
JP2009040261A (ja) * 2007-08-09 2009-02-26 Aisin Keikinzoku Co Ltd 車両用スロープ装置
KR20100012327A (ko) * 2008-07-28 2010-02-08 서재구 휠체어 통로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29132A (ja) * 2018-08-21 2020-02-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気自動車
JP7070237B2 (ja) 2018-08-21 2022-05-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気自動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760U (ko) 2013-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57510T3 (es) Conjunto accionador.
JP3437516B2 (ja) 拡幅機構付き車体
CN109009729B (zh) 一种可以辅助残疾人上下普通乘用车的轮椅
JP4982157B2 (ja) 昇降装置
KR200471315Y1 (ko) 장애인용 전기자동차의 슬로프형 도어장치
CN106627828B (zh) 摆动式升降越障机器人
KR101008702B1 (ko) 휠체어
CN107472151A (zh) 一种高强度、自锁型电动侧踏及其工作方法
KR101987486B1 (ko) 차량용 스텝 시스템
CN112641570A (zh) 一种残疾人车用升降平台及汽车
JP3137172U (ja) 昇降装置
JP2000190771A (ja) 車両用昇降装置
CN207627503U (zh) 一种轮椅
JP2020065687A (ja) 車椅子車載装置
CN207697565U (zh) 一种汽车防冲撞安全缓冲座椅
CN207462251U (zh) 残疾人无障碍通勤车
KR200472158Y1 (ko) 차량용 회전 의자
JP5122166B2 (ja) 昇降装置
CN212797375U (zh) 一种旅客登机轿厢
CN216915698U (zh) 一种车辆踏板
JP4384971B2 (ja) 車両用着座乗降シート
CN211918898U (zh) 一种新型后轮驱动玩具车
JP4982152B2 (ja) 昇降プラットホームの車止め装置及び昇降装置
CN108995604A (zh) 一种带有固定装置的残疾人用电车
CN216566491U (zh) 一种电动车座椅下拉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