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914Y1 - 차량용 벤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벤딩 램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69914Y1 KR200469914Y1 KR2020120004965U KR20120004965U KR200469914Y1 KR 200469914 Y1 KR200469914 Y1 KR 200469914Y1 KR 2020120004965 U KR2020120004965 U KR 2020120004965U KR 20120004965 U KR20120004965 U KR 20120004965U KR 200469914 Y1 KR200469914 Y1 KR 20046991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source
- bending lamp
- bending
- lamp
- ligh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4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screens, non-reflecting members, light-shielding members or fixed shades
- F21S41/4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screens, non-reflecting members, light-shielding members or fixed sha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thereof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F21S41/36—Combinations of two or more separate reflec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9—Attachment thereof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로우 빔을 가진 헤드 램프에 벤딩 램프를 구성하는 경우에, 벤딩 램프의 반사면에만 빛을 반사시키고 로우 빔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향하는 빛은 차단하는 구조를 갖는 벤딩 램프가 제공된다. 상기 벤딩 램프는 로우빔용 헤드 램프의 일측에 배치되는 벤딩 램프에 있어서, 광원; 상기 광원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차단부 및 개구부를 포함하는 벌브 쉴드; 및 상기 광원의 후면에 배치되는 벤딩 램프 반사경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차량용 벤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로우 빔을 가진 헤드 램프에 벤딩 램프를 구성하는 경우에, 벤딩 램프의 반사면에만 빛을 반사시키고 로우 빔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향하는 빛은 차단하는 구조를 갖는 차량용 벤딩 램프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헤드 램프는 램프 하우징에 고정되어 차량의 중심 라인과 일치하는 방향만을 조사한다. 따라서, 곡선 도로를 진행하는 경우, 헤드램프는 차량의 현재 자세에서의 정방향만을 비추게 되므로, 운전자는 진행하고자 하는 방향의 도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얻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차량의 좌우 회전상태에 따라 조사각이 좌우 방향으로 자동 조절되는 벤딩 램프를 헤드램프에 적용하는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그런데,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벤딩 램프 광원의 측면에는 통상적으로 쉴드가 위치해 있으며, 이 쉴드는 벤딩 램프의 광원에 의해 조사되는 빛이 헤드 램프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향하지 않도록 차단함으로써, 헤드 램프의 기능을 방해받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하지만, 이러한 쉴드의 존재로 인해 벤딩 램프가 조사하는 빛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없는 단점이 존재한다.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벤딩 램프의 광원이 조사하는 빛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벤딩 램프 구조를 제공한다.
[선행기술문헌]
한국공개공보 2001-0081988호
본 고안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벤딩 램프의 광원이 조사하는 빛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벤딩 램프 구조를 갖는 차량용 벤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차량용 벤딩 램프의 일 태양은 로우빔용 헤드 램프의 일측에 배치되는 벤딩 램프에 있어서, 광원; 상기 광원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차단부 및 개구부를 포함하는 벌브 쉴드; 및 상기 광원의 후면에 배치되는 벤딩 램프 반사경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벤딩 램프에 따르면, 벤딩 램프의 반사면에만 빛을 반사시키고 로우 빔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향하는 빛은 차단하도록 하는 쉴드 구조를 취함으로써, 벤딩 램프의 광원이 조사하는 빛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벤딩 램프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딩 램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딩 램프의 벌브 쉴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P 방향에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딩 램프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딩 램프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딩 램프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딩 램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딩 램프의 벌브 쉴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P 방향에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딩 램프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딩 램프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딩 램프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종래의 벤딩 램프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딩 램프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딩 램프의 벌브 쉴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P 방향에서 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딩 램프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딩 램프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벤딩 램프는 광원(300), 벌브 쉴드(500), 및 벤딩 램프 반사경(700)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벤딩 램프는 로우빔용 헤드 램프(1100, 1300, 1700)의 일측에 배치된다.
한편,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벤딩 램프 구조에서는 쉴드의 존재로 인해 벤딩 램프가 조사하는 빛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없는 구조이다.
이는 도 1 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데, 종래의 벤딩 램프에서 사용되는 쉴드는 벤딩 램프의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을 전면적으로 차단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쉴드의 본래의 역할에 따라 벤딩 램프(1, 3, 5, 7, 9)로부터 헤드 램프(11, 13, 17)쪽으로 조사되는 빛을 온전히 차단하고자 하기 위함이다.
도 1을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쉴드(5)의 존재로 인하여 빛이 차단되는 영역으로서 A 및 B가 존재한다. 이에 따라 종래의 벤딩 램프 구조에서는 벤딩 램프의 광원(3)이 조사하는 빛의 상당부분을 활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는 도 2 내지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벌브 쉴드의 구조를 사용한다. 도 2 및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듯,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벌브 쉴드(500)는 광원의 일측면에 형성되되, 차단부(510)와 개구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530)는 광원(300)이 조사한 빛의 일부를 통과시켜 상기 벤딩 램프 반사경(710)에 조사되도록 하고, 차단부(510)는 광원(300)이 조사한 빛이 상기 로우빔용 헤드 램프(1100, 1300, 1700)에 조사되지 못하도록 차단한다.
벌브 쉴드(500)는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원형의 형태로 광원의 일측면을 둘러싸되, 차단부(510)는 광원을 중심으로 양단부 사이의 각도(θ)가 180도 미만일 수 있다.
이는 광원(300)에서 조사하는 빛이 벤딩 램프 반사경(700)에 의해 반사된 이후 향하게 되는 빛의 이동 방향이 광원을 기준으로 좌측면인지 아니면 우측면인지에 따라 달라지는 것과도 관련이 있다.
벤딩 램프 반사경(700)은 벌브 쉴드(500)가 위치하는 방향의 제1 부분(710)과 광원(300)을 기준으로 벌브 쉴드(500)의 반대 방향의 제2 부분(730)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개구부(530)를 통과하여 제1 부분(710)에 의해 반사된 빛은 거의 차량의 전방 및 측방을 향해 조사될 수 있고, 제2 부분(730)에 의해 반사된 빛은 차량의 측방으로 조사될 수 있다.
즉, 종래에도 벤딩 램프의 역할은 차량의 측방으로 조사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회전 운행시 운전자의 시야 확보에 기여하고 있었으나, 본 고안의 경우에는 이러한 기능에 더하여, 로우빔용 헤드 램프측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동시에 벤딩 램프의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운전자의 전방 시야 확보에 보다 더 기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도 5에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딩 램프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벤딩 램프에서는, 광원(300)이 조사하는 빛이 D 영역은 물론이고, 종래의 벤딩 램프와는 다르게 C 영역으로도 조사된다. C 영역으로 조사된 빛은 벤딩 램프 반사경(700)의 제1 부분(710)에 의해 반사된 이후(도 5과 도 6의 C’), 이후에 제차 굴절되는 과정을 거쳐 차량의 전방 및 측방으로 향하도록 각도가 추가적으로 조정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방식을 통해 운전자의 보다 선명한 정면 시야 확보에 기여한다.
한편,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D 영역으로 조사된 빛은 벤딩 램프 반사경(700)의 제2 부분(730)에 의해 반사되어(도 6의 D’), 차량이 회전하게 될 방향을 향해 비추어짐으로써 운전자의 측면 시야 확보에 기여한다.
한편, 벌브 쉴드(500)의 차단부(510)는 광원(300)보다 전방부, 즉 광원(300)에서 조사되는 빛이 벤딩 램프 반사경(700)에 반사된 후 나아가는 방향 쪽으로 더 전진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광원을 포함하는 벌브(100)의 말단부가 벌브 쉴드(500)의 차단부(510)보다 더 전방부로 전진해 있는 구조로 도시되어 있으나, 벌브(100) 내부에 배치된 광원(300)이 차단부(510)보다 동일하거나 덜 전진해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취하는 것은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벤딩 램프(100, 300, 500, 700, 900)가 로우빔용 헤드 램프(1100, 1300, 1700)와 서로 배치되는 위치, 거리 및 각도를 고려한 결과로서, 개구부(530)를 통과하는 빛은 벤딩 램프 반사경(710)에 도달하도록 하고(도 5의 C 영역), 또한 차단부(510)를 통해 빛을 차단하도록 함으로써(도 5의 A 영역) 로우빔용 헤드 램프가 벤딩 램프 측의 빛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더 나아가, 이와 같은 구조는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광원(300)이 존재하는 위치, 벌브 쉴드(500)의 차단부(510)와 개구부(530)의 경계지점(도 6의 b) 및 벤딩 램프 반사경(700)의 제1 부분(710)의 말단지점(도 6의 a)의 위치를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다. 즉, 벌브 쉴드(500)의 차단부(510)와 개구부(530)의 경계지점(b)은 제1 부분(710)의 말단점(a) 및 상기 광원을 연결하는 직선 상에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직선보다는 후방에 위치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여기에서 후방이란, 벤딩 램프 반사경이 위치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만약 벤딩 램프 반사경(700)의 면적과 광원(300)에서 조사되는 빛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사용하고자 한다면, 제1 부분(710)의 말단점(a), 차단부(510)와 개구부(530)의 경계점(b) 및 광원(300)이 서로 일직선상에 배열되도록 설계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도 5에서 벤딩 램프(100, 300, 500, 700, 900)의 우측에 도시된 별도의 램프(2100, 2300, 2700)는 방향등이거나 또는 상향등일 수도 있는 등 적합한 용도의 램프를 사용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제거될 수도 있다. 다만, 이 별도의 램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벤딩 램프는 차단막(9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벤딩 램프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로우빔용 헤드 램프가 ON 작동한 상태에서, 차량의 스티어링 휠이 사전 설정된 각도 이상 회전하게 되었는지 여부를 차량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에서 감지, 연산 과정을 통해 인식한다. 만약 스티어링 휠이 사전 설정된 각도 이상 회전하게 되었다고 판단되면 벤딩 램프가 자동 점등된다.
이 때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서 제공하는 벤딩 램프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의 구조에 따라 벤딩 램프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로우빔용 헤드 램프의 반사경(1700)으로 전달되지 못하도록 차단하면서도, 개구부(530)를 통과한 빛은 벤딩 램프 반사경(700)에 의해 반사되어 차량의 전방 및 측방으로 조사된다.
다시 스티어링 휠이 사전 설정된 각도 이내로 회전하였다고 판단되면 벤딩 램프가 자동 소등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벌브 300: 광원
500: 벌브 쉴드 510: 차단부
530: 개구부 700: 벤딩 램프 반사경
710: 제1 부분 730: 제2 부분
900: 차단막 1700: 헤드 램프 반사경
500: 벌브 쉴드 510: 차단부
530: 개구부 700: 벤딩 램프 반사경
710: 제1 부분 730: 제2 부분
900: 차단막 1700: 헤드 램프 반사경
Claims (8)
- 로우빔용 헤드 램프의 일측에 배치되는 벤딩 램프에 있어서,
광원;
상기 광원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차단부 및 개구부를 포함하는 벌브 쉴드; 및
상기 광원의 후면에 배치되는 벤딩 램프 반사경을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광원이 조사한 빛의 일부를 통과시켜 벤딩 램프 반사경에 조사되도록 하고,
상기 차단부는 상기 광원이 조사한 빛이 상기 로우빔용 헤드 램프에 조사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벤딩 램프.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벌브 쉴드는 상기 광원의 일측면을 원형으로 둘러싸되,
상기 차단부는 상기 광원을 중심으로 양단부 사이의 각도가 180도 미만인 벤딩 램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광원보다 전방부로 더 전진하여 배치되는 벤딩 램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 램프 반사경은,
상기 벌브 쉴드가 위치하는 방향의 제1 부분과,
상기 광원을 기준으로 상기 벌브 쉴드의 반대 방향의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에 의해 반사된 빛은 차량의 측방으로 조사되는 벤딩 램프.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와 상기 개구부의 경계점은,
상기 제1 부분의 말단부 및 상기 광원을 연결하는 직선 상에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직선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벤딩 램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빔용 헤드 램프는 헤드 램프 반사경을 포함하되,
상기 헤드 램프 반사경은 상기 벤딩 램프 반사경과 일측에서 서로 연결된 벤딩 램프. - 광원, 및
상기 광원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차단부 및 개구부를 포함하는 벌브 쉴드를 포함하되,
차량의 로우빔용 헤드 램프가 조사되는 중에, 상기 차량의 스티어링 휠이 소정 각도 이상 회전한 경우 점등되고,
이후, 상기 차량의 스티어링 휠이 소정 각도 이내로 회전한 경우 소등되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광원이 조사한 빛의 일부를 통과시켜 벤딩 램프 반사경에 조사되도록 하고,
상기 차단부는 상기 광원이 조사한 빛이 상기 로우빔용 헤드 램프에 조사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벤딩 램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04965U KR200469914Y1 (ko) | 2012-06-12 | 2012-06-12 | 차량용 벤딩 램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04965U KR200469914Y1 (ko) | 2012-06-12 | 2012-06-12 | 차량용 벤딩 램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69914Y1 true KR200469914Y1 (ko) | 2013-11-20 |
Family
ID=50741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20004965U KR200469914Y1 (ko) | 2012-06-12 | 2012-06-12 | 차량용 벤딩 램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9914Y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10111A (ja) * | 2000-01-27 | 2001-08-03 | Koito Mfg Co Ltd | 車輌用灯具 |
JP2007280882A (ja) * | 2006-04-11 | 2007-10-25 | Ichikoh Ind Ltd | 車両用灯具 |
KR20100005681A (ko) * | 2008-07-07 | 2010-01-15 | 이종목 | 자동차용 굽은 도로 조명장치 |
-
2012
- 2012-06-12 KR KR2020120004965U patent/KR200469914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10111A (ja) * | 2000-01-27 | 2001-08-03 | Koito Mfg Co Ltd | 車輌用灯具 |
JP2007280882A (ja) * | 2006-04-11 | 2007-10-25 | Ichikoh Ind Ltd | 車両用灯具 |
KR20100005681A (ko) * | 2008-07-07 | 2010-01-15 | 이종목 | 자동차용 굽은 도로 조명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884708B1 (en) | Vehicle headlamp | |
EP1213532B1 (en) | Vehicle light with a movable reflector portion and a shutter portion for selectively switching an illuminated area of light incident o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vehicle light during driving | |
JP2004047461A (ja) | 二次的な光源を備える楕円形ヘッドライト | |
JP4762712B2 (ja) | 車両前照灯 | |
JP2012043656A (ja) | 車両用前照灯 | |
JP5819452B2 (ja) | 車両用フォグランプ | |
US10024513B2 (en) | Vehicle lamp unit and rotary light shielding member | |
JP5686240B2 (ja) | 車両用灯具 | |
KR101628290B1 (ko) | 차량용 헤드램프 | |
JP2014191996A (ja) | 車両用灯具ユニット | |
JP2010235108A (ja) | 車両用前照灯装置 | |
JP5706139B2 (ja) | 車両用前照灯装置 | |
JP2008027650A (ja) | 車輌用灯具 | |
JP2007294356A (ja) | 配光可変型前照灯 | |
JP2015149122A (ja) | 車両用灯具 | |
KR101106250B1 (ko) | 일체형 쉴드 구비 차량용 시그널 램프 | |
KR200469914Y1 (ko) | 차량용 벤딩 램프 | |
JP5938276B2 (ja) | 車両用前照灯の制御システム | |
JP5723418B2 (ja) | 車両用前照灯 | |
JPH0778503A (ja) |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 |
JP3661032B2 (ja) | 車両用灯具 | |
KR100740499B1 (ko) | 자동차 전조등용 유리렌즈 | |
JP2013052702A (ja) | プロジェクタ型ヘッドランプ | |
JP4040448B2 (ja) | 車両用灯体 | |
KR100501572B1 (ko) | 자동차용 헤드램프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