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322Y1 - 책갈피용 볼펜 및 샤프 - Google Patents

책갈피용 볼펜 및 샤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322Y1
KR200469322Y1 KR2020110000739U KR20110000739U KR200469322Y1 KR 200469322 Y1 KR200469322 Y1 KR 200469322Y1 KR 2020110000739 U KR2020110000739 U KR 2020110000739U KR 20110000739 U KR20110000739 U KR 20110000739U KR 200469322 Y1 KR200469322 Y1 KR 2004693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point pen
sharp
protector
pen
ball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07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5579U (ko
Inventor
김정식
김영은
Original Assignee
김영은
김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은, 김정식 filed Critical 김영은
Priority to KR20201100007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322Y1/ko
Publication of KR201200055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5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3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3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9/00Bookmarkers; Spot indicators; Devices for holding books open; Leaf tur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06Pencil-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01Suppor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005Pen barrels

Landscapes

  • Pens And Brushes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책갈피에 적합하게 꽂히고, 글쓰기의 신속성과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책갈피용 볼펜이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볼펜심이 있는 볼펜팁을 앞단에 장착하는 잉크 수용체, 상기 잉크 수용체의 휨을 방지하도록 상기 잉크 수용체를 수용하여 고정하는 볼펜 보호체, 및 상기 볼펜 보호체의 전.후 움직임을 보장하도록 상기 볼펜 보호체를 수용하는 수용구와, 상기 수용구의 하단에 연장되어 상기 볼펜 보호체의 전.후 움직임에 따라 팽창하고, 상기 볼펜 보호체의 고정에 따라 수축하는 탄성구를 구비하는 볼펜 몸체를 포함하는 책갈피용 볼펜이 제공된다.
이에, 본 고안은 수용구와 탄성구를 구비한 볼펜 몸체 구조를 개선하여 볼펜팁과 연결된 잉크 수용체와 볼펜 보호체를 사용자의 의도에 맞게 전.후 유동성을 부여함으로써, 기존의 스프링, 볼펜 심의 온.오프 스위치 도구 등을 제작하지 않아도 되어 볼펜 제작 단가를 크게 낮추는 효과가 달성된다.

Description

책갈피용 볼펜 및 샤프{BALL PEN AND SHARP FOR BOOKMARK}
본 고안은 책갈피용 볼펜 및 샤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책갈피에 적합하게 꽂히고, 글쓰기의 신속성과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책갈피용 볼펜및 샤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기 도구는 볼펜, 연필, 만연필 및 색연필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를 갖고 있으며, 이중에서도 볼펜은 많은 사람들에게 널리 사용되고 있다. 대부분의 볼펜 형태를 보면, 사용자의 손안에 쥐어질 수 있도록 원형 형태의 볼펜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원형 형태의 볼펜은 사용자의 손안에 쥐어지는데는 편리할 수 있으나, 책갈피용으로는 불편한 점이 많았다. 즉, 원형 형태의 볼펜이 책갈피 사이에 꽂히게 되면 책을 볼록하게 만들어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자주 책에서 이탈되는 등, 볼펜의 형태 면에서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볼펜은 내부에 스프링 등이 구비되어 상기 스프링의 반동 작용으로 볼펜심이 외부로 나오거나 내부로 들어갈 수 있는 형태로 기능이 부여되어 제작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기능을 갖기 위해서는 복잡한 형태로 볼펜을 제작해야 하므로 많은 시간이 소비되어야 하고, 볼펜의 내부에 구비되는 구성품 수가 늘어나기 때문에 볼펜 제작 비용이 대폭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샤프도 볼펜과 동일 또는 유사한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프링 및 볼펜 심(샤프심)의 온.오프 스위치 도구 등을 구비하지 않아도 볼펜(샤프)심이 자유 자재로 볼펜(샤프)의 몸체 내부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볼펜심(샤프심)의 유동성을 보장하는 책갈피용 볼펜 및 샤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기존의 원형 형태의 볼펜(샤프)에서 탈피하여 책갈피 사이에 적합하게 꽂힐 수 있도록 볼펜 몸체(샤프 몸체)의 형상을 개선하며, 사용자의 손안에 움켜지는 감촉이 좋게 볼펜 몸체(샤프 몸체)의 구조 및 재질을 개선하는 책갈피용 볼펜 및 샤프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고안의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볼펜심이 있는 볼펜팁을 앞단에 장착하는 잉크 수용체, 상기 잉크 수용체의 휨을 방지하도록 상기 잉크 수용체를 수용하여 고정하는 볼펜 보호체, 및 상기 볼펜 보호체의 전.후 움직임을 보장하도록 상기 볼펜 보호체를 수용하는 수용구와, 상기 수용구의 하단에 연장되어 상기 볼펜 보호체의 전.후 움직임에 따라 팽창하고, 상기 볼펜 보호체의 고정에 따라 수축하는 탄성구를 구비하는 볼펜 몸체를 포함하는 책갈피용 볼펜이 제공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볼펜 몸체는, 상기 볼펜 보호체의 전.후 움직임에 따라 상기 볼펜 보호체의 앞,후단 중 어느 하나의 일부분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볼펜 몸체는, 역삼각형의 형상에 근접하되, 볼록한 양면을 이뤄 전체적으로 쐐기형의 형태또는 타원형의 형태를 이루며, 경질 또는 연질 성질을 갖는 플라스틱군을 성형 압출하여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볼펜 몸체의 탄성구는, 실질적으로 일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샤프심이 있는 샤프팁을 앞단에 장착하는 샤프 수용체, 상기 샤프 수용체의 휨을 방지하도록 상기 샤프 수용체를 수용하여 고정하는 샤프 보호체, 상기 샤프 보호체의 전.후 움직임을 보장하도록 상기 샤프 보호체를 수용하는 수용구와, 상기 수용구의 하단에 연장되어 상기 샤프 보호체의 전.후 움직임에 따라 팽창하고, 상기 샤프 보호체의 고정에 따라 수축하는 탄성구를 구비하여 연질의 플라스틱 또는 고무로 제작되는 샤프 몸체, 및 상기 샤프 보호체의 후단에 연결되고, 상기 샤프 몸체의 후단에 위치하여 상기 샤프팁에서 나올 샤프심 길이를 조절하는 샤프심 조절체를 포함하되, 상기 샤프 몸체를 움켜지는 힘이 클 경우, 상기 샤프 보호체의 전.후 움직을 보장하고, 힘이 작을 경우 상기 샤프심 조절체를 눌러 상기 샤프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수용구와 탄성구를 구비한 볼펜 몸체(샤프 몸체) 구조를 개선하여 팁과 연결된 잉크 수용체와 볼펜 보호체(샤프 수용체, 샤프 보호체)를 사용자의 의도에 맞게 전.후 유동성을 부여함으로써, 기존의 스프링, 볼펜(샤프) 심의 온.오프 스위치 도구 등을 제작하지 않아도 되어 볼펜(샤프) 제작 단가를 크게 낮추는 효과가 달성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역삼각형의 형태를 갖되, 볼록한 양면을 이루는 쐐기형 볼펜 몸체(샤프 몸체) 구조로 인하여 책갈피 사이에 적합하게 꽂혀 책을 편리하게 들고 다닐 수 있으며, 책이나 노트 및 수첩속에 항상 있으므로 빠르고 편리하게 언제든지 바로 메모할 수 있고, 볼펜(샤프)이 외부로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등 사용자 편의적인 효과가 달성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플라스틱군을 성형 압출하여 볼펜(샤프) 몸체 등을 제작하게 됨으로써, 단위 시간당 볼펜(샤프) 생산 효율을 기존에 비하여 크게 높이고, 볼펜(샤프) 제작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달성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연질 성질을 갖는 플라스틱군을 볼펜(샤프) 몸체 제작에 사용함으로써, 신축성있는 볼펜(샤프) 제작으로 어린이들의 성장에 맞는 부드러운 형태의 볼펜(샤프)을 제공하고, 샤프 몸체를 고무 형태로 제작하여 지우개로 사용하는 효과가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갈피용 볼펜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갈피용 볼펜의 일부인 잉크 수용체 및 볼펜 보호체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펜 몸체(130)의 후단에서 노출된 볼펜 보호체(120)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펜 몸체(130, 130A, 130B)의 형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A-A'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책갈피용 샤프(200)의 구조와 샤프 보호체(220)의 동작 관계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펜 몸체(13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갈피용 볼펜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갈피용 볼펜의 일부인 잉크 수용체 및 볼펜 보호체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펜 몸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1, 도2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갈피용 볼펜(100)은 잉크 수용체(110), 볼펜 보호체(120) 및 볼펜 몸체(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본 고안의 잉크 수용체(110)는 필기 도구의 잉크를 충전하는 관으로서, 볼펜심이 있는 볼펜팁(111)을 관의 앞단에 장착하는 형태를 이룬다. 이러한 잉크 수용체(110)는 PVC, PP 등과 같이 연질 성질을 띄는 플라스틱군의 재질로 제작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경질 성질의 플라스틱군으로도 제작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볼펜 보호체(120)는 잉크 수용체(110)의 휨을 방지하도록 내부의 구멍안으로 잉크 수용체(110)를 수용하되, 볼펜팁(111)과 잉크 수용체(110)의 앞단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를 수용(삽입)하는 구조를 이룬다.
여기서, 외부로 노출된 잉크 수용체(110)의 앞단 부위는 사용자(예를 들면 어린이용, 어른용), 볼펜의 용도(예를 들면 노트용 필기구, 메모지용 필기구) 및 볼펜 외관의 크기 등의 이유로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제작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볼펜 보호체(120)는 잉크 수용체(110)를 내부로 수용(삽입)하면서도 잉크 수용체(110)를 내부에서 고정하도록 하기 위하여 밀착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잉크 수용체(110)와 동일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고안의 볼펜 몸체(130)는 볼펜 보호체(120)를 앞단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삽입하여 볼펜 보호체(120)를 보호하면서도 본래의 필기 도구의 기능을 하도록 손잡이 역할을 하는 도구로서, 삽입된 볼펜 보호체(120)의 전, 후 움직임을 융통성 있게 가져가기 위하여 수용부(131, 이하, '수용구'라 함)와 탄성홈(132, 이하, '탄성구'라 함)을 구비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수용구(131)는 볼펜 몸체(130)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볼펜 보호체(120)를 수용하는 구조로서, 볼펜 보호체(120)의 전, 후 움직임을 보장하도록 볼펜 보호체(120)를 볼펜 몸체(130) 내부로 수용(삽입)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하여 사용자의 일정한 힘에 의해 볼펜 보호체(120)의 전, 후 움직임을 가질 수 있도록 탄성력(수축, 팽창)을 가지는 재질로 제작되어 볼펜 보호체(120)를 수용(삽입)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수용구(131)의 탄성력만으로는 볼펜 보호체(120)의 전, 후 움직임을 보장하는데 미흡할 수 있기 때문에 볼펜 몸체(130)에서 탄성구(132)를 더 구비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탄성구(132)는 볼펜 몸체(130)의 내부에 형성되는 구조로서, 수용구(131)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볼펜 보호체(130)의 전, 후 움직임에 따라 팽창하고, 볼펜 보호체(130)의 고정에 따라 수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수용구(131) 및 탄성구(132) 구조로 인해, 볼펜 몸체(130)의 수용구(131)안으로 수용된 상태에 있는 볼펜 보호체(120)는 수용구(131)의 수축 작용으로 인하여 볼펜 몸체(130)의 내부에서 일단 고정되게 되며, 차후에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볼펜 몸체(130)가 수직에 가깝게 세워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일정한 힘이 가해질 경우 수용구(131) 및 탄성구(132)의 팽창 작용으로 인하여 전, 후 움직임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수용구(131)의 내부에서 볼펜 보호체(120)의 전, 후 움직임이 발생하게 되면, 볼펜 보호체(120)의 앞, 후단 중 어느 하나의 일부분이 볼펜 몸체(130)의 외부로 노출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에서는 볼펜 보호체(120)의 앞단이 볼펜 몸체(130)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만을 보여주고 있다. 도 1에서와 같이, 볼펜 보호체(120)의 노출된 상태가 앞단일 경우에는 볼펜 몸체(130)의 후단으로 나온 볼펜 보호체(120)의 전방을 향하여 사용자의 일정한 힘이 가해질 경우에 발생한 결과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펜 몸체(130)의 후단에서 노출된 볼펜 보호체(120)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볼펜 보호체(120)가 볼펜 몸체(130)의 수용구(131)에서 후방 움직임으로 인하여 볼펜 몸체(130)의 후단으로 노출될 수 있는데이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볼펜 몸체(130)가 수직에 가깝게 세워진 상태에서 노트의 지면에 닿은 볼펜심에 힘이 가해질 경우, 잉크 수용체(110)와 볼펜 보호체(120)의 앞단 일부분이 볼펜 몸체(130)의 수용구 안으로 밀려들어가 볼펜 보호체(120)의 후단이 볼펜 몸체(130)의 후단으로 나와 노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볼펜 보호체(120)가 볼펜 몸체(130)의 수용구(131) 및 탄성구(132)의 덕택으로 볼펜 몸체(130) 내에서 전, 후 움직임을 갖게 되면, 기존의 볼펜심 온,오프 동작을 위한 기구들이 구비되지 않아도 되는 유익함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펜 몸체(130, 130A, 130B)의 형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A-A'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볼펜 몸체(130)는 형태적인 면에서 역삼각형에 근접한 형상을 갖되, 볼록한 양면(135)을 이뤄 전체적으로 쐐기형의 형상을 이루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쐐기형의 형태는 각 모서리(133, 134)마다 각진 상태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과 책갈피에 적합하게 쓰이도록 둥근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쐐기형의 볼펜 몸체(130)를 구비하게 됨으로써, 책깔피 사이에 본 고안의 볼펜(100)이 꽂힐 경우, 볼펜(100)이 책깔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적당한 책 두께를 유지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본 고안의 쐐기형 볼펜 몸체(130)는 재질면에서 경질 또는 연질 성질을 갖는 플라스틱군을 성형 압출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이때, 경질 또는 연질 성질에 상관없이 사용될 플라스틱군으로는 PVC, PP 등이 가능하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연질 성질의 쐐기형 볼펜 몸체(130)일 경우에는 실리콘과 같은 재질도 가능하다. 연질의 쐐기형 볼펜 몸체(130)는 어린이용으로 유용하다.
이와 같은 재질을 바탕으로 하여 성형 압출 방식에 의해 쐐기형 볼펜 몸체(1300가 제작되면, 간단하면서도 빠른 시간안에 볼펜 몸체(130)의 제작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쐐기형 볼펜 몸체(130)의 내부에는 볼펜 보호체(120)의 형태와 맞게 원형 형태의 수용구(131)가 구비되면서도 원활한 탄성 작용을 위하여 실질적으로 일자 형상의 탄성구(132)를 구비할 수 있다.
일자 형상의 탄성구(132)일 경우에는 볼펜 보호체(120)가 볼펜 몸체(130)의 수용구(131) 안에서 고정될 경우 수축 작용을 발휘하여 더욱 단단히 볼펜 보호체(120)를 고정하게 되고, 볼펜 보호체(120)의 움직임에 대해 적당한 수축 작용을 함과 동시에 팽창 작용을 하게 됨으로써, 볼펜 보호체(120)의 움직임을 적절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볼펜 몸체(130A)는 도 4의 쐐기형 볼펜 몸체(130) 구조와 다르게 상단 부분이 둥근 형태로 되어 있으며, 나머지 구조는 동일하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탄성구(136)는 도 4의 일자형 탄성구(132) 구조와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탄성구(136)는 수용구(131)의 가장 넓은 가로폭과 동일한 상단폭을 가지며, 하부를 향할수록 작아지는 형태 구조를 이룬다. 이 또한, 적당한 볼펜 보호체(120)의 움직임과 고정 상태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된 볼펜 몸체(130B)는 도 4의 쐐기형 볼펜 몸체(130)와 다른 타원형 구조를 보여준다. 이러한 타원형 형상의 볼펜 몸체(130A)도 도 4의 볼펜 몸체(130) 형상과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손잡이에 적합하고, 책갈피의 사이에 끼워질 경우 책갈피의 두께를 적당하게 유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도 7에 도시된 볼펜 몸체(130B)는 도 6과 같이 타원형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두 개의 수용구(131, 131A)와 하나의 탄성구(132) 구조를 보여준다. 각 수용구(131,131A)는 동일한 형태를 이룬다. 이러한 두 개의 수용구(131, 131A)는 두개의 볼펜 보호체(120)를 삽입, 장착할 수 있으며, 볼펜 보호체(120)의 전, 후 움직임을 보장한다.
이상의 도 4 내지 도 7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여러 형태의 볼펜 몸체(130, 130A, 130B), 수용구(131, 131A) 및 탄성구(132, 136)를 구비하여 다양한 사용자의 취향과 편의성을 만족시켜줄 수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볼펜 몸체(130, 130A, 130B)은 그 일례에 불과할 뿐, 그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 실시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책갈피용 샤프(200)의 구조와 샤프 보호체(220)의 동작 관계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책갈피용 샤프(200)는 샤프심이 있는 샤프팁(211)을 앞단에 장착하는 샤프 수용체(210), 상기 샤프 수용체(210)의 휨을 방지하도록 상기 샤프 수용체(210)를 수용하여 고정하는 샤프 보호체(220), 샤프 몸체(230)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샤프 보호체(220)를 수용하는 수용부(231, 이하, '수용구'라 함)와 상기 수용구(231)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샤프 보호체(220)의 수용구(231)내 전, 후 이동을 위해 샤프 몸체(230)의 팽창 및 수축이 가능하도록 틈을 제공하는 탄성홈(232, 이하, '탄성구'라 함)을 구비하여 연질의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는 샤프 몸체(230), 및 상기 샤프 보호체(220)의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샤프 몸체(230)의 후단에 위치하며, 상기 샤프팁(211)에서 나올 샤프심 길이를 조절하는 샤프심 조절체(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고안의 샤프 수용체(210), 샤프 보호체(220) 및 샤프 몸체(230)는 각각 도 1의 잉크 수용체(110), 볼펜 보호체(120) 및 볼펜 몸체(130) 구조와 동일하며, 다만 샤프심 조절체(240)만이 도 1의 책갈피용 볼펜(100)과의 차이가 있다.
또한, 도 1과 비교하여 차이가 있는 점은 샤프 보호체(220)의 전, 후 움직임의 조건이 다른다는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의 샤프 몸체(230)는 연질의 플라스틱 또는 고무로 제작되기 때문에 사용자에 의해 샤프 몸체(230)를 움켜쥐는 힘이 클 경우 샤프 몸체(230) 내에서 샤프 보호체(220)의 전, 후 움직임을 가질 수 있으나, 사용자에 의해 샤프 몸체(230)를 움켜쥐는 힘이 작을 경우는 샤프 몸체(230) 내에서 전, 후 움직임을 발생시키지 않고 샤프 조절체(240)의 동작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샤프 조절체(240)를 눌러 샤프심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한다. 본 고안의 샤프 몸체(230)가 고무로 제작될 경우 지우개로 사용된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책갈피용 샤프(200)도 책갈피용 볼펜(100)과 같은 장점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0 : 책갈피용 볼펜 110 : 잉크 수용체
111 : 볼펜팁 120 : 볼펜 보호체
130 : 볼펜 몸체 131 : 수용구
132, 136 : 탄성구 133, 134 : 모서리
135 : 쐐기형의 양면 200 : 책갈피용 샤프
211 ; 샤프팁 210 : 샤프 수용체
220 : 샤프 보호체 230 : 샤프 몸체
231 : 수용구 232 : 탄성구
240 : 샤프심 조절체 130A, 130B : 볼펜 몸체

Claims (6)

  1. 볼펜심이 있는 볼펜팁을 앞단에 장착하는 잉크 수용체;
    상기 잉크 수용체의 휨을 방지하도록 상기 잉크 수용체를 수용하여 고정하는 볼펜 보호체; 및
    볼펜 몸체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볼펜 보호체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볼펜 보호체의 수용부내 전, 후 이동을 위해 볼펜 몸체의 팽창 및 수축이 가능하도록 틈을 제공하는 탄성홈을 구비하는 볼펜 몸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갈피용 볼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볼펜 몸체는,
    상기 볼펜 몸체는,
    상기 볼펜 보호체의 전, 후 움직임에 따라 상기 볼펜 보호체의 앞, 후단 중 어느 하나의 일부분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갈피용 볼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볼펜 몸체는,
    역삼각형의 단면을 가지며, 볼록한 양면을 이뤄 전체적으로 쐐기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갈피용 볼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볼펜 몸체는,
    경질 또는 연질 성질을 갖는 플라스틱군을 성형 압출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갈피용 볼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볼펜 몸체의 탄성홈은, 일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갈피용 볼펜.
  6. 샤프심이 있는 샤프팁을 앞단에 장착하는 샤프 수용체;
    상기 샤프 수용체의 휨을 방지하도록 상기 샤프 수용체를 수용하여 고정하는 샤프 보호체;
    샤프 몸체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샤프 보호체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샤프 보호체의 수용부내 전, 후 이동을 위해 샤프 몸체의 팽창 및 수축이 가능하도록 틈을 제공하는 탄성홈을 구비하여 연질의 플라스틱 또는 고무로 제작되는 샤프 몸체; 및
    상기 샤프 보호체의 후단에 연결되고, 상기 샤프 몸체의 후단에 위치하여 상기 샤프팁에서 나올 샤프심 길이를 조절하는 샤프심 조절체를 포함하되,
    상기 샤프 몸체를 움켜쥐는 힘이 클 경우, 상기 샤프 보호체의 전, 후 움직임을 보장하고, 힘이 작을 경우 상기 샤프심 조절체를 눌러 상기 샤프심 길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갈피용 샤프.
KR2020110000739U 2011-01-26 2011-01-26 책갈피용 볼펜 및 샤프 KR2004693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739U KR200469322Y1 (ko) 2011-01-26 2011-01-26 책갈피용 볼펜 및 샤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739U KR200469322Y1 (ko) 2011-01-26 2011-01-26 책갈피용 볼펜 및 샤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579U KR20120005579U (ko) 2012-08-03
KR200469322Y1 true KR200469322Y1 (ko) 2013-10-04

Family

ID=46874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0739U KR200469322Y1 (ko) 2011-01-26 2011-01-26 책갈피용 볼펜 및 샤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32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5849B1 (ko) * 2015-02-26 2016-04-28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책갈피 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9824U (ko) * 1996-12-20 1998-09-15 김근식 필기가 가능한 책갈피
KR20080062376A (ko) * 2006-12-29 2008-07-03 (주) 태양아이에스 필기구 겸용 책갈피
JP2010083104A (ja) 2008-10-02 2010-04-15 Riso Kagaku Corp 筆記具
US20100202821A1 (en) 2009-02-06 2010-08-12 Everyday Innovations Inc. Devices for marking and tagging books or other writing surfac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9824U (ko) * 1996-12-20 1998-09-15 김근식 필기가 가능한 책갈피
KR20080062376A (ko) * 2006-12-29 2008-07-03 (주) 태양아이에스 필기구 겸용 책갈피
JP2010083104A (ja) 2008-10-02 2010-04-15 Riso Kagaku Corp 筆記具
US20100202821A1 (en) 2009-02-06 2010-08-12 Everyday Innovations Inc. Devices for marking and tagging books or other writing surfac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5849B1 (ko) * 2015-02-26 2016-04-28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책갈피 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579U (ko) 2012-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63329B2 (ja) 静電容量型タッチペンを搭載した筆記具
US3887286A (en) Finger-tip writing instrument
JP2017521290A (ja) 握持を容易にする異軸ペン
JP3987711B2 (ja) 筆記用具
JP6226414B2 (ja) スリムタイプボールペン
KR200469322Y1 (ko) 책갈피용 볼펜 및 샤프
KR20170121440A (ko) 교육용 손가락펜
JP6828305B2 (ja) 筆記具
US7001090B2 (en) Offset pen
KR200456338Y1 (ko) 각도 조절 마크펜
JP4906625B2 (ja) ノック式筆記具
KR200308103Y1 (ko) 볼펜과 샤프연필 겸용 필기구
KR20220132167A (ko) 손가락펜
CN219446561U (zh) 二指指头笔
CN219405945U (zh) 二指贴靠式指头笔
KR200331545Y1 (ko) 삽지식 필기구 집게
JP2001310583A (ja) 筆記具
JP4848066B2 (ja) 筆記具
JP5024941B2 (ja) 筆記具
KR200351049Y1 (ko) 몽당 연필 사용이 가능한 볼펜 몸체 구조
KR100625257B1 (ko) 보조 파지부를 갖는 필기구 및 필기구용 홀더
CN208216357U (zh) 一种粉笔夹持器
KR200348228Y1 (ko) 필기 도구 구조
JP4055624B2 (ja) 筆記具又は塗布具
KR20200002244U (ko) 교육용 손가락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