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317Y1 - 철도 차량기지 전용도어장치 - Google Patents

철도 차량기지 전용도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317Y1
KR200468317Y1 KR2020120001207U KR20120001207U KR200468317Y1 KR 200468317 Y1 KR200468317 Y1 KR 200468317Y1 KR 2020120001207 U KR2020120001207 U KR 2020120001207U KR 20120001207 U KR20120001207 U KR 20120001207U KR 200468317 Y1 KR200468317 Y1 KR 2004683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anger
railway vehicle
rail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12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성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성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성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1200012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3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3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31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 E05D15/264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for bi-fold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0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fol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48Wings connected at their edges, e.g. foldabl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6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garages

Abstract

본 고안은 철도 차량기지 전용도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철도 차량기지에게 철도 차량의 수리중 차량이 도어장치상에 정차하는 경우 냉기가 기지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량의 테두리형상으로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된 행거도어가 폴딩도어의 전방에 더 구비된 철도 차량기지 전용도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을 적용하면, 차량기지의 입구부에 대한 철도차량의 위치에 따라 자유롭게 폴딩도어와 행거도어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고, 그로인해 동절기에 철도차량이 입구부에 위치된 경우라고 할지라도 철도차량의 형상으로 절개된 절개부가 구비된 행거도어를 폐쇄시키도 외부의 냉기가 차량기지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철도 차량기지 전용도어장치{DOOR APPARATUS FOR RAILWAY CARRIAGE BASE}
본 고안은 철도 차량기지 전용도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철도 차량기지에게 철도 차량의 수리중 차량이 도어장치상에 정차하는 경우 냉기가 기지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량의 테두리형상으로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된 행거도어가 폴딩도어의 전방에 더 구비된 철도 차량기지 전용도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종래의 폴딩 도어는 각종 출입구 게이트 및 대문류, 공장 출입문, 전동차류의 도어 등에 사용되어 출입구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공장 등에서 대면적의 도어를 모터의 동작에 의해 단일의 작업자가 신속하게 개폐할 수 있으므로 최근에는 그 사용이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하, 종래의 철도 차량기지용 도어장치의 구조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 1b, 2a, 2b, 2c는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기지용 도어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동 도면에 도시된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기지용 도어장치(2)는 폴딩도어(20)로 구성되어 철도 차량의 이동시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창고 등의 출입문 설치부 천장에 레일(4: 랙기어로 구성 가능)이 설치되고, 그 레일(4)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행거부(28: 피니언기어 내장형으로 구성 가능)의 하단에 접이식 도어부(8, 10, 12, 14)의 상단이 결합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접이식 도어부(8, 10, 12, 14)는 다단으로 절첩 가능하게 각 도어 패널(24)의 절첩부(22)간 또는 도어패널(24)과 세로 지지대(6)간에 힌지부(32)가 장착되어 있다.
이때, 상기 레일(4)에 체인(미도시)을 장착하고, 모터(30)축에 고정된 스프라켓의 회전력으로 체인을 이동시키고, 그 체인에 상기 행거부(28)가 고정되게 함으로써 접이식 도어부(8, 10, 12, 14)의 개폐를 수행하도록 한 구조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러한 폴딩도어 또는 행거도어의 구조는 일반적인 공지의 구조임을 미리 밝힌다.
한편, 종래의 폴딩 도어(20)는 폴딩 도어(20) 자체의 중량이 크므로, 일반 출입구 도어나 차량 도어에서와 같이 유압작동구나, 모터에 의해 도어가 절첩되는 것이 아니고, 별도의 오퍼레이션 시스템이 구비되는 바, 본 종래의 예로는 모터(30)의 작동에 의해 개페되는 폴딩도어의 예를 제시하며, 그 모터(30)는 별도의 스위치박스(34)의 조작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어 도어가 개폐된다.
바람직하게, 종래의 도어장치(2)는 모터(30)가 정회전되도록 조작하면, 모터(30)의 회전력을 랙기어로 이루어진 레일(4)이 전달받아 회전되고, 그 회전력에 의해 피니언기어로 이루어진 행거부(28)가 좌우로 이동되면서 각 접이식 도어부(8, 10, 12, 14)가 절첩부(22)를 기준으로 접혀져서 출입문이 개방된다.
이를 위해, 상기 레일(4)은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의 수나사 형성방향이 상호 대칭되게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랙기어의 구성은 공지의 구성이며, 미설명부호 36은 상기 접이식 도어부(8,12)와 행거부(28)를 연결하는 링크이다.
출입구 폐쇄 동작은 상기 개방동작의 역순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철도 차량기지용 도어장치(2)는 철도차량(1)이 이동되면서 고장수리 및 부품교체 등의 점검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철도차량(1)이 철도 차량기지용 도어장치(2)에 정차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하지만, 동절기의 경우에는 철도차량(1)이 철도 차량기지용 도어장치(2)에 정차하게 되면 작업자들이 추위 때문에 작업을 지속하기에 매우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철도 차량기지에게 철도 차량의 수리중 차량이 도어장치상에 정차하는 경우 냉기가 기지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량의 테두리형상으로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된 행거도어가 폴딩도어의 전방에 더 구비된 철도 차량기지 전용도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철도 차량기지의 입구부에 설치되며, 모터에 의해 절첩되는 폴딩도어와; 철도 차량기지의 입구부에 설치되되, 상기 폴딩도어의 전방에 설치되어 모터에 의해 좌우로 슬라이딩되면서 개폐되고, 그 전면 소정부에 차량의 테두리형상으로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된 행거도어가 구성되어 동절기 철도차량이 입구부에 위치된 경우라도 냉기가 차량기지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기지 전용도어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폴딩도어는 입구부 천장에 레일이 설치되고, 그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행거부의 하단에 접이식 도어부의 상단이 링크 결합되어져 있으며, 상기 접이식 도어부는 다단으로 절첩 가능하게 각 도어 패널의 절첩부간 또는 도어패널과 세로 지지대간에 힌지부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패널의 상단과 행거부는 링크로 연결되어져 있고,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레일이 회전되고 레일의 회전력은 행거부를 위치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기지 전용도어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행거도어는 입구부 천장에 레일이 설치되고, 그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행거부의 하단에 제 1, 2 폴딩도어의 상단이 결합되어져 있으며, 제 1, 2 폴딩도어의 전면에 철도차량의 형상으로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레일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상기 행거부가 위치이동되게 함으로써 상기 제 1, 2 폴딩도어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기지 전용도어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철도 차량기지 전용도어장치는 차량기지의 입구부에 대한 철도차량의 위치에 따라 자유롭게 폴딩도어와 행거도어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고, 그로인해 동절기에 철도차량이 입구부에 위치된 경우라고 할지라도 철도차량의 형상으로 절개된 절개부가 구비된 행거도어를 폐쇄시키도 외부의 냉기가 차량기지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a, 1b는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기지용 도어장치의 폐쇄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a, 2b, 2c는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기지용 도어장치의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a, 3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기지 전용도어장치에 철도차량이 정차하여 작업중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a, 4b, 4c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기지 전용도어장치의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a, 3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기지 전용도어장치에 철도차량이 정차하여 작업중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a, 4b, 4c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기지 전용도어장치의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기지 전용도어장치(200)는 철도 차량기지에게 철도 차량의 수리중 차량이 도어장치상에 정차하는 경우 냉기가 기지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량의 테두리형상으로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된 행거도어가 폴딩도어의 전방에 더 구비된 도어장치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기지 전용도어장치(200)는 철도차량(1)이 보수나 고장 수리작업중 철도 차량기지의 입구부에 설치되며, 모터(30)에 의해 절첩되는 폴딩도어(20)와; 철도 차량기지의 입구부에 설치되되, 상기 폴딩도어(20)의 전방에 설치되어 모터(30)에 의해 좌우로 슬라이딩되면서 개폐되고, 그 전면 소정부에 차량의 테두리형상으로 절개된 절개부(236)가 형성된 행거도어(210,220)가 구성되어 동절기 철도차량(1)이 입구부에 위치된 경우라도 냉기가 차량기지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즉, 철도 차량기지에서 철도차량(1)의 보수작업이나 고장 수리작업을 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철도차량(1)의 한 량씩 전진하면서 플랫폼이나 철도레일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바, 이러한 작업시에는 빈번하게 철도차량(1)이 입구부에 위치되는 경우가 있으며, 그렇게 되면 일반적인 도어의 경우에는 철도차량(1)으로 인해 닫힐 수 없으므로 동절기에 냉기가 철도기지 내부로 그대로 유입되게 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기지 전용도어장치(200)는 그 전방에 차량의 테두리형상으로 절개된 절개부(236)가 형성된 행거도어(210,220)를 구성함으로써, 철도차량(1)이 입구부에 위치되는 경우라고 할지라도 행거도어(210,220)를 닫을 수 있으며, 행거도어(210,220)를 닫는 경우에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부(236)에 철도차량(1)이 삽입된 형태가 되어 냉기가 차량기지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상기 모터(230)는 스위치박스(238)에 사용자가 조작신호를 입력하여 구동시킨다.
하지만,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기지 전용도어장치(200)가 단지 중앙에 절개부(236)가 형성된 구성이라면 철도차량(1)이 입구부에 위치되지 않는 경우에는 차량기지를 폐쇄시킬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기지 전용도어장치(200)는 상기 행거도어(210,220)의 후방에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딩도어(20)를 구성하여 철도차량(1)이 입구부에 위치되지 않는 경우에 차량기지를 폐쇄시키도록 한다.
상기 폴딩도어(20)는 입구부 천장에 레일(4)이 설치되고, 그 레일(4)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행거부(36: 도 1b참조)의 하단에 접이식 도어부(8,10,12,14)의 상단이 결합되어져 있으며, 상기 접이식 도어부(8,10,12,14)는 다단으로 절첩 가능하게 각 도어 패널의 절첩부(22)간 또는 도어패널(24)과 세로 지지대(6)간에 힌지부(32)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패널(24)의 상단과 행거부(36)는 링크(36)로 연결되어져 있고, 모터(30)의 회전력에 의해 레일(4)이 회전되고 레일(4)의 회전력은 행거부(36)를 위치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레일(4)은 바람직하게 외부에 수나사가 구성된 랙기어이며, 상기 행거부(36)는 내주연에 암나사가 구성된 기어로 구성할 수 있고, 상기 레일(4)은 중앙부를 중심으로 좌우측의 수나사가 각각 대칭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기지 전용도어장치(200)에 구성된 상기 행거도어는 입구부 천장에 레일(232)이 설치되고, 그 레일(232)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행거부(234)의 하단에 제 1, 2 폴딩도어(210,220)의 상단이 결합되어져 있으며, 제 1, 2 폴딩도어(210,220)의 전면에 철도차량(1)의 형상으로 절개부(236)가 형성되고, 상기 레일(232)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상기 행거부(234)가 위치이동되게 함으로써 상기 제 1, 2 폴딩도어(210,220)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230)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기지 전용도어장치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철도차량이 스스로 주행하거나 또는 견인되어 차량기지로 입고되는 경우,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기지 전용도어장치(200)는 철도차량(1)이 진입할 수 있도록 도어를 개방하는 바, 사용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기지 전용도어장치(200)에 구성된 폴딩도어(20)의 스위치박스(34)를 조작하여 모터(30)를 회전시키고 레일(4)을 따라 행거부(28)가 좌우측으로 이동되게 한다.
그러면, 그 행거부(28)에 링크(36)로 연결된 상기 접이식 도어부(8,10,12,14)가 좌우로 절첩되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다.
동시에, 사용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기지 전용도어장치(200)에 구성된 행거도어(210, 220)의 스위치박스(238)를 조작하여 모터(230)를 회전시키고 레일(232)을 따라 행거부(234)가 좌우측으로 슬라이딩되게 한다.
그러면, 상기 행거도어(210,220)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다.
그 상태에서, 철도차량(1)은 차량기지의 내부로 이동된다.
만약, 철도차량(1)이 입구부에 위치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폴딩도어(20)와 행거도어(210, 220)를 모두 폐쇄시킨다.
그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작업을 수행하다가, 철도차량(1)이 입구부에 위치되어야 하는 경우라면, 사용자는 상기 폴딩도어(20)의 개방이 유지된 상태에서 철도차량(1)을 제외한 공간이 폐쇄될 수 있도록 상기 행거도어(210,220)를 폐쇄시킨다.
그러면, 상기 행거도어(210,220)가 폐쇄되면서 입구부에 위치된 철도차량(1)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거도어(210,220)의 절개부(236)에 끼워지게 됨으로써 외부의 냉기가 차량기지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기지 전용도어장치에 구성된 폴딩도어나 행거도어 구조는 다양한 공지의 구조가 자유롭게 적용 가능하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기지 전용도어장치는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4,232:레일, 8,10,12,14:접이식 도어부,
20:폴딩도어, 28,234:행거부,
30,230:모터, 210,220:행거도어,
236:절개부.

Claims (3)

  1. 철도 차량기지의 입구부에 설치되며, 모터에 의해 절첩되는 폴딩도어와;
    철도 차량기지의 입구부에 설치되되, 상기 폴딩도어의 전방에 설치되어 모터에 의해 좌우로 슬라이딩되면서 개폐되고, 그 전면 소정부에 차량의 테두리형상으로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된 행거도어가 구성되어 동절기 철도차량이 입구부에 위치된 경우라도 냉기가 차량기지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기지 전용도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도어는 입구부 천장에 레일이 설치되고, 그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행거부의 하단에 접이식 도어부의 상단이 링크 결합되어져 있으며, 상기 접이식 도어부는 다단으로 절첩 가능하게 각 도어 패널의 절첩부간 또는 도어패널과 세로 지지대간에 힌지부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패널의 상단과 행거부는 링크로 연결되어져 있고,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레일이 회전되고 레일의 회전력은 행거부를 위치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기지 전용도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도어는 입구부 천장에 레일이 설치되고, 그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행거부의 하단에 제 1, 2 폴딩도어의 상단이 결합되어져 있으며, 제 1, 2 폴딩도어의 전면에 철도차량의 형상으로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레일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상기 행거부가 위치이동되게 함으로써 상기 제 1, 2 폴딩도어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기지 전용도어장치.
KR2020120001207U 2012-02-16 2012-02-16 철도 차량기지 전용도어장치 KR2004683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207U KR200468317Y1 (ko) 2012-02-16 2012-02-16 철도 차량기지 전용도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207U KR200468317Y1 (ko) 2012-02-16 2012-02-16 철도 차량기지 전용도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8317Y1 true KR200468317Y1 (ko) 2013-08-06

Family

ID=51396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1207U KR200468317Y1 (ko) 2012-02-16 2012-02-16 철도 차량기지 전용도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317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369Y1 (ko) 1998-07-29 2000-05-15 표철수 폴딩도어의 먼지유입 방지구조
KR20090099826A (ko) * 2008-03-18 2009-09-23 위선복 방화 스크린 셔터
KR200450752Y1 (ko) 2008-07-25 2010-10-29 (주)디앤지오토매틱 직선운동기구와 링크장치를 이용한 접이식 자동문
KR20110006252U (ko) * 2009-12-15 2011-06-22 훼이스건설 주식회사 폴딩 도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369Y1 (ko) 1998-07-29 2000-05-15 표철수 폴딩도어의 먼지유입 방지구조
KR20090099826A (ko) * 2008-03-18 2009-09-23 위선복 방화 스크린 셔터
KR200450752Y1 (ko) 2008-07-25 2010-10-29 (주)디앤지오토매틱 직선운동기구와 링크장치를 이용한 접이식 자동문
KR20110006252U (ko) * 2009-12-15 2011-06-22 훼이스건설 주식회사 폴딩 도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166142A1 (en) Door arrangement
KR101874013B1 (ko) 접이식 도어 장치
KR101571885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터널용 공동구의 미닫이 덮개
US20090301821A1 (en) Elevator entrance apparatus
KR101730612B1 (ko) 전동접이식 도어 시스템
US9003708B2 (en) Moving body drive apparatus
JP6804344B2 (ja) ドア装置及びドア装置を備える車両
KR100830570B1 (ko) Psd용 구동부 커버의 개폐 장치
KR200468317Y1 (ko) 철도 차량기지 전용도어장치
KR102223558B1 (ko) 수동개폐를 위한 구조를 갖는 수직개폐 스크린도어
CN204198194U (zh) 安全电梯
KR100874306B1 (ko) 리프팅 이동 전기자
CN204199997U (zh) 电动双折门
KR20080036571A (ko) 절첩식 무빙 도어 장치
KR20170083322A (ko) 엘리베이터 카도어 개폐 장치
KR101649494B1 (ko) 비상문 자동 개폐형 도어
KR102217624B1 (ko) 다중 슬라이딩 전동도어
KR102529899B1 (ko) 차량용 스윙도어 스탠션 장치
JP2012111296A (ja) 可動ホーム柵
KR101202285B1 (ko) 지하철 차고지용 자동 절첩식 폴드-슬라이딩 도어
MX2021015086A (es) Sistema de operador de puerta.
KR101568344B1 (ko) 4절 링크 레일을 이용한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장치
KR101076918B1 (ko) 접철식 출입문의 자동개폐장치
KR102223557B1 (ko) 수직개폐 스크린도어
KR20080101101A (ko) 비상시 여닫이형 개폐가 가능한 스크린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