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8344B1 - 4절 링크 레일을 이용한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장치 - Google Patents

4절 링크 레일을 이용한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8344B1
KR101568344B1 KR1020140071078A KR20140071078A KR101568344B1 KR 101568344 B1 KR101568344 B1 KR 101568344B1 KR 1020140071078 A KR1020140071078 A KR 1020140071078A KR 20140071078 A KR20140071078 A KR 20140071078A KR 101568344 B1 KR101568344 B1 KR 101568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rail
link
door
link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1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영배
Original Assignee
(주)광진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광진기계 filed Critical (주)광진기계
Priority to KR1020140071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83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8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8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4절 링크 레일을 이용한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장치로서, 일단이 차체에 고정되면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차체에 대하여 스윙운동을 하게 되며, 복수개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는 링크부재; 각각의 링크부재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링크부재의 스윙운동에 따라서 위치가 변화되며, 상기 링크부재와 연결된 면의 반대측 면에는 일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레일이 마련되어 있는 레일부재; 일측은 상기 레일부재의 레일 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은 도어에 고정되어 있는 슬라이딩부재; 및 상기 복수의 링크부재가 스윙운동을 할 때에는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슬라이드 운동을 구속하는 구속수단을 포함하는 4절 링크 레일을 이용한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장치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4절 링크 레일을 이용한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장치{Sliding door apparatus for car by using 4 bar-link rail}
본 발명은 4절 링크 레일을 이용한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서 다양한 자동차에 사용할 수 있는 슬라이딩 도어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4절 링크 레일을 이용한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다 많은 승객이 탑승할 수 있도록 차실이 넓게 형성된 승합차량에는 다수의 인원이 차실 내외로 용이하게 출입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슬라이딩 도어가 구비되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B 필라가 있는 슬라이딩 도어(10)가 적용된 차량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2는 B 필라가 있는 슬라이딩 도어(10)가 적용된 차량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3은 도어의 종래기술을 도시한다. 상기 슬라이딩 도어(10)는 차체에 상하로 부착된 레일을 가이드로 해서 도어(10)의 내측면 상하부에 각각 롤러암에 의해 지지된 롤러를 매개로 차체의 측면부를 형성하는 쿼터패널을 따라 이동하여 차실내를 개방한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10)는 상단브라켓(15), 수직 어퍼빔(16), 수직빔 연결브라켓(17), 수직 로워빔(18), 크로스 멤버(19), 수평빔(20)을 포함한다. 상기 상단브라켓(15)은 도어패널(21)의 내측 상단부에 설치되어 수직 어퍼빔(16)의 상단부를 지지해주는 역할을 하고, 상단브라켓(15)에는 상단지지홈이 형성되어 수직 어퍼빔(16)의 상단부를 수용하여 지지한다.
상기 수직 어퍼빔(16)의 상단부는 상단브라켓(15)의 상단지지홈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수직 어퍼빔(16)의 하단부는 수직빔 연결브라켓(17)에 형성된 중간지지홈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상기 수직 로워빔(18)은 수직 어퍼빔(16)과 일직선상으로 슬라이딩 도어(10)의 내측면 전단하부에 상하방향으로 장착되어 "B"필라(14)가 없는 차량에서 'B'필라(14) 대신에 차체 측면부의 가운데 부분을 상하방향으로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직 로워빔(18)의 상단부는 수직빔 연결브라켓(17)에 형성된 중간지지홈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수직 로워빔(18)의 하단부는 하단브라켓(23)에 형성된 하단지지홈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상기 크로스 멤버(19)는 슬라이딩 도어(10)의 내측면 중간하부에 수평방향으로 장착되어 슬라이딩 도어(10)의 차체 길이방향의 강도를 보강해 준다.
상기 수평빔(20)도 크로스 멤버(19)의 하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평방향으로 장착되어 슬라이딩 도어(10)의 차체 길이방향의 강도를 보강해 준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는 차체의 상하부에 레일을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즉, 차체의 상부에 하나의 레일을 설치하고 차체의 하부에 하나의 레일을 설치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도어측에는 상기 레일에 장착되는 롤러 등이 설치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차체에 형성된 레일은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어 시각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을 뿐 아니라, 레일이 외부로 그대로 노출되어 이물질 등이 끼일 염려가 있게 된다. 또한, 레일의 설치에 따라서 자동차의 형상도 전체적으로 박스형으로 될 수 밖에 없는 단점도 있게 된다. 즉, 승용차에는 적용하기 어렵고 승합차에만 적용할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서 다양한 차량에 손쉽게 적용할 수 있는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장치는, 4절 링크 레일을 이용한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장치로서,
일단이 차체에 고정되면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차체에 대하여 스윙운동을 하게 되며, 복수개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는 링크부재;
각각의 링크부재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링크부재의 스윙운동에 따라서 위치가 변화되며, 상기 링크부재와 연결된 면의 반대측 면에는 일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레일이 마련되어 있는 레일부재;
일측은 상기 레일부재의 레일 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은 도어에 고정되어 있는 슬라이딩부재; 및
상기 복수의 링크부재가 스윙운동을 할 때에는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슬라이드 운동을 구속하는 구속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장치에서,
상기 레일부재는, 도어가 부착되는 차체측 도어 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와, 상기 차체측 도어 프레임에 결합된 위치 사이에서 위치이동할 수 있다.
상기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장치에서,
상기 구속수단은, 상기 링크부재의 타단에 형성되되, 상기 링크부재가 회전경로 상에 있을 때에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슬라이드 이동경로상에 위치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슬라이드 운동을 구속하고, 상기 링크부재가 최종위치까지 회전한 경우에는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슬라이드 이동경로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상기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장치에서,
상기 복수의 링크부재가 차체에 대하여 일정각도 회전한 후에는 상기 링크부재의 회전을 멈추게 하는 멈춤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장치에서,
상기 구속수단은, 후크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장치는, 도어의 초기 오픈상태에서는 스윙운동하면서 도어가 개방되고 스윙운동후에는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도어가 개방되는데, 이러한 다양한 도어의 개방동작이 단순한 4절점 슬라이딩 운동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장치를 가지는 자동차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장치를 가지는 자동차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내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동 도어장치의 작동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 및 도 11은 도 4의 슬라이딩 도어장치의 일 구성이 작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장치(100)는, 링크부재(110), 레일부재(120), 슬라이딩부재(130) 및 구속수단(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링크부재(110)는, 일단이 차체(170)에 고정되면서 회동가능하게 차체(170)에 연결되어 차체(170)에 대하여 스윙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링크부재(110)는 빔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링크부재(110)는 복수개가 마련되며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있게 된다. 상기 링크부재(110)의 타단은 레일부재(12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게 된다.
상기 링크부재(110)는, 레일부재(120)에 대하여 수평인 위치와 레일부재(120)에 대하여 직각인 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레일부재(120)는, 각각의 링크부재(110)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링크부재(110)의 스윙운동에 따라서 위치가 변화되며, 상기 링크부재(110)와 연결된 면의 반대측 면에는 일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레일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레일부재(120)는, 도어(160)가 부착되는 차체(170)측 도어 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된 위치(도 4 및 도 5에서의 위치)와, 도어(160)가 부착되는 차체(170)측 도어 프레임에 결합된 위치(도 6 내지 9에서의 위치) 사이를 위치이동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레일부재(120)는 링크부재(110)에 의하여 스윙운동을 하면서 위치이동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딩부재(130)는, 일측은 상기 레일부재(120)의 레일 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은 도어(160)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슬라이딩부재(130)는, 그 일측이 상기 레일부재(120)의 레일을 따라서 일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부재(130)의 타단은 상기 도어(160)에 고정되어 있어 상기 슬라이딩부재(130)의 이동경로가 상기 도어(160)의 이동괘적을 규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구속수단(140)은, 상기 복수의 링크부재(110)가 스윙운동을 할 때에는 상기 슬라이딩부재(130)의 슬라이드 운동을 구속하는 것이다.
상기 구속수단(140)은, 링크부재(110)의 타단에 형성되되, 상기 링크부재(110)가 회전경로 상에 있을 때에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슬라이딩부재(130)의 슬라이드 이동경로상에 위치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130)의 슬라이드 운동을 구속하고, 상기 링크부재(110)가 최종위치까지 회전한 경우에는 상기 슬라이딩부재(130)의 슬라이드 이동경로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130)의 슬라이드 이동을 자유롭게 하는 것이다.
상기 구속수단(140)은, 링크부재(110)의 타단측에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서, 대략 후크의 형상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구속수단(140)은 후크형태의 일단측이 링크부재(110)의 회전에 따라서 슬라이딩부재(130)의 이동경로로부터 이탈됨으로서 상기 슬라이딩부재(130)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멈춤수단(150)은, 상기 복수의 링크부재(110)가 차체(170)에 대하여 일정각도 회전한 후에는 상기 링크부재(110)의 회전을 멈추게 하는 것이다. 즉, 멈춤수단(150)은, 링크부재(110)가 레일부재(12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대략 직각인 위치에서 상기 링크부재(110)가 추가적인 회전을 하지 않도록 구속하는 것으로서, 도 10 및 도 11에서 레일부재(120)에 설치되며 상기 링크부재(110)의 회전경로상에 위치한 돌기이다. 상기 링크부재(110)는 상기 돌기형태의 멈춤수단(150)에 접촉함으로써 회전이 멈춰지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60)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어(160)를 개방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부재(110)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차체(170)에 대하여 회전하면서 스윙운동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링크부재(110)가 차체(170)에 대하여 스윙운동을 함에 따라서 상기 링크부재(110)에 연결된 레일부재(120)도 함께 스윙운동을 하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레일부재(120)에 연결되어 있는 슬라이딩부재(130)도 레일부재(120)와 함께 스윙운동을 하게 되며, 이와 함께 도어(160)도 스윙운동을 하게 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부재(110)가 레일부재(120)에 대하여 직각인 위치까지 회전하게 되면, 링크부재(110)의 회전이 멈추게 된다. 이후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부재(120)는 정지된 상태에서 슬라이딩부재(130)만이 도어(160)와 함께 슬라이드 이동을 하게 된다. 즉, 도 7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부재(120)가 정지된 상태에서 도어(160)가 완전하게 개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장치(100)는, 링크부재(110)가 회전하는 과정(도 5 및 6의 동작과정)에서는 슬라이딩부재(130)가 레일에 대하여 상대적인 슬라이딩 동작이 규제되는데, 그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한다.
먼저, 도 10의 상태에서는 후크형태의 구속수단(140)이 슬라이딩부재(130)의 이동경로상에 일부구성을 마련하여 두고 있기 때문에, 슬라이딩부재(130)의 이동을 규제한다.
한편, 링크부재(110)가 회전하여 레일부재(120)에 대하여 대략 직각인 위치에 이동하게 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속수단(140)은, 슬라이딩부재(130)의 이동경로로부터 이탈되어 슬라이딩부재(130)의 슬라이딩이동을 구속하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서 슬라이딩부재(130)는 자유롭게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링크부재(110)는 도 11에서 멈춤수단(150)에 의하여 회전이 규제되어 레일부재(120)에 대하여 직각인 위치보다 더 각도가 크게 회전하는 것이 규제된다. 이와 같이 멈춤수단(150)에 의하여 회전이 규제됨에 따라서 링크부재(110)의 회전이 멈추어진 후에는 슬라이딩부재(130)가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서 도어(160)의 개방이 확실하게 이루어지게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장치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속수단 내지 멈춤수단이 다양한 구현예로서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링크부재의 회전과정에서 슬라이딩부재가 슬라이드 이동을 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라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생각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예로 생각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또한, 멈춤수단의 경우에도 링크부재가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을 구속하는 것이라면 다양한 형태로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슬라이딩 도어장치 110...링크부재
120...레일부재 130...슬라이딩부재
140...구속수단 150...멈춤수단
160...도어 170...차체

Claims (5)

  1. 4절 링크 레일을 이용한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장치로서,
    일단이 차체에 고정되면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차체에 대하여 스윙운동을 하게 되며, 복수개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는 링크부재;
    각각의 링크부재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링크부재의 스윙운동에 따라서 위치가 변화되며, 상기 링크부재와 연결된 면의 반대측 면에는 일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레일이 마련되어 있는 레일부재;
    일측은 상기 레일부재의 레일 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은 도어에 고정되어 있는 슬라이딩부재; 및
    상기 복수의 링크부재가 스윙운동을 할 때에는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슬라이드 운동을 구속하는 구속수단을 포함하는 4절 링크 레일을 이용한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재는, 도어가 부착되는 차체측 도어 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와, 상기 차체측 도어 프레임에 결합된 위치 사이에서 위치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절 링크 레일을 이용한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수단은,
    상기 링크부재의 타단에 형성되되, 상기 링크부재가 회전경로 상에 있을 때에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슬라이드 이동경로상에 위치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슬라이드 운동을 구속하고, 상기 링크부재가 최종위치까지 회전한 경우에는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슬라이드 이동경로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을 자유롭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절 링크 레일을 이용한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링크부재가 차체에 대하여 일정각도 회전한 후에는 상기 링크부재의 회전을 멈추게 하는 멈춤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절 링크 레일을 이용한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수단은, 후크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절 링크 레일을 이용한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장치.
KR1020140071078A 2014-06-11 2014-06-11 4절 링크 레일을 이용한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장치 KR101568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078A KR101568344B1 (ko) 2014-06-11 2014-06-11 4절 링크 레일을 이용한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078A KR101568344B1 (ko) 2014-06-11 2014-06-11 4절 링크 레일을 이용한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8344B1 true KR101568344B1 (ko) 2015-11-12

Family

ID=54610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1078A KR101568344B1 (ko) 2014-06-11 2014-06-11 4절 링크 레일을 이용한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83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76341B2 (en) 2018-07-24 2020-12-29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Door drive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76341B2 (en) 2018-07-24 2020-12-29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Door drive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2980B1 (ko) 차량의 리어 도어장치
KR101382688B1 (ko)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와 스윙 도어의 연결 구조
JP6341982B2 (ja) ホームドア装置
US20160319583A1 (en) Door Drive Device for a Door of a Wagon
US10480232B2 (en) Sliding door structure
US11505045B2 (en) Structure for preventing opposite sliding doors from swaying
US9752366B2 (en) Sliding door device for laterally opening a door of a passenger vehicle, and passenger vehicle with sliding door device
JP3942346B2 (ja) 扉装置
JP2008511500A (ja) 滑動式扉および衝撃の場合の滑動式扉の係留用手段を含む自動車
US20160319580A1 (en) Mounting Device for a Door Panel
KR101568344B1 (ko) 4절 링크 레일을 이용한 자동차용 슬라이딩 도어장치
JP2013071561A (ja) プラットホーム用可動柵装置
JP5950677B2 (ja) ホームドア装置
JP2008285129A (ja) 分離型上下可動式駅ホーム転落防止柵
KR101705737B1 (ko) 탈부착이 용이한 전철 게이트용 플랩도어 프레임
JP2010173517A (ja) プラットホーム用ドア装置の扉体
JP2009091820A (ja) 扉用滑走装置
JPH0952528A (ja) スイングスライドドア装置
JP2007137142A (ja) スイングスライドドア
KR101599633B1 (ko) 자동차용 후드힌지
KR20190040669A (ko) 도어 개폐 장치
JP2019043288A (ja) 跨座型モノレール車両
KR102633866B1 (ko) 차량의 가변루프 시스템
JP2013173489A (ja) 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KR101252200B1 (ko) 슬라이드 도어용 도어 글라스 세이프티 홀더 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