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748Y1 - 배관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배관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748Y1
KR200467748Y1 KR2020110004917U KR20110004917U KR200467748Y1 KR 200467748 Y1 KR200467748 Y1 KR 200467748Y1 KR 2020110004917 U KR2020110004917 U KR 2020110004917U KR 20110004917 U KR20110004917 U KR 20110004917U KR 200467748 Y1 KR200467748 Y1 KR 2004677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upport
connection pipe
support surface
support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49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8545U (ko
Inventor
배석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049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748Y1/ko
Publication of KR201200085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5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7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74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3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 B63B27/3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using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9/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7D9/02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articulated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1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for supporting or gui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between relatively movable points, e.g. movable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배관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어셈블리는 제 1 배관과 제 2 배관을 연결 가능한 연결 배관 및 연결 배관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 를 포함한다. 지지 부재는 연결 배관이 놓여지는 지지 브라켓 및 지지 브라켓 상에 설치되고, 연결 배관이 지지 브라켓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 브라켓 상에 연결 배관을 고정하는 고정부재와, 제 1 배관과 제 2 배관을 연결하는 제 1 위치와, 제 1 위치로부터 벗어난 제 2 위치 간에 연결 배관의 이동을 안내하는 지지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배관 어셈블리{pipe assembly}
본 고안은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선박에서 밸러스트(ballast) 시스템의 배관과 카고(cargo) 시스템의 배관을 연결하는 배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오일 탱커에는 긴급 디밸러스트시 카고 라인과 밸러스트 라인을 연결하는 스풀 피스(spool piece)라고 불리는 연결배관이 제공된다. 스풀 피스는 조선소에서 선박 건조시에만 카고 라인과 밸러스트 라인에 연결되며, 선박 건조가 완료된 후에는 안전이 확보될 수 있도록 분리해서 보관될 수 있으며, 선박의 운항 중에도 필요 시에는 스풀 피스를 카고 라인과 밸러스트 라인에 연결될 수 있다. .
스풀 피스는 약 140kg의 중량물이므로 일반적으로 리프팅 러그(lifting lug)를 이용하여 스풀 피스를 카고 라인과 밸러스트 라인에 설치하거나 분리하고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한 배관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리프팅 러그를 이용한 권상 작업 없이 연결배관을 카고 라인과 밸러스트 라인에 설치 및 분리할 수 있는 배관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 1 배관과 제 2 배관을 연결 가능한 연결 배관; 및 상기 연결 배관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연결 배관이 놓여지는 지지 브라켓 및 상기 지지 브라켓 상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 배관이 상기 지지 브라켓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지지 브라켓 상에 상기 연결 배관을 고정하는 고정부재; 와, 상기 제 1 배관과 상기 제 2 배관을 연결하는 제 1 위치와,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벗어난 제 2 위치 간에 상기 연결 배관의 이동을 안내하는 지지면을 배관 어셈블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면은 상기 연결 배관의 이동 방향을 따라 경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연결배관의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연결 배관이 상기 지지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연결 배관이 얹혀지는 안착홈이 형성된 이동 블록을 포함하되, 상기 이동 블록은 상기 가이드 레일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로 이동된 상기 연결 배관의 임의 이동을 방지하는 스토퍼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 부재는 상기 지지 브라켓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면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어 이동 블록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일단이 상기 지지 브라켓의 상기 지지면 일단에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브라켓의 상기 지지면 타단에 장착되는 U자 형상의 고정바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바는 상기 지지면과 평행한 수평바; 및 상기 수평바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지지면의 길이방향 양단에 체결되는 수직바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바와 상기 수직바의 모서리는 상기 연결 배관의 외경과 동일하게 라운딩 처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바의 높이는 상기 연결배관 플랜지의 지름보다 작고 상기 연결배관의 지름보다 클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리프팅 러그(lifting lug)를 사용하지 않고도 중량물인 연결배관을 제1배관과 제2배관에 용이하게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배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표시된 a-a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지지부재를 구비한 배관 어셈블리의 사이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 실시 예 )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배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선박(1)은 카고 탱크(3)들로 구성되는 카고 탱크군을 중심으로 밸러스트 탱크(2)들로 구성되는 밸러스트 탱크군이 좌현과 우현에 각각 구비된다. 선박의 배관 시스템은 카고 탱크(3)들에 카고를 적하역(loading/unloading)하기 위한 카고 시스템과, 밸러스트 탱크(2)들에 밸러스트수를 급수/배수하기 위한 밸러스트 시스템을 포함한다. 카고는 오일일 수 있다.
카고 시스템은 카고 펌프(31)와, 카고의 적하역을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오일 송출관(32)을 포함한다. 오일 송출관(32)에는 슬롭 탱크(40)와 연결되는 슬롭 배관(42)이 연결된다.
슬롭 탱크(40)는 카고 탱크 클리닝이나 카고 적하역 작업시 발생하는 슬러지 및 찌꺼기가 혼합된 유성혼합물을 저장하는 탱크로써, 슬롭 탱크(40)에 저장된 유성혼합물은 유수분리 처리 과정을 거친다. 유조선(OIL TANKER)에서는 슬롭탱크(40)가 카고 탱크로도 활용될 수 있다.
밸러스트 시스템은 밸러스트 펌프(21)가 설치된 주배관(22), 주배관(22)으로부터 분기되고 각각의 밸러스트 탱크(2)에 연결되는 분기배관(23), 시 체스트(sea chest;24)와 연결되고 밸러스트수가 유입되는 취수관(25), 밸러스트 펌프(21)를 바이패스하는 급수관(26), 선체의 양단에 설치된 배수구에 접속되고 밸러스트수가 배수되는 배수관(28)을 포함한다. 밸러스트수는 해수일 수 있다.
도 1에 점선으로 표시된 제 1 경로는 밸러스트수 취수 경로를 보여준다.
제 1 경로를 참조하면, 밸러스트수는 밸러스트 펌프(21)의 가동에 의해서 시 체스트(24)로부터 흡입되어 취수관(25), 밸러스트 펌프(21), 급수관(26), 주배관(22) 그리고 분기배관(23)을 경유하여 밸러스트 탱크(2)로 공급된다.
도 1에 굵은 점선으로 표시된 제 2 경로는 밸러스트수 배수 경로를 보여준다.
제 2 경로를 참조하면, 밸러스트 탱크(2)에 저장되어 있는 밸러스트수는 밸러스트 펌프(21)의 가동에 의해서 분기배관(23), 주배관(22), 밸러스트 펌프(21) 그리고 배수관(28)을 통해 배수된다.
만약, 밸러스트 탱크(2)에 저장되어 있는 밸러스트수에 오일 등이 포함되어 오염된 경우에는 해양 배출이 불가하다.
따라서, 오염된 밸러스트수는 카고 시스템의 오일 송출관(32)을 통해 슬롭 탱크(40)에 저장된다. 슬롭 탱크(40)에 저장된 밸러스트수는 오일 배출 감시 장치(ODME ; Oil DISCHARGE MONITORING EQUIPMENTSYSTEM)(미도시됨)로 보내져 관련 규정에 따라 배출가능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밸러스트수가 기준에 적합하면 선회 배출되고, 기준을 초과하면 슬롭 탱크로 바이패스된다.
오염된 밸러스트수를 슬롭 탱크(40)에 저장하기 위해서는 스풀 피스(spool piece)라고 불리는 연결배관(300)을 이용하여 밸러스트 시스템의 주배관(22)으로부터 분기된 제1배관(100)과, 카고 시스템의 오일 송출관(32)으로부터 분기된 제2배관(200)을 연결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연결배관(300)의 연결작업은 지지 부재(400)를 사용하여 손쉽게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표시된 a-a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배관 어셈블리는 연결 배관(300)과 지지 부재(400)를 포함한다.
연결 배관(300)은 제 1 배관(100)과 제 2 배관(200)을 연결한다. 여기서 제 1 배관(100)은 밸러스트 시스템의 주배관(도 1의 22)으로부터 분기된 배관이고, 제 2 배관(200)은 카고 시스템의 오일 송출관(도 1의 32)으로부터 분기된 배관이다. 제 1 배관(100)의 플랜지(110)와 제 2 배관(200)의 플랜지(210)에는 덮개 플랜지(800)가 장착된다. 덮개 플랜지(800)는 연결 배관(300)을 제 1 배관(100)과 제 2 배관(200)에 연결시 제거될 수 있다. 연결 배관(300)은 배관몸체(310)와 양단에 플랜지(320)를 포함한다. 연결 배관(300)은 지지 부재(400)에 설치된다.
지지 부재(400)는 지지 브라켓(410), 제 1 받침다리(420a), 제 2 받침다리(420b) 그리고 고정 부재(430)를 포함한다.
지지 브라켓(410)에는 연결 배관(300)이 놓여진다. 지지 브라켓(410)은 제 1 배관(100)과 제 2 배관(200)을 연결하는 제 1 위치, 제 1 위치로부터 벗어난 제 2 위치 간에 연결 배관의 이동을 안내하는 평평한 지지면(412)을 포함한다. 제 1 위치는 도 4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연결 배관(300)의 위치이고, 제 2 위치는 도 4(또는 도 2)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연결 배관(300)의 위치이다.
제 1 받침다리(420a)와 제 2 받침다리(420b)는 지지 브라켓(410)의 양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설치되고 선체에 고정된다. 제 1 받침다리(420a)와 제 2 받침다리(420b)는 그 길이가 상이하다. 제 2 받침다리(420b)는 제 1 받침다리(420a)보다 길게 제공되고, 상부 브라켓(410)의 지지면(412)은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하향 경사지게 제공된다. 이와는 반대로, 지지 브라켓(410)의 지지면(412)은 연결 배관(300)이 제 2 위치에서 제 1 위치로의 이동 편의를 위해 제 2 위치에서 제 1 위치로 하향 경사지게 제공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지지 브라켓(410)은 두께를 상이하게 하여 지지면이 경사지게 제공될 수 있다.
고정 부재(430)는 지지 브라켓(410) 상에 설치된다. 고정 부재(430)는 연결 배관(300)이 지지 브라켓(4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 브라켓(410) 상부에서 연결 배관(300)을 고정한다. 고정 부재(430)는 일단이 지지 브라켓(410)의 지지면(412) 일측에 장착되고, 타단이 지지 브라켓(410)의 지지면(412) 타측에 장착되는 U자 형상의 고정바로 이루어진다. 고정바는 지지면(412)과 평행한 수평바(434) 및 수평바(434)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지지면(412)의 길이방향 양단에 체결되는 수직바(432)를 포함한다. 수평바(434)와 수직바(432)의 모서리(436)는 연결 배관(300)의 외경과 동일하게 라운딩 처리된다. 고정바는 연결배관(300)의 이탈 방지를 위해 배관몸체(310)의 지름보다 크고 플랜지(320)의 지름보다 작은 높이를 갖는다.
연결 배관(300)은 평상시 제 2 위치에서 보관되며, 긴급 상황시 밸러스트수를 슬롭 탱크(40; 도 1에 도시됨)에 저장하기 위해 제 1 배관(100)과 제 2 배관(200)에 연결된다. 작업자가 제 2 위치에서 제 1 위치를 향해 연결 배관(300)을 밀면 연결 배관(300)이 지지 브라켓(410)의 지지면(41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어 제 2 위치로 이동된다. 이 상태에서 제1배관(100)과 제2배관(200)에 설치되어 있던 덮개 플랜지(800)를 제거한 후 연결 배관(300)의 플랜지(320)와 제 1 배관(100)의 플랜지(110) 및 제 2 배관(200)의 플랜지(210)를 볼팅하면 연결 배관 작업이 완료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지지부재를 구비한 배관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지지 부재(400a)는 지지 브라켓(410), 제 1 받침다리(420a), 제 2 받침다리(420b), 고정 부재(430), 이동 블록(450) 그리고 스토퍼 부재(470)를 포함한다. 여기서, 지지 브라켓(410), 제 1 받침다리(420a), 제 2 받침다리(420b) 그리고 고정 부재(430)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갖기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동 블록(450)은 연결 배관(300)의 이동 방향을 따라 지지면(412)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동 블록(450)은 상면에 연결 배관이 얹혀지는 안착홈(452)을 갖는다. 이때, 연결 배관(300)은 안착홈(452)에 용접으로 고정 설치될 수 도 있고 다양한 고정 방식 등을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지지면(412)에는 양 사이드로 이동 블록(45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460)이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서는 연결 배관(300)이 이동 블록(450)에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에서 이동될 수 있다.
스토퍼 부재(470)는 지지 브라켓(410)에 설치된다. 스토퍼 부재(470)는 제 1 위치 또는 제 2 위치로 이동된 연결 배관(300)의 임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스토퍼 부재(470)는 쐐기 형태로 지지면(412)에 형성된 구멍(418)에 끼워져 이동 블록(450)의 이동을 제한한다.
스토퍼 부재(470)는 연결 배관(300)이 제 1 위치에 있을 때와 제 2 위치에 있을 때 각각 사용할 수 있도록 2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제1배관이 밸러스트 시스템의 주배관으로부터 분기된 배관이고, 제2배관이 카고 시스템의 오일 송출관으로부터 분기된 배관인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 어셈블리들은 계속적인 연결과 분리가 필요한 다른 분야의 배관에도 적용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제 1 배관 200 : 제 2 배관
300 : 연결 배관 400 : 지지 부재
410 : 지지 브라켓 430 : 고정 부재
450 : 이동 블록 470 : 스토퍼 부재

Claims (6)

  1. 제 1 배관과 제 2 배관을 연결 가능한 연결 배관; 및
    상기 연결 배관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연결 배관이 놓여지는 지지 브라켓 및 상기 지지 브라켓 상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 브라켓 상에 상기 연결 배관을 고정하는 고정부재; 와,
    상기 제 1 배관과 상기 제 2 배관을 연결하는 제 1 위치와,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벗어난 제 2 위치 간에 상기 연결 배관의 이동을 안내하는 지지면을 포함하는 배관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은
    상기 연결 배관의 이동 방향을 따라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연결배관의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연결 배관이 상기 지지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연결 배관이 얹혀지는 안착홈이 형성된 이동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블록은 상기 가이드 레일 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로 이동된 상기 연결 배관의 임의 이동을 방지하는 스토퍼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 부재는 상기 지지 브라켓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면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어 이동 블록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어셈블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일단이 상기 지지 브라켓의 상기 지지면 일단에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브라켓의 상기 지지면 타단에 장착되는 U자 형상의 고정바;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바는
    상기 지지면과 평행한 수평바; 및
    상기 수평바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지지면의 길이방향 양단에 체결되는 수직바;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바와 상기 수직바의 모서리는 상기 연결 배관의 외경과 동일하게 라운딩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어셈블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의 높이는 상기 연결배관 플랜지의 지름보다 작고 상기 연결배관의 지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어셈블리.
KR2020110004917U 2011-06-03 2011-06-03 배관 어셈블리 KR2004677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917U KR200467748Y1 (ko) 2011-06-03 2011-06-03 배관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917U KR200467748Y1 (ko) 2011-06-03 2011-06-03 배관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545U KR20120008545U (ko) 2012-12-12
KR200467748Y1 true KR200467748Y1 (ko) 2013-07-09

Family

ID=51392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4917U KR200467748Y1 (ko) 2011-06-03 2011-06-03 배관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74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4849B1 (ko) 2013-02-01 2014-10-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관 연결 플랜지 셋팅용 지그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98485U (ko) * 1977-01-13 1978-08-10
JPS58126295U (ja) * 1982-02-19 1983-08-27 三井造船株式会社 管材搬入治具
US20100147398A1 (en) * 2007-04-12 2010-06-17 Pierre-Armand Thomas Device for transferring a fluid to a ship, ship, transfer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98485U (ko) * 1977-01-13 1978-08-10
JPS58126295U (ja) * 1982-02-19 1983-08-27 三井造船株式会社 管材搬入治具
US20100147398A1 (en) * 2007-04-12 2010-06-17 Pierre-Armand Thomas Device for transferring a fluid to a ship, ship, transfer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4849B1 (ko) 2013-02-01 2014-10-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관 연결 플랜지 셋팅용 지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545U (ko) 2012-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21273A (zh) 船只拆解装置及其方法
KR20130000733U (ko) 선박의 앵커 주시용 플랫폼
US693539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luid transfer between a marine platform and a service vessel
KR200467748Y1 (ko) 배관 어셈블리
CN111114690B (zh) 一种用于双燃料超大型集装箱船加气站的多功能外翻舷门
US9586654B2 (en) Monohull offshore drilling vessel
KR20130105640A (ko) 호스 릴이 구비된 플랫폼
KR20120140357A (ko) 컨테이너 선박의 통로블록 제작방법
KR102436713B1 (ko) 물 흡입 시스템 및 그러한 시스템이 장착된 부유식 선박
US20190127188A1 (en) Deck hoist tractor, rescue chute and tote tank
KR101589196B1 (ko) 유체화물 처리시설을 갖는 해양구조물
JP2010111278A (ja) 船舶収容装置
KR20200014765A (ko) 해상 부체 구조물
KR101295792B1 (ko) 선박
KR101280491B1 (ko) 컨테이너선용 래싱 브리지
JP2017520454A (ja) 接合式フローティングドックおよび拡張フローティングドック
JP2005014698A (ja) 原油及び清水輸送用タンカー
KR102125104B1 (ko) 해치 구조물 및 이를 구비한 드릴십
KR101665449B1 (ko) 라이저의 서포트 시스템 및 그 서포트 시스템을 구비하는 드릴쉽
KR20170000724U (ko) 부유식 생산설비의 안전통행로
KR200483928Y1 (ko) 해수 유입용 케이슨 파이프가 마련된 해양구조물
KR20170019958A (ko) 해상 구조물의 접안 장치
KR20130017855A (ko) 반 잠수식 중량물 운반선의 자체 이동식 부력 케이싱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중량물 적재 방법
RU2554194C1 (ru) Спуско-подъ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водного технического средства
KR20200144858A (ko) 선박의 앵커 체인 로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