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6725Y1 - 접철식 출입문 - Google Patents

접철식 출입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6725Y1
KR200466725Y1 KR2020080006009U KR20080006009U KR200466725Y1 KR 200466725 Y1 KR200466725 Y1 KR 200466725Y1 KR 2020080006009 U KR2020080006009 U KR 2020080006009U KR 20080006009 U KR20080006009 U KR 20080006009U KR 200466725 Y1 KR200466725 Y1 KR 2004667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door
rollers
support frames
present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60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1471U (ko
Inventor
김태오
Original Assignee
대진휀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진휀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진휀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060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725Y1/ko
Publication of KR200900114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4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7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72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2Doors or windows extensible when set in position
    • E06B3/928Doors or windows of the lazy tongs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C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1Linear motion
    • E05Y2600/312Horizontal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2Telescopic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5Applicability
    • E05Y2800/16Applicable on combinations of fixed and movable wings
    • E05Y2800/162Applicable on combinations of fixed and movable wings the wings being coplanar when the movable wing is in the closed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6Form or shape
    • E05Y2800/268Form or shape cylindrical; disc-shaped; circula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4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ates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건물의 입구에 장착되는 접철식 출입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2쌍의 토인식 로울러가 장착되어 안정적으로 직진주행성이 향상됨으로써 주행 레일 없이도 사용될 수 있는 접철식 출입문을 제공하기 위하여, 서로 이격되어 나란히 설치되는 다수개의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사이에 위치하고, 인접하는 각각의 상기 지지프레임을 접철되며 연결시켜 지지프레임의 상호 간격을 신축가능하게 연결하는 신축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 양측에 장착되며, 한 쌍의 로울러로 각각 이루어지는 좌,우측 주행 로울러부를 포함하는 접철식 출입문을 제공한다.
접철식 출입문, 직진성, 안정성

Description

접철식 출입문 {A folded door}
본 고안은 각종 건물의 입구에 장착되는 접철식 출입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2쌍의 토인식 로울러가 장착되어 안정적으로 직진주행성이 향상됨으로써 주행 레일 없이도 사용될 수 있는 접철식 출입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물이나 주차장 등의 출입구에는 차량 및 사람의 통행을 제한할 수 있도록 출입문을 설치하게 되는데, 최근에는 출입구의 전면에 횡으로 설치된 주행레일 상에 간편 용이하게 개폐 및 접철될 수 있는 접철식 출입문이 주로 설치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접철식 출입문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접철식 출입문(10)은, 일정 길이의 원형 파이프를 U자형으로 절곡 형성하여 다수개의 지지프레임(11)을 형성하고, 이 지지프레임(11)들을 신축프레임(12)을 매개로 하여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신축프레임(12)은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서 X자형상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봉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신축프레임(12)과 상기 지지프레임(11)은 힌지 결합되고, 상기 신축프레임(12)의 X 자형상의 교차점 또한 힌지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신축프레임(12)은 접철되도록 형성되며 이 운동에 따라 전체적인 신축프레임(12) 및 접철문(10)의 길이는 신축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11)의 하측에는 각각의 주행로울러(13)가 장착되며, 상기 주행로울러(13)의 하측에는 상기 주행로울러(13)의 직진운동을 가이드하는 주행레일(14)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주행레일(14)은 상기 주행로울러(11)의 직진성을 안정되게 보장하여 준다는 장점을 가지나, 상기 주행레일(14)은 지면에 턱을 형성하게 되어 차량 진입시 의도치 아니하게 덜컹거리는 느낌을 준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주행레일(14)을 별도로 설치하기 위하여는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로 된 지면을 가공하는 별도의 시공공정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지지프레임 양측 하부에 토우인 각을 가지는 한 쌍의 주행롤러로 각각 이루어진 좌,우측 주행로울러부를 장착함으로써, 접철식 출입문의 직진주행성을 확보하여 별도의 주행레일 설치가 필요없는 접철식 출입문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서로 이격되어 나란히 설치되는 다수개의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사이에 위치하고, 인접하는 각각의 상기 지지프레임을 접철되며 연결시켜 지지프레임의 상호 간격을 신축가능하게 연결하는 신축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 양측에 장착되며, 한 쌍의 주행로울러로 각각 이루어지는 좌,우측 주행 로울러부를 포함하는 접철식 출입문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좌,우측 주행 로울러부의 한 쌍의 주행로울러는 전단 사이의 거리가 후단 사이의 거리보다 각각 좁은 것이며, 상기 좌,우측측 주행 로울러의 전단 사이 거리와 후단 사이 거리의 차는 1 mm 내지 10 mm 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주행 로울러의 중앙부 하측에는 다수의 반사용 표지병이 형성된다.
상술한 본 고안에 따르면, 지지프레임 하부 양측에 한 쌍의 로울러로 이루어지는 좌,우측 주행로울러부를 각각 장착하여 안정적으로 직진주행성을 가지게 함으로써, 별도의 주행 레일을 설치하지 않고도 직진 주행성이 뛰어난 접철식 출입문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접철식 출입문의 시공이 용이하게 되고, 또한 차량 진입시 의도치않게 발생되는 덜컹거림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출입문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출입문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출입문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 부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출입문의 좌,우측 주행로울러부와 표지병 만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출입문(100)은 지지프레임(110), 신축프레임(120) 및 좌,우측 주행로울러부(130)(1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프레임(110)은 다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횡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며, 소정 구경의 파이프가 "∩" 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10)들은, 접철되도록 형성되는 신축프레임(120)을 매개로 연결된다.
상기 신축프레임(120)은 "X"자 형상으로 지지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며, 양단(120a)(120b)이 양측의 상기 지지프레임과 힌지 결합되고, 이와 동시에 X 자 형상의 중심부도 힌지 결합되어, 접철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신축프레임(120)은 접철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신축프레임(120)의 접철상태에 따라 상기 접철식 출입문(100)의 전체적인 길이를 신축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접철식 출입문(100)이 소정의 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자 형상의 지지프레임(110)의 하부 양측에는 좌,우측 주행로울러부(130)(140)가 각각 장착된다.
상기 좌측 주행로울러부(130)는, 캐스터 프레임부(131), 주행로울러(132)로 이루어진다.
상기 캐스터 프레임부(131)는 수평판의 양단 하측에 하측이 개방된 ㄷ 자 형상의 판이 결합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캐스터 프레임부(131)의 양측에는 각각 주행로울러(132)가 장착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행로울러(132)는 한 쌍의 주행로울러(132a)(132b)로 형성되는데, 상기 한 쌍의 주행로울러(132a)(132b)는 전단 사이의 거리(L)가 후단사이의 거리(L')보다 각각 좁게 형성되어 토인 각을 형성함으로써 직진성을 향상시킨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출입문은 별도의 주행 레일이 없이도, 안정감 있게 문을 개폐할 수 있게 됨으로써 시공이 용이하게 될 뿐만 아니라, 시공 비용도 현저히 감소되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주행로울러의 전단 사이 거리(L)와 후단 사이 거리(L')의 차(L'-L)는 1 mm 내지 10 mm 로 형성된다. 상기 주행로울러의 전단 사이 거리와 후단사이 거리의 차(L'-L)가 1㎜ 미만의 경우에는 평행인 주행로울러와 동일하게 되어 직진성이 향상되지 아니하고, 거리의 차(L'-L)가 10㎜ 이상인 경우에는 진행 방향과의 경사각이 너무 커지고 이에 따라 마찰력이 증가하여 부드러운 진행이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주행로울러의 전단 사이 거리와 후단 사이 거리의 차(L'-L)는 본 실시예와 같이 1 mm 내지 10 mm 로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반대측 하부에는 우측 주행로울러부(140)가 형성된다.
상기 우측 주행로울러부(140)의 구성은 상기 좌측 주행로울러부(13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 상기 우측 주행로울러부(140)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접철식 출입문(100)의 지지프레임(110) 하측에는 각각 1쌍의 주행 로울러로 이루어진 좌,우측 주행로울러부(130)(140)가 형성됨으로써,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접철식 출입문은 종래의 2개의 주행로울러만 구비하고 있는 접철식 출입문보다 주행 시, 보다 안정되게 지지됨과 동시에 직진 주행성 또한 개선되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로울러(132) 사이에는 다수개의 반사용 표지병(150)이 일렬로 형성된다. 상기 반사용 표지병(150)은 통행 차량에 출입문(100)의 위치를 각인시키도록 하여 운전자 및 보행자의 통행 안전을 확보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반사용 표지병(150)은 지면으로부터 일정부분 돌출되게 형성하여, 상기 주행 롤러(132)가 의도치않게 궤도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실시예들의 접철식 출입문(100)은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사용자는 필요시 접철식 출입문(100)의 일단을 파지하고 선택적으로 좌우로 슬라이딩시켜 문을 개폐한다.
이때, 상기 신축 프레임(120)은 접철되며, 상기 접철식 출입문(100)의 전체적인 길이를 신축함으로써 문의 입구를 개폐시킨다.
상기 접철식 출입문(100)의 선단이 전후진 하는 경우,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하단에 장착된 주행로울러(132)는 진행 방향으로 회전하며, 이에 따라 상기 접철식 출입문(100)은 부드럽게 주행한다.
이 경우, 상기 주행로울러(132)의 전단과 사이의 거리는 후단사이의 거리보다 좁게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상기 접철식 출입문(100)의 전진 주행성은 향상된다.
또한, 상기 접철식 출입문(100)의 지지프레임(110) 하부에는 한 쌍의 주행로울러(132)로 이루어진 좌, 우측주행로울러부(130)(140)가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접철식 출입문을 보다 안정되게 지지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다시 말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출입문은 다수의 각 지지프레임(110)의 양 하단에 직진주행성이 향상된 주행로울러(132)를 채용 장착함으로써, 종래의 지면에 필수적으로 장착되어야 하는 주행레일을 구비하지 않고서도 직진 주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접철식 출입문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주행레일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아도 됨에 따라, 시공이 용이하여 지고, 차량 진입시 덜컹거림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접철식 출입문은 반사용 표지병(150)을 대향하는 주행로울러(132) 사이에 부가설치하여 상기 주행로울러(132)를 보다 안전하게 가이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의 접철식 출입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출입문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출입문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출입문의 좌,우측 주행로울러부와 표지병 만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 접철식 출입문 110 : 지지프레임
120 : 신축프레임 130 : 좌측 주행로울러부
131 : 캐스터 프레임부 132 : 주행로울러
140 : 우측 주행로울러부 150 : 반사용 표지병

Claims (4)

  1. 서로 이격되어 나란히 설치되는 다수개의 "∩"형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사이에 위치하고, 인접하는 각각의 상기 지지프레임을 접철되며 연결시켜 지지프레임의 상호 간격을 신축가능하게 연결하는 "X"형 신축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 양측에 장착되며, 한 쌍의 로울러로 각각 이루어지는 좌,우측 주행 로울러부를 포함하는 접철식 출입문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주행 로울러는 각각 수평판의 좌,우측 양단이 하방으로 절곡된 "┏┓"의 캐스터 프레임부에 한 쌍의 로울러가 장착되고, 상기 한 쌍의 로울러는 전단 사이 거리와 후단 사이 거리의 차가 1 mm 내지 10 mm 로, 전단사이의 거리가 후단사이의 거리보다 각각 좁게 구성하며, 상기 좌측 주행 로울러 또는 우측 주행 로울러의 중앙부 하측에 다수의 반사용 표지병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출입문.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080006009U 2008-05-07 2008-05-07 접철식 출입문 KR2004667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009U KR200466725Y1 (ko) 2008-05-07 2008-05-07 접철식 출입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009U KR200466725Y1 (ko) 2008-05-07 2008-05-07 접철식 출입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471U KR20090011471U (ko) 2009-11-11
KR200466725Y1 true KR200466725Y1 (ko) 2013-05-06

Family

ID=42931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6009U KR200466725Y1 (ko) 2008-05-07 2008-05-07 접철식 출입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725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8539Y2 (ja) 1993-01-26 1999-01-13 日本工機株式会社 伸縮門扉の転倒防止装置
KR200141289Y1 (ko) 1994-09-06 1999-04-01 이상호 횡방향 절첩 대문의 조립장치
KR100818932B1 (ko) * 2007-07-18 2008-04-04 김기남 원격제어형 절첩식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8539Y2 (ja) 1993-01-26 1999-01-13 日本工機株式会社 伸縮門扉の転倒防止装置
KR200141289Y1 (ko) 1994-09-06 1999-04-01 이상호 횡방향 절첩 대문의 조립장치
KR100818932B1 (ko) * 2007-07-18 2008-04-04 김기남 원격제어형 절첩식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471U (ko) 2009-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1454027T3 (en) Shutter device with re-insertion element
KR102216704B1 (ko) 자바라식 출입문
KR100981743B1 (ko) 자동차 전용도로용 중앙분리대의 비상회차장치
CN101929304A (zh) 阻挡入口通道的系统
KR200466725Y1 (ko) 접철식 출입문
KR100656844B1 (ko) 승강장 스크린 도어의 가이드 장치
ITTO20001094A1 (it) Meccanismo di apertura per la porta laterale scorrevole di un autoveicolo.
EP2899088A1 (en) Door system for a platform screen
JP2604974Y2 (ja) 車輪装置つき門扉
JP2008285129A (ja) 分離型上下可動式駅ホーム転落防止柵
CN209873631U (zh) 一种伸缩式栅栏道闸
KR200416949Y1 (ko) 도로용 중분대가이드레일의 개폐구조
JP2001090453A (ja) 引違い門扉
KR101258459B1 (ko) 중앙 분리대용 비상 회차 장치
KR101967866B1 (ko) 밀폐 일자형 창호
JP4822804B2 (ja) 二連引戸門扉
JP2544291Y2 (ja) 連結式引戸
US577799A (en) Vehicle-door construction
CN117120287A (zh) 用于车辆的滑动门系统
JPH08326452A (ja) 門 扉
JPH0113752Y2 (ko)
JPH1113372A (ja) 引き戸付き門扉
JP2001132317A (ja) 吊り下げ式伸縮扉
JP2527407Y2 (ja) 簡易車庫
JP2000213261A (ja) 引戸門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