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1289Y1 - 횡방향 절첩 대문의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횡방향 절첩 대문의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1289Y1
KR200141289Y1 KR2019940023379U KR19940023379U KR200141289Y1 KR 200141289 Y1 KR200141289 Y1 KR 200141289Y1 KR 2019940023379 U KR2019940023379 U KR 2019940023379U KR 19940023379 U KR19940023379 U KR 19940023379U KR 200141289 Y1 KR200141289 Y1 KR 2001412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pipe
auxiliary pipe
support post
spring wa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33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1412U (ko
Inventor
이상호
Original Assignee
이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호 filed Critical 이상호
Priority to KR20199400233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1289Y1/ko
Publication of KR9600114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14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12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12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2Doors or windows extensible when set in position
    • E06B3/928Doors or windows of the lazy tongs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황방향 절첩식 대문의 조립장치.
나.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고안은 종래 횡방향 절첩식 대문의 조립구성을 개량하여 이의 내구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불필요한 인력의 낭비와 작업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지주간(1)에 횡봉(2)을 설치하고 간격유지관(5)과 절첩간(4)을 축설하여 양단의 너트(7)로서 지주간(1)에 결합시켜줄 수 있도록 한 통상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절첩간(4)이 축설되는 부위에 보조관(3)을 삽입하여 이 보조관(3)외주면으로 복수개의 절첩간(4) 및 스프링와셔(6)를 개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공장, 회사 등 각종 건물의 정문용 절첩식 대문.

Description

횡방향 절첩대문의 조립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정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일부단면 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확대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요부 분리 사시도.
제5도는 종래 물품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 : 지주관 2 : 횡봉
3 : 보조관 4 : 절첩간
5 : 간격유지관 6 : 스프링와셔
7 : 너트 8 : 와셔
본 고안은 회사나 공장등 주로 대형건물의 정문에 설치하여 사람이나 차량의 진입을 통제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횡방향 절첩식대문(일명 자바라식 대문이라 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절첩식 대문의 조립구성을 개량하여 이의 조립작업을 간단히 하고 절첩지지간의 절첩작동 기능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절첩식 대문의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횡방향 절첩식 대문은 하단부에 활차가 축착된 지주간을 수개 일렬로 나열하여 이들 각 지주간 사이를 절첩간으로 연결하므로서 지주간 상호간이 절첩, 전개되게 하는 것으로 상기한 절첩간이 지주간의 횡간에 축설되어 양단부의 너트에 의해 고정될 시 너트의 조임강도에 따라 절첩간 상호간이 밀착되어 이들 횡간의 절첩작동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5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주간(1)에 횡봉(2)을 축설하고 간격유지관(5)을 외삽한 다음 양 절첩간(4) 사이에 스프링와셔(6)를 개재시켜 이를 횡봉(2)에 끼움결합하여 주게되는 바, 이때 횡봉(2)의 단부에 결합되는 너트(7)의 조임장도를 강하게 조여주게 되면 스프링와셔(6)의 양측으로 축설된 절첩간(4)과 간격유지간(5) 및 스프링와셔(6) 사이의 여유부를 전혀 남겨놓지 않게 되므로서 상기 절첩간(4)은 횡봉(2)의 간격유지관(5)과 스프링와셔(6) 사이에서 긴밀한 고정상태로 있게 된다.
따라서 지주간(1)의 절첩, 전개작동에 따른 절첩간(4)의 회동작동이 스프링와셔(6)와 간격유지관(5)에 의하여 원활하게 회동되지 못하고 민첩성있게 작동할 수 없게 되어 대문 전체의 움직임이 둔하게 되며 특히 상기한 절첩간(4)의 작동상태를 원활하게 유지시켜 주기 위하여 너트(7)의 조임강도를 느슨하게 설정하면 지주간(1) 상호간의 연결상태가 견고하게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절첩간(4)의 조립상태를 원만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너트(7)의 조임강도를 일일이 체킹하면서 지주간(1) 상호간의 절첩간(4) 설치작업을 수행하게 되므로서 이들 작업시간이 크게 연장됨은 물론 이로 인한 불필요한 설치공구의 소요 및 인력의 낭비가 가장 큰 폐단으로 지적되어 왔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절첩간이 삽입되는 횡봉에 보조관을 설치하여 이에 절첩간이 외삽결합되게 하므로서 너트의 조임강도에 관계없이 양 절첩간이 스프링와셔를 사이로 충분한 여유부를 두고 결합되게 하여 문의 절첩, 전개작동에 따른 절첩간의 작동상태를 원활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하며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작업인력 및 시간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형 지주간(1) 사이에 절첩간(4)을 축설하여 지주간(1) 하단에 설치된 활차(W)로서 가이드레일(R)위로 활주할 수 있도록 한 횡방향 절첩식 대문의 일반적 구성에 있어서, 본 고안은 지주간(1)의 횡봉(2)에 축설되는 절첩간(4)의 조립구성을 개량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지주간(1) 사이에 복수개의 절첩간(4)을 횡봉(2)으로 축설하여 이들 각 절첩간(4)과 지주간(1)에는 간격유지관(5)과 와셔(8)를 삽입하고 절첩간(4)과 절첩간(4)사이에는 스프링와셔(6)를 내설하여서 된 통상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절첩간(4)의 축설부위에 보조관(3)을 삽입한 다음 이 보조관(3)의 외주면으로 복수개의 절첩간(4)을 축설하고 이들 양 절첩간(4)사이에는 스프링와셔(6)를 개재하여서 된 것이다.
물론, 절첩간(4)이 외삽되는 보조관(3)의 길이는 지주간(1)의 횡봉(2)에 결합되는 너트(7)를 충분히 조여주더라도 보조관(3)에 축설된 절첩간(4)이 양측의 와셔(8)로부터 외력을 받지 않고 원활히 작동될 수 있도록 약간의 여유부를 둘 수 있는 길이로 설정하여 준다.
이상과 같이 된 본 고안은 절첩간(4)이 지주간(1)의 횡봉(2) 양단에 결합되는 너트(7)의 조임외력을 전혀 받지 않게 되므로서 절첩간(4)의 절첩, 전개작동 수행에 아무런 지장을 받지 않게 되는 것으로 이하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지주간(1)의 횡방향으로 횡봉(2)을 축설한 다음 간격유지관(5)과 와셔(8)를 외삽하여 절첩간(4) 축설부위에 보조관(3)을 설치하여 주게 되는 바, 이 보조관(3)의 외주면에 절첩간(4)과 스프링와셔(6)를 순차적으로 밀어넣어 축설하고 와셔(8)와 간격유지관(5)을 차례로 결합하여 양단의 너트(7)를 체결하여 주게 되면 이의 조립작업이 끝나게 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절첩간(4)과 스프링와셔(6)가 보조관(3)의 외주면에 외삽되어 있어 이 보조관(3)이 절첩간(4)의 결합범위를 너트(7)의 조임강도에 영향을 받지않고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므로서 절첩간(4)의 작동상태를 원활하게 하는 것이다.
이를 다시 상세하게 설명하면 횡봉(2) 양단의 너트(7)를 체결하여 지주간(1)에 횡봉(2)을 결합작업할시에 너트(7)의 조임강도를 어느정도 강하게 설정하여 주게 되더라도 보조관(3)이 너트(7)의 조임강도에 따른 와셔(8)의 외력을 지탱하게 되고 절첩간(4)과 이 절첩간(4)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와셔(6)의 결합범위는 너트(7)의 조임정도에 관계없이 보조관(3)에 의하여 너트(7)의 조임압력을 받지않게 되므로서 항상 일정한 간격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너트(7)의 조임강도에 관계없이 보조관(3)의 외주면에 결합된 절첩간(4)이 원활한 절첩, 전개 작동수행에 필요한 충분한 여유부를 항상 보지(保持)하게 되어 문의 개폐기능을 민첩하게 유도하는 한편 내구성을 향상시켜주게 되고 또한, 작업자가 이의 조립작업시에 너트(7)의 조임강도를 염두에 두지 않고서도 간단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서 작업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른 불필요한 인력의 손실을 줄일 수 있게되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극히 우수한 것이다.

Claims (1)

  1. 지주간(1)에 횡봉(2)을 설치하고 간격유지관(5)과 절첩간(4)을 축설하여 양단의 너트(7)로서 지주간(1)에 결합시켜줄 수 있도록 한 통상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절첩간(4)이 축설되는 부위에 보조관(3)을 삽입하여 이 보조관(3) 외주면으로 복수개의 절첩간(4) 및 스프링와셔(6)를 개재하고, 절첩관(4)과 간격유지관(5) 사이에는 각각 와셔(8)를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 절첩식 대문의 조립장치.
KR2019940023379U 1994-09-06 1994-09-06 횡방향 절첩 대문의 조립장치 KR2001412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3379U KR200141289Y1 (ko) 1994-09-06 1994-09-06 횡방향 절첩 대문의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3379U KR200141289Y1 (ko) 1994-09-06 1994-09-06 횡방향 절첩 대문의 조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1412U KR960011412U (ko) 1996-04-15
KR200141289Y1 true KR200141289Y1 (ko) 1999-04-01

Family

ID=19392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3379U KR200141289Y1 (ko) 1994-09-06 1994-09-06 횡방향 절첩 대문의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128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473Y1 (ko) 2008-08-28 2010-10-06 남중환 접이식 출입문의 파이프 연결구
KR200466725Y1 (ko) 2008-05-07 2013-05-06 대진휀스 주식회사 접철식 출입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356B1 (ko) * 2013-06-26 2014-10-01 박동일 접철식 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725Y1 (ko) 2008-05-07 2013-05-06 대진휀스 주식회사 접철식 출입문
KR200450473Y1 (ko) 2008-08-28 2010-10-06 남중환 접이식 출입문의 파이프 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1412U (ko) 1996-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06768A (en) Security screen
JPH024736B2 (ko)
ATE179149T1 (de) Teleskopierstab
US20030075851A1 (en) Clamp / spread / jack tool mechanism
KR200141289Y1 (ko) 횡방향 절첩 대문의 조립장치
KR101848820B1 (ko) 절첩식 바리케이트
SI0997678T1 (en) Coupling sleeve provided with locking means for pipes connection
DE60004112D1 (de) Schliesseinrichtung für eine Tür, insbesondere für eine Glastür
AU611044B2 (en) Window lock
ATE272156T1 (de) Türklemmschlossvorrichtung
KR200219441Y1 (ko) 전주용 접이식 작업 발판장치
DE59401566D1 (de) Verstärkungsprofil für eine externe Pfostenverstärkung eines Fensterpfostens
JP2833417B2 (ja) ケーブルラック
CN220433899U (zh) 一种装配式楼房的梁柱结构
EP0483186A4 (en) A brace
CN217109100U (zh) 一种可调节加强型角钢结构
JP2848132B2 (ja) レール接続用の位置決め装置
CN215850944U (zh) 一种改良式软管舱
JPH0738564Y2 (ja) ビル建築等の内部柱風防装置
KR0134773Y1 (ko) 이동식 안전망 설치용 골조
KR19980017233U (ko) 차량용 배기 파이프의 히트 커버 결합구조
KR920000658Y1 (ko) 천정부착용 빨래 건조대
CN114432609A (zh) 安全带栓挂装置
JP2518510Y2 (ja) 壁つなぎ用連結金具
JP3434006B2 (ja) 枠組足場用コーナーl型手摺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