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5356B1 - 접철식 문 - Google Patents

접철식 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5356B1
KR101445356B1 KR1020130073778A KR20130073778A KR101445356B1 KR 101445356 B1 KR101445356 B1 KR 101445356B1 KR 1020130073778 A KR1020130073778 A KR 1020130073778A KR 20130073778 A KR20130073778 A KR 20130073778A KR 101445356 B1 KR101445356 B1 KR 101445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tube
hinge shaft
tube portion
link members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3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일
Original Assignee
박동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동일 filed Critical 박동일
Priority to KR1020130073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53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5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5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 E04G2005/148Railings latticed or netted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2Doors or windows extensible when set in position
    • E06B3/94Doors of the bellows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면서 내구성이 향상된 새로운 구조의 접철식 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문은 힌지축(50,60)이 제1 및 제2 링크부재(30,40)에 형성된 관통공(31,41)에 결합되는 고정캡(56)과, 상기 관통공(31,41)에 결합되며 양단이 상기 고정캡(56)에 의해 지지되는 힌지축본체(55)로 구성되어, 힌지축본체(55)의 일단에 헤드부재가 용접결합되는 종래의 힌지축(50,60)에 비해 제작이 매우 용이하고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접철식 문{gate door}
본 발명은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면서 내구성이 향상된 새로운 구조의 접철식 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공기관이나 학교, 공장 등과 같은 대형 시설물의 출입구에는 필요에 따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접철식 문이 구비된다.
상기 접철식 문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로 길게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지프레임(A)과, 상기 지지프레임(A)을 연결하는 신축프레임(B)으로 구성된다.
상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A)은 상하로 연장되며 상호 전후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수직부(10)와, 상기 수직방향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부(20)를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수직부(10)의 하단에는 바닥면 또는 바닥면에 구비된 레일에 올려지는 로울러(11)가 구비되어, 각각의 지지프레임(A)이 좌우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신축프레임(B)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단이 하향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복수개의 제1 링크부재(30)와, 우측단이 상향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복수개의 제2 링크부재(40)와, 상기 제1 링크부재(30)와 제2 링크부재(40)의 교차부를 관통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30,40)를 상호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개의 힌지축(50,6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2 링크부재(40)는 전후 한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 링크부재(30)의 전후방에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축(50,60)은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30,40)를 관통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30,40)를 상호 힌지결합하는 제1 힌지축(50)과,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30,40)를 관통하도록 결합됨과 동시에 양단이 전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프레임(A)에 결합되는 제2 힌지축(6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2 힌지축(60)의 일부는 상기 지지프레임(A)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나머지는 상기 지지프레임(A)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A)을 상호 인접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면 상기 신축프레임(B)의 제1 및 제2 링크부재(30,40)가 회동되면서 각각의 지지프레임(A)의 간격이 동일하게 이격 또는 근접되어 접철식 문의 전체길이가 신축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접철식 문의 길이를 조절하여 출입문을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접철식 문의 구조 및 작용은 등록실용신안 20-0342443호를 비롯한 다수의 선행문건에 자세히 나타나 있음으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이러한 접철식 문에서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30,40)를 상호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하는 제1 힌지축(5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단이 개방된 파이프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30,40)에 형성된 관통공(31,41)을 관통하도록 결합된 힌지축본체(51)와, 상기 힌지축본체(51)의 일단에 용접결합되며 상기 제2 링크부재(40)의 외측에 걸리는 헤드부재(52)와, 상기 힌지축본체(51)의 타단에 결합되어 힌지축본체(51)의 타단이 상기 제2 링크부재(40)의 외측에 걸리도록 하는 고정부재(53)로 구성된다.
이때, 고정부재(53)는 상기 힌지축본체(51)의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부(53a)가 구비되어, 상기 삽입부(53a)를 상기 힌지축본체(51)의 타단에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설명하지 않은 도면번호 54는 상기 힌지축본체(51)의 외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30,40)가 상호 이격되도록 고정하는 스페이서를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힌지축본체(51)를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30,40)에 형성된 관통공(31,41)에 삽입한 후, 상기 고정부재(53)를 힌지축본체(51)의 타단에 결합하여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30,40)가 상호 회동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접철식 문은 상기 힌지축본체(51)의 일측에 헤드부재(52)가 용접결합됨으로, 힌지축본체(51)를 제작하는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힌지축본체(51)는 타단에 끼움결합되는 고정부재(53)에 의해 상기 관통공(31,41)에서 빠지지 않도록 지지되는데, 접철식 문을 반복적으로 개폐할 경우, 상기 힌지축(50,60)에 길이방향의 외력이 가해져 상기 고정부재(53)가 힌지축본체(51)로부터 이탈되며, 심할 경우, 상기 힌지축본체(51)가 제1 및 제2 링크부재(30,40)의 관통공(31,41)에서 빠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면서 내구성이 향상된 새로운 구조의 접철식 문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하로 길게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지프레임(A)과, 상기 지지프레임(A)을 연결하는 신축프레임(B)을 포함하며, 상기 신축프레임(B)은 우측단이 하향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복수개의 제1 링크부재(30)와, 우측단이 상향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복수개의 제2 링크부재(40)와, 상기 제1 링크부재(30)와 제2 링크부재(40)의 교차부를 관통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30,40)에 형성된 관통공(31,41)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30,40)를 상호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개의 힌지축(50,60)을 포함하는 접철식 문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50,60)은 상기 관통공(31,41)에 삽입되는 힌지축본체(55)와, 상기 관통공(31,41)에 결합되어 상기 힌지축본체(55)의 양단을 지지하는 합성수지재의 고정캡(56)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캡(56)은 상기 관통공(31,41)의 내부로 삽입되며 힌지축본체(55)의 단부 외측에 결합되는 지지관부(56a)와, 상기 지지관부(56a)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31,41)의 외측에 걸리는 헤드부(56b)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관부(56a)의 둘레면에는 상기 관통공(31,41)의 내측면에 걸리는 걸림돌기(56c)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문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관통공(31,41)과 상기 지지관부(56a)는 상호 대응되는 원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관통공(31,41)과 지지관부(56a)에는 상호 대응되는 직선부(42,56d)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문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관부(56a)의 둘레면에는 지지관부(56a)의 일측을 절개하여 구성된 탄성편(56e)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56c)는 상기 탄성편(56e)의 선단부 외측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문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문은 힌지축(50,60)이 제1 및 제2 링크부재(30,40)에 형성된 관통공(31,41)에 결합되는 고정캡(56)과, 상기 관통공(31,41)에 결합되며 양단이 상기 고정캡(56)에 의해 지지되는 힌지축본체(55)로 구성되어, 힌지축본체(55)의 일단에 헤드부재가 용접결합되는 종래의 힌지축(50,60)에 비해 제작이 매우 용이하고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접철식 문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접철식 문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종래의 접철식 문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4는 종래의 접철식 문의 제1 힌지축을 도시한 참고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문을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문의 제1 힌지축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문의 제1 힌지축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문의 고정캡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문의 제1 힌지축의 조립방법을 도시한 측면 분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문의 제1 힌지축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문의 변형예를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문을 도시한 것으로, 상하로 길게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지프레임(A)과, 상기 지지프레임(A)을 연결하는 신축프레임(B)으로 구성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를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신축프레임(B)은 우측단이 하향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복수개의 제1 링크부재(30)와, 우측단이 상향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복수개의 제2 링크부재(40)와, 상기 제1 링크부재(30)와 제2 링크부재(40)의 교차부를 관통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30,40)를 상호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개의 힌지축(50,6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2 링크부재(40)는 전후 한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 링크부재(30)의 전후방에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축(50,60)은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30,40)를 관통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30,40)를 상호 힌지결합하는 제1 힌지축(50)과,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30,40)를 관통하도록 결합됨과 동시에 양단이 전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프레임(A)에 결합되는 제2 힌지축(6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힌지축(50)은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30,40)의 관통공(31,41)에 삽입되는 힌지축본체(55)와, 상기 제2 링크부재(40)의 관통공(41)에 결합되어 상기 힌지축본체(55)의 양단을 지지하는 합성수지재의 고정캡(56)으로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 힌지축(50)은 양단이 개방된 금속재질의 파이프형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캡(56)은 상기 제2 링크부재(40)의 관통공(41)의 내부로 삽입되며 힌지축본체(55)의 단부 외측에 결합되는 지지관부(56a)와, 상기 지지관부(56a)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41)의 외측에 걸리는 헤드부(56b)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관부(56a)는 내경이 상기 힌지축본체(55)의 외경에 대응되는 원형의 파이프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힌지축본체(55)가 상기 지지관부(56a)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둘레면에는 상기 제2 링크부재(40)의 관통공(41) 내측면에 걸리는 걸림돌기(56c)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관통공(41)과 상기 지지관부(56a)는 상호 대응되는 지름을 갖는 원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관통공(41)과 지지관부(56a)에는 상호 대응되는 직선부(42,56d)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관부(56a)를 상기 관통공(41)에 결합하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직선부(42,56d)가 상호 맞물려 지지관부(56a)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관부(56a)의 둘레면, 특히, 상기 직선부(56d)에는 지지관부(56a)의 일측을 절개하여 구성된 탄성편(56e)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56c)는 상기 탄성편(56e)의 선단부 외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관부(56a)를 상기 관통공(41)에 삽입할 때,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편(56e)이 지지관부(56a)의 내측으로 휘면서 상기 걸림돌기(56c)가 관통공(41)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헤드부(56b)는 상기 지지관부(56a)의 외측단에 상기 관통공(41)의 직경에 비해 크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관부(56a)를 상기 관통공(41)에 결합하면, 상기 헤드부(56b)와 걸림돌기(56c)에 의해 상기 고정캡(56)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다.
설명하지 않은 도면번호 54는 상기 제1 힌지축(50)의 외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30,40)가 상호 이격되도록 고정하는 스페이서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접철식 문을 조립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링크부재(40)에 형성된 관통공(41)의 외측단에 상기 고정캡(56)을 결합하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링크부재(30)의 관통공(31)에 결합된 힌지축본체(55)에 상기 스페이서(54)를 끼운 후, 상기 힌지축본체(55)의 양단을 상기 제2 링크부재(40)의 관통공(41)을 통해 상기 고정캡(56)의 지지관부(56a)에 결합하여,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30,40)가 상호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조립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30,40)에 상기 제2 힌지축(60)을 결합한 후, 종래의 접철식 문과 같이, 상기 제2 힌지축(60)을 지지프레임(A)에 결합하여, 접철식 문을 조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접철식 문은 힌지축(50,60)이 제2 링크부재(40)에 형성된 관통공(41)에 결합되는 고정캡(56)과,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30,40)에 형성된 관통공(31,41)에 결합되며 양단이 상기 고정캡(56)에 의해 지지되는 힌지축본체(55)로 구성되어, 힌지축본체(55)의 일단에 헤드부재가 용접결합되는 종래의 힌지축(50,60)에 비해 제작이 매우 용이하고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고정캡(56)에서 상기 관통공(31,41)의 내부로 삽입되며 힌지축본체(55)의 단부 외측에 결합되는 지지관부(56a)의 둘레면에는 걸림돌기(56c)가 형성됨으로, 상기 고정캡(56)에 힌지축(50,60)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고정캡(56)이 관통공(41)으로부터 이탈되지 못하여, 상기 고정캡(56)이 빠져 힌지축본체(55)가 관통공(31,4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고정캡(56)은 상기 관통공(41)에 결합되는 지지관부(56a)에 걸림돌기(56c)가 형성됨으로, 상기 지지관부(56a)를 관통공(41)에 결합하거나 관통공(41)에 결합된 지지관부(56a)를 빼내기 위해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돌기(56c)가 상기 지지관부(56a)의 내측으로 함몰되어 걸림돌기(56c)가 관통공(41)에 걸리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그러나,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관부(56a)에는 힌지축본체(55)의 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걸림돌기(56c)가 지지관부(56a)의 내부로 함몰되지 못하도록 지지됨으로, 상기 힌지축본체(55)와 고정캡(56)이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30,40)의 관통공(31,41)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고정캡(56)이 관통공(41)으로부터 빠져나오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힌지축(50,60)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링크부재(30,40)를 상호 회동가능하게 결합한 상태에서, 의도하지 않게 상기 고정캡(56)이 빠지거나, 상기 힌지축본체(55)가 관통공(31,4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관통공(41)과 상기 지지관부(56a)는 상호 대응되는 원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관통공(41)과 지지관부(56a)에는 상호 대응되는 직선부(42,56d)가 형성됨으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직선부(42,56d)가 상호 맞물려 지지관부(56a)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관통공(41)에 결합된 고정캡(56)의 지지관부(56a)가 회전되어 상기 관통공(41)의 둘레면에 의해 지지관부(56a) 또는 지지관부(56a)에 형성된 걸림돌기(56c)가 마모되어 손상되고, 이에 따라 상기 고정캡(56)이 관통공(4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관부(56a)의 둘레면에는 지지관부(56a)의 일측을 절개하여 구성된 탄성편(56e)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56c)는 상기 탄성편(56e)의 선단부 외측면에 형성됨으로, 상기 지지관부(56a)를 관통공(41)에 끼우거나 관통공(41)에 끼워진 지지관부(56a)를 빼낼 때, 상기 탄성편(56e)이 내측으로 휘어서 지지관부(56a)가 관통공(41)을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관부(56a)를 관통공(41)에 결합하거나, 관통공(41)에 결합된 지지관부(56a)를 빼내는 것이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30,40)는 스페이서(54)에 의해 상호 이격되도록 고정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스페이서(54)의 구조를 생략하여 제1 및 제2 링크부재(30,40)가 상호 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2 링크부재(40)가 전후 한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 링크부재(30)의 전후방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고정캡(56)이 상기 제2 링크부재(40)의 관통공(41)에만 결합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30,40)가 각각 1개로 구성될 경우, 상기 고정캡(56)은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30,40)에 형성된 관통공(31,41)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힌지축본체(55)와 고정캡(56)의 결합구조는 상기 신축프레임(B)의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A. 지지프레임 B. 신축프레임
30. 제1 링크부재 40. 제2 링크부재
50. 제1 힌지축 60. 제2 힌지축

Claims (3)

  1. 상하로 길게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지프레임(A)과,
    상기 지지프레임(A)을 연결하는 신축프레임(B)을 포함하며,
    상기 신축프레임(B)은
    우측단이 하향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복수개의 제1 링크부재(30)와,
    우측단이 상향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복수개의 제2 링크부재(40)와,
    상기 제1 링크부재(30)와 제2 링크부재(40)의 교차부를 관통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30,40)에 형성된 관통공(31,41)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30,40)를 상호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개의 힌지축(50,60)을 포함하는 접철식 문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50,60)은
    상기 관통공(31,41)에 삽입되는 힌지축본체(55)와,
    상기 관통공(31,41)에 결합되어 상기 힌지축본체(55)의 양단을 지지하는 합성수지재의 고정캡(56)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캡(56)은
    상기 관통공(31,41)의 내부로 삽입되며 힌지축본체(55)의 단부 외측에 결합되는 지지관부(56a)와,
    상기 지지관부(56a)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31,41)의 외측에 걸리는 헤드부(56b)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관부(56a)의 둘레면에는 상기 관통공(31,41)의 내측면에 걸리는 걸림돌기(56c)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31,41)과 상기 지지관부(56a)는 상호 대응되는 원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관통공(31,41)과 지지관부(56a)에는 상호 대응되는 직선부(42,56d)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관부(56a)의 둘레면에는 지지관부(56a)의 일측을 절개하여 구성된 탄성편(56e)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56c)는 상기 탄성편(56e)의 선단부 외측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문.
KR1020130073778A 2013-06-26 2013-06-26 접철식 문 KR101445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3778A KR101445356B1 (ko) 2013-06-26 2013-06-26 접철식 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3778A KR101445356B1 (ko) 2013-06-26 2013-06-26 접철식 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5356B1 true KR101445356B1 (ko) 2014-10-01

Family

ID=51996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3778A KR101445356B1 (ko) 2013-06-26 2013-06-26 접철식 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53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4698B1 (ko) * 2023-02-16 2023-09-06 주식회사 우리도어 방화문 설치용 열변형 방지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1412U (ko) * 1994-09-06 1996-04-15 이상호 횡방향 절첩 대문의 조립장치
KR200342443Y1 (ko) 2003-12-05 2004-02-21 김유성 절첩식문 구조
KR200450473Y1 (ko) 2008-08-28 2010-10-06 남중환 접이식 출입문의 파이프 연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1412U (ko) * 1994-09-06 1996-04-15 이상호 횡방향 절첩 대문의 조립장치
KR200342443Y1 (ko) 2003-12-05 2004-02-21 김유성 절첩식문 구조
KR200450473Y1 (ko) 2008-08-28 2010-10-06 남중환 접이식 출입문의 파이프 연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4698B1 (ko) * 2023-02-16 2023-09-06 주식회사 우리도어 방화문 설치용 열변형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1006686S1 (en) Frame for a bicycle
US8348207B2 (en) Foldable supporting device
CZ29524U1 (cs) Třídílná synchronní skrytá kluzná kolejnice
PL1907653T3 (pl) Samo-rozkładający się namiot
KR20140001930U (ko) 조립식 앵글 선반
US20170172353A1 (en) Positioning system for seat of a bathing chair
KR101445356B1 (ko) 접철식 문
KR101917731B1 (ko) 접이식 물품의 탄성줄 프레임 변위장치
IT201600084620A1 (it) Sistema di giunzione a scomparsa per pannelli di un mobile o simile
KR101869359B1 (ko) 폴딩도어의 프레임조립체
PL2074908T3 (pl) Stojak na buty
JP2013147897A (ja) 移動式パネル
KR200450473Y1 (ko) 접이식 출입문의 파이프 연결구
KR101484624B1 (ko) 스크린 칸막이용 프레임
KR101574230B1 (ko) 양개 방화문의 작은 방화문 고정장치
KR101873428B1 (ko) 사다리
JP4861350B2 (ja) 脚立
KR101466724B1 (ko) 절첩식 가구의 연결 지지 장치
KR101071579B1 (ko) 가변식 프레임을 갖는 접의자
KR200473975Y1 (ko) 가구용 받침다리
US20120257923A1 (en) Modular tube assembly
KR102270196B1 (ko) 강화된 측면 결합구조를 갖는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101503700B1 (ko) 접이식 의자
KR200482374Y1 (ko) 테이블 상판
JP2013096184A (ja) 移動式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