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374Y1 - 테이블 상판 - Google Patents

테이블 상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374Y1
KR200482374Y1 KR2020150003820U KR20150003820U KR200482374Y1 KR 200482374 Y1 KR200482374 Y1 KR 200482374Y1 KR 2020150003820 U KR2020150003820 U KR 2020150003820U KR 20150003820 U KR20150003820 U KR 20150003820U KR 200482374 Y1 KR200482374 Y1 KR 2004823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plate
elastic
fixing
hole
elastic st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38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4369U (ko
Inventor
김성권
황주환
김태중
Original Assignee
김성권
황주환
김태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권, 황주환, 김태중 filed Critical 김성권
Priority to KR20201500038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374Y1/ko
Publication of KR201600043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36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3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37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6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separable part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테이블의 상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여러 개의 상판유니트를 탄성줄로 연결 결합하여 상판을 펼치거나 아니면 접거나 감아 그 크기를 축소시킨 상태에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한 테이블 상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복수의 상판유니트의 양측에 형성된 결합통공을 통하여 탄성줄을 끼워 결합하되, 탄성줄이 내부를 통과하는 별도의 고정바아를 마련하여 상기 고정바아도 탄성줄과 함께 결합통공을 통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테이블 상판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테이블 상판{Table top plate}
본 고안은 테이블의 상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여러 개의 상판유니트를 탄성줄로 연결 결합하여 상판을 펼치거나 아니면 접거나 감아 그 크기를 축소시킨 상태에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한 테이블 상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상적인 테이블 상판은 단일의 판재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그 이외에 여러 개의 상판유니트를 탄성줄로 결합하여 사용시엔 이들 상판유니트를 펼쳐서 하나의 평판 형태로 변화시켜 사용하고, 비사용시엔 자바라식으로 접거나 감아 그 크기를 감소시켜 운반이나 보관이 용이하게 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 중 후자의 경우에는 상판유니트의 양측에 각각 통공을 형성하고 이들 통공에 탄성줄을 통과시켜 서로 결합한 구조로서 내부의 탄성줄이 항상 상판유니트 상호간을 잡아당겨 밀착시키는 형태로 구성이 이루어져 있는 관계로, 저부에 위치하고 결합되는 다리부재와 상호간 확실하고도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엔 탄성줄의 잡아당기는 탄성력에 의하여 다리부재와 서로 분리되면서 저절로 이들 상판유니트들이 서로 감기는 현상이 발생하여 작동상 안정감이 저해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1.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271173호 2.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278305호 3.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1984-0002363호 4.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5-0010786호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이 이루어진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고안의 목적은 복수의 상판유니트의 양측에 형성된 결합통공에 탄성줄이 내부를 통과하는 별도의 고정바아를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구성하여 상판유니트를 펼쳤을 때 다시 원상태로 감겨지거나 접어지지 않고 그대로 펼쳐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테이블 상판의 사용후에 복수개의 상판유니트를 접어서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엔 결합통공으로부터 고정바아를 분리한 상태에서 자유롭게 상판유니트를 접거나 감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테이블 상판으로서 안정적인 작동과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고자 함에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복수의 상판유니트의 양측에 형성된 결합통공을 통하여 탄성줄을 끼워 결합하되, 탄성줄이 내부를 통과하는 별도의 고정바아를 마련하여 상기 고정바아도 탄성줄과 함께 결합통공을 통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테이블 상판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탄성줄의 일측 끝부분은 복수개의 상판유니트 중 맨 끝에 위치하게 되는 상판유니트의 내부에 형성된 고정공에 고정 설치하고, 상기 탄성줄의 중간부분은 고정바아의 내측 중심공을 경유하도록 결합하고, 상기 탄성줄의 다른 일측 끝부분은 상기 고정바아의 내측 중심공의 끝부분에 고정 설치되어 구성이 이루어지는 테이블 상판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탄성줄의 일측 끝부분엔 상판유니트의 고정공의 지름보다 외경이 크게 형성된 별도의 고정체와 결합 설치되어 탄성줄이 상기 고정체에 의하여 고정공을 통하여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이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줄의 다른 일측 끝부분엔 상기 고정바아의 중심공의 지름보다 외경이 크게 형성된 별도의 고정부재와 결합 설치되어 탄성줄이 상기 고정부재에 의하여 중심공을 통하여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이 이루어지는 테이블 상판이 제공된다.
그리하여 본 고안에 의하면, 복수의 상판유니트의 양측에 형성된 결합통공에 탄성줄이 내부를 통과하는 별도의 고정바아를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구성하여 상판유니트를 펼쳤을 때 다시 원상태로 감겨지거나 접어지지 않고 그대로 펼쳐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테이블 상판의 사용후에 복수개의 상판유니트를 접어서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엔 결합통공으로부터 고정바아를 분리한 상태에서 자유롭게 상판유니트를 접거나 감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테이블 상판으로서 안정적인 작동과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례로서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외관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저면에서 바라본 일부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내부의 고정바아를 외부로 인출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요부 절결 저면도,
도 5는 도 3의 상태에서 상판유니트를 접어놓은 상태를 예시한 상태도,
도 6은 도 3의 상태에서 상판유니트를 감아놓은 상태를 예시한 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인 상판을 테이블 다리 위에 설치하기 위하여 보여주는 분해 사용상태도,
도 8은 도 7의 결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이고도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례에 의하면, 복수의 상판유니트(1)의 양측에 형성된 결합통공(10)을 통하여 탄성줄(2)을 끼워 결합하되, 탄성줄(2)이 내부를 통과하는 별도의 고정바아(3)를 마련하여 상기 고정바아(3)도 탄성줄(2)과 함께 결합통공(10)을 통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줄(2)의 일측 끝부분은 복수개의 상판유니트(1) 중 맨 끝에 위치하게 되는 상판유니트(1)의 내부에 형성된 고정공(12)에 고정 설치하고, 상기 탄성줄(2)의 중간부분은 고정바아(3)의 내측 중심공(30)을 경유하도록 결합하고, 상기 탄성줄(2)의 다른 일측 끝부분은 상기 고정바아(3)의 내측 중심공(30)의 끝부분에 고정 설치되어 구성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탄성줄(2)의 일측 끝부분엔 상판유니트(1)의 고정공(12)의 지름보다 외경이 크게 형성된 별도의 고정체(4)와 결합 설치되어 탄성줄(2)이 상기 고정체(4)에 의하여 고정공(12)을 통하여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이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줄(2)의 다른 일측 끝부분엔 상기 고정바아(3)의 중심공(30)의 지름보다 외경이 크게 형성된 별도의 고정부재(5)와 결합 설치되어 탄성줄(2)이 상기 고정부재(5)에 의하여 중심공(30)을 통하여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판유니트(1)의 저부 내측 모서리부위엔 테이블의 다리부재(6)에 있어서 상부 결합돌부(60)와 서로 결합할 수 있도록 설치요부(14)를 각각 구성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작동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복수의 상판유니트(1)로 이루어진 테이블 상판을 펼쳐서 사용하는 경우부터 살펴본다.
평상시 탄성줄(2)이 결합통공(10)을 경유하고 고정바아(3)는 상판유니트(1)의 외측으로 탄성줄(2)의 일부와 함께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접거나 감겨 있던 상태의 복수개의 상판유니트(1)를 일렬로 펼쳐서 상판유니트(1) 상호간 결합통공(10)이 일직선으로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고 양측에 위치한 결합통공(10)에 각각 고정바아(3)를 결합통공(10) 내측으로 끼워 넣으면 탄성줄(2)의 탄성력에 의하여 고정바아(3)가 당겨지면서 고정바아(3)가 이들 복수개의 상판유니트(1) 전체와 결합되어 상판유니트(1)는 서로 감겨지거나 접히지 않고 펼쳐진 수평 상태로서 평판형을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고정바아(3)에 의하여 평판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는 복수개의 상판유니트(1)에 의한 테이블 상판을 미리 준비한 다리부재(6)의 상부 결합돌부(60)와 상판유니트(1) 중 가장 가장자리에 위치하게 되는 상판유니트(1)의 저부 모서리 위치에 위치한 설치요부(14)와 결합하여 테이블을 구성하여 테이블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복수의 상판유니트(1)로 이루어진 테이블 상판(1)을 사용한 후에 접거나 감아서 보관하는 경우를 살펴본다.
일단 전술한 바와 같이 결합통공(10)에 탄성줄(2)과 함께 고정바아(3)가 결합되어 평판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테이블 상판을 다리부재(6)의 상부 결합돌부(60)와 설치요부(14)를 서로 분리하여 다리부재(6)와 테이블 상판을 분리한다.
그리고 분리된 테이블 상판의 여러 상판유니트(1)로부터 결합통공(10)에 결합되어 있던 고정바아(3)를 외부로 분리하되, 내부에 탄성줄(2)이 통과하게 되므로 이와 함께 당겨서 상판유니트(1)로부터 고정바아(3)를 완전히 분리한 후에 상판 유니트(1)의 결합통공(10)엔 탄성줄(2)만이 통과한 상태에 있게 되므로, 복수개의 상판유니트(1)는 쉽게 접거나 말아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복수의 상판유니트(1)의 양측에 형성된 결합통공(10)에 탄성줄(2)이 내부를 통과하는 별도의 고정바아(3)를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구성하여 상판유니트(1)를 펼쳤을 때 다시 원상태로 감겨지거나 접어지지 않고 그대로 펼쳐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고, 테이블 상판의 사용후에 복수개의 상판유니트(1)를 접어서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엔 결합통공(10)으로부터 고정바아(3)를 분리한 상태에서 자유롭게 상판유니트(1)를 접거나 감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테이블 상판으로서 안정적인 작동과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1: 상판유니트, 2: 탄성줄,
3: 고정바아, 4: 고정체,
5: 고정부재, 6: 다리부재,
10: 결합통공, 12: 고정공,
14: 설치요부, 30: 중심공,
60: 상부 결합돌부

Claims (4)

  1. 복수의 상판유니트(1)의 양측에 형성된 결합통공(10)을 통하여 탄성줄(2)을 끼워 결합하고, 상기 탄성줄(2)이 내부를 통과하는 별도의 고정바아(3)를 마련하여 상기 고정바아(3)도 탄성줄(2)과 함께 결합통공(10)을 통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상기 탄성줄(2)의 일측 끝부분은 복수개의 상판유니트(1) 중 맨 끝에 위치하게 되는 상판유니트(1)의 내부에 형성된 고정공(12)에 고정 설치하고,
    상기 탄성줄(2)의 중간부분은 고정바아(3)의 내측 중심공(30)을 경유하도록 결합하고,
    상기 탄성줄(2)의 다른 일측 끝부분은 상기 고정바아(3)의 내측 중심공(30)의 끝부분에 고정 설치되어 구성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상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줄(2)의 일측 끝부분엔 상판유니트(1)의 고정공(12)의 지름보다 외경이 크게 형성된 별도의 고정체(4)와 결합 설치되어 탄성줄(2)이 상기 고정체(4)에 의하여 고정공(12)을 통하여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이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줄(2)의 다른 일측 끝부분엔 상기 고정바아(3)의 중심공(30)의 지름보다 외경이 크게 형성된 별도의 고정부재(5)와 결합 설치되어 탄성줄(2)이 상기 고정부재(5)에 의하여 중심공(30)을 통하여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상판.
  4. 삭제
KR2020150003820U 2015-06-12 2015-06-12 테이블 상판 KR2004823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820U KR200482374Y1 (ko) 2015-06-12 2015-06-12 테이블 상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820U KR200482374Y1 (ko) 2015-06-12 2015-06-12 테이블 상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369U KR20160004369U (ko) 2016-12-21
KR200482374Y1 true KR200482374Y1 (ko) 2017-01-16

Family

ID=57709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3820U KR200482374Y1 (ko) 2015-06-12 2015-06-12 테이블 상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374Y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1677Y1 (ko) 1982-10-12 1984-09-13 주식회사금성사 냉장실이 폐쇄 가능한 냉동 냉장 겸용 냉장고
KR840002363Y1 (en) * 1983-03-26 1984-11-22 Shin Yong Jin A portable table
KR950010418Y1 (ko) 1993-10-21 1995-12-13 강광식 침대용 쿠션체
KR200278305Y1 (ko) 2001-07-19 2002-06-20 유기설 휴대용 접이식 야외 테이블 (접이식)
KR200271173Y1 (ko) 2001-08-03 2002-04-09 유기설 휴대용 접이식 야외 테이블 (쟈바라 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369U (ko) 2016-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40991B2 (en) Pet tent support structure
US9408469B1 (en) Ball chair
CN103259196A (zh) 一种配电盘或配电箱的框架
US8783918B2 (en) Easily maintainable lamp connection device
KR200482374Y1 (ko) 테이블 상판
US8789575B2 (en) Stringless blinds
CN205353558U (zh) 一种便携式多媒体教学投影幕布
TWI613354B (zh) 快拆繞線裝置
CN207411627U (zh) 一种衣服纽扣
GB2482694B (en) A fencing panel
KR20150126760A (ko) 고정용 인디언 텐트
CN202831776U (zh) 一种附属帐篷
CN201687258U (zh) 按钮式折叠篷
CN203914142U (zh) 一种拼接床板
WO2017092292A1 (zh) 一种休闲用椅
CN205597559U (zh) 组装式脚座
CN104863443A (zh) 一种固定杆套装用扣架
CN204734202U (zh) 一种床架连接结构
KR200474454Y1 (ko) 램프 보호망
CN105088709A (zh) 收合式晾衣架
Austin Exhibition Poster 1
KR20110008592U (ko) 접이식 볼트머리를가진 고정볼트
CN104760006A (zh) 一种载物板扣架
杨庆春 How Wonderful The Modern Life
WO2016058565A3 (en) Shelter tilting 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