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683Y1 - 가열 부재와 두유 제조기 - Google Patents
가열 부재와 두유 제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65683Y1 KR200465683Y1 KR2020100005919U KR20100005919U KR200465683Y1 KR 200465683 Y1 KR200465683 Y1 KR 200465683Y1 KR 2020100005919 U KR2020100005919 U KR 2020100005919U KR 20100005919 U KR20100005919 U KR 20100005919U KR 200465683 Y1 KR200465683 Y1 KR 20046568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ting
- wall
- space portion
- circulating
- condens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038—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comprising additional heating or cooling means, i.e. use of thermal energy in addition to stored material
- A47J41/005—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comprising additional heating or cooling means, i.e. use of thermal energy in addition to stored material comprising heat or cold producing means, i.e. energy transfer from outside the vessel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60—Drinks from legumes, e.g. lupine drinks
- A23L11/65—Soy drink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005—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comprising a single opening for filling and dispensing provided with a stop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종의 가열 부재와 두유 제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 뚜껑과 가열통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 뚜껑은 상기 가열통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 뚜껑의 내표면은 응결 공간부를 둘러싸고 있으며, 상기 응결 공간부는 외부 공기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 뚜껑의 외표면과 상기 가열통의 내표면은 가열 공간부를 둘러싸고 있으며, 상기 내부 뚜껑은 내, 외표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을 구비하며, 상기 관통공은 상기 가열 공간부와 응결 공간부와 서로 연결되어 있음으로써 가열 공간부 내의 가열이 필요한 물질을 가열 과정 중 발생된 거품으로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응결 공간부로 응결시키며, 응결된 액체는 상기 가열 공간부에 회류된다. 액체가 가열된 후 발생된 거품이 가열 공간부에 채워질 때, 거품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며 또한 관통공으로부터 응결 공간부로 진입한 후 응결되며, 응결된 액체는 회류 공간부를 통해 가열 공간부 중으로 회류되어, 가열 공간부 내에 대량의 거품이 생겨나는 것을 억제시킴으로써 연속적인 가열을 실시하더라도 거품이 넘치지 않도록 하여 가열 효율을 향상시키며, 두유 제조 효율 또한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두유 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두유의 영양은 우유에 비길 만큼 풍부하지만, 두유에는 사람들이 중독 되기 쉬우며, 소화가 어려운 알칼로이드 독소(alkaloid)와 항트립 신(antitrypsin)이 함유되어 있다. 이러한 유해 성분은 90℃ 이상 온도에서, 무해 물질로 분해된다. 다만 두유는 비등점이 낮아 80℃ 정도에 있으며, 이런 온도 하에서 알칼로이드 독소가 열팽창 되어 거품이 되어 떠오르므로, 소위 가짜 비등현상이 형성되며, 대량의 거품이 발생되어 용기에서 넘쳐나게 된다. 기존 시장에 나와 있는 두유 제조기는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하는 방법을 채택한다. 거품이 일정한 높이에 달하면, 가열을 잠시 중단시키거나 낮은 출력으로 가열을 시킴으로써, 거품이 줄어들거나 감소되었을 경우 재 가열을 시작한다. 이렇게 반복적인 순환으로 두유를 제조하는 데에는 약 30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는데, 이렇게 시간이 많이 걸리므로 두유 제조 시간을 연장시킨다.
본 고안은 현재 상용되는 기술적 부족함에 대하여, 가열시간을 단축시키는 두유제조기 및 가열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실현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은 기술 방안을 채택하였다. 일종의 가열 부재로서, 내부 뚜껑과 가열통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 뚜껑은 상기 가열통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뚜껑의 내표면은 응결 공간부를 둘러싸고 있으며, 상기 응결 공간부는 외부 공기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 뚜껑의 외표면과 상기 가열통의 내표면은 가열 공간부를 둘러싸고 있으며, 상기 내부 뚜껑은 내, 외표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을 구비하며, 상기 관통공은 상기 가열 공간부와 응결 공간부와 서로 연결되어 있음으로써 가열 공간부 내에서 가열이 필요한 물질을 가열 과정 중에서 발생된 거품을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응결 공간부에서 응결시키며, 응결된 액체는 상기 내부 뚜껑의 하단에 상기 가열 공간부와 연결되도록 제공되는 회류공을 통하여 상기 가열 공간부에로 회류된다.
또한 상기 내부 뚜껑의 내표면은 회류 공간부를 둘러싸고 있으며, 상기 회류 공간부는 상기 응결 공간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응결 공간부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응결된 액체는 상기 회류 공간부와 회류공을 거쳐 상기 가열 공간부로 회류된다. 상기 내부 뚜껑은 폐합벽과 연결벽 그리고 회류벽을 구비하며, 상기 폐합벽은 상기 가열통과 배합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벽의 상단과 하단은 각각 상기 폐합벽과 회류벽에 연결되며, 상기 응결 공간부는 폐합벽의 내표면으로 둘러 싸여 형성된 제 1 응결 공간부와 상기 연결벽의 내표면으로 둘러싸여 형성된 제 1 응결 공간부와 연결된 제 2 응결 공간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회류 공간부는 상기 회류벽의 내표면으로 둘러 싸여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류공은 상기 회류벽의 하단에 제공되며, 그리고 상기 관통공은 상기 연결벽을 관통하고 있다.
상기 회류벽의 하부와 인접한 상기 가열통의 컵받침대는, 가열 과정 중 상기 회류벽을 상기 가열 대기물 속으로 담근다. 상기 회류벽의 하부와 멀리 있는 상기 가열통의 컵받침대는, 가열 과정 중 상기 회류벽을 상기 가열 대기물의 액면보다 높게 만든다.
상기 제 2 응결 공간부의 내부 공간은 위에서부터 아래로 점점 축소된다. 상기 내부 뚜껑의 내표면에는 거품의 운동 방향을 제한하는 차단벽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차단벽은 상기 폐합벽의 내표면에 설치된 제 1 차단벽과 상기 연결벽의 내표면에 설치된 제 2 차단벽을 포함하며, 상기 관통공은 상기 제 1 차단벽과 상기 제 2 차단벽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제 1 차단벽은 수평으로 펼쳐져 있으며, 상기 제 2 차단벽은 수직으로 펼쳐져 있다.
상기 폐합벽의 외표면과 상기 가열통의 내표면 사이에는 밀봉재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내부 뚜껑은 연결벽을 포함하며, 연결벽의 내표면 사이에 위치한 상기 응결 공간부의 일부분은 위에서부터 아래 방향으로 점차 축소된다. 상기 연결벽의 내표면은 원추형이다. 상기 관통공은 상기 연결벽을 관통한다. 상기 내부뚜껑의 내표면에는 거품의 운동방향을 제한하는 차단벽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열 부재는 또한 외부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뚜껑은 상기 응결 공간부의 상단 개구부를 밀폐하며, 상기 외부 뚜껑은 배기홀을 구비하며, 상기 응결 공간부는 상기 배기홀을 통하여 외부 공기와 연결된다. 상기 외부 뚜껑에는 온도 감지 센서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온도 감지 센서는 감지바늘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감지바늘은 상기 응결 공간부 아래를 지남으로서, 가열 과정 중 상기 감지바늘을 상기 가열이 필요한 물질 속으로 담근다.
상기 가열통의 외부에 히터를 설치하며, 상기 히터는 직접 상기 가열통의 아래 부분을 가열한다.
본체, 거름망통, 교반통, 칼날, 구동 모터, 히터 및 앞서 말한 가열 부재를 포함한 두유 제조기에 있어서, 상기 교반통과 구동 모터는 전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거름망통은 상기 교반통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 모터는 동력인출축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칼날은 상기 동력인출축에 고정되어 상기 거름망통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동력인출축과 상기 거름망통은 고정되고, 상기 교반통과 상기 가열통은 도류관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히터는 상기 가열통 내의 가열이 필요한 물질에 대해 가열을 시킨다.
상기 히터는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가열통의 외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가열통을 가열한다.
상기 본체에는 온도 감지 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온도 감지 센서는 상기 가열통의 외표면에 직접 접촉된다. 상기 가열 부재는 온도 감지 센서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온도 감지 센서는 감지바늘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감지바늘은 가열 부재의 응결 공간부 아래를 지남으로서, 가열 과정 중 상기 감지바늘을 상기 가열이 필요한 물질 속으로 담근다.
상기 교반통의 아래 부분에 액체 배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도류관은 상기 액체 배출구와 상기 가열통을 연결하며, 제어 스위치를 통하여 상기 액체 배출구의 개폐를 조정하며, 상기 제어 스위치는 온 상태와 오프 상태가 있으며, 온 상태일 경우는 상기 액체 배출구가 열리면서 상기 교반통과 상기 가열통을 연결시키며, 오프 상태일 경우에는 상기 액체 배출구가 닫히면서 상기 교반통과 상기 가열통을 차단시킨다. 상기 제어 스위치는 자석, 플런저, 밀봉재, 트위스트록으로 구성되며, 상기 자석은 플런저를 아래 위로 이동시키며, 상기 밀봉재와 상기 트위스트록은 각각 상기 플런저의 중부와 상단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 스위치가 온 상태일 때는 상기 밀봉재가 상기 액체 배출구에서 분리되며, 상기 트위스트록은 상기 거름망통에서 분리되고, 상기 제어스위치가 오프 상태일 경우에는 상기 밀봉재가 상기 액체배출구를 막으며, 상기 트위스트록은 상기 거름망통을 닫아버린다.
본체, 거름망통, 교반통, 칼날, 구동 모터, 히터 및 앞서 말한 가열 부재를 포함한 두유 제조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제 1 설치실과 제 2 설치실을 구비하며, 상기 교반통은 상기 제 1 설치실 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 모터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거름망통은 상기 교반통 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 모터는 동력인출축을 구비하며, 상기 칼날은 상기 동력인출축에 고정되어 상기 거름망통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동력인출축과 상기 거름망통은 고정되어 있고, 상기 가열부재는 상기 제 2 설치실 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교반통과 상기 가열통은 도류관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히터는 상기 가열통 내의 가열이 필요한 물질을 가열한다.
상기 가열통의 외부에 위치하는 상기 히터는, 상기 가열통의 아래 부분을 직접 가열하며, 상기 본체에는 온도 감지 센서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온도 감지 센서는 상기 가열통의 외표면에 직접 접촉되어 있다. 상기 가열통의 외부에 위치하는 상기 히터는,
상기 가열통의 아래 부분을 직접 가열하며, 상기 가열 부재는 온도 감지 센서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온도 감지 센서는 감지바늘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감지바늘은 가열 부재의 응결 공간부 아래를 지남으로서, 가열 과정 중 상기 감지바늘을 상기 가열이 필요한 물질 속으로 담근다.
내부 뚜껑 및 가열통을 포함한 가열 부재에 있어서, 상기 내부 뚜껑은 상기 가열통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 뚜껑의 내표면은 응결 공간부를 둘러싸고 있으며, 상기 응결 공간부는 외부 공기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 뚜껑의 외표면과 상기 가열통의 내표면은 가열 공간부를 둘러싸고 있으며, 상기 내부 뚜껑은 내, 외표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을 구비하며, 상기 관통공은 상기 가열 공간부와 응결 공간부와 서로 연결되어 있음으로써 가열 공간부 내의 가열이 필요한 물질을 가열 과정 중 발생된 거품으로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응결 공간부로 응결시키며, 응결된 액체는 상기 가열 공간부에 회류된다.
내부 뚜껑, 가열통 및 외부 뚜껑을 포함한 가열 부재에 있어서, 상기 내부 뚜껑은 상기 가열통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 뚜껑의 내표면은 응결 공간부를 둘러싸고 있으며, 상기 내부 뚜껑의 외표면과 상기 가열통의 내표면은 가열 공간부를 둘러싸고 있으며, 상기 내부 뚜껑은 내, 외표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을 구비하며, 상기 관통공은 상기 가열 공간부와 응결 공간부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 뚜껑은 상기 응결 공간부의 상단 개구부를 밀폐하며, 상기 외부 뚜껑은 배기홀을 구비하며, 상기 응결 공간부는 상기 배기홀을 통하여 외부 공기와 연결되며, 상기 외부 뚜껑에는 온도 감지 센서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온도 감지 센서는 감지바늘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감지바늘은 상기 응결 공간부 아래를 지남으로서, 가열 공간부 내의 가열이 필요한 물질을 가열 과정 중 발생된 거품으로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응결 공간부로 응결시키며, 응결된 액체는 상기 가열 공간부에 회류되며, 또한 가열 과정 중 상기 감지바늘을 상기 가열이 필요한 물질 속으로 담근다.
본 고안의 유리한 효과는 액체가 가열된 후 발생된 거품이 가열 공간부에 채워질 때, 거품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며 또한 관통공에서 응결 공간부로 진입한 후 응결되며, 응결된 액체는 회류 공간부를 통해 가열 공간부 중으로 회류되어, 가열 공간부 내에 대량의 거품이 생겨나는 것을 억제시킴으로써 연속적인 가열을 실시하더라도 거품이 넘치지 않도록 하여 가열 효율을 향상시키며, 두유 제조 효율 또한 향상시키는 것이다.
도 1 은 두유 제조기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2 는 두유 제조기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3 내지 도 4 는 각각 두유 제조기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정면도와 우측면도,
도 5 는 도 4에 표시된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6 은 도 3에 표시된 A-A 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7 은 도 5에 표시된 C가 가리키는 세부 확대도,
도 8 은 도 6에 표시된 D가 가리키는 세부 확대도,
도 9 는 두유 제조기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열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10 은 두유 제조기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열부재 내부 뚜껑의 사시도,
도 11 내지 도 12 는 두유 제조기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열부재 내부뚜껑의 평면도와 저면도,
도 13 은 가열 부재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14 는 가열 부재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15 는 가열 부재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16 은 가열 부재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17 은 가열 부재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18 은 가열 부재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19 는 가열 부재의 제 4 실시예를 구비한 두유 제조기의 분해 사시도,
도 20 은 가열 부재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21 은 가열 부재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2 는 두유 제조기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3 내지 도 4 는 각각 두유 제조기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정면도와 우측면도,
도 5 는 도 4에 표시된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6 은 도 3에 표시된 A-A 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7 은 도 5에 표시된 C가 가리키는 세부 확대도,
도 8 은 도 6에 표시된 D가 가리키는 세부 확대도,
도 9 는 두유 제조기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열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10 은 두유 제조기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열부재 내부 뚜껑의 사시도,
도 11 내지 도 12 는 두유 제조기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열부재 내부뚜껑의 평면도와 저면도,
도 13 은 가열 부재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14 는 가열 부재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15 는 가열 부재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16 은 가열 부재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17 은 가열 부재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18 은 가열 부재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19 는 가열 부재의 제 4 실시예를 구비한 두유 제조기의 분해 사시도,
도 20 은 가열 부재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21 은 가열 부재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예 방식은 첨부도와 함께 본 고안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도 1부터 도 12에서 도시하듯이, 본 두유제조기는 본체(1), 분쇄 용기(2), 칼날(3), 구동 모터(4), 가열 부재(5), 히터(6)로 구성 된다. 본체(1)는 받침대(11)와 받침대(11)에 설치된 외곽(12)으로 구성되며, 상기 받침대(11)의 밑에 밑판(112)을 가지고 있고, 받침대(11)와 외곽(12) 사이에 제 1 설치실(13)과 제 2 설치실(14)을 형성하며, 제 1 설치실 (13)에 분쇄 용기(2), 칼날(3) 및 구동 모터(4)가 설치되어 있고, 제 2 설치실 (14) 내에 가열 부재(5)가 설치되어 있으며, 가열 부재(5)는 가열통(51)을 가지고 있고, 받침대(11)에 설치 되어 있는 히터(6)는 가열통(51)을 가열한다.
상기 분쇄 용기(2)는 여과홀을 가진 거름망통(21)과 교반통(22)을 가지고 있다. 거름망통(21)은 제 1 컵받침대(211)와 제 1 컵(212)을 포함하며, 제 1 컵받침대(211)와 제 1 컵(212)은 상단에 개구부를 가지고 있는 제 1 컵 공간부(214)를 형성하고, 교반통(22)은 제 2 컵받침대(221)과 제 2 컵 (222)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컵받침대(221)와 제 2 컵(222)은 상단에 개구부를 가지고 있는 제 2 컵 공간부(224)를 형성한다. 상기 칼날(3)은 분쇄할 제품을 분말 형태로 분쇄시키며 상기 분쇄할 제품은 대두 또는 분쇄 후의 액체 상태에서 가열 될 때 거품이 발생되는 녹두, 팥 등일 수도 있다. 상기 구동 모터(4)는 칼날(3)과 거름망통(21)을 회전시키며, 구동 모터(4)는 동력인출축(41)을 가지고 있다.
상기 교반통(22)은 상기 본체(1)의 제 1 설치실(13) 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설치실(13) 내에는 실장벽(1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교반통(22)은 기계적 연결방식으로 상기 실장벽(15)에 고정될 수 있으며, 또한 직접 상기 실장벽(15) 위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거름망통(21)은 교반통(22)의 제 2 컵 공간부(224)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칼날(3)은 구동 모터(4)의 동력인출축(41)의 상단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거름망통(21)의 제 1 컵 공간부(214)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동력인출축(41)은 거름망통(21)의 제 1 컵 받침대(211)에 고정되어 있으며 밀폐 결합 되어 있다. 구동 모터(4)는 실장벽(15)에 고정되어 제 1 설치실(13) 내에 위치하고 있다. 제 1 설치실(13)의 상단 개구부는 상부 뚜껑(23)으로 덮을 수 있다.
상기 교반통(22)의 제 2 컵받침대(221)에는 아래 위가 통할 수 있는 액체 배출구(225)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액체 배출구(225)는 제 2 컵 공간부(224)와 연결되어 있으며, 제 2 컵 받침대(221)는 도류관(24)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도류관(24)은 주입구(241)와 배출구(242)를 구비하며, 상기 주입구(241)가 배출구(242)보다 높게끔 도류관(24)이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주입구(241)는 교반통(22)의 액체 배출구(225)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구(242)는 가열통(51)과 연결되어 있으며, 중력의 작용으로, 분쇄된 액체는 도류관(24)을 거쳐 가열통(51)에 유입된다.
상기 제어 스위치(7)를 사용하여 교반통(22)의 액체 배출구(225)의 개폐 상태를 제어하며, 제어 스위치(7)는 온, 오프의 두 가지 상태를 가지고 있다. 제어 스위치(7)가 온 상태일 경우, 액체 배출구(225)가 열리며, 교반통(22) 내의 액체가 도류관을 거쳐 가열통(51)에 유입된다. 상기 제어 스위치(7)가 오프 상태일 경우, 액체 배출구(225)는 닫히게 되며, 교반통(22) 내의 액체는 가열통(51)에 유입되지 못하며, 제어 스위치(7)는 정상적인 오프 상태로 돌아온다.
본 고안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스위치(7)는 자석(71)과 플런저(72)와 밀봉재(73)와 트위스트록(74)으로 이루어지며, 자석(71)은 플런저가 아래 위로 이동하는 것을 제어하며, 밀봉재(73)는 플런저(72)의 중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트위스트록(74)은 플런저(72)의 상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밀봉재(73)와 교반통(22)의 액체 배출구(225)와 맞물린다. 오프 상태일 경우, 밀봉재(3)는 액체 배출구(225)를 막아버리며, 트위스트록(74)은 거름망통(21)을 잠궈버린다. 온 상태일 경우, 밀봉재(73)는 액체 배출구(225)에서 분리되며, 트위스트록(74)은 거름망통(21)에서 분리된다.
상기 가열 부재(5)는 가열통(51)과 내부 뚜껑(52)과 외부 뚜껑(53)으로 구성된다. 액체는 도류관(24)을 거쳐 가열통(51)에 유입되며, 상기 가열통(51)은 제 3 컵받침대(511)와 제 3 컵(512)을 포함하며, 상기 제 3 컵받침대(511)와 제 3 컵(512)은 상단에 개구부를 구비한 제 3 컵 공간부(514)를 형성한다. 상기 내부 뚜껑(52)은 제 3 컵 공간부(514) 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 뚜껑(52)의 내표면은 응결 공간부(54)와 회류 공간부(55)가 둘러싸고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 뚜껑(52)의 외표면은 가열통(51)의 내표면과 함께 둘러싸여 가열 공간부(56)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내부 뚜껑(52)은 일체화로 연결된 폐합벽(521)과 연결벽(522)과 회류벽(523)을 포함하며, 상기 폐합벽(521)의 상단은 가열통(51)의 제 3 컵(512)의 상단(513)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폐합벽(521)의 외표면은 밀봉재(57)와 가열통(51)과 제 3 컵(512)의 내표면과 밀폐 결합 되어 있다. 상기 폐합벽(521)의 내표면은 제 1 응결 공간부(541)를 형성하였으며, 상기 연결벽(522)의 상단과 폐합벽(521)의 하단은 일체화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벽(522)의 하단과 회류벽(523)의 상단은 일체화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벽(522)의 내표면은 제 2 응결 공간부(542)를 형성하였으며, 제 2 응결 공간부(542)의 내부 공간은 위에서 아래로 점차 축소되고 있으며, 제 1 응결 공간부(541)와 제 2 응결 공간부(542)는 연결되어 응결 공간부(54)를 이루며, 액체가 가열되어 발생된 거품은 응결 공간부(54)내에서 응결된다. 회류 공간부(55)는 회류벽(523)의 내표면으로 둘러싸여 형성되어 있으며, 회류 공간부(55)는 내부 공간이 균일한 구조이다. 회류 공간부(55)는 내부 공간이 균일하지 않은 구조일 수도 있다. 폐합벽(521)의 내표면에는 수평으로 펼쳐진 제 1 차단벽(525)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벽(522)의 내표면에는 수직으로 펼쳐진 돔형 제 2 차단벽(526)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벽(522)에는 내외 표면을 관통하는 관통공(527)을 구비하며, 상기 관통공(527)은 제 1 차단벽 (525)과 제 2 차단벽(526)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제 1 차단벽(525)과 제 2 차단벽(526)을 이용하여, 거품의 운동 방향을 제한하는 통로(528)를 형성한다. 상기 외부 뚜껑(53)은 내부 뚜껑(52) 위에 있으며, 상기 내부 뚜껑(52)의 응결 공간부(54)의 상단 개구부를 밀폐한다. 상기 외부 뚜껑(53)은 여러 개의 배기홀(531)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배기홀(531)을 통하여 응결 공간부(54)와 외부 공기가 통하게 되어 있으며, 응결 공간부(54)는 가열 공간부(56)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와 압력을 유지할 수 있어 거품의 응결에 유리하다. 상기 회류벽(523)의 하단은 가급적 가열통(51)의 제 3 컵받침대(511)에 접근하게 하여, 회류벽(523)이 가급적 액체의 액면 아래로 뻗치게 함으로써, 거품이 회류공(529)을 통하여 응결 공간부(54)에 유입되어 내부를 막아버리는 현상을 방지한다. 관통공(527)은 가열 공간부(56) 내의 액면보다 높아야 한다. 상기 내부 뚜껑과 외부 뚜껑의 형체 구조는 바람직한 디자인으로 설계 될 수 있으며, 각종 내부 뚜껑은 관통공, 응결 공간부와 회류 공간부의 범위를 제한하며, 상기 내부 뚜껑과 가열통은 공동으로 가열 공간부의 범위를 제한하며, 가열 공간부에서 발생한 거품은 관통공을 통해 응결 공간부에 주입되어 응결되며, 응결된 액체는 회류 공간부와 회류공을 거쳐 가열 공간부에 회류된다. 또한, 상기 가열부재는 가열통 (51)에 설치한 손잡이 뚜껑(501)을 구비한 손잡이(50)도 포함한다. 상기 손잡이(50)를 통해 사용자는 가열통(51)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히터(6)는 본체(1)의 받침대(11) 위에 실장 되어 있으며, 가열통(51)의 제 3 가열통 받침대(511)의 아래에 위치함으로써 제 3 가열통 받침대 (511)를 직접 가열할 수 있다. 히터(6)는 가열판일 수 있다. 히터(6)에는 실시간으로 히터(6)의 가열 온도를 반영하는 제 1 온도 감지 센서(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두유 제조기의 본체(1)에는 하부 뚜껑(16)도 포함되며, 본체 받침대(11)에 히터 마운팅 홀(111)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뚜껑(16)은 상기 히터 마운팅 홀(111) 내에 고정되어 있으며, 동시에 밀봉재(17)로 밀폐되어 있다. 히터(6)는 상기 하부 뚜껑(58) 내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두유 제조기는 또한 실시간으로 가열통(51)의 온도를 반영하는 제 2 온도 감지 센서(9)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 2 온도 감지 센서(9)는 본체(1)의 외곽(12)에 고정되어 있으며, 또한 가열통(51)의 제 3 가열통(512)과 직접 접촉되어 있으며, 상기 외곽(12) 상에는 상기 제 2 온도 감지 센서(9) 설치에 사용되는 설치 구멍(121)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히터(6)는 가열통(51)을 가열함으로 대두즙을 가열하는 목적을 이루며, 제 2 온도 감지 센서(9)도 직접 가열통(51)의 온도를 반영하기에 가열통(51)은 금속 혹은 유리와 같은 열전도 자재로 제조된다.
본 고안의 두유 제조기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회로는 자석(71), 구동 모터(4), 히터(6), 제 1 온도 감지 센서(8)와 제 2 온도 감지 센서(9)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어 회로는 제 1, 제 2 온도 감지 센서가 반영하는 신호 접수가 가능하며, 프로그램에 의해 자석, 구동 모터, 히터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두유 제조기 사용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콩을 거름망통(21)에 넣고, 교반통(22)에 물을 넣은 다음 상부 뚜껑 (23)을 닫고, 가열 부재(5)를 히터(6) 위에 올려놓는다.
2) 구동 모터(4)를 이용하여 칼날을 고속 회전시키고 콩을 분쇄하여 제어 스위치(7)를 오프상태에 둔다.
3) 콩 분쇄 후, 제어 스위치(7)가 열리고, 자석(71)을 밀어 올리면서, 플런저(72)는 액체 배출구(225)의 밀봉재(73)를 밀어 내어 열리면서, 트위스트록(74)을 밀어 내어, 교반통(22) 내의 액체가 도류관을 통해 가열통(51)에 유입되게 하며, 트위스트록(74)이 거름망통(21)에서 분리되게 한다.
4) 교반통(22) 내의 액체가 모두 배출 된 후, 구동 모터(4)는 거름망통 (21)을 저속 회전시키며, 거름망통(21) 내의 콩비지 중 콩즙을 분리해내어, 도류관(24)을 통해 가열통(51)에 유입되게 한다.
5) 액체가 전부 흘러나온 후, 자석(71)은 제자리로 회복되고, 가열 상태로 진입한다.
6) 히터(6)는 280℃로 상승하여 안정된 상태가 유지되며, 두유 온도가 85℃ ~ 90℃에 달할 경우, 히터(6)는 온도를 200℃정도로 유지한다.
7) 두유 온도가 95℃ ~ 100℃에 달할 경우, 설정 시간 내에는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며, 설정 시간이 지난 후에는, 두유 제조 과정을 끝마치며, 두유 제조기는 다시 대기 상태로 변환된다. 두유 제조기의 자석, 구동 모터, 가열판의 작업 시간과 순서는 바람직한 요구에 따라 설계될 수 있다.
가열 과정 중, 액체가 가열된 후 발생된 거품은 가열 공간부(56)에 채워지며, 거품이 계속 많아지면 관통공(527)으로부터 응결 공간부(54)로 주입되며, 응결 공간부(54)의 온도와 압력이 가열 공간부(56)보다 훨씬 작기에 거품은 액체로 응결되어 회류 공간부(55)를 거쳐, 가열 공간부(56)에 회류되어, 가열 공간부(56)에 대량의 거품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고, 지속적인 가열이 가능하며 거품이 넘치지 않으며, 가열 효과를 향상시킨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히터(6)와 제 1 온도 감지 센서(8)와 제 2 온도 감지 센서(9)는 전부 가열통(51)의 외부에 설치되어 구조를 간단하게 하였으며, 세척도 편리하며 두유를 절대 오염시키지 않는다.
상기 가열 부재는 두유 제조기에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쇄 후 콩즙을 가열하는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다. 가열 부재는 히터와 배합하여 가열 작용만 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직접 국물을 끓이는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응용으로 히터는 가열통의 밑 부분에 고정될 수 있으며, 가열통의 가열을 통해 국물을 가열시킨다. 또는 히터와 가열 부재를 분리 설치하여, 사용 시에만 가열통을 히터 위에 놓고 가열할 수도 있다. 히터를 구비한 두 가지 구조에는 히터에는 온도 감지 센서가 설치 되어 있으므로, 가열 온도에 대한 제어가 가능하다.
도 13, 14에서 도시하듯이, 가열 부재 제 2 실시예가 상기 실시예와 제 1 실시예와 구별되는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회류벽(523)의 길이가 비교적 짧고, 회류공간부(55)의 길이도 비교적 짧아, 내부 뚜껑(52)이 가열통(51) 상에 설치 된 후, 회류벽(523)은 콩즙의 액면 아래로 펼쳐질 수 없다. 회류벽은 통상적으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회류벽이 콩즙 안으로 잠기지 않아, 회류벽이 콩즙에 장시간 가열되며 나는 독특한 냄새를 막고, 또한 가열 과정 중 발생하는 인체 유해 물질 생성을 막으며, 이 밖에도 더욱 편리하고 청결하다는 특징이 있다.
도 15, 16에서 도시하듯이, 가열 부재 제 3 실시예가 상기 실시예와 제 1 실시예와 구별되는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내부 뚜껑(52)은 단지 응결 공간부(54)만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응결 공간부(54)는 폐합벽(521)의 내표면으로부터 둘러싸여 형성된 제 1 응결 공간부(541)와 연결벽(522)의 내표면으로부터 둘러 싸여 형성된 제 2 응결 공간부(542)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 1 응결 공간부(541)와 제 2 응결 공간부(542)는 서로 이어져 있으며, 상기 제 2 응결 공간부(542)와 상기 가열 공간부(56)는 서로 이어져 있으며, 상기 가열 공간부(56)는 내부 뚜껑(52)의 외표면과 가열통(51)의 내표면으로부터 둘러 싸여 형성된다. 내부 뚜껑(52)은 상기 가열통(51) 상에 설치되어 있어, 내부 뚜껑(52)은 콩즙 안으로 잠기지 않으며, 그것 역시 콩즙 가열 과정 중 내부 뚜껑에서 나는 독특한 냄새 및 발생 되는 인체 유해 물질 생성을 막으며, 또한 더욱 편리하고 청결하다는 특징이 있다.
도 17, 18에서 도시하듯이, 가열 부재(5)의 제 4 실시예가 상기 실시예와 제 1 실시예와 구별되는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제 2 온도 감지 센서(9)는 외부 뚜껑(53) 상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온도 감지 센서(9)는 실시간으로 가열 공간부 내의 콩즙 온도를 반영한다. 상기 가열 부재는 외부 뚜껑(53), 내부 뚜껑(52) 및 가열통(51)을 포함하고 있다. 제 2 온도 감지 센서(9)는 상기 외부 뚜껑(53) 아래 부분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온도 감지 센서(9)는 감지바늘(91)을 구비하고 있다. 내부 뚜껑(52)의 내표면은 응결 공간부(54)와 회류 공간부(55)를 둘러 싸고 있으며, 내부 뚜껑(52)의 외표면과 가열통(51)의 내표면은 가열 공간부(56)를 둘러 싸고 있으며, 내부 뚜껑(52)은 일체 순차 연결된 폐합벽(521), 연결벽(522) 및 회류벽(523)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폐합벽(521)은 가열통(51) 상에 놓여지며,상기 폐합벽(521)의 내표면은 제 1 응결 공간부(541)를 둘러 싸고 있으며, 상기 연결벽(522)의 위, 아래 부분은 각각 폐합벽(521)과 회류벽(523)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벽(522)의 내표면은 제 2 응결 공간부(542)를 둘러싸고 있으며, 상기 제 1 응결 공간부(541)와 제 2 응결 공간부(542)는 상기 응결 공간부(54)를 구성하며, 상기 회류벽(523)의 내표면은 회류 공간부(55)를 둘러 싸고 있으며, 상기 제 1 응결 공간부(541), 제 2 응결 공간부(542) 및 회류 공간부(55)는 순차 관통하며, 관통된 상기 내부 뚜껑(52)의 내, 외표면은 연결된 가열 공간부와 응결 공간부의 관통공(527)이 형성된다.
사용 시, 외부 뚜껑(53)은 내부 뚜껑(52) 상에 덮여 있으며, 내부 뚜껑(52)은 가열통(51) 상에 덮여 있으며, 내부 뚜껑(52)의 회류벽(523)은 가열 공간부(56) 내의 대두즙 중에 잠기며, 제 2 온도 감지 센서(9)의 감지바늘(91)은 아래를 향해 순차적으로 제 1 응결 공간부(541)와 제 2 응결 공간부(542)를 거친 후 회류 공간부(55) 중으로 펼쳐지며, 상기 감지바늘(91) 역시 상기 대두즙 중에 잠기게 되며, 이로써 실시간으로 상기 대두즙의 온도를 반영한다. 본 고안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온도 감지센서(9)의 감지바늘(91)의 하부는 회류벽(523)의 단면보다 높으며, 상기 감지바늘(91)의 하부는 회류 공간부(55)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제 2 온도 감지 센서(9)의 하부 역시 회류벽(523)의 단면과 같다. 혹은, 제 2 온도 감지 센서(9)의 하부는 회류벽(523)의 단면보다 낮아, 상기 감지바늘(91) 아래로 회류 공간부(55)를 펼친다.
제 2 온도 감지 센서가 직접 대두즙과 접촉되기 때문에, 가열통이 그 어떤 종류의 열전도 재질 혹은 두께를 채택하더라도, 직접적이고 정확한 대두즙 온도를 검사할 수 있어, 대두즙 가열의 정확한 제어를 실현한다.
도 19에서 도시하듯이, 상기 또 다른 두유 제조기는, 상기 도 17, 18에서 도시하고 있는 상기 가열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온도 감지 센서(9)가 직접 가열 부재(5) 외부 뚜껑(53) 상에 집적되어 있기 때문에, 두유 제조기 본체(1) 역시 제 2 온도 감지 센서(9)의 설치에 사용되는 설치 구멍을 미리 남겨 둘 필요가 없다.
도 20, 21에서 도시하듯이, 상기 가열 부재의 제 5 실시예가 상기 실시예와 제 4 실시예와 구별되는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내부 뚜껑(52)은 단지 응결 공간부(54)만을 구비하고 있고 회류 공간부(55)는 구비하지 않고 있으며, 상기 내부 뚜껑(52)은 단지 둘러 싸인 응결 공간부(54)의 폐합벽(521)과 연결벽(522)을 구비하고 있을 뿐, 둘러 싸인 회류 공간부(55)의 회류벽(523)을 구비하고 있지는 않다. 내부 뚜껑(52)이 가열통(51) 상에 설치될 때, 제 2 온도 감지 센서(9)의 감지바늘(91)은 응결 공간부(54)를 거친 후 대두즙 중으로 잠기며, 내부 뚜껑(52)은 대두즙 중으로 잠기지 않는다.
가열 부재에 있어서, 내부 뚜껑은 단지 응결 공간부를 가질 수 있고, 가열이 필요한 물질이 가열 될 때, 상기 내부 뚜껑은 상기 가열이 필요한 물질 중으로 잠길 수 있으며, 상기 내부 뚜껑은 또한 가열이 필요한 물질의 액면보다 높을 수 있다. 내부 뚜껑은 또한 응결 공간부와 상기 응결 공간부 아래의 회류 공간부를 동시에 구비할 수 있으며, 회류 공간부는 회류벽으로부터 둘러 싸여지며, 상기 회류벽은 가열이 필요한 물질 중으로 잠길 수 있으며, 상기 회류벽은 또한 가열이 필요한 물질의 액면보다 높을 수 있다. 가열 부재는 또한 내부 뚜껑 상 덮힌 외부 뚜껑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외부 뚜껑 상에는 온도 감지 센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온도 감지 센서는 감지바늘을 구비하며, 상기 감지바늘은 아래로 내부 뚜껑을 거쳐 가열이 필요한 물질 중으로 잠기며, 상기 감지바늘의 하부는 상기 내부 뚜껑의 하부 단면보다 높을 수 있고, 또한 상기 하부 단면과 같거나 상기 하부 단면보다 낮을 수도 있다.
가열 부재에 있어서, 상기 내부 뚜껑의 구조, 내부 뚜껑과 가열이 필요한 물질의 액면의 위치 관계, 외부 뚜껑의 설치 여부, 외부 뚜껑의 온도 감지 센서 설치 여부 및 내부 뚜껑과 온도 감지 센서의 위치 관계가 다양한 조합을 이룰 수 있으며, 다른 구조의 가열 부재를 형성할 수 있으며, 앞서 서술한 몇 가지 종류의 실시예를 제외하고도 내부 뚜껑은 가열이 필요한 물질의 액면보다 높은 회류벽을 구비할 수 있으며, 또한 외부 뚜껑 상에 온도 감지 센서를 설치하는 방식, 내부 뚜껑은 회류벽을 설치하지 않고 외부 뚜껑 상의 온도 감지 센서의 감지바늘 하부는 내부 뚜껑의 하부 단면보다 낮은 방식, 내부 뚜껑은 회류벽을 설치하며 외부 뚜껑 상의 온도 감지 센서의 감지바늘 하부는 내부 뚜껑의 하부 단면보다 낮은 방식, 외부 뚜껑을 설치하지 않음으로서 응결 공간부를 직접 열리게 하고 외부 공기와 통하게 하는 등 기타 실시예 방식이 있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이고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는 전제 하에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한 변형 예 또는 수정 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26)
- 가열통과, 그리고 상기 가열통의 상단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가열통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 뚜껑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열부재로서,
상기 내부 뚜껑은 상기 가열통의 내부에 설치되도록 가열통의 상단 개구부 내표면과 결합되는 상단의 폐합벽과 아래의 연결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 뚜껑의 외표면과 상기 가열통의 내표면은 가열 공간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내부 뚜껑의 내표면이 둘러싸고 있는 공간은 응결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응결 공간부는 외부 공기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벽의 내표면 사이에 위치한 상기 응결 공간부의 일부분은 위에서부터 아래 방향으로 직경이 점차 축소되도록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연결벽은 내, 외표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을 구비하며, 상기 관통공은 상기 가열 공간부와 상기 응결 공간부를 서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가열 공간부 내에서 가열이 필요한 물질을 가열 과정 중에서 발생되는 거품을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응결 공간부로 이동시켜 응결시키며, 상기 응결 공간부에서 응결된 액체는 상기 내부 뚜껑의 하단에 상기 가열 공간부와 연결되도록 제공되는 회류공을 통하여 상기 가열 공간부로 회류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부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뚜껑은 상기 연결벽의 아래에 연장되는 회류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 뚜껑의 상기 회류벽의 내표면은 회류 공간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회류 공간부는 상기 응결 공간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응결 공간부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응결 공간부에서 응결된 액체는 상기 회류 공간부와 상기 회류공을 거쳐서 상기 가열 공간부로 회류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부재.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벽의 상단과 하단은 각각 상기 폐합벽과 상기 회류벽에 연결되며, 상기 응결 공간부는 상기 폐합벽의 내표면으로 둘러싸여 형성된 제 1 응결 공간부, 및 상기 연결벽의 내표면으로 둘러싸여 형성되며 상기 제 1 응결 공간부와 연결되는 제 2 응결 공간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회류 공간부는 상기 회류벽의 내표면으로 둘러싸여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류공은 상기 회류벽의 하단에 제공되며, 그리고 상기 관통공은 상기 연결벽을 관통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부재.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류벽의 하부와 인접한 상기 가열통의 컵받침대는, 가열 과정 중 상기 회류벽 하단의 상기 회류공이 상기 가열이 필요한 물질 속으로 담겨지도록 형성되는 특징으로 하는 가열 부재.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류벽의 하부와 멀리 있는 상기 가열통의 컵받침대는, 가열 과정 중 상기 회류벽 하단의 상기 회류공이 상기 가열이 필요한 물질의 액면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부재.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응결 공간부의 내부 공간은 위에서부터 아래로 점점 직경이 축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부재.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뚜껑의 내표면에는 거품의 운동 방향을 제한하는 차단벽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부재.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벽은 상기 폐합벽의 내표면에 설치된 제 1 차단벽과, 상기 연결벽의 내표면에 설치된 제 2 차단벽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관통공은 상기 제 1 차단벽과 상기 제 2 차단벽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부재.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차단벽은 수평으로 펼쳐져 있으며, 그리고 상기 제 2 차단벽은 수직으로 펼쳐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부재.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폐합벽의 외표면과 상기 가열통의 내표면 사이에는 밀봉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부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벽의 내표면은 원추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부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뚜껑의 내표면에는 거품의 운동방향을 제한하는 차단벽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부재. - 제 1항에 있어서,
외부 뚜껑을 더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외부 뚜껑은 상기 응결 공간부의 상단 개구부를 밀폐하되 배기홀을 구비하며, 상기 응결 공간부는 상기 배기홀을 통하여 외부 공기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부재.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뚜껑에는 온도 감지 센서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온도 감지 센서는 감지바늘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감지바늘은 상기 응결 공간부 아래를 지남으로서 가열 과정 중 상기 감지바늘이 상기 가열이 필요한 물질 속으로 담그지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부재. -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에서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통의 외부에 히터를 설치하며, 상기 히터는 직접 상기 가열통의 아래 부분을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부재. -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에서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가열부재와, 그리고 본체, 거름망통, 교반통, 칼날, 구동 모터, 및 히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두유 제조기로서,
상기 교반통과 상기 구동 모터는 전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거름망통은 상기 교반통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 모터는 동력인출축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칼날은 상기 동력인출축에 고정되어 상기 거름망통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동력인출축과 상기 거름망통은 고정되고,
상기 교반통과 상기 가열통은 도류관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히터는 상기 가열통 내의 가열이 필요한 물질에 대해 가열을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유 제조기. -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가열통의 외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가열통을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유 제조기. -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온도 감지 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온도 감지 센서는 상기 가열통의 외표면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유 제조기. -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부재는 온도 감지 센서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온도 감지 센서는 감지바늘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감지바늘은 상기 응결 공간부 아래를 지남으로서 가열 과정 중 상기 감지바늘이 상기 가열이 필요한 물질 속으로 담그지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유 제조기. -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통의 아래 부분에 액체 배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도류관은 상기 액체 배출구와 상기 가열통을 연결하며, 제어 스위치를 통하여 상기 상기 액체 배출구의 개폐를 조정하며, 상기 제어 스위치는 온 상태와 오프 상태가 있으며, 온 상태일 경우는 상기 액체 배출구가 열리면서 상기 교반통과 상기 가열통을 연결시키며, 오프 상태일 경우에는 상기 액체 배출구가 닫히면서 상기 교반통과 상기 가열통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유 제조기. -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스위치는 자석, 플런저, 밀봉재, 트위스트록으로 구성되며, 상기 자석은 플런저를 아래 위로 이동시키며, 상기 밀봉재와 트위스트록은 각각 상기 플런저의 중부와 상단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 스위치가 온 상태일 때는 상기 밀봉재가 상기 액체 배출구에서 분리되며, 상기 트위스트록은 상기 거름망통에서 분리되고, 그리고
상기 제어스위치가 오프 상태일 경우에는 상기 밀봉재가 상기 액체배출구를 막으며, 상기 트위스트록은 상기 거름망통을 닫아버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유 제조기. -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가열부재와, 그리고 본체, 거름망통, 교반통, 칼날, 구동 모터, 및 히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두유 제조기로서,
상기 본체는 제 1 설치실과 제 2 설치실을 구비하며, 상기 교반통은 상기 제 1 설치실 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 모터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거름망통은 상기 교반통 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 모터는 동력인출축을 구비하며, 상기 칼날은 상기 동력인출축에 고정되어 상기 거름망통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동력인출축과 상기 거름망통은 고정되어 있고,
상기 가열부재는 상기 제 2 설치실 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교반통과 상기 가열통은 도류관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히터는 상기 가열통 내의 가열이 필요한 물질을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유 제조기. -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통의 외부에 위치하는 상기 히터는, 상기 가열통의 아래 부분을 직접 가열하며, 상기 본체에는 온도 감지 센서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온도 감지 센서는 상기 가열통의 외표면에 직접 접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유 제조기. -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부재는 온도 감지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온도 감지 센서는 감지바늘을 구비하며, 상기 감지바늘은 상기 응결 공간부 아래를 지남으로서 가열 과정 중 상기 감지바늘이 상기 가열이 필요한 물질 속으로 담그지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유 제조기.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0910108278 | 2009-06-24 | ||
CN200910108278.X | 2009-06-24 | ||
KR2020090009732 | 2009-07-24 | ||
KR20090009732 | 2009-07-24 | ||
CN201010174956.5 | 2010-04-12 | ||
CN2010101749565A CN101926610B (zh) | 2009-06-24 | 2010-04-12 | 加热杯组件及豆浆机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13115U KR20100013115U (ko) | 2010-12-31 |
KR200465683Y1 true KR200465683Y1 (ko) | 2013-03-06 |
Family
ID=42752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00005919U KR200465683Y1 (ko) | 2009-06-24 | 2010-06-07 | 가열 부재와 두유 제조기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3162030U (ko) |
KR (1) | KR200465683Y1 (ko) |
CN (1) | CN101926610B (ko) |
HK (3) | HK1140361A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113572B (zh) * | 2011-03-04 | 2013-02-13 | 深圳市润唐智能生活电器有限公司 | 一种自动豆腐机和豆浆机 |
CN104957261B (zh) * | 2015-07-10 | 2018-01-02 | 广东省潮州市质量计量监督检测所 | 一种带磨豆装置的豆浆加热壶及其使用方法 |
CN111616592B (zh) * | 2020-07-04 | 2024-07-30 | 袁海炎 | 饮水机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07677A (ko) * | 1993-11-10 | 1995-04-15 | 가즈오 에노모도 | 전자동 커피 메이커 |
KR970002795B1 (ko) * | 1993-04-09 | 1997-03-11 | 가즈오 에노모도 | 커피메이커 |
KR20040054964A (ko) * | 2002-12-20 | 2004-06-26 | 양귀열 | 두유의 제조방법 및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1028169B (zh) * | 2007-04-20 | 2012-10-31 | 九阳股份有限公司 | 家用豆浆机 |
CN101352217B (zh) * | 2007-07-23 | 2011-08-17 | 朱润枢 | 制作豆浆等饮品机中渣-液分离的方法 |
-
2010
- 2010-04-12 HK HK10106688.2A patent/HK1140361A2/xx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0-04-12 CN CN2010101749565A patent/CN101926610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04-12 HK HK10103548.9A patent/HK1139551A2/xx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0-06-07 JP JP2010003823U patent/JP3162030U/ja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10-06-07 KR KR2020100005919U patent/KR200465683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1
- 2011-06-07 HK HK11105634.8A patent/HK1150509A1/xx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02795B1 (ko) * | 1993-04-09 | 1997-03-11 | 가즈오 에노모도 | 커피메이커 |
KR950007677A (ko) * | 1993-11-10 | 1995-04-15 | 가즈오 에노모도 | 전자동 커피 메이커 |
KR20040054964A (ko) * | 2002-12-20 | 2004-06-26 | 양귀열 | 두유의 제조방법 및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1926610B (zh) | 2011-11-16 |
HK1139551A2 (en) | 2010-09-17 |
HK1140361A2 (en) | 2010-10-08 |
KR20100013115U (ko) | 2010-12-31 |
CN101926610A (zh) | 2010-12-29 |
JP3162030U (ja) | 2010-08-19 |
HK1150509A1 (en) | 2011-12-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21213B1 (ko) | 세척이 용이한 다기능 두유 제조기 | |
CN1747674B (zh) | 调制饮料的改进装置 | |
CN104161460B (zh) | 一种水热压力锅 | |
KR100499377B1 (ko) | 가정용 두유두부제조기의 스팀 공급장치 | |
CN1973738B (zh) | 液状食品烹调方法及液状食品烹调器 | |
CN107028475A (zh) | 一种用于烹调设备的底部漏喷装置及其烹调设备 | |
KR200465683Y1 (ko) | 가열 부재와 두유 제조기 | |
KR20130124470A (ko) | 고속 펄핑 두유 머신 | |
KR20140138959A (ko) | 세정가능한 추출 헤드를 갖는 음료 제조 기계 | |
JP2009089732A (ja) | 飲料抽出装置 | |
CN107126092B (zh) | 一种带自动清洗功能的咖啡机 | |
CN206333792U (zh) | 食物料理机 | |
CN201557979U (zh) | 一种豆浆机 | |
CN201185642Y (zh) | 一种家用豆浆机 | |
JP3153908U (ja) | 加熱カップユニット及び豆乳メーカー | |
KR19980021753U (ko) | 사이펀식 차(茶)추출기 | |
CN111871942A (zh) | 一种去除藜麦表面皂苷的清洗装置 | |
CN205885325U (zh) | 一种防溢料理机 | |
CN206044448U (zh) | 食物料理机 | |
CN209863407U (zh) | 冲泡饮料装置以及自动饮料机 | |
CN215899411U (zh) | 一种带自动加料研磨清洗冷却功能的共享商用豆浆机 | |
EP1060701A1 (en) | A device for the rapid preparation of drinks in microwave oven by means of the intimate interaction between a heated fluid and a divided or porous substance | |
CN220192740U (zh) | 新型多功能电饭煲 | |
KR200326432Y1 (ko) | 가정용 두유두부제조기의 스팀 공급장치 | |
KR200357777Y1 (ko) | 휴대용 커피메이커의 거름망 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