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968Y1 - 프레싱 타입 파이프 밴딩장치 - Google Patents

프레싱 타입 파이프 밴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1968Y1
KR200461968Y1 KR2020100000361U KR20100000361U KR200461968Y1 KR 200461968 Y1 KR200461968 Y1 KR 200461968Y1 KR 2020100000361 U KR2020100000361 U KR 2020100000361U KR 20100000361 U KR20100000361 U KR 20100000361U KR 200461968 Y1 KR200461968 Y1 KR 2004619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ixed
bending
roller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03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7225U (ko
Inventor
김상인
Original Assignee
김상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인 filed Critical 김상인
Priority to KR20201000003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968Y1/ko
Publication of KR201100072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2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9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96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9/00Bending tubes using mandrels or the like
    • B21D9/01Bending tubes using mandrels or the like the mandrel being flexible and engaging the entire tube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9/00Bending tubes using mandrels or the like
    • B21D9/08Bending tubes using mandrels or the like in press brakes or between rams and anvils or abutments; Pliers with forming 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프레싱 타입 파이프 밴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용 머플러 및 산업용 중공 파이프를 한곳의 밴딩곡점을 중심으로 밴딩할때 파이프의 로스(Loss)가 발생하지 않고, 밴딩되는 파이프의 찌그러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프레싱 타입 파이프 밴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위하여, 본 고안은,
상하로 작동하는 상부베이스의 저면 일측에 끝단부에 제 1 경사면을 구비하고 있는 캠드라이브를 돌출 형성하고, 상부베이스의 중간부 저면에 파이프 밴딩시 파이프 내부로 삽입되면서 밴딩되는 파이프와 동일한 각도로 휘어져 파이프가 찌그러지지 않도록 보호하는 펀치부재를 설치하며,
상부베이스의 직하방에 위치하는 하부베이스의 상부면 일측에 수직판을 세워 고정시키고, 하부케이스의 타측에는 일면에 파이프 밴딩용 제 2 파이프홈이 반원통형으로 형성된 고정금형을 고정설치하고, 캠드라이브의 하강시 캠드라이브의 두께만큼 수평이동할 수 있도록 제 1 경사면에 대응하는 제 2 경사면이 상단 일측에 형성된 캠슬라이드를 수직판의 일측에 밀착된 상태로 좌우이동이 가능하게 하부베이스의 상부면에 탄력적으로 설치하며, 밴딩용 제 1 파이프홈이 반원통형으로 일면에 형성된 이송금형을 상기 캠슬라이드와 나란하게 좌우 이동가능하게 하부베이스의 상부면에 설치하며, 캠슬라이드와 이송금형의 상부에는 고정금형의 제 2 파이프홈에 세워져 거치되는 파이프의 상부를 탄력적으로 잡아주는 파이프클램프를 스프링에 지지시켜 설치하고, 고정금형의 중간부에는 파이프의 하단을 받쳐주는 셋팅바를 수평하게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프레싱 타입 파이프 밴딩장치{Pipe bending device}
본 고안은 프레싱 타입 파이프 밴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용 머플러 및 산업용 중공 파이프를 한곳의 밴딩곡점을 중심으로 밴딩할때 파이프의 로스(Loss)가 발생하지 않고, 밴딩되는 파이프의 찌그러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프레싱 타입 파이프 밴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머플러 제작 또는 그밖의 산업 분야에서 파이프를 절곡하기 위해서는 밴딩장치를 이용하여 절곡(밴딩)하고 있다.
도 1 은 종래의 밴딩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밴딩하고자 하는 소재인 파이프(62)의 일단을 밴딩척(61)에 물려 고정시키고, 그 파이프(62)의 타단을 선회작동하는 밴딩클램프(63)에 물린 후 밴딩클램프(63)가 소정각도 선회 작동하므로서 파이프(62)가 밴딩롤러(64)에 의해 절곡(밴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밴딩하고자 하는 파이프의 양단을 밴딩척(61)과 밴딩클램프(63)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파이프(62)의 끝단을 선회시키면서 밴딩하는 것이기 때문에 밴딩작업시 밴딩척과 밴딩클램프에 끼워진 부분이 찌그러지게되어 어쩔수 없이 도 1b와 같이 파이프(62)의 양끝단을 잘라내어야만 하므로 손실(Loss)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또한, 종래 밴딩장치에는 미도시된 구성요소로서 파이프(62)의 중간부분이 찌그러지지 않도록 막아주는 와이퍼대가 밴딩롤러(64)의 주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선회하는 파이프(62)가 와이퍼대에 간섭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파이프의 길이를 목표길이보다 더 길게 재단하여 밴딩해야만 하므로 파이프의 손실을 막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밴딩시 파이프의 양단을 일일이 클램핑해야만 하므로 그 작업에 많은 시간을 소비하게되어 제품의 생산성이 하락하게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상기 문제점 해결을 위한 본 고안은 파이프 밴딩시 파이프의 손실이 발생하지 않고, 밴딩작업공수를 줄여주어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밴딩되는 파이프에 찌그러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파이프 밴딩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상하로 작동하는 상부베이스의 저면 일측에 끝단부에 제 1 경사면을 구비하고 있는 캠드라이브를 돌출 형성하고, 상부베이스의 중간부 저면에 파이프 밴딩시 파이프 내부로 삽입되면서 밴딩되는 파이프와 동일한 각도로 휘어져 파이프가 찌그러지지 않도록 보호하는 펀치부재를 설치하며,
상부베이스의 직하방에 위치하는 하부베이스의 상부면 일측에 수직판을 세워 고정시키고, 하부케이스의 타측에는 일면에 파이프 밴딩용 제 2 파이프홈이 반원통형으로 형성된 고정금형을 고정설치하고, 캠드라이브의 하강시 캠드라이브의 두께만큼 수평이동할 수 있도록 제 1 경사면에 대응하는 제 2 경사면이 상단 일측에 형성된 캠슬라이드를 수직판의 일측에 밀착된 상태로 좌우이동이 가능하게 하부베이스의 상부면에 탄력적으로 설치하며, 밴딩용 제 1 파이프홈이 반원통형으로 일면에 형성된 이송금형을 상기 캠슬라이드와 나란하게 좌우 이동가능하게 하부베이스의 상부면에 설치하며, 캠슬라이드와 이송금형의 상부에는 고정금형의 제 2 파이프홈에 세워져 거치되는 파이프의 상부를 탄력적으로 잡아주는 파이프클램프를 스프링에 지지시켜 설치하고, 고정금형의 중간부에는 파이프의 하단을 받쳐주는 셋팅바를 수평하게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상부베이스의 하강시 캠드라이브가 캠슬라이드를 좌우로 작동시켜 이송금형이 이동하면서 이송금형과 고정금형에 구비된 제 1 및 제 2 파이프홈에 의해 파이프가 밴딩되고, 이때 상부베이스에 구비된 펀치부재가 파이프 내부로 삽입되어 파이프와 함께 휘어지면서 파이프의 찌그러짐을 방지함에 따라 고정금형에 거치된 파이프를 한번의 프레싱동작으로 밴딩시킬 수 있게되므로 밴딩되는 파이프에서 손실이 발생하지 않게 됨은 물론 파이프를 고정금형의 제 2 파이프홈에 세워 거치시키는 작업 후 신속하게 밴딩작업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생산성을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 은 종래 파이프 밴딩장치를 보인 도면.
도 2 는 본 고안의 프레싱 타입 파이프 밴딩장치를 보인 측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적용된 하부금형을 보인 평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5 는 본 고안에 의해 밴딩된 파이프를 보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5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본 고안은 별도의 동력으로 상하로 작동하는 상부금형부재와 밴딩 대상이 되는 파이프를 잡아주면서 상부금형부재의 하강시 수평상으로 작동하여 파이프를 밴딩시키는 하부금형부재로 대별 구성된다.
상부금형부재는 미도시된 유압 또는 모터의 동력으로 상하로 작동하는 상부베이스(1)의 저면 일측에 끝단부에 제 1 경사면(3)을 구비하고 있는 캠드라이브(2)를 돌출 형성하고, 상부베이스(1)의 중간부 저면에 파이프(20) 밴딩시 파이프(20) 내부로 삽입되면서 밴딩되는 파이프(20)와 동일한 각도로 휘어져 파이프(20)가 찌그러지지 않도록 보호하는 펀치부재(4)를 설치하여 구성한다.
상기 펀치부재(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부베이스(1)의 중간부에 결합구(41)를 고정설치하고, 이 결합구(41)의 하단에 반구 형태의 고정롤러(42)를 고정 결합하며, 고정롤러(42)의 하단으로 제 1 무빙롤러(43)와 제 2 무빙롤러(44)를 좌우 유동이 가능하게 결합하고, 이때 제일 끝단에 설치되는 제 2 무빙롤러(44)는 제 1 무빙롤러(43) 보다 직경이 작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롤러(42)와 제 1 및 제 2 무빙롤러(43)(44)들은 그 롤러의 롤러축(45) 양단을 제 1 연결대(46)와 제 2 연결대(47)를 이용하여 제 1 및 제 2 무빙롤러(43)(44)가 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연결하는데,
고정롤러(42)와 제 1 무빙롤러(43)의 롤러축(45) 양단을 제 1 연결대(46)로서 연결하고, 제 1 무빙롤러(43)와 제 2 무빙롤러(44)의 롤러축(45) 양단을 제 2 연결대(47)로 연결하여 제 1 무빙롤러(43)가 고정롤러(42)에 대해 좌우로 움직일 수 있으면서 제 2 무빙롤러(44)가 제 1무빙롤러(43)에 대해 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펀치부재(4)를 구성하는 제 1 및 제 2 무빙롤러(43)(44)는 상부베이스(1)의 하강시 고정금형(12)의 제 2 파이프홈(13)에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되어 있는 파이프(20) 내부로 끼워지면서 이송금형(10)의 수평방향 이동에 의해 제 1 파이프홈(11)과 제 2 파이프홈(13)의 형상대로 파이프(20)가 밴딩될때 제 1 무빙롤러(43)와 제 2 무빙롤러(44)가 도 2b와 같이 파이프(20)와 동일한 각도로 휘어지면서 파이프(20)가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하부금형부재는 상부베이스(1)의 직하방에 위치하도록 고정되어있는 하부베이스(5)의 상부면 일측에 수직판(7)을 세워 고정시키고, 하부베이스(5)의 타측에는 일면에 파이프 밴딩용 제 2 파이프홈(13)이 반원통형으로 형성된 고정금형(12)을 고정설치하며, 상기 고정금형(12)과 마주하도록 캠슬라이드(8)와 이송금형(10)을 하부베이스(5)의 상부에 좌우 움직임이 가능하게 설치한다.
이를위하여, 하부베이스(5)의 상부면 양측에 고정베이스(6)를 적층하고, 이 고정베이스(6)의 사이에 캠슬라이드(8)와 이송금형(10)을 스프링에 탄지시켜 좌우 움직임이 가능하게 설치하는데, 캠드라이브(2)의 하강시 캠드라이브(2)의 두께만큼 수평이동할 수 있도록 제 1 경사면(3)에 대응하는 제 2 경사면(9)이 상단 일측에 형성된 캠슬라이드(8)를 수직판(7)의 일측에 밀착된 상태로 좌우이동이 가능하게 하부베이스(5)의 상부면에 탄력적으로 설치하며, 밴딩용 제 1 파이프홈(11)이 반원통형으로 일면에 형성된 이송금형(10)을 상기 캠슬라이드(8)와 나란하게 좌우 이동가능하게 하부베이스(5)의 상부면에 설치하여 제 1 파이프홈(11)과 제 2 파이프홈(12)이 서로 마주하도록 한다.
상기 제 1 파이프홈(11)과 제 2 파이프홈(12)은 횡단면이 반원통형이고, 종단면은 밴딩을 위하여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캠슬라이드(8)와 이송금형(10)의 상부에는 고정금형(12)의 제 2 파이프홈(13)에 세워져 거치되는 파이프(20)의 상부를 탄력적으로 잡아주는 파이프클램프(15)를 스프링(상세히도시하지 않음)에 지지시켜 설치하고, 고정금형(12)의 중간부에는 파이프(20)의 하단을 받쳐주는 셋팅바(14)를 수평하게 설치하여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작업자는 밴딩하고자 하는 파이프(20)를 고정금형(12)의 제 2 파이프홈(13)에 수직으로 세워 거치시키며, 이때 파이프(20)의 상부가 파이프클램프(15)에 의해 탄력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며, 파이프(20)의 하단은 자연스럽게 셋팅바(14)에 의해 받쳐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부베이스(1)를 하강시키면,
캠드라이브(2)가 하강하면서 캠드라이브(2)의 제 1 경사면(3)과 캠슬라이드(8)의 제 2 경사면(9)이 서로 접촉되면서 캠슬라이드(8)가 도면상의 우측으로 밀리면서 캠드라이브(2)가 수직판(7)과 캠슬라이드(8)의 사이로 진입하게되고, 이에의해 캠슬라이드(8)가 우측으로 밀리면서 이송금형(10)을 도 2b와 같이 우측으로 이동시키게되어 이송금형(10)의 제 1 파이프홈(11)과 고정금형(12)의 제 2 파이프홈(13)의 형상과 같이 파이프(20)가 밴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베이스(1)가 하강할때 펀치부재(4)의 제 1 및 제 1 무빙롤러(43)(44)는 파이프(20)의 내부로 진입하면서 휘어지는 파이프(20)와 동일하게 도 2b와 같이 휘어지면서 파이프(20)가 찌그러지지 않도록 막아주게되는 것이다.
이송금형(10)이 도면상의 우측으로 이동하여 파이프(20)를 밴딩할때 파이프클램프(15)는 미도시된 스프링에 의해 수축되면서 파이프(20)의 상부를 견고하게 잡아주는 것이며, 상부베이스(1)가 다시 상승하여 원위치로 복귀하게되면, 캠슬라이드(8)와 이송금형(10)이 미도시된 스프링에 의해 도면상의 좌측으로 이동하여 원위치로 복귀하여 고정금형(12)으로 부터 밴딩된 파이프(20)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빼낼 수 있게되고, 상부베이스(1)의 상승시 제 1 및 제 2 무빙롤러(43)(44)는 파이프(20)로 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한편, 도 4 는 펀치부재(4)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펀치부재(4)는 상부베이스(1)의 중간부에 결합구(41)를 고정설치하고, 이 결합구(41)의 하단에 코일스프링(51)을 결합하며, 코일스프링(51)의 끝단부에 파이프(20) 내부로 삽입되는 헤드부(52)를 결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펀치부재(4)의 다른 실시예는 상부베이스(1)가 하강하여 파이프(20)를 밴딩할때, 헤드부(52)가 먼저 파이프(20) 내부로 진입하면서 그 후단의 코일스프링(51)이 자연스럽게 파이프(20) 내부로 진입하게되고, 파이프(20)가 밴딩되면 도 4b와 같이 코일스프링(51)이 휘어지면서 파이프(20)가 찌그러지지 않도록 막아주게되는 것이다.
도 5 는 본 고안에 의해 밴딩된 파이프(20)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의하면, 종래와 같이 파이프의 끝단에 손실이 발생하지 않게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작업공수를 줄여줄 수 있게되어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 상부베이스, 2: 캠드라이브,
3: 제 1 경사면, 4: 펀치부재,
5: 하부베이스, 6: 고정베이스,
7: 수직판, 8: 캠슬라이드,
9: 제 2 경사면, 10: 이송금형,
11: 제 1 파이프홈, 12: 고정금형,
13: 제 2 파이프홈, 14: 셋팅바,
41: 결합구, 42: 고정롤러,
43: 제 1 무빙롤러, 44: 제 2 무빙롤러,
45: 롤러축, 46: 제 1 연결대,
47: 제 2 연결대, 51: 코일스프링,
52: 헤드부,

Claims (3)

  1. 상하로 작동하는 상부베이스(1)의 저면 일측에 끝단부에 제 1 경사면(3)을 구비하고 있는 캠드라이브(2)를 돌출 형성하고, 상부베이스(1)의 중간부 저면에 파이프(20) 밴딩시 파이프(20) 내부로 삽입되면서 밴딩되는 파이프(20)와 동일한 각도로 휘어져 파이프(20)가 찌그러지지 않도록 보호하는 펀치부재(4)를 설치하며,
    상부베이스(1)의 직하방에 위치하는 하부베이스(5)의 상부면 일측에 수직판(7)을 세워 고정시키고, 하부케이스(5)의 타측에는 일면에 파이프 밴딩용 제 2 파이프홈(13)이 반원통형으로 형성된 고정금형(12)을 고정설치하고, 캠드라이브(2)의 하강시 캠드라이브(2)의 두께만큼 수평이동할 수 있도록 제 1 경사면(3)에 대응하는 제 2 경사면(9)이 상단 일측에 형성된 캠슬라이드(8)를 수직판(7)의 일측에 밀착된 상태로 좌우이동이 가능하게 하부베이스(5)의 상부면에 탄력적으로 설치하며, 밴딩용 제 1 파이프홈(11)이 반원통형으로 일면에 형성된 이송금형(10)을 상기 캠슬라이드(8)와 나란하게 좌우 이동가능하게 하부베이스(5)의 상부면에 설치하며, 캠슬라이드(8)와 이송금형(10)의 상부에는 고정금형(12)의 제 2 파이프홈(13)에 세워져 거치되는 파이프(20)의 상부를 탄력적으로 잡아주는 파이프클램프(15)를 스프링에 지지시켜 설치하고, 고정금형(12)의 중간부에는 파이프(20)의 하단을 받쳐주는 셋팅바(14)를 수평하게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싱타입 파이프 밴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펀치부재(4)는, 상부베이스(1)의 중간부에 결합구(41)를 고정설치하고, 이 결합구(41)의 하단에 고정롤러(42)를 고정 결합하며, 고정롤러(42)의 하단으로 제 1 무빙롤러(43)와 제 2 무빙롤러(44)를 좌우 유동이 가능하게 결합하되,
    상기 고정롤러(42)와 제 1 및 제 2 무빙롤러(43)(44)들은 그 롤러의 롤러축(45) 양단을 제 1 연결대(46)와 제 2 연결대(47)를 이용하여 고정롤러(42)와 제 1 무빙롤러(43)의 롤러축(45)을 제 1 연결대(46)로서 연결하고, 제 1 무빙롤러(43)와 제 2 무빙롤러(44)를 제 2 연결대(47)로 연결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싱타입 파이프 밴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펀치부재(4)는 상부베이스(1)의 중간부에 결합구(41)를 고정설치하고, 이 결합구(41)의 하단에 코일스프링(51)을 결합하며, 코일스프링(51)의 끝단부에 파이프(20) 내부로 삽입되는 헤드부(52)를 결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싱타입 파이프 밴딩장치.
KR2020100000361U 2010-01-14 2010-01-14 프레싱 타입 파이프 밴딩장치 KR2004619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361U KR200461968Y1 (ko) 2010-01-14 2010-01-14 프레싱 타입 파이프 밴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361U KR200461968Y1 (ko) 2010-01-14 2010-01-14 프레싱 타입 파이프 밴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225U KR20110007225U (ko) 2011-07-20
KR200461968Y1 true KR200461968Y1 (ko) 2012-08-17

Family

ID=45597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0361U KR200461968Y1 (ko) 2010-01-14 2010-01-14 프레싱 타입 파이프 밴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96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5046B1 (ko) * 2020-07-29 2021-05-24 (주) 청우 자동차용 머플러 파이프의 3단 벤딩 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2063B1 (ko) 2017-09-29 2019-04-2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벤딩기 및 벤딩공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31725A (ja) 2000-04-27 2003-10-28 ティッセンクルップ シュタール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薄壁金属管のための曲げ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31725A (ja) 2000-04-27 2003-10-28 ティッセンクルップ シュタール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薄壁金属管のための曲げ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5046B1 (ko) * 2020-07-29 2021-05-24 (주) 청우 자동차용 머플러 파이프의 3단 벤딩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225U (ko) 2011-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814100A (zh) 一种板材弯曲成型装置
JP6923200B2 (ja) 曲げ加工装置
EP2990134B1 (en) Roller hemming processing device and roller hemming processing method
KR200461968Y1 (ko) 프레싱 타입 파이프 밴딩장치
KR20140005510U (ko) 유압잭을 사용하는 철판 교정장치
CN107377737A (zh) 一种汽车配件冲压模具
KR101188366B1 (ko) 전단보강근 벤딩 방법 및 장치
JP6194208B2 (ja) U型ダンパー製造方法
CN104707908A (zh) 一种翻孔模具
KR101498997B1 (ko) 헤드레스트 스테이 홈 성형 및 벤딩 장치
KR102111545B1 (ko) 파이프 벤딩 장치
CN104384264A (zh) 折弯机
KR101132411B1 (ko) 프레스금형
KR200391435Y1 (ko) 프레스장치의 이송테이블 지지구조
JP2020061900A (ja) セグメントコイル成形装置
CN208050828U (zh) 一种弹簧冲钩设备
CN104588456A (zh) 一种金属薄板定位折弯装置
CN201147806Y (zh) 冲压用大角度紧凑斜楔机构
KR100818007B1 (ko) 크랭크샤프트 단조장치에 설치되는 버퍼
KR101386887B1 (ko) 클램핑 및 단차가공 동시 구동형 단차성형장치가 구비된 지붕판재 성형장치
CN102699152A (zh) 一种金属管坯整形机
CN204122537U (zh) 折弯机
KR101062047B1 (ko) 단자 절곡기능을 가지는 단자압착기
JP5332790B2 (ja) 曲げ加工装置
CN104492883B (zh) 一种铰链弯曲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