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000Y1 - 트랜스 코어의 고정 클램프 - Google Patents

트랜스 코어의 고정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000Y1
KR200459000Y1 KR2020100001921U KR20100001921U KR200459000Y1 KR 200459000 Y1 KR200459000 Y1 KR 200459000Y1 KR 2020100001921 U KR2020100001921 U KR 2020100001921U KR 20100001921 U KR20100001921 U KR 20100001921U KR 200459000 Y1 KR200459000 Y1 KR 2004590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t
fixing clamp
transformer
core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19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8421U (ko
Inventor
임정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보림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보림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보림전자
Priority to KR20201000019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000Y1/ko
Publication of KR201100084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4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0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0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6Fastening parts of the core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the core on casing or support
    • H01F27/266Fastening or mounting the core on casing o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6Mounting, supporting or suspend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not being of the signal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23Wires

Abstract

본 고안은 트랜스 코어의 고정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전원변압을 수행하는 트랜스포머에 장착되는 2개의 트랜스 코어를 고정하도록 트랜스 코어의 고정 클램프가 제공되는데, 상기 고정 클램프는, 일자 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단 일부가 직각보다 큰 각도로 각각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부와, 그리고 상기 절곡부의 끝단에 외향 절곡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절곡부의 내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턱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은 상기 가이드부에서 상기 몸체부 방향으로 경사각이 더 크게 돌출 형성된다. 그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고정 클램프를 코어에 쉽게 결합시킬 수 있고, 또 고정 클램프와 코어 상호간의 결합력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트랜스 코어의 고정 클램프{Clamp for fixing of Trans Core}
본 고안은 고정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랜스포머에 장착된 트랜스 코어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게 한 고정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전기/전자 제품에서는 상용 AC 전원을 적정한 레벨로 변압해서 정상적인 작동을 위한 정격전압을 얻게 되는바, 그러한 전원의 변압을 위한 수단으로서 트랜스포머가 채용된다.
상기 트랜스포머의 일반적인 동작은 다음과 같다.
상기 트랜스포머는 코일을 권취하는 권취부에 1차측 코일과 2차측 코일을 정격전압에 따라 적정한 비율로 권취된다. 그 상태에서 1차측 코일에 상용 AC 전원을 인가하면, 상기 1차측 코일에 대하여 적정한 권선비를 갖는 2차측 코일에 2차측 전원전압이 유기된다. 그러면 상기 2차측 전원전압은 일정전원, 예컨대 소정 레벨을 가지는 직류전원으로 변환되어 부하에 인가된다.
그와 같은 동작을 하는 트랜스포머를 도 1에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트랜스포머의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트랜스포머는 골격과 외관을 본체(1)가 형성한다.
상기 본체(1)의 중앙에는 코일이 권취되는 권취부(3)가 형성된다. 상기 권취부(3)는 도면에는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 1 권취부 및 제 2 권취부로 구획되게 형성되고, 각각에 1차측 코일과 2차측 코일이 권취되게 된다.
상기 권취부(3)의 일단에는 단자 접속부(5)가 형성된다.
상기 권취부(3)의 중앙에는 관통공(4)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4)에는 트랜스 코어(이하, '코어'라고 약칭하기로 한다)(7)(7')가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코어(7)(7')는 대략 'ㄷ'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코어(7)(7')의 일단은 관통공(4)에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권취부(3)의 외면 일부를 감싸게 된다. 상기 코어(7)(7')는 상기 권취부(3)의 양쪽 방향에서 2개가 장착되어 결합되게 된다. 상기 2개의 코어(7)(7')가 장착되면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권취부(3)의 일부를 감싼 형태가 된다.
상기 코어(7)(7')는 상기 권취부(3)의 외면에 장착된 상태로서, 이를 고정하기 위해 고정 클램프(9)가 제공된다. 상기 고정 클램프(9)의 형상은 결합한 상기 2개의 코어(7)(7')의 일부를 충분히 감싼 형태로 하여 궁극적으로 상기 권취부(3)에 코어(7)(7')가 고정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는 대략 'ㄷ'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상기 고정 클램프(9)는 평판상의 몸체부(11)와, 상기 몸체부(11)의 양쪽 단부가 소정 각도로 절곡된 절곡부(13)(1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절곡부(13)(13')는 그 절곡된 각도가 상기 몸체부(11) 내측으로 더 절곡된다.
그래서 상기 고정 클램프(9)를 코어(7)(7')에 장착할 때는 상기 절곡부(13)(13')를 약간 벌린 상태로 하여 상기 코어(7)(7')의 표면에 접촉되게 한다. 일단 상기 고정 클램프(9)가 코어(7)(7')의 외면에 접촉되면, 벌린 상태의 상기 절곡부(13)(13')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가 되어, 상기 고정 클램프(9)는 코어(13)(13')의 외면과 완전하게 밀착되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코어(7)(7')가 상기 권취부(3)에서 분리되지 않고,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상기 고정 클램프(9)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고정 클램프(9)의 절곡부(13)(13')는 몸체부(11)쪽으로 더 절곡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고정 클램프(9)를 상기 코어(7)(7')의 외면에 접촉할 경우, 상기 절곡부(13)(13')를 벌리지 않고서는 상기 코어(7)(7')에 결합하기가 어려웠다.
상기 고정 클램프(9)를 코어(7)(7')에 결합하는 작업은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하는데, 그와 같이 상기 고정 클램프(9)의 절곡부(13)(13')를 벌린 다음 결합하게 되면, 절곡부(13)(13')를 벌리는 시간이 추가되어, 전체적으로 조립 작업시간이 길어지고 생산력이 저하될 수밖에 없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절곡부(13)(13')의 모서리 부분에 의해 작업자의 손이 상하게 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클램프(9)의 절곡부(13)(13')가 더 절곡되어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있다고 하지만, 반면 상기 고정 클램프(9)는 코어(7)(7')에 접촉하는 표면이 평평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이는 트랜스포머가 장착되는 각종 기기에서 기기의 진동 등이 발생하면 그만큼 결합 고정력이 약해질 수 밖에 없다. 결국 고정 클램프(9)가 헐거워지게 되고, 이는 상기 권취부(3)에 결합된 코어(7)(7')도 결합력이 약해지는 문제를 초래한다. 이 경우 상기 트랜스포머는 원하는 정격전압을 발생시키지 못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트랜스포머의 트랜스 코어에 고정 클램프를 손쉽게 조립하여 작업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트랜스 코어에 결합된 고정 클램프의 결합 고정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일자 형상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양단 일부가 내측방향으로 직각보다 큰 각도로 각각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부; 그리고 상기 절곡부의 끝단에 외향 절곡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전원변압을 수행하는 트랜스포머에 장착되는 2개의 트랜스 코어를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트랜스 코어의 고정 클램프를 제공한다.
상기 절곡부는, 어느 하나는 상기 몸체부와 직각되게 절곡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몸체부의 내측방향으로 직각보다 큰 각도로 더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절곡부의 내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턱이 형성되되, 상기 걸림턱은 상기 가이드부에서 상기 몸체부 방향으로 경사각이 점점 커지면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의 표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본 고안에서는 고정 클램프의 절곡부의 끝단을 외향 절곡시켜 형성함으로써, 고정 클램프를 코어에 끼울 때, 양 단부를 일부러 벌리지 않더라도 쉽게 코어의 외면에 끼워질 수 있어, 작업시간이 개선된다.
또한 코어와 접촉하는 표면에 형성된 걸림턱으로 인하여 결합 고정력이 향상되어, 고정 클램프가 코어에 결합된 상태에서 진동등으로 인하여 고정 클램프가 분리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고정 클램프 및 그 고정 클램프가 트랜스포머에 조립되는 상태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정 클램프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고정 클램프가 트랜스포머와 조립되는 상태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정 클램프의 사시도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트랜스 코어의 고정 클램프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트랜스포머의 구성을 인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정 클램프의 사시도이다.
도면을 살펴보면, 고정 클램프(100)는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몸체부(110)를 구비한다. 상기 몸체부(110)는 실제로 아래에서 설명될 절곡부와 일체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110)의 양단에는 절곡부(120)(120')가 구비된다. 상기 절곡부(120)(120')는 몸체부(110)의 양단 일부를 절곡시켜 형성한 것으로,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진다. 압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절곡부(120)(120')는 상기 몸체부(110) 방향으로 더 절곡되게 형성되고, 소정의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이로 인해 2개의 트랜스 코어(7)(7')가 트랜스포머에 조립되면, 상기 절곡부(120)(120')가 트랜스 코어(7)(7')의 표면에 완전하게 밀착되어 조립된다.
상기 절곡부(120)(120')의 끝단에는 외향 절곡되는 가이드부(130)(130')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130)(130')는 고정 클램프(100)를 상기 트랜스 코어(7)(7')에 접촉시킬 때, 상기 절곡부(120)(120')를 벌리지 않고서도 용이하게 끼워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고정 클램프(100)가 트랜스 포머에 결합하고 있는 상태도를 도 3에 도시하고 있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트랜스 포머의 권취부(3)에 형성된 관통공(4)에 상기 권취부(3)의 양쪽 방향에서 대향되게 2개의 트랜스 코어(7)(7')를 결합할 때, 그 트랜스 코어(7)(7')를 고정하는데 고정 클램프(100)가 사용된다.
상기 고정 클램프(100)는 절곡부(120)(120')의 끝단부에 가이드부(130)(130')가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고정 클램프(100)를 상기 트랜스 코어(7)(7')에 결합할 경우, 상기 고정 클램프(100)의 절곡부(120)(120')를 벌리지 않고서도 상기 트랜스 코어(7)(7')측으로 밀어넣게 되면 상기 가이드부(130)(130')로 인해 쉽게 조립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고정 클램프(100)는 절곡부(120)(120')가 몸체부(110) 방향으로 더 많이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고정 클램프(100)의 절곡부(120)(120')의 내면이 상기 트랜스 코어(7)(7')의 표면에 밀착하게 되면서 결합하게 된다.
상기 고정 클램프(100)가 완전하게 결합하면, 상기 절곡부(120)(120')의 탄성 복원력으로 인해 완전하게 밀착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몸체부(110)와 일체로 구성된 절곡부(120)(120')는 양쪽이 모두 동일한 각도로 절곡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어느 한쪽의 절곡부(120)는 몸체부(110)와 직각되게 절곡되게 하고, 다른 한쪽의 절곡부(120')만 몸체부(110) 방향에 대하여 직각 이상으로 더 절곡시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정 클램프의 사시도이다.
도 4의 고정 클램프(200)는 앞서 설명한 도 2의 고정 클램프(100)의 구성, 즉 몸체부(110), 절곡부(120)(120'), 가이드부(130)(130')의 구성과 동일하다. 도면에서는 몸체부는 210, 절곡부는 220 및 220', 가이드부는 230 및 230'으로 표시하고 있다.
다만, 상기 절곡부(220)(220')의 내면 표면에 걸림턱(240)(240')이 더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240)(240')은 상기 몸체부(110) 측으로 돌출된 형상이다. 즉 상기 가이드부(230)(230')에서 상기 몸체부(110) 방향으로 경사각이 더 크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걸림턱(240)(240')은 상기 고정 클램프(100)가 상기 트랜스 코어(7)(7')의 양방향을 밀착하면서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트랜스 코어(7)(7')에서 분리되는 것을 충분히 방지하는 역할을 제공한다.
물론, 상기 걸림턱(240)(240')은 상기 절곡부(220)(220')의 내면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상기 걸림턱(240)(240')의 표면, 즉 트랜스 코어(7)(7')의 표면과 접촉하는 표면에 돌기를 더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돌기는 상기 트랜스 코어(7)(7')의 표면과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켜 밀착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들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요지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변형,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인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고정 클램프 110 : 몸체부
120, 120' : 절곡부 130, 130' : 가이드부
240, 240' : 걸림턱

Claims (4)

  1. 일자 형상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양단 일부가 내측방향으로 직각보다 큰 각도로 각각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부;
    상기 절곡부의 끝단에 외향 절곡되는 가이드부;
    상기 절곡부의 내면에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부에서 상기 몸체부 방향으로 경사각이 점점 커지면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턱; 그리고
    상기 걸림턱의 표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포함하여,
    전원변압을 수행하는 트랜스포머에 장착되는 2개의 트랜스 포머를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트랜스 포머의 고정 클램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어느 하나는 상기 몸체부와 직각되게 절곡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몸체부의 내측방향으로 직각보다 큰 각도로 더 절곡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 코어의 고정 클램프.
  3. 삭제
  4. 삭제
KR2020100001921U 2010-02-23 2010-02-23 트랜스 코어의 고정 클램프 KR2004590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921U KR200459000Y1 (ko) 2010-02-23 2010-02-23 트랜스 코어의 고정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921U KR200459000Y1 (ko) 2010-02-23 2010-02-23 트랜스 코어의 고정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421U KR20110008421U (ko) 2011-08-31
KR200459000Y1 true KR200459000Y1 (ko) 2012-03-21

Family

ID=45597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1921U KR200459000Y1 (ko) 2010-02-23 2010-02-23 트랜스 코어의 고정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00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4400B1 (ko) * 2020-10-29 2022-10-14 주식회사 엠디엠 열방출 구조물 및 이를 활용한 냉각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3020U (ja) * 1992-05-21 1993-12-17 田淵電機株式会社 コア装置
JPH0679131U (ja) * 1993-04-21 1994-11-04 株式会社トーキン トランス
KR0118946Y1 (ko) * 1995-02-10 1998-07-15 신동오 트랜스 코어 고정용 클램프
JP2001135526A (ja) 1999-11-09 2001-05-18 Densei Lambda Kk コイル部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3020U (ja) * 1992-05-21 1993-12-17 田淵電機株式会社 コア装置
JPH0679131U (ja) * 1993-04-21 1994-11-04 株式会社トーキン トランス
KR0118946Y1 (ko) * 1995-02-10 1998-07-15 신동오 트랜스 코어 고정용 클램프
JP2001135526A (ja) 1999-11-09 2001-05-18 Densei Lambda Kk コイル部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421U (ko) 2011-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55850B2 (en) Three-phase AC reactor having coils directly connected to external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6848907B2 (ja) 固定用結束バンド
US7859380B2 (en) Bobbin assembly
US10685777B2 (en) Three-phase AC reactor easily connectable to input and output terminal blo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WI408708B (zh) 具有線圈終端夾持器之表面黏著磁芯
KR200459000Y1 (ko) 트랜스 코어의 고정 클램프
JP7194625B2 (ja) モータ用ステータ
JP4837485B2 (ja) インダクタおよびインダクタの製造方法
JP6678816B2 (ja) 電力変換装置
KR20220001248U (ko) 플랫타입 트랜스포머
JP5216490B2 (ja) 外鉄形アモルファス変圧器
CN105280369A (zh) 平面开口卷铁芯的铁芯装配结构
JP3216263U (ja) 端子台及びこの端子台を備えたトランス
JP4761082B2 (ja) 横型コイル部品
JP2011103427A (ja) インダクタ
KR20190107232A (ko) 부스바와 터미널을 구비한 인슐레이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모터
JP2009252833A (ja) コイル部品
KR101897904B1 (ko) 전기히터 트랜스용 보빈
JP3600485B2 (ja) リードタイプのリアクター
JP6287678B2 (ja) コイル部品
KR20030094990A (ko) 2차코일 고정형 트랜스포머 및 그에 사용되는 트랜스 보빈
JPH0723015Y2 (ja) 電動機の固定子
JP5528513B2 (ja) Dc/dcコンバータ
JP2022051473A (ja) 端子台、ボビン及びコイル装置
US20100123539A1 (en) Transform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