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8979Y1 - 화재 감지기능을 갖는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 - Google Patents

화재 감지기능을 갖는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8979Y1
KR200458979Y1 KR2020090010358U KR20090010358U KR200458979Y1 KR 200458979 Y1 KR200458979 Y1 KR 200458979Y1 KR 2020090010358 U KR2020090010358 U KR 2020090010358U KR 20090010358 U KR20090010358 U KR 20090010358U KR 200458979 Y1 KR200458979 Y1 KR 2004589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current
fire door
control uni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03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1581U (ko
Inventor
김광태
Original Assignee
(주) 금강씨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금강씨에스 filed Critical (주) 금강씨에스
Priority to KR20200900103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979Y1/ko
Publication of KR201100015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5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9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97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0Electronic control of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61Power supply
    • E05Y2400/612Batte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05Y2400/81Feedback to user, e.g. tactile
    • E05Y2400/812Acoustic
    • E05Y2400/814Sound emitters, e.g. loudspeakers
    • E05Y2400/816Voi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05Y2400/81Feedback to user, e.g. tactile
    • E05Y2400/818Visual
    • E05Y2400/822Light emitters, e.g. light emitting diodes [L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1Adjustable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5Emergency conditions
    • E05Y2800/252Emergency conditions the elements functioning only in case of emergenc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룸이나 오피스텔 등 공동통로인 복도에 복수의 세대 출입구가 형성된 다세대 건축물의 각 출입구에 설치되어, 화재 상황의 감지시 방화문을 물리적으로 자동 폐쇄하여 화재가 발생된 세대에서 생성된 연기와 화염이 공동통로인 복도로 유입되는 것을 예방하여, 복도를 통한 안정된 피난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방화문 자동폐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 제어부, 연기 감지센서, 배터리

Description

화재 감지기능을 갖는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Fire door closer with fire watching function}
본 고안은 원룸이나 오피스텔 등 공동통로인 복도에 복수의 세대 출입구가 형성된 다세대 건축물의 각 출입구에 설치되어, 화재 상황의 감지시 방화문을 물리적으로 자동 폐쇄하여 화재가 발생된 세대에서 생성된 연기와 화염이 공동통로인 복도로 유입되는 것을 예방하여, 복도를 통한 안정된 피난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방화문 자동폐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피스텔이나, 원룸, 노래방 등 복도를 기준으로 일편 또는 양편에 복수 세대의 출입구가 형성된 다세대 건축물은, 대형 건축물이나 아파트와 같이 출입구와 복도 사이에 가압 송풍을 통해 제연구역을 형성하는 제연설비가 마련되지 아니하여 화재 발생시 안전한 대피 경로의 확보가 어려운 관계로 안전에 매우 취약하다.
물론, 각 세대의 내벽에 연기 감지센서를 부설하고 방화문에 자동 폐쇄장치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연기 감지센서와 자동 폐쇄장치를 상황실을 통해 연계시켜, 연기 감지센서를 통해 상황실에 화재신호가 인가되면 상황실에서는 각 세대에 설치된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에 전류를 공급하여 개방된 방화문을 폐쇄함으로써, 안정된 제연상태의 확보는 가능하나, 이는 경제성 등 현실성을 고려할 때 적합하지 아니하다.
그리고, 종래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에는 연기 감지센서, 경광등, 경음기 등이 마련되지 아니하여, 이들 각 장치들이 세대의 내벽에 별도 시공되어 상황실을 통해 이들이 상호 연계되도록 구성되어, 시공자가 이들 장치들을 세대의 내벽에 별도로 시공하여야 하므로 시공에 따른 번거로움이 발생되었다.
특히, 이들 각 장치의 구동에 요구되는 전류의 공급 경로인 배선이 세대의 내벽에 난잡하게 형성되는데, 이는 외관상 및 안전상 바람직하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화재를 감지하는 연기 감지센서와 이 연기 감지센서와 개폐설정부의 해정모듈을 상호 연계시키는 제어부가 개폐설정부에 일체로 형성하여, 구조의 간소화와 시공의 간소화가 이룩되고, 또 배터리의 전류 잔류량의 변화에 의해 방화문의 폐쇄가 자동으로 이룩되도록 구성되어 향상된 안전성을 갖도록 한 화재 감지기능을 갖는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고안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화재 감지기능을 갖는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는,
방화문에 고정되어 방화문의 폐쇄에 요구되는 폐쇄력을 생성하는 연결암을 갖는 클로저부와; 문틀에 고정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전축을 통해 회동구조로 고정되어 상기 클로저부의 연결암과 링크구조를 이루는 링크암, 및 상기 링크암의 회전 가능여부를 택일하여 설정하는 해정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방화문 자동폐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설정부에는, 연기를 감지하여 화재신호를 생성하는 연기 감지센서와; 상기 연기 감지센서로부터 화재신호가 인가되면 해정모듈에 전류를 공급하여, 해정모듈에 의한 링크암의 회전 구속상태를 해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연기 감지센서와 해정모듈과 제어부의 구동에 요구되는 전류를 축전한 배터리가 부가하여 설치 되어,
연기 감지센서를 통해 자체적으로 연기를 감지하여 화재신호를 생성하고, 제어부는 이 화재신호를 통해 해정모듈에 전류를 공급하여 방화문의 폐쇄를 도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폐설정부의 본체에는, 제어부로부터 전류를 인가받아 점등되는 경광등과; 제어부로부터 전류를 인가받아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경음기가 부설되어, 연기 감지센서로부터 화재신호가 인가되면 제어부는 경광등과 경음기에 각각 전류를 공급하여, 경음기로부터 생성된 경보음을 통해 출입자는 화재 발생여부를 신속히 인지하고, 점등된 경광등을 통해 방화문의 위치를 신속히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에는 배터리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을 계측하여 배터리에 축전된 전류량을 계측하는 전류량 계측모듈이 부가되어, 상기 전류량 계측모듈에 의해 배터리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이 기준 전압량 보다 낮아지면, 상기 제어부는 연기 감지센서로부터 화재신호가 인가되지 아니하더라도, 전동모터에 전류를 공급하여 링크암의 구속상태를 해제하여 클로저부의 폐쇄력에 의해 방화문의 폐쇄를 도모하도록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개폐설정부에 연기 감지센서와, 연기 감지센서에서 생성된 화재신호에 의해 해정모듈을 구동시키는 제어부가 일체로 형성한 방화문 자동폐쇄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본 고안에서와 같이 개폐설정부에 제어부와 연기 감지센서를 일체로 형성하면, 세대의 내벽에 연기 감지센서를 별도 설치하고 이 연기 감지센서와 상황실을 연결하는 한편, 상황실의 관리자가 연기 감지센서를 통해 화재신호를 감지하여 각 세대에 설치된 방화문 자동폐쇄장치를 구동시키는 번거로운 운영 과정이 사라지게 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방화문 자동폐쇄장치는, 단순히 각 세대의 방화문에 클러저부를, 문틀에 개폐설정부를 각각 설치하는 것으로 설치가 완료될 수 있어 시공에 따른 편리성을 겸비하고, 또 연기 감지센서와 경광등와 경음기 및 이들에게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배선이 실내의 벽면에 난잡하게 형성되는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상기 개폐설정부에 배터리를 일체로 형성함에 있어 전류량 계측모듈을 부가하여 배터리에 축전된 전류량이 기준 전류량 보다 낮을 경우, 방화문의 폐쇄가 이룩되도록 구성하여, 배터리가 소진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된 경우에 방화문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는 문제점이 해소되므로, 보다 향상된 안전성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화재 감지기능을 갖는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외형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에 있어, 해정모듈에 의한 링크암의 구속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3은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에 있어, 개폐설정부의 전체구성을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의 작용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1)는,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세대 건축물에 있어, 공동 이동경로인 복도와 각 세대와 연결하는 각 출입구(100)의 방화문(110)과 문틀(120)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시 상황실에 의한 별도의 제어 없이 방화문(110)의 개별적인 자동 폐쇄를 도모하도록 고안된 것이다.
상기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1)는, 기본적으로 방화문(110)에 고정되며, 방화문(110)에 폐쇄에 요구되는 폐쇄력을 생성하는 연결암(12)이 마련된 클로저부(10)와; 문틀(120)에 고정되는 본체(21)와, 상기 본체(21)에 회전축(23)을 통해 회동구조로 고정되어 상기 클로저부(10)의 연결암(12)과 링크구조를 이루는 링크암(22), 및 상기 링크암(22)의 회전 가능여부를 택일하여 설정하는 해정모듈(24)을 마련된 포함하여 구성된 개폐설정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클로저부(10)는, 방화문(110)의 개방에 의해 연결암(12)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된 피스톤이 일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스프링을 압축시키고, 이 스프링의 압축에 의해 연결암(12)이 방화문의 폐쇄를 위한 폐쇄력을 갖는 공지의 형태이다.
그리고, 상기 클로저부(10)의 연결암(12)과 링크구조를 이룬 링크암(22)의 회전을 구속 또는 해제하는 해정모듈(24)은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해정모듈이 활용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일 예로 외경면에 복수의 치홈(23a)이 형성된 회전축(23)과; 상기 회전측(23)의 일편에 힌지(H)구조로 설치되며 내벽에 고정돌기(24a-a)가 형성된 해정레버(24a); 및 회동축에 마련된 견착레버(26)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견착레버(26)에 의한 해정레버(24a)의 견착상태를 제어하여 회전축(23) 및 이 회전축(23)에 고정된 링크암(22)의 회전 가능여부를 설정하는 전동모터(25)를 포함하여 구성된 해정모듈(24)을 채택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해정모듈(24)은, 전동모터(25)가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견착레버(26)에 의해 해정레버(24a)가 견착되면, 링크암(22)을 고정한 회전축(23)은 해정레버(24a)에 의해 회전이 구속되고(구속상태), 또 전동모터(25)가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견착레버(26)에 의한 해정레버(24a)의 견착상태가 해제되면 링크암(22)을 고정한 회동축은 회전이 가능하다.(비 구속상태)
그리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1)는 통상 방화문이 개방되면 클러저부(10)의 연결암(12)은 스프링(미도시)의 탄발력에 의해 방화문(110)의 폐쇄에 요구되는 폐쇄력을 생성한다.
이때, 해정모듈(24)에 의해 링크암(22)의 회전이 구속되면 방화문(110)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또 해정모듈(24)에 의한 링크암(22)의 구속이 해제되면 링크암(22)은 연결암(12)과 함께 회전하여서 결과적으로 방화문(110)의 폐쇄가 이룩되는데, 이러한 클로저부와 개폐설정부를 통한 방화문의 개방상태의 유지와, 자동 폐쇄는 공지이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개폐설정부(20)에 화재 발생여부를 감지하는 연기 감지센서(30)와, 이 연기 감지센서(30)에 의해 생성된 화재신호에 의해 해정모듈(24)을 구동하는 제어부(40)를 본체(21)에 일체로 설치하여, 화재 발생시 상황실에 의한 별도의 제어 없이 자체적으로 화재여부를 감지하고 해정모듈(24)을 구동시켜 방화문(110)의 개별적인 자동 폐쇄가 도모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소형의 다세대 주택의 방화문에는 비상 전원 배선이 배설되지 아니한 점을 고려하여, 개폐설정부(20)에 제어부(40)와 연기 감지센서(30)과 해정모듈(24) 및 후술되는 경광등(60)과 경음기(70)의 구동에 요하는 전류를 공급하는 배터리(50)를 부가하여 설치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개폐설정부(20)의 본체(21)에, 제어부(40)로부터 전류를 인가받아 점등되는 경광등(60)과; 제어부로(40)부터 전류를 인가받아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경음기(70)를 각각 일체로 부설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1)는, 각 세대의 방화문(110)에 클러저부(10)를, 문틀(120)에 개폐설정부(20)를 설치하는 것으로 시공이 간편하게 완료된다.
그리고, 추후 세대 내에 화재가 발생되어 연기가 생성되면 개폐설정부(20)의 연기 감지센서(30)는 화재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40)에 인가하고, 제어부(40)는 배터리(50)에 축전된 전류를 해정모듈(24)에 공급하여, 해정모듈(24)에 의한 링크 암(22)의 구속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따라서, 개방된 방화문(110)은 클러저부(10)의 연결암(12)을 통해 제공되는 폐쇄력에 의해 신속히 폐쇄되어, 세대 내에서 발생된 연기 및 화염이 복도로 유입되는 것을 예방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어부(40)는 배터리(50)에 축전된 전류를 경광등(60)과 경음기(70)에 각각 공급하여, 세대 내에 있는 출입자가 화재 발생여부를 신속히 인지함과 동시에, 대피경로인 방화문(110)의 위치를 신속히 인지하여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배터리(50)에 충전된 전류가 소진되면 연기 감지센서(30)와, 제어부(40)와, 경광등(60), 및 경음기(70)의 동작은 정지하고, 이 상태에서는 화재가 발생되더라도 방화문 자동폐쇄가 이루어지지 아니한다.
이를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부(40)에 배터리(50)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을 계측하여 배터리(50)에 축전된 전류량을 계측하는 전류량 계측모듈(41)을 부가하여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전류량 계측모듈(41)에 의해 배터리(50)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이 기준 전압 보다 높은 평상시에는 제어부(40)는 연기 감지센서(30)로부터 인가되는 화재신호에 의해서만 해정모듈(24)에 전류를 공급하여 링크암(22)의 구속상태를 해제한다.
그러나, 배터리(50)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이 기준 전압 보다 낮아지면 상기 제어부(40)는 연기 감지센서로(30)부터 화재신호가 인가되지 아니하더라도, 해정모 듈(24)에 전류를 공급하여 링크암(22)의 구속상태를 해제하여 클로저부(10)의 폐쇄력에 의한 방화문(110)의 폐쇄를 도모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폐쇄장치(1)는, 전류량 계측모듈(41)에 의해 배터리(50)가 과다 소진되면 방화문(110) 폐쇄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배터리(50)가 소진된 상태에서 방화문(110)이 개방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아니하여 향상된 안전성을 겸비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의 시공 상태를 보여주는 외형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에 있어, 해정모듈에 의한 링크암의 구속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3은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에 있어, 개폐설정부의 전체구성을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의 작용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방화문 자동폐쇄장치
10. 클로저부 11. 본체
12. 연결암
20. 개폐설정부 21. 본체
22. 링크암 23. 회전축
23a. 치홈 24. 해정모듈
24a. 해정레버 24a-a. 고정돌기
25. 전동모터 26. 견착레버
30. 연기 감지센서 40. 제어부
41. 전류량 계측모듈 50. 배터리
60. 경광등 70. 경음기
110. 방화문 120. 문틀

Claims (3)

  1. 방화문에 고정되어 방화문의 폐쇄에 요구되는 폐쇄력을 생성하는 연결암을 갖는 클로저부와; 문틀에 고정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전축을 통해 회동구조로 고정되어 상기 클로저부의 연결암과 링크구조를 이루는 링크암, 및 해정모듈을 통해 링크암의 회전 가능여부를 택일하여 설정하는 개폐 설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방화문 자동폐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 설정부에는 연기를 감지하여 화재신호를 생성하는 연기 감지센서와; 상기 연기 감지센서로부터 화재신호가 인가되면 해정모듈에 전류를 공급하여, 해정모듈에 의한 링크암의 회전 구속상태를 해제하는 제어부와; 상기 연기 감지센서와 해정모듈과 제어부의 구동에 요구되는 전류를 축전한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연기 감지센서를 통해 자체적으로 연기를 감지하여 화재신호를 생성하고, 제어부는 이 화재신호를 통해 해정모듈에 전류를 공급하여 방화문의 폐쇄를 도모하도록 구성되는 한편,
    상기 개폐 설정부에는 배터리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을 계측하여 배터리에 축전된 전류량을 계측하는 전류량 계측모듈이 부가되고, 상기 제어부는 전류량 계측모듈을 통해 계측된 전압이 기준 전압량 보다 낮으면 화재 신호의 인가 여부와 상관없이 해정모듈에 전류를 자동으로 공급시켜 해정모듈에 의한 링크암의 구속상태를 해제하도록 구성되어서,
    전류량 계측모듈을 통해 계측된 전압이 기준 전압량 보다 낮으면 화재 신호의 인가 여부와 상관없이 해정모듈을 구동시켜 링크암의 구속상태를 해제하여서, 방화문이 자동으로 폐쇄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기능을 갖는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설정부의 본체에는, 제어부로부터 전류를 인가받아 점등되는 경광등과; 제어부로부터 전류를 인가받아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경음기가 부설되어, 연기 감지센서로부터 화재신호가 인가되면 제어부는 경광등과 경음기에 각각 전류를 공급하여, 경음기로부터 생성된 경보음을 통해 출입자는 화재 발생 여부를 신속히 인지하고, 점등된 경광등을 통해 방화문의 위치를 신속히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감지기능을 갖는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
  3. 삭제
KR2020090010358U 2009-08-07 2009-08-07 화재 감지기능을 갖는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 KR2004589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358U KR200458979Y1 (ko) 2009-08-07 2009-08-07 화재 감지기능을 갖는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358U KR200458979Y1 (ko) 2009-08-07 2009-08-07 화재 감지기능을 갖는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581U KR20110001581U (ko) 2011-02-15
KR200458979Y1 true KR200458979Y1 (ko) 2012-03-21

Family

ID=44206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0358U KR200458979Y1 (ko) 2009-08-07 2009-08-07 화재 감지기능을 갖는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97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944B1 (ko) 2016-03-29 2017-01-12 주식회사 유영씨앤아이 다목적 경고방송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1032Y1 (ko) 2001-04-09 2001-10-11 서을수 비상구 자동 개폐 장치
KR20060135470A (ko) * 2005-06-24 2006-12-29 이철희 방화문 자동폐쇄장치와 그 시스템.
KR20070029533A (ko) * 2005-09-12 2007-03-14 주식회사 그린엠앤씨 방범 방화용 문 자동 개폐장치
KR20080093729A (ko) * 2007-04-18 2008-10-22 채병태 비상문 자동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1032Y1 (ko) 2001-04-09 2001-10-11 서을수 비상구 자동 개폐 장치
KR20060135470A (ko) * 2005-06-24 2006-12-29 이철희 방화문 자동폐쇄장치와 그 시스템.
KR20070029533A (ko) * 2005-09-12 2007-03-14 주식회사 그린엠앤씨 방범 방화용 문 자동 개폐장치
KR20080093729A (ko) * 2007-04-18 2008-10-22 채병태 비상문 자동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581U (ko) 201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4512465A (ja) ロック状態を変更するためのシステム
US8760304B2 (en) Security barrier with emergency release mechanism
JP2006194065A (ja) 窓(扉、戸等の開閉手段を含む)のロック及び/又は開閉を自動制御する窓の自動開閉システム
KR200427721Y1 (ko) 비상문 자동 개폐장치
KR20150139353A (ko) 급기댐퍼
KR200458979Y1 (ko) 화재 감지기능을 갖는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
KR200427720Y1 (ko) 비상문 자동 개폐장치
US20070209764A1 (en) Fire-alarm-controlled roller shutter
JP6132265B2 (ja) 照明付ドアセット
KR20100009291U (ko) 미닫이식 방화유리 자동문
KR100695878B1 (ko) 방화스크린장치
JP2012037176A (ja) 換気システム
JP5294823B2 (ja) 開閉体装置
JP5230001B2 (ja) 火災警報器
KR200410354Y1 (ko) 방화문 개방유지 및 폐쇄장치
JP3139482U (ja) エスカレータ用警報装置
KR20060036364A (ko) 세대간 발코니 격벽을 이용한 방화문
JP4796380B2 (ja) 建物の警備装置
KR200405830Y1 (ko) 화재 시 온도 감지를 할 수 있는 자동화 댐퍼
KR102045147B1 (ko) 자동 문 개폐장치
JP7280725B2 (ja) 監視システム
JP2010242383A (ja) 開閉体装置
JP2007198003A (ja) 開閉装置
KR101311016B1 (ko) 유무선통신 제어 비상피난시스템
KR101017602B1 (ko)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