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7602B1 -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7602B1
KR101017602B1 KR1020100100797A KR20100100797A KR101017602B1 KR 101017602 B1 KR101017602 B1 KR 101017602B1 KR 1020100100797 A KR1020100100797 A KR 1020100100797A KR 20100100797 A KR20100100797 A KR 20100100797A KR 101017602 B1 KR101017602 B1 KR 101017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communication
door
mechanism body
drive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0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반도건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반도건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반도건축
Priority to KR1020100100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76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7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7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rd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에 관한 것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공기유로(110); 공기유로(110)와 연통되며, 조류퇴치기구(300)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개구되는 노즐(130)를 갖춘 창틀(100)과: 창틀(100)에 설치되는 도어(200)와: 창틀(100)로부터 돌출되는 지지대(310); 지지대(310)에 설치되는 와이어(320); 은박지가 도포되어 와이어(320)에 설치되는 반사체(330)를 갖춘 조류퇴치기구(300)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구동기구본체(410); 구동기구본체(410)에 내설되는 팬(420); 구동기구본체(410)에 설치되어 팬(420)을 회전시키는 페달(430)을 갖춘 구동기구(400)와: 구동기구본체(410)와 연통된 제1연통부(510); 구동기구본체(410) 및 창틀(100)의 공기유로(110)와 연통된 제2연통부(520); 공기를 배출하는 노즐(531)을 갖추고서, 제1연통부(510) 및 제2연통부(520)와 연통되는 냉각부(530)를 갖춘 연결부(500)와: 연결부(500)에 설치되어, 구동기구본체(410)으로부터 제1연통부(510)·제2연통부(520)·냉각부(530)로의 공기 진행방향을 제어하는 밸브(600)와: 창틀(100)에 설치되어, 도어(200)의 개폐 유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700)와: 감지센서(700)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밸브(600)를 작동제어하는 제어유닛(8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사용자가 안전하게 운동을 할 수 있고, 사용자로 바람을 불어줄 수 있어, 사용자가 운동을 좀 더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Apartment Houses's Balcony Balustrade}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에는 발코니가 구비된다.
이러한 발코니에는 창이 설치되어, 비 또는 바람이 거실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공동주택의 주거자는 발코니에 자전거 등을 설치하여, 운동을 한다. 이때 주거자는 창을 연 상태에서 운동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창이 열려 있을 경우, 공동주택을 비행하는 새가 발코니로 들어올 수 있으며, 이렇게 새가 발코니로 들어올 경우, 운동을 하는 주거자는 안전상 위협을 받게 된다. 이때 발코니로 들어온 새가 거실까지 진입할 경우, 거실에 있는 주거자 또한 위험상황에 노출되었다.
따라서 상기 주거자가 운동을 할 시, 새가 발코니로 접근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는 발코니 난간대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발명된 것으로, 발코니에서 운동을 안전하게 할 수 있는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려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공기유로; 공기유로와 연통되며, 조류퇴치기구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개구되는 노즐를 갖춘 창틀과:창틀에 설치되는 도어와: 창틀로부터 돌출되는 지지대; 지지대에 설치되는 와이어; 은박지가 도포되어 와이어에 설치되는 반사체를 갖춘 조류퇴치기구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구동기구본체; 구동기구본체에 내설되는 팬; 구동기구본체에 설치되어 팬을 회전시키는 페달을 갖춘 구동기구와: 구동기구본체와 연통된 제1연통부; 구동기구본체 및 창틀의 공기유로와 연통된 제2연통부; 공기를 배출하는 노즐을 갖추고서, 제1연통부 및 제2연통부와 연통되는 냉각부를 갖춘 연결부와: 연결부에 설치되어, 구동기구본체으로부터 제1연통부·제2연통부·냉각부로의 공기 진행방향을 제어하는 밸브와: 창틀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폐 유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감지센서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밸브를 작동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운동을 하면서 이와 동시에 열려진 도어를 통해 새 등이 발코니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가 안전하게 운동을 할 수 있고, 새의 거실 침입을 막을 수 있어, 안정성이 향상됨은 물론, 사용자가 도어를 닫고 운동을 할 시, 사용자로 바람을 불어줄 수 있어, 사용자가 운동을 좀 더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상세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상세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상세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상세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부분 단면도로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는 공동주택의 벽체(BR)에 설치되는 창틀(100)과, 창틀(100)을 개폐하는 도어(200)와, 조류의 접근을 방지하는 조류퇴치기구(300)와, 조류퇴치기구(300)를 구동하는 구동기구(400)와, 구동기구(400)로부터의 공기를 공급하는 연결부(500)와, 구동기구(400)로부터 방출되는 공기의 흐름방향을 제어하는 밸브(600)와, 도어(20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700)와, 밸브(600) 및 감지센서(700)를 작동제어하는 제어유닛(800)을 포함한다.
상기 창틀(100)은 공동주택의 벽체(BR)에 설치되는 통상의 사각 틀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내부에 형성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공기유로(110)와, 내측면에 형성되어 감지센서(700)가 수용되는 감지센서수용홈(120)과, 각각의 단부에 형성되며 공기유로(110)와 연통되어 외부로 개방되는 노즐(130)을 갖춘다. 이때 노즐(130)은 공기유로(110)로부터의 공기가 조류퇴치기구(300)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도어(200)는 창(210)을 갖추고서, 창틀(100)에 설치되어, 창틀(100)을 개폐하는 통상의 것이다.
상기 조류퇴치기구(300)는 창틀(100)의 각각의 단부에 설치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는 지지대(310)와, 지지대(310)에 설치되는 와이어(320)와, 와이어(320)에 설치되는 반사체(330)를 갖춘다. 이때 반사체(330)는 원판형상을 가지고서 와이어(310)에 고정되며, 표면에 빛을 반사하는 은박지가 도포된다.
상기 구동기구(400)는 공동주택의 발코니에 설치되는 구동기구본체(410)와,구동기본체(4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팬(420)과, 구동기구본체(410)에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어 팬(420)을 회전시키는 한 쌍의 페달(430)을 갖춘다.
상기 구동기구본체(410)는, 외부케이스(411)와, 외부케이스(411)의 내부에 설치되는 지지케이스(412)와, 외부케이스(411)의 상부에 설치되는 안장(413)을 갖춘다.
상기 외부케이스(411)는 내부에 지지케이스수용홈(411a)가 형성되며, 측부에 측방으로 관통된 관통홀(411b)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케이스(412)는 내부에 팬수용홈(412a)이 형성되고, 후방부에 전후방으로 관통된 관통홀(412b)이 구비되며, 외부케이스(411)에 내설되어 지지케이스수용홈(411a)의 중심부에 수용된다.
상기 안장(413)은 자전거 등에 사용되는 통상의 것으로서, 외부케이스(411)의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팬(420)은 바람을 일으키는 통상의 것으로, 지지케이스(412)의 중심부에 회전가능하게 내설되어, 제1연통부(510)로 공기를 불어 넣는다.
상기 페달(430)은 자전거 등에 사용되는 통상의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케이스(4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431)와, 회전부(431)에 설치되는 연결부(432)와, 연결부(43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발판부(433)를 갖춘다. 이때 회전부(431)는 일단이 지지케이스(412)를 관통하여 팬(420)에 고정되고, 타단이 지지케이스(412) 외부로 노출되어 연결부(432)에 고정된다. 여기서 연결부(432)는 일단이 회전부(431)에 고정되고, 타단이 회전부(431)와 수직을 이루도록 측방으로 연장되어 발판부(433)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연결부(500)는, 일단이 구동기구본체(410)의 지지케이스(412) 전방에 연결되어 팬수용홈(412a)과 연통되고 타단이 외부케이스(411)를 관통하여 노출되는 제1연통부(510)와, 일단이 제1연통부(510)와 연결되고 타단이 창틀(100)의 공기유로(110)와 연통된 제2연통부(520)와, 상부에 구동기구본체(410)의 안장(413)을 향하는 노즐(531)이 구비되며 제1연통부(510) 및 제2연통부(520)와 연통되는 냉각부(530)를 갖춘다.
상기 밸브(600)는, 제어유닛(800)에 의해 작동제어되며, 구동기구본체(410)의 연결부(500)에 설치되어, 팬(420)으로부터의 공기 진행방향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 밸브(600)는 통상의 쓰리웨이 밸브가 적용되며, 필요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700)는 창틀(100)에 설치되어 감지센서수용홈(120)에 수용되며, 도어(20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여, 도어(200)의 개폐에 따른 신호를 제어유닛(800)으로 출력한다. 이때 감지센서(700)는 ON-OFF 스위치,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등 도어(200)의 개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면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800)은, 구동기구본체(410)에 설치되며, 감지센서(700)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밸브(600)를 작동제어한다. 이때 제어유닛(800)은, 감지센서(700)로부터 도어 개방신호가 입력되면, 밸브(600)를 동작시켜, 연결부(500)의 제1연통부(510) 및 제2연통부(520)를 개방하고, 냉각부(530)는 폐쇄하며, 감지센서(700)로부터 도어 폐쇄신호가 입력되면, 밸브(600)를 동작시켜, 연결부(500)의 제1연통부(510) 및 냉각부(320)를 개방하고 창틀(100)의 제2연통부(520)는 폐쇄한다.
한편 본 실시시예에서는 감지센서(700)의 출력신호에 따라 제어유닛(800)이 밸브(600)를 작동제어하였지만, 별도의 입력유닛(미도시)을 구비하여, 입력유닛으로부터의 입력신호에 따라 제어유닛(800)이 밸브(600)를 작동제어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로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운동을 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도어(200)를 열면, 도 6과 같이 도어(200)와 창틀(100) 내면의 접촉이 해제되면서, 감지센서(700)는 제어유닛(800)으로 도어 개방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제어유닛(800)은 밸브(600)를 동작시키고, 밸브(600)는 연결부(500)의 제1연통부(510) 및 제2연통부(520)를 개방하고, 냉각부(530)를 폐쇄한다.
이후 상기 사용자가 구동기구본체(410)의 안장(413)에 안착한 후, 페달(430)의 발판부(433)를 이용하여, 도 7과 같이 페달(430)의 회전부(431)를 회전시키면서 운동을 하면, 구동기구(400)의 팬(420)이 회전하면서, 연결부(500)의 제1연통부(510)로 공기를 발생시킨다.
상기 팬(420)에 의해 발생된 공기는 연결부(500)의 제1연통부(510)를 통과하여, 제2연통부(510)로 유입된다. 이때 제1연통부(510)로 유입된 바람은 공기유로(110)를 따라 순환하고, 그 중 일부는 창틀(100)의 노즐(1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노즐(130)을 통해 배출된 공기는 조류퇴치기구(300)의 반사체(330)를 향해 진행하고, 이로 인해 반사체(330)는 도 8과 같이 회전을 하면서 공동주택의 발코니 외부로 빛을 반사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가 도어(200)를 열어 놓고 운동을 하면 새가 발코니 내부로 들어올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반사체(330)가 회전하면서 빛을 반사시켜, 발코니 외부에 있는 새 등이 발코니로 접근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사용자가 도어(200)를 닫은 상태에서 구동기구(400)를 통해 운동을 하면, 사용자는 더위를 느끼게 되고, 사용자는 이러한 더위를 연결부(500)의 냉각부(530)로부터 불어오는 바람을 통해 식힐 수 있다.
즉 상기 제어유닛(800)은 도어(200)가 폐쇄된 상태에서 감지센서(700)로부터 도어 폐쇄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제어유닛(800)은 밸브(600)를 동작시키고, 이에 따라 밸브(600)는 연결부(500)의 제1연통부(510) 및 냉각부(530)를 개방시키고, 제2연통부(520)는 폐쇄시킨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가 도어(200)를 닫은 상태에서 구동기구(400)를 동작시키면, 팬(420)에 의해 생성된 공기는 연결부(500)의 제1연통부(510) 및 냉각부(530)를 경유하여, 냉각부(530)의 노즐(53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노즐(531)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안장(413)에 앉은 사용자에게 공급되어, 운동을 하는 사용자는 더위를 식히면서 운동을 지속적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반사체(330)가 팬(420)에 의한 바람에 의해 회전하도록 설명되었지만, 사용자가 운동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자연풍에 의해 회전되어, 새가 발코니로 접근하지 못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창 구조물은, 운동을 하면서 이와 동시에 열려진 도어(200)를 통해 새 등이 발코니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가 안전하게 운동을 할 수 있고, 새의 거실 침입을 막을 수 있어, 안정성이 향상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도어(200)를 닫고 운동을 할 시, 사용자로 바람을 불어줄 수 있어, 사용자가 운동을 좀 더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0; 창틀 200; 도어
300; 조류퇴치기구 400; 구동기구
500; 연결부 600; 밸브
700; 감지센서 800; 제어유닛

Claims (1)

  1.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공기유로(110); 공기유로(110)와 연통되며, 조류퇴치기구(300)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개구되는 노즐(130)를 갖춘 창틀(100)과:
    창틀(100)에 설치되는 도어(200)와:
    창틀(100)로부터 돌출되는 지지대(310); 지지대(310)에 설치되는 와이어(320); 은박지가 도포되어 와이어(320)에 설치되는 반사체(330)를 갖춘 조류퇴치기구(300)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구동기구본체(410); 구동기구본체(410)에 내설되는 팬(420); 구동기구본체(410)에 설치되어 팬(420)을 회전시키는 페달(430)을 갖춘 구동기구(400)와:
    구동기구본체(410)와 연통된 제1연통부(510); 구동기구본체(410) 및 창틀(100)의 공기유로(110)와 연통된 제2연통부(520); 공기를 배출하는 노즐(531)을 갖추고서, 제1연통부(510) 및 제2연통부(520)와 연통되는 냉각부(530)를 갖춘 연결부(500)와:
    연결부(500)에 설치되어, 구동기구본체(410)으로부터 제1연통부(510)·제2연통부(520)·냉각부(530)로의 공기 진행방향을 제어하는 밸브(600)와:
    창틀(100)에 설치되어, 도어(200)의 개폐 유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700)와:
    감지센서(700)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밸브(600)를 작동제어하는 제어유닛(8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창 구조물.
KR1020100100797A 2010-10-15 2010-10-15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 KR101017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0797A KR101017602B1 (ko) 2010-10-15 2010-10-15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0797A KR101017602B1 (ko) 2010-10-15 2010-10-15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7602B1 true KR101017602B1 (ko) 2011-02-28

Family

ID=43777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0797A KR101017602B1 (ko) 2010-10-15 2010-10-15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76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3031A (ko) * 2018-01-03 2019-07-11 남태균 융합형 조류 퇴치 장치
WO2022036201A1 (en) * 2020-08-14 2022-02-17 Ecolab Us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ird control using las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0544Y1 (ko) * 1985-04-09 1990-01-30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건물용 벽-환기장치의 조합 모듀울
JP2001317175A (ja) 2000-05-02 2001-11-16 Iwai Kinzoku Kogyo Kk 光反射板組み込み手摺り
KR100561490B1 (ko) 2005-11-17 2006-03-20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발코니 안전난간
JP2007315157A (ja) 2006-05-26 2007-12-06 Seeds Design Office Co Ltd 鳥よけ装置の機能を持った手すり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0544Y1 (ko) * 1985-04-09 1990-01-30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건물용 벽-환기장치의 조합 모듀울
JP2001317175A (ja) 2000-05-02 2001-11-16 Iwai Kinzoku Kogyo Kk 光反射板組み込み手摺り
KR100561490B1 (ko) 2005-11-17 2006-03-20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발코니 안전난간
JP2007315157A (ja) 2006-05-26 2007-12-06 Seeds Design Office Co Ltd 鳥よけ装置の機能を持った手すり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3031A (ko) * 2018-01-03 2019-07-11 남태균 융합형 조류 퇴치 장치
KR102045545B1 (ko) * 2018-01-03 2019-11-15 남태균 융합형 조류 퇴치 장치
WO2022036201A1 (en) * 2020-08-14 2022-02-17 Ecolab Us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ird control using las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1605B1 (ko) 아파트의 화재 비상탈출장치
US20110292213A1 (en) Door mountable camera surveillance device and method
KR102061020B1 (ko) 시스템루버 구동 장치
CH673723A5 (ko)
KR101017602B1 (ko)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
ES2349259T3 (es) Dispositivo sensor para una instalación automática de puerta giratoria.
KR200437361Y1 (ko) 급기 댐퍼
JP5201826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安全装置及びドア安全運転方法
KR101034304B1 (ko)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
KR101007680B1 (ko) 공동주택의 고층 창 구조물
KR102111354B1 (ko) 유아 또는 애완동물용 안전문
KR102087826B1 (ko) 창문 설치용 환기장치
JP2007240124A (ja) 換気装置
JP4796380B2 (ja) 建物の警備装置
US9105169B2 (en) Alarm system for passageways
KR20100046868A (ko) 적외선 안전센서에 의한 자동문 안전제어장치
KR101028452B1 (ko) 건물에 설치되는 제연경계벽의 높낮이 조절장치
CN209212625U (zh) 一种消防用防排烟风机控制设备
KR20080004754A (ko) 자동개폐장치가 구비된 발코니 도어
KR100987144B1 (ko) 공동주택용 비상 계단부에 설치되는 엘이디 안전창문 구조
KR102379247B1 (ko) 버튼 살균 장치 및 버튼 살균 방법
CN110761592A (zh) 一种具有酒精检测及报警功能的厕所
KR200458979Y1 (ko) 화재 감지기능을 갖는 방화문 자동 폐쇄장치
JP2002129757A (ja) 建 物
TWI758163B (zh) 逃生窗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