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0544Y1 - 건물용 벽-환기장치의 조합 모듀울 - Google Patents

건물용 벽-환기장치의 조합 모듀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0544Y1
KR900000544Y1 KR2019850003879U KR850003879U KR900000544Y1 KR 900000544 Y1 KR900000544 Y1 KR 900000544Y1 KR 2019850003879 U KR2019850003879 U KR 2019850003879U KR 850003879 U KR850003879 U KR 850003879U KR 900000544 Y1 KR900000544 Y1 KR 9000005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wall
window frame
fresh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38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13425U (ko
Inventor
아키오 이케무라
미노루 카지키
Original Assignee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다 다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다 다다오 filed Critical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20198500038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0544Y1/ko
Publication of KR8600134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134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05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5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7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a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건물용 벽-환기장치의 조합 모듀울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벽-환기장치의 조합 모듀울을 실내쪽에서 바라본 개략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와 유사한 도면으로, 실외측에서 바라본 벽-환기장치의 조합 모듀울의 정면도.
제3도는 벽-환기장치의 조합 모듀울의 환기 장치 내부를 보여주는 확대 수직 단면도.
제4도는 환기장치의 평면도.
제5도는 명확히 보여주기 위해 부품일부를 생략한 환기장치의 수평 단면도.
제6도는 벽-환기장치의 조합 모듀울의 신선한 외기 흡입통로를 보여주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
제7도는 제6도와 유사한 도면으로, 혼탁한 실내공기의 방출 통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8도는 댐퍼(damper)가 내부에 배치된 개량된 공기흡입 통로를 나타내는, 제6도와 유사한 단면도.
제9도는 제8도에 도시된 댐퍼의 확대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창틀 4 : 중간 수평 프레임 부재
6 : 환기장치 15 : 열교환 로우터
19, 20 : 신선한 공기 유입구 및 배출구
21, 22 : 혼탁한 유입구공기 및 배출구
23 : 신선한 공기 흡입통로 24 : 혼탁한 공기 방출 통로
25 : 내측 프레임 부분 26 : 외측 프레임 부분
27 : 연결구 38 : 단열 물질 층
40 : 댐퍼
본 고안은 주택 및 건물용의 벽과 환기장치가 조합된 모듀울(module)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내 조건에 영향을 주는 일 없이 환기를 수행하는 열교환기가 내장되어 있는 환기장치를 포함한 벽-환기 장치 조합 모듀울에 관한 것이다.
개방된 직사각형 창틀의 실외측에서 그 창틀에 부착된 단열벽과, 그 단열벽의 내부에서 상기 직사각형 창틀에 설치된 환기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벽 내부에 환기 장치의 열교환 요소와 흐름이 통하게 유지된 공기흡입 및 방출통로들을 가진 전술한 유형의 벽-환기장치의 조합 모듀울이 알려져 있다. 종래의 모듀울의 공기흡입 및 방출 통로들은 벽에 뚫린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구멍이 뚫린 단열벽은 기계적 강도가 줄어들고, 미관상 좋지 않고, 단열성이 충분치 못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단열 벽 요소가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가지고 외관이 훌륭하며 단열성이 우수한 건물용 벽-환기장치의 조합 모듀울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건물용 벽-환기장치의 조합 모듀울은 단열된 직사각형 창틀과 그 창측의 외측에서 그 창틀에 설치된 단열벽 요소를 가진 벽 유니트와, 상기 창틀의 내측에서 그 창틀에 의해 지지되고 신선한 외기와 혼탁한 실내 공기 사이에서 열교환을 하게 하도록 배치된 열교환 요소를 내부에 가진 환기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창틀은 그의 내부에 최소한 하나의 단열된 내측 공기흡입 통로가 있는데, 이 통로는 양 단부에서 환기장치 및 외부공기가 연통하여, 그 통로를 통해 신선한 외부 공기가 환기장치내로 도입된다. 또한, 창틀은 그의 내부에 최소한 하나의 단열된 내측공기 방출통로를 가지고 있는데, 이 통로는 양 단부에서 환기장치 및 외기와 연통하여 그 통로를 통해 혼탁한 실내 공기가 외부로 방출된다.
상기 공기 흡입 및 방출통로들 각각은 그 통로의 내측 원주표면상에서 연장하는 단열물질층으로 덮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에서, 벽-환기장치의 조합 모듀울은 건물(도시안됨)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개방된 직사각형 단열 창틀(2)을 포함한다. 그 창틀(2)은 알루미늄 압출 성형물로 이루어져 있고, 그 창틀의 양측부 수직 프레임 부재들사이에서 중간 수평 프레임 부재(4)가 연장되어 창틀(2)에 한쌍의 상하 개구부를 만든다. 중간 수평 프레임 부재(4)는 상부 수평 프레임 부재보다는 하부 수평 프레임 부재에 더 가깝게 위치하고 있다. 한쌍의 창유리(3, 3)가 창틀(2)의 실외측에서 상부 개구부내에 설치되고, 단열 패널(1)이 창틀(2)의 실외측에서 하부 개구부내에 설치된다. 그렇게 배치된 창유리(3, 3)와 단열 패널(1)은 단열 벽 요소(5)를 이루고, 그 단열벽 요소는 창틀(2)과 함께 벽 유니트를 구성한다. 탁한 실내공기는 제1도에서 화살표(7)로 표시한 바와같이 환기장치(6)속으로 빨려들어간 다음, 제2도에서 화살표(10)로 표시한 바와같이 중간 수평 프레임 부재(4)로 부터 아랫쪽으로 방출된다. 신선한 외부 공기는 제2도에서 화살표(9)로 표시한 바와같이 중간 수평 프레임부재(4)로 부터 위로 환기 장치(6)내로 흡입된 다음, 제1도의 화살표(8)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중간 수평 프레임 부재(4)로 부터 위로 방출된다. 신선한 외부 공기와 혼탁한 실내공기는 그들이 환기장치(6)를 통해 흐르면서 열교환을 하게된다.
환기장치(6)는 제3도 내지 제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기다란 직사각형 상자 형태를 가진 단열 케이싱(11)을 포함한다.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케이싱(11)의 내부는 중앙 중공 수직 분리벽(12)에 의해 좌우실(室)로 분리되는데, 이 실들 각각은 측부 수직 분리벽(13, 14)(제5도)에 의해 내외측 격실들로 세분된다.
열교환 로우터(rotor)(15)가 내외측 격실들 모두에 면해 있도록 좌우 실을 가로질러 중앙 수직 분리벽(1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전동기(16)(제3도)에 의해 비교적 저속으로 회전하도록 무단 벨트를 통해 구동된다.
그 열교환 로우터(15)는 현열(sensitive heat)과 잠열(latent heat)모두를 동시에 교환할 수 있는 형태이다.
환기장치(6)는 또한, 공기를 실내로 보내기 위해 한쪽 측부 수직 분리벽(13)에 설치된 송풍기(17)와 공기를 실외로 방출하기 위해 다른쪽 측부 수직 분리벽(14)에 설치된 송풍기(18)를 포함한다. 케이싱(11)에는, 신선한 공기 유입구(19), 신선한 공기 배출구(20), 혼탁한 공기 유입구(21), 및 혼탁한 공기 배출구(22)가 있다. 그 유입구 및 배출구들(19, 20, 22)은 케이싱(11)의 상부벽에 형성되어 있으나, 혼탁한 공기 유입구(21)는 케이싱(11)의 내부측벽에 형성되어 있다. 그렇게 구성된 환기장치(6)에서, 신선한 외부 공기가 신선한 공기 유입구(19)를 통해 케이싱(11)으로 들어온 다음, 열교환 로우터(15)의 오른쪽 지역을 통과해 흐른다. 그다음, 그 신선한 외부 공기는 신선한 공기 배출구(20)로부터 실내로 방출된다. 마찬가지로, 혼탁한 실내 공기는 혼탁한 공기 유입구(21)를 통해 케이싱(11)내로 들어와서 열교환 로우터(15)의 왼쪽 지역을 통과해 흐른 후, 혼탁한 공기 배출구(22)로 부터 바깥으로 방출된다. 열교환 로우터(15)를 통해 흐르는 도중, 신선한 외부 공기와 혼탁한 실내공기는 열교환을 하게 된다.
신선한 외부 공기는 신선한 공기 흡입통로(23)(제6도)를 통해 환기장치(6)로 들어오고, 반면 혼탁한 실내공기는 혼탁한 공기방출통로(24)(제7도)를 통해 밖으로 방출되며, 상기 공기 흡입 및 방출통로들(23, 24)은 중간 수평 프레임 부재(4)내에 형성되어 있다. 이들 공기 흡입 및 방출 통로들(23, 24)은 같은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신선한 공기 흡입통로(23)에 대해서만 기술하겠다.
제6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간 수평 프레임 부재(4)는 단열구조를 가지고 있고, 연결구(27)를 사이에 두고 서로 연결된 한쌍의 내외측 프레임 부분들(25, 26)로 이루어져 있다. 이 연결구(27)는 단열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내측 프레임 부분(25)은 중공의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며, 중공 수평부분(28)과, 그 중공 수평부분(28)의 외측 가장자리로 부터 일체로 하향으로 연장된 중공 수직부분(29)과, 상기 중공 수평부분(28) 및 중공 수직부분(29)으로 부터 각각 외측으로 돌출한 한쌍의 L자형 수평 돌출부(30, 30), 및 내측 프레임 부분(25)의 내측을 덮기 위해 상기 중공 수평 및 수직부분들(28, 29)에 고정된 L자형 덮개(31)로 구성되어 있다. 누름대(32)가 상부 수평 돌출부(30)위에 배치되어 내측 프레임 부분(25)에 고정되어 있다. 외측 프레임 부분(26)은 긴 프레임 몸체(33), 상기 누름대(32)와 마주보게 상기 프레임 몸체(33)의 상부부분에 고정된 상향 돌출부(34), 외측 프레임 부분(26)의 외측을 덮기 위한 한 쌍의 상하부 덮개(36, 35)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덮개(36)는 상향돌출부(34)에 고정되어 있고 하부덮개(35)는 프레임 몸체(33)에 고정되어 있다. 하부덮개(35)는 대체로 C자형 단면을 가지고 있고 단열 패널(1)의 외측 표면으로 부터 밖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향 돌출부(34)와 누름대(32)는 서로 협동하여, 그들 사이에 가스켓들을 통해 창유리(3, 3)의 하부 가장자리들을 지지한다.
프레임 몸체(33)는 다수의 나사(37)로 수평 돌출부(30, 30)에 고정되고, 이때, 프레임 몸체(33)와 수평 돌출부(30, 30)사이에 단열 연결구(27)가 배치된다.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하 수평 프레임 부재와 수직 프레임 부재는 단열 구조를 가지고 있고, 또한 그 프레임 부재들 각각은 단열 연결구가 삽입된채 서로 연결된 한쌍의 내외측 프레임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제6도에 도시된 신선한 공기 흡입통로(23)를 제공하기 위해, 구멍 또는 개구부가 하부 덮개(35)의 바닥벽에 형성되며, 한쌍의 정렬된 구멍 또는 개구부가 프레임 몸체(33)와 중공 수직 부분(29)의 외측벽에 각각 형성되고, 구멍 또는 개구부가 환기장치(6)의 신선한 공기 유입구(19)와 일치되게 수직 중공부분(29)의 바닥벽에 형성된다.
일련의 이러한 흡입통로들이 제공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단열재료로 된 분리벽(도시되지 않음)이 각 쌍의 인접한 구멍들 사이에 배치된다. 신선한 공기 흡입통로(23)는 그의 길이를 따라 내측 원주표면에 제공된 단열물질 층(38)을 가지고 있다.
좀더 상세히 말하면, 그 단열물질층(38)은 중공 수직부분(29)의 내측 주변표면과 연결구(27, 27)의 대향표면들에 걸쳐 연장한다. 그렇게 구성된 신선한 공기 흡입통로(23)를 통해, 신선한 외부 공기는 환기장치(6)내로 들러오고, 열교환 로우터(15)(제5도)에서 혼탁한 실내 공기와 열교환을 한후, 신선한 공기 배출구(20)(제7도)를 통해 내측 프레임 부분(25)의 중공 내부로 흘러들어와, 마지막으로 공기 방출구(39)로부터 실내로 방출된다. 그 공기 방출구(39)는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확산기(diffuser)로 구성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같이, 실내는 상기 공기 흡입 및 방출 통로들(23, 24)를 통해 외기와 통해 있다.
환기 장치가 작동하지 않을때 공기가 교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들 공기 흡입 및 방출 통로들(23, 24)에 그 통로들(23, 24)를 개폐하는 한쌍의 밸브가 설치될 수도 있다. 제8도는 신선한 공기 흡입통로(23)에 설치되는 그러한 한가지 밸브를 나타낸다. 이 밸브는, 외측 프레임 부분(26)의 프레임 몸체(33)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어 실선으로 표시한 닫힌 위치와 이점쇄선으로 표시한 열린 위치 사이에서 회동가능한 댐퍼(40)로 구성되어 있다.
이 댐퍼(40)를 작동시키기 위해, 수직봉(41)과 수평봉(42)이 신선한 공기 흡입통로(23)에 설치되어 있다.
수평봉(42)은 그의 일단부에서 댐퍼(40)에 피봇되어 있고 타단부에서는 수직봉(41)의 일단부에 피봇되어 있다.
링크(43)가 그의 일단부에서 수직 및 수평봉들(41, 42)의 피봇점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타단부에서는 내측 프레임 부분(25)의 일부분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수직봉(41)의 타단부는 환기장치(6)에 설치된 적당한 구동기구(도시되지 않음)에 작동적으로 연결된다.
댐퍼(40)가 닫혔을때 수평봉(42)이 제8도 및 제9도에서 왼쪽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수평봉(42)에 결합하는 정지부재가 링크(43)의 타단부에 피봇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정지부재가 이렇게 배치되므로, 댐퍼가 수직 및 수평 봉들(41, 42)과 링크(43)의 작동없이 개방 방향으로 강제로 회동될때에도 우연한 공기의 교환이 방지된다.
댐퍼(40)는 송풍기들(17, 18)의 전동기 또는 열교환 로우터(15)의 전동기(16)에의 정류공급이 차단된때 그 댐퍼가 자동적으로 닫히도록 환기장치(6)를 위한 전기 계통과 연결될 수도 있다. 댐퍼(40)는 그의 외부표면이 단열물질층(38)으로 덮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댐퍼(40)는 혼탁한 공기 방출통로(24)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벽 및 환기장치의 조합 모듀울은 여러가지 이점을 가진다. 즉, 신선한 공기 흡입통로(23)와 혼탁한 공기 방출통로(24)가 단열된 중간 수평 프레임 부재(4)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단열벽 요소(5)에 구멍 또는 개구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게 된다. 그러한 구멍 또는 개구부는 단열 벽 요소의 기계적 강도의 상당한 감소를 야기한다. 또한, 이런 개구부가 없는 벽 요소는 외관상 보기가 좋다. 상기 공기 흡입 및 방출통로들(23, 24)이 단열물질층(38)으로 단열되었기 때문에, 중간 수평 프레임 부재(4)는 그에의 이슬 맺힘없이 만족할 정도의 단열성을 제공하게 된다.

Claims (3)

  1. 한쌍의 상호 연결된 내외측 프레임 부분들(25, 26)과 그 내외측 프레임 부분들(25, 26)사이에 끼워진 단열 연결구(27)를 가지고 있는 단열된 직사각형 개방 창틀(2)과 그 창틀(2)의 외측에서 그 창틀에 설치되는 단열벽 요소(5)를 포함하는 벽 유니트와, 상기 창틀(2)의 내측에서 그 창틀에 의해 지지되며, 신선한 외부 공기와 혼탁한 실내 공기 사이에 열교환을 시키기 위해 내부에 설치된 열교환 요소(15)와 신선한 외부 공기의 통과를 위한 신선한 공기 유입구(19)와 혼탁한 실내 공기의 통과를 위한 혼탁한 공기 배출구(22)를 가진 환기장치(6)와 양단부에서 상기 신선한 공기유입구(19) 및 외기와 연통하여 신선한 외부 공기를 상기 환기장치(6)로 도입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신선한 공기 흡입 통로(23)와, 양단부에서 상기 혼탁한 공기 배출구(22) 및 외기와 연통하여 혼탁한 실내 공기를 밖으로 방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혼탁한 공기 방출통로(24)를 포함하는 건물용 벽-환기장치의 조합 모듀울에 있어서, 상기 신선한 공기 흡입통로(23)와 상기 혼탁한 공기 방출통로(24)가 상기 창틀(2)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기 흡입 및 방출통로들(23, 24) 각각이 그 통로들의 내측원주 표면상에서 연장하는 단열 물질층(38)으로 덮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벽-환기장치의 조합 모듀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 및 방출 통로들(23, 24)을 개폐하기 위해 상기 공기 흡입 및 방출 통로들(23, 24) 각각에 댐퍼(40)가 움직일 수 있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벽-환기장치의 조합 모듀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40)가 그의 일 표면에서 단열 물질층(38)으로 덮힌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벽-환기장치의 모듀울.
KR2019850003879U 1985-04-09 1985-04-09 건물용 벽-환기장치의 조합 모듀울 KR9000005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3879U KR900000544Y1 (ko) 1985-04-09 1985-04-09 건물용 벽-환기장치의 조합 모듀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3879U KR900000544Y1 (ko) 1985-04-09 1985-04-09 건물용 벽-환기장치의 조합 모듀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3425U KR860013425U (ko) 1986-11-12
KR900000544Y1 true KR900000544Y1 (ko) 1990-01-30

Family

ID=19241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3879U KR900000544Y1 (ko) 1985-04-09 1985-04-09 건물용 벽-환기장치의 조합 모듀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054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680B1 (ko) * 2010-10-19 2011-01-13 (주)건축사사무소청남씨앤 공동주택의 고층 창 구조물
KR101017602B1 (ko) * 2010-10-15 2011-02-28 주식회사 한반도건축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
KR101028452B1 (ko) * 2010-10-26 2011-04-14 (주)성지이앤씨 건물에 설치되는 제연경계벽의 높낮이 조절장치
KR101034304B1 (ko) * 2010-10-25 2011-05-16 (주)신한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602B1 (ko) * 2010-10-15 2011-02-28 주식회사 한반도건축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
KR101007680B1 (ko) * 2010-10-19 2011-01-13 (주)건축사사무소청남씨앤 공동주택의 고층 창 구조물
KR101034304B1 (ko) * 2010-10-25 2011-05-16 (주)신한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
KR101028452B1 (ko) * 2010-10-26 2011-04-14 (주)성지이앤씨 건물에 설치되는 제연경계벽의 높낮이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3425U (ko) 1986-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72189A (en) Air conditioner
US3252258A (en) Temperature controlled environmental enclosure with modular panels
EP0458725B1 (en) Window with mechanical ventilation
JP3304485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JPH0216211Y2 (ko)
KR0172654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유니트
US5431215A (en) Pressure switch for energy recovery ventilator
KR900000544Y1 (ko) 건물용 벽-환기장치의 조합 모듀울
JP3746216B2 (ja) 換気機構付きカーテンウォールユニットおよび建物の換気構造
KR900003868Y1 (ko) 건물용 공기 조화기 장치
US4625628A (en) Combined wall and ventilator module for a building
KR900011348Y1 (ko) 냉난방 기능을 가진 조립식 창 유니트
KR900001251Y1 (ko) 단열창
KR900002453Y1 (ko) 다기능 환기 장치
GB2172988A (en) A wall unit including a ventilator for a building
KR102541476B1 (ko) 전열교환기
CA1272904A (en) Combined wall and ventilator module for a building
JP4596709B2 (ja) 空気調和装置
CN217988738U (zh) 一种具备吸尘除湿功能的中效过滤器
JP3539363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
CN218265690U (zh) 一种新风功能的风扇窗
KR102505742B1 (ko) 전열교환기
CN111237922B (zh) 外置窗式室内新风净化器
JPH07234061A (ja) 冷蔵庫
JPH063315Y2 (ja) 電話ボックス用空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