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1490B1 - 공동주택용 발코니 안전난간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용 발코니 안전난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1490B1
KR100561490B1 KR1020050109964A KR20050109964A KR100561490B1 KR 100561490 B1 KR100561490 B1 KR 100561490B1 KR 1020050109964 A KR1020050109964 A KR 1020050109964A KR 20050109964 A KR20050109964 A KR 20050109964A KR 100561490 B1 KR100561490 B1 KR 100561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balcony
net
laser beam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9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승훈
이홍재
김홍용
Original Assignee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50109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14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1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1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51Filling panels, e.g. concrete, sheet metal panels
    • E04F11/1855Wire mesh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61Balustrades with additional safety means for children, e.g. nets or fillings between balus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2011/1868Miscellaneous features of handr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011/1882Miscellaneous features of handr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traction cable inside post or rai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코니 창문이 개방되었을 때 작동하여 발코니 창문을 통해 투척되는 물건이나 사람의 추락사고를 예방하도록 한 공동주택용 발코니 안전난간에 관한 것으로, 창문(20)의 개폐를 검출하기 위한 근접센서(32)와, 창틀(22)에 설치되어 창문개구부(24)를 가로질러서 창문(20)을 향해 가로방향으로 레이저빔(B)을 방사하는 레이저발진기(40)와, 창틀(22)과 창문(20)에서 서로 대향하게 설치되어 레이저발진기(40)로부터 방사되는 레이저빔(B)을 지그재그 형태로 반사시켜 창문개구부(24)에 복선형태의 왕복광로를 형성하는 직각반사경(42)(44)과, 레이저빔(B)의 최종단에 위치되어 차광을 검출하는 포토센서(34)와, 근접센서(32)에 의해 창문(20)의 개방 유무를 검출하여 레이저발진기(40)를 구동하고 포토센서(34)에 의해 레이저빔(B)의 차광이 검출하여 그물망 펼침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30)와, 제어부(30)로부터 출력되는 그물망 펼침신호에 의해 여자되어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솔레노이드(36)와, 발코니난간(10)의 상부레일(12)에 설치되고 양단에 회전링(52)(54)을 갖는 고정축(50)과, 회전링(52)(54)에 일측단이 고정되는 와이어(60)(62)와, 발코니난간(10)의 좌우측 지주(16) 앞에 설치된 탄성클립(95)에 수직으로 끼워져 클레비스(64)(66)에 하단이 힌지결합되는 그물망지지봉(70)(72)과, 그물망지지봉(70)(72)의 상단에 설치되어 와이어(60)(62)를 안내하는 안내고리(74)(76)와, 그물망지지봉(70)(72)에 순차적으로 끼워진 복수의 슬라이드링(82)(84)에 좌우측이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되어 접혀진 상태로 발코니 앞에 설치되고 상단이 와이어 (60)(62)의 타측단에 고정되어 그물망지지봉(70)(72)의 회동으로 당겨지는 와이어(60)(62)에 의해 펼쳐지는 그물망(80)과, 접혀진 그물망(80)을 덮고 그물망(80)이 펼쳐질 때 개방되는 커버(90)로 구성된 것이다.
공동주택,난간,발코니,그물망,솔레노이드,레이저,미러,반사경,고리,커버

Description

공동주택용 발코니 안전난간{Balcony safety railing for apartment hous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발코니 안전난간을 보인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발코니 안전난간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발코니 안전난간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발코니 안전난간을 보인 부분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발코니 안전난간을 보인 펼친 상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발코니난간 12 : 상부레일
16 : 지주 18 : 발코니
20 : 창문 22 : 창틀
24 : 창문개구부 30 : 제어부
32 : 근접센서 34 : 포토센서
36 : 솔레노이드 38 : 경보음발생부
39 : 스피커 40 : 레이저발진기
42,44 : 직각반사경 50 : 고정축
52,54 : 회전링 60,62 : 와이어
64,66 : 클레비스 70,72 : 그물망지지봉
74,76 : 안내고리 80 : 그물망
82,84 : 슬라이드링 90 : 커버
95 : 탄성클립 B : 레이저빔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발코니에 적용되는 공동주택용 발코니 안전난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코니 창문이 개방되었을 때 작동하여 발코니 창문을 통해 투척되는 물건이나 사람이 추락하는 사고를 예방하도록 한 공동주택용 발코니 안전난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에 설치되어 있는 발코니 창호 뒤에는 난간을 설치하여 창문이 개방되었을 때 창문개구부를 통해 밑으로 떨어지는 사고를 예방하도록 되어 있으나 난간의 높이가 창문의 절반 높이에도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창문 앞에 놓인 의자나 책상 위에서 올라가 놀던 어린이가 실족하여 창문 밖으로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되었다.
또한, 창문개구부를 통해 병이나 기타 물건이 투척되는 경우 길을 지나는 행인이 투척물에 의해 크게 다치거나 사망하는 사고가 심심치 않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비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개방된 창문을 통해 투척되는 물건이나 사람의 추락을 예방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발코니 안전난간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문의 개폐를 검출하기 위한 근접센서와, 창틀에 설치되어 창문개구부를 가로질러서 창문을 향해 가로방향으로 레이저빔을 방사하는 레이저발진기와, 창틀과 창문에서 서로 대향하게 설치되어 레이저발진기로부터 방사되는 레이저빔을 지그재그 형태로 반사시켜 창문개구부에 복선형태의 왕복광로를 형성하는 직각반사경과, 레이저빔의 최종단에 위치되어 차광을 검출하는 포토센서와, 근접센서에 의해 창문의 개방이 검출되면 레이저발진기를 구동하고 포토센서에 의해 레이저빔의 차광이 검출되면 그물망 펼침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그물망 펼침신호에 의해 여자되어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솔레노이드와, 발코니난간의 상부레일에 설치되고 양단에 회전링을 갖는 고정축과, 회전링에 일측단이 고정되는 와이어와, 발코니난간의 좌우측 지주 앞에 설치된 탄성클립에 수직으로 끼워져 클레비스에 하단이 힌지결합되는 그물망지지봉과, 그물망지지봉의 상단에 설치되어 와이어를 안내하는 안내고리와, 그물망지지봉에 순차적으로 끼워진 복수의 슬라이드링에 좌우측이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되어 접혀진 상태로 발코니 앞에 설치되고 상단이 와이어의 타측단에 고정되어 그물망지지봉의 회동으로 당겨지는 와이어에 의해 펼쳐지는 그물망과, 접혀진 그물망을 덮고 그물망이 펼쳐질 때 개방되는 커버로 구성하여 공동주택용 발코니 안전난간이 제공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20)의 개폐를 검출하기 위한 근접센서(32)와, 창틀(22)에 설치되어 창문개구부(24)를 가로질러서 창문(20)을 향해 가로방향으로 레이저빔(B)을 방사하는 레이저발진기(40)와, 창틀(22)과 창문(20)에서 서로 대향하게 설치되어 레이저발진기(40)로부터 방사되는 레이저빔(B)을 지그재그 형태로 반사시켜 창문개구부(24)에 복선형태의 왕복광로를 형성하는 직각반사경(42)(44)과, 레이저빔(B)의 최종단에 위치되어 차광을 검출하는 포토센서(34)와, 근접센서(32)에 의해 창문(20)의 개방이 검출되면 레이저발진기(40)를 구동하고 포토센서(34)에 의해 레이저빔(B)의 차광이 검출되면 그물망 펼침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30)와, 제어부(30)로부터 출력되는 그물망 펼침신호에 의해 여자되어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솔레노이드(36)와, 발코니난간(10)의 상부레일(12)에 설치되고 양단에 회전링(52)(54)을 갖는 고정축(50)과, 회전링(52)(54)에 일측단이 고정되는 와이어(60)(62)와, 발코니난간(10)의 좌우측 지주(16) 앞에 설치된 탄성클립(95)에 수직으로 끼워져 클레비스(64)(66)에 하단이 힌지결합되는 그물망지지봉(70)(72)과, 그물망지지봉(70)(72)의 상단에 설치되어 와이어(60)(62)를 안내하는 안내고리(74)(76)와, 그물망지지봉(70)(72)에 순차적으로 끼워진 복수의 슬라이드링(82)(84)에 좌우측이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되어 접혀진 상태로 발코니 앞에 설치되고 상단이 와이어(60)(62)의 타측단에 고정되어 그물망지지봉(70)(72)의 회동으 로 당겨지는 와이어(60)(62)에 의해 펼쳐지는 그물망(80)과, 접혀진 그물망(80)을 덮고 그물망(80)이 펼쳐질 때 개방되는 커버(90)로 구성한다.
여기서 레이저발진기(40)는 레이저구동부(41)에 의해 구동되며, 솔레노이드(36)는 솔레노이드구동부(37)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직각반사경(42)(44)은 레이저빔(B)을 지그재그 형태로 왕복하여 반사시키기 위한 것으로, 창틀(22)과 창문(20)에 대향하게 설치한다.
상기 커버(90)는 실리콘접착제와 같은 것으로 발코니(18) 앞에 반영구적으로 결합한 상태에서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접착부위가 파단되면서 개방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30)로부터 그물망 펼침신호가 출력될 때 소정시간동안 경보음을 출력하기 위한 경보음발생부(38)와 스피커(39)를 상기 창틀(22)의 실내측에 설치한다.
상기 그물망지지봉(70)(72)의 중간을 잡는 탄성클립(95)을 발코니난간(10)의 지주(16)에 설치하여 그물망지지봉(70)(72)이 세워져 있을 때 수직을 유지하도록 한다.
또, 제어부(30)의 입력포트에는 복귀스위치(SW1)를 설치하여 그물망지지봉(70)(72)을 수직으로 세울 때 근접센서(32)와 레이저발진기(40)의 작동을 잠시 멈추도록 하며, 작동스위치(SW2)를 설치하여 그물망지지봉(70)(72)를 세운 다음 정상 작동상태로 복귀하도록 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7은 창문개구부(24)를 통해 던져지는 투척물을 나타낸 것이고, 36s는 솔레노이드(36)의 가동철심을 나타낸 것이며, R1과 R2는 풀업저항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20)이 닫힌 상태가 근접센서(32)에 의해 검출되면, 제어부(30)는 레이저발진기(40)를 "OFF"상태로 전환하여 전력 낭비를 막게 된다.
이후 창문(20)을 개방하게 되면, 창틀(22)에 설치된 근접센서(32)에 의해 창문(20)의 개방이 검출되어 제어부(30)의 입력포트를 통해 입력되는데, 이때 제어부(30)는 레이저구동부(41)를 통해 레이저발진기(40)를 구동하여 레이저빔(B)을 방사하게 되며, 레이저발진기(40)로부터 방사되는 레이저빔(B)은 창문(20)에 설치된 직각반사경(44)을 통해 반사되어 되돌아오면서 다시 창틀(22)에 설치된 직각반사경(42)에 의해 창문(20)쪽으로 반사되어 창문개구부(24)를 지그재그 형태로 가로지르면서 마지막에 포토센서(34)로 입사된다.
즉, 창문개구부(24)를 마치 여러개의 레이저빔(B)이 상하 일정한 간격으로 가로지는 형태로 되며, 이 상태에서 창문개구부(24)를 통해 투척물(17)이 투척되거나 사람이 떨어지게 되면, 레이저빔(B)이 중간에 차단되면서 포토센서(34)에 의해 차광이 검출되며, 이때 제어부(30)는 출력포트를 통해 솔레노이드구동부(37)에 그물망 펼침신호를 출력하여 솔레노이드(36)에 구동전류를 흘리게 되며, 솔레노이드(36)가 여자되면서 가동철심(36s)이 흡인된다.
이때 솔레노이드(36)의 가동철심(36s)에 의해 그물망지지봉(70)(72)의 하단 이 발코니(18)쪽으로 회동되고, 상단은 바깥쪽으로 회동하여 결국 그물망지지봉(70)(72)이 발코니난간(10)의 지주(16)로부터 벗어나 앞으로 경사지게 회동된다.
이 과정에서 와이어(60)(62)의 타측단이 그물망지지봉(70)(72)의 상단에 설치되어 있는 안내고리(74)(76)를 타고 그물망지지봉(70)(72)의 상단으로 이동하는 꼴이 되어 이 와이어(60)(62)의 타측단에 연결되어 있던 그물망(80)이 와이어(60)(62) 인장에 의해 펼쳐지게 되며, 동시에 그물망(80)에 의해 커버(90)가 벗겨져 열리고, 그물망(80)의 좌우측에 설치되어 있던 슬라이드링(82)(84)이 그물망지지봉(70)(72)에서 슬라이드되면서 그물망(80)의 좌우측이 그물망지지봉(70)(72)에 걸린 상태에서 펼쳐지게 된다.
그 다음 그물망(80)의 최상단에 연결되어 있는 슬라이드링(82)(84)이 그물망지지봉(70)(72)의 상단에 설치되어 있는 안내고리(74)(76)에 걸리게 되면, 와이어(60)(62)가 더 이상 이동할 수 없게 되어 그물망지지봉(70)(72)의 회동이 멈추게 되며, 솔레노이드(36)가 소자되어도 그물망지지봉(70)(72)과 그물망(80)은 자중에 의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그물망 펼침동작은 순식간에 일어나기 때문에 창문개구부(24)를 통해 투척물(17)이나 사람이 밑으로 떨어지기 전에 펼쳐진 그물망(80)에 걸리게 되며, 길을 지나던 사람이 투척물(17)에 의해 다치는 것이 방지되고, 어린이 실족사고, 자살 등에 의한 사람의 낙하를 방지하여 인명사고를 예방하게 된다.
한편, 펼쳐진 그물망(80)을 다시 접는 경우에는 제어부(30)의 입력포트에 접속되어 있는 복귀스위치(SW1)를 누르게 되면, 창문(20)이 개방되어도 제어부(30)는 레이저구동부(41)를 "OFF"상태로 전환하고 솔레노이드(36)를 소자된 상태로 유지하게 되는데, 이때 창문개구부(24)를 통해 손으로 내밀어 팽팽하게 인장되어 있는 와이어(60)(62)를 손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그물망지지봉(70)(72)이 당겨지는 와이어(60)(62)를 따라 수직으로 세워지게 되는데, 이때 그물망지지봉(70)(72)이 거의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그물망지지봉(70)(72)을 손으로 잡고 탄성클립(95)에 끼우게 되면, 그물망지지봉(70)(72)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슬라이드링(82)(84)을 순차적으로 밀어 내리면서 그물망(80)을 접어서 포갠 다음 개방되어 있는 커버(90)를 발코니(18) 앞에 접착하게 되면, 초기 상태로 복원되며, 다시 작동스위치(SW2)를 누르게 되면, 제어부(30)는 처음과 같이 근접센서(32)에 의해 창문(20)의 개방을 감시하고, 창문(20)이 개방되면, 레이저구동부(41)에 의해 레이저발진기(40)로 구동전류를 흘려 창문개구부(24)를 통해 던져진 투척물(17)이나 사람의 통과 검출하는 동작을 수행하여 투척시 그물망(80)을 펼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개방된 창문을 통해 투척되는 물건이나 사람의 추락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그물망을 펼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물건이나 사람의 추락을 방지하여 추락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행인이 투척된 물건에 의해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창문(20)의 개폐를 검출하기 위한 근접센서(32)와;
    창틀(22)에 설치되어 창문개구부(24)를 가로질러서 창문(20)을 향해 가로방향으로 레이저빔(B)을 방사하는 레이저발진기(40)와;
    상기 창틀(22)과 창문(20)에서 서로 대향하게 설치되어 상기 레이저발진기(40)로부터 방사되는 레이저빔(B)을 지그재그 형태로 반사시켜 창문개구부(24)에 복선형태의 왕복광로를 형성하는 직각반사경(42)(44)과;
    상기 레이저빔(B)의 최종단에 위치되어 차광을 검출하는 포토센서(34)와;
    상기 근접센서(32)에 의해 창문(20)의 개방 유무를 검출하여 레이저발진기(40)를 구동하고, 상기 포토센서(34)에 의해 레이저빔(B)의 차광이 검출하여 그물망 펼침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30)와;
    상기 제어부(30)로부터 출력되는 그물망 펼침신호에 의해 여자되어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솔레노이드(36)와;
    발코니난간(10)의 상부레일(12)에 설치되고 양단에 회전링(52)(54)을 갖는 고정축(50)과;
    상기 회전링(52)(54)에 일측단이 고정되는 와이어(60)(62)와;
    발코니난간(10)의 좌우측 지주(16) 앞에 설치된 탄성클립(95)에 수직으로 끼워져 클레비스(64)(66)에 하단이 힌지결합되는 그물망지지봉(70)(72)과;
    상기 그물망지지봉(70)(72)의 상단에 설치되어 와이어(60)(62)를 안내하는 안내고리(74)(76)와;
    상기 그물망지지봉(70)(72)에 순차적으로 끼워진 복수의 슬라이드링(82)(84)에 좌우측이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되어 접혀진 상태로 발코니 앞에 설치되고 상단이 와이어(60)(62)의 타측단에 고정되어 그물망지지봉(70)(72)의 회동으로 당겨지는 와이어(60)(62)에 의해 펼쳐지는 그물망(80)과;
    상기 접혀진 그물망(80)을 덮고 그물망(80)이 펼쳐질 때 개방되는 커버(9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발코니 안전난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로부터 그물망 펼침신호가 출력될 때 소정시간동안 경보음을 출력하기 위한 경보음발생부(38)와 스피커(39)를 상기 창틀(22)에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발코니 안전난간.
KR1020050109964A 2005-11-17 2005-11-17 공동주택용 발코니 안전난간 KR100561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9964A KR100561490B1 (ko) 2005-11-17 2005-11-17 공동주택용 발코니 안전난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9964A KR100561490B1 (ko) 2005-11-17 2005-11-17 공동주택용 발코니 안전난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1490B1 true KR100561490B1 (ko) 2006-03-20

Family

ID=37179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9964A KR100561490B1 (ko) 2005-11-17 2005-11-17 공동주택용 발코니 안전난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149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989B1 (ko) * 2006-11-13 2007-05-08 (주)아이팝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안전난간 설치구조
KR101017602B1 (ko) 2010-10-15 2011-02-28 주식회사 한반도건축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
KR101034304B1 (ko) 2010-10-25 2011-05-16 (주)신한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
KR101058118B1 (ko) 2010-12-22 2011-08-19 (주)부산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대피기능을 구비한 공동주택용 안전난간
KR101682401B1 (ko) * 2016-03-30 2016-12-05 주식회사 해밀씨엠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및 건축물의 다기능 창 구조물
KR20200113770A (ko) 2019-03-26 2020-10-07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추락방지용 베란다 난간구조물
CN113460231A (zh) * 2021-07-21 2021-10-01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船舱梯道安全防护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989B1 (ko) * 2006-11-13 2007-05-08 (주)아이팝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안전난간 설치구조
KR101017602B1 (ko) 2010-10-15 2011-02-28 주식회사 한반도건축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
KR101034304B1 (ko) 2010-10-25 2011-05-16 (주)신한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
KR101058118B1 (ko) 2010-12-22 2011-08-19 (주)부산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대피기능을 구비한 공동주택용 안전난간
KR101682401B1 (ko) * 2016-03-30 2016-12-05 주식회사 해밀씨엠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및 건축물의 다기능 창 구조물
KR20200113770A (ko) 2019-03-26 2020-10-07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추락방지용 베란다 난간구조물
CN113460231A (zh) * 2021-07-21 2021-10-01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船舱梯道安全防护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1490B1 (ko) 공동주택용 발코니 안전난간
US8640761B2 (en) Systems and method for a barrier with interchangeable panels
US9622602B2 (en) Systems and method for a barrier with interchangeable panels
CN111021933A (zh) 入口控制装置
JPH0222797A (ja) 保護安全装置
KR101561800B1 (ko) 건축물에서 추락하는 사람을 구조하기 위한 안전망 장치
JP6110114B2 (ja) 建築用電動シャッター装置
KR20040069307A (ko) 화재시 대피용 난간
US5076545A (en) Child's banister guard
JP2013176318A (ja) 有害動物の捕獲装置
JP5201826B2 (ja) エレベータのドア安全装置及びドア安全運転方法
US9105169B2 (en) Alarm system for passageways
JP6401808B2 (ja) 建築用電動シャッター装置
CN207332699U (zh) 一种防坠落装置
JP6401809B2 (ja) 建築用電動シャッター装置
CA2558939C (en) Breach control barrier system
KR101545612B1 (ko) 공동주택의 고층 창 구조물
KR101562561B1 (ko) 공동주택의 고층 창 구조물
KR101099770B1 (ko) 안전방충망과 난간대를 겸비한 창호
EP0807199A1 (en) Dual screening device for a window
KR102654262B1 (ko) 건물 입체장식 기능을 가지는 차광시스템
RU2396996C2 (ru) Эвакуатор - средство спасения при пожарах
CA3029986A1 (en) Improved alarm system for passageways
KR20110009923U (ko) 사생활 보호용 문발
KR102350018B1 (ko) 채광 조절이 가능한 비상 대피 난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