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1354B1 - 유아 또는 애완동물용 안전문 - Google Patents

유아 또는 애완동물용 안전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1354B1
KR102111354B1 KR1020180049021A KR20180049021A KR102111354B1 KR 102111354 B1 KR102111354 B1 KR 102111354B1 KR 1020180049021 A KR1020180049021 A KR 1020180049021A KR 20180049021 A KR20180049021 A KR 20180049021A KR 102111354 B1 KR102111354 B1 KR 102111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ing device
safety
opened
lowe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9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4934A (ko
Inventor
서광민
박대만
Original Assignee
서광민
신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광민, 신희영 filed Critical 서광민
Priority to KR1020180049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1354B1/ko
Publication of KR20190124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4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1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1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09Door leaves with two similar parts placed one above the other, pivoting separate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0Peep-holes; Devices for speaking through; Doors having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2Serving doors; Passing-through doors ; Pet-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4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unintended use, e.g. protection against vandalism or sabot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 또는 애완동물용 안전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전문을 상부도어와 하부도어로 분리 형성하고 상부도어 및 하부도어에 각각 잠금장치를 형성하여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한 유아 또는 애완동물용 안전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아 또는 애완동물용 안전문{Safety gate for infants or pets}
본 발명은 유아 또는 애완동물용 안전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전문을 상부도어와 하부도어로 분리 형성하고 상부도어 및 하부도어에 각각 잠금장치를 형성하여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한 유아 또는 애완동물용 안전문에 관한 것이다.
안전문은 유아 또는 애관동물이 함부로 밖으로 나가는 것을 막기 위하여 어린이집이나 집안의 현관 또는 방 입구 등의 문틀에 설치되는 간이문을 말한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안전문은 현관 또는 방 입구에 대하여 회전식으로 열리며 그 일단이 잠금과 해제가 가능하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기존의 안전문은 전술한 바와 같이 현관 또는 방 입구의 문틀에 설치가 되는데 그 결합 및 결합해제 과정이 복잡하며, 사용하지 않을 경우 분리하여 보관하게 되면 별도의 공간을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안전문은 문틀에 기존의 문과 함께 설치되는데, 이로 인해 모든 문을 개방하기 위해서는 안전문을 문의 회동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 후에 문을 회동시켜 열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리고, 모든 문을 개방하는 과정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화제 등의 비상 상황 시에 유아 또는 애완동물들을 빠르게 대피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에 안전문과 기본문을 각각 반대방향으로 따로 개방시켜 열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 지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유아 또는 애완동물용 안전문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346013호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안전문을 상부도어와 하부도어로 분리 형성하고 상부도어 및 하부도어에 각각 잠금장치를 형성하여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한 유아 또는 애완동물용 안전문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전술한 과제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후술할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아 또는 애완동물용 안전문은 제1잠금장치가 형성된 상부도어; 상기 상부도어의 하단에 분리 형성되며, 제2잠금장치가 형성된 하부도어; 및 상기 제1잠금장치 및 제2잠금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잠금장치를 통해 상기 하부도어를 문틀에 고정하여 안전울타리로 사용하고 상기 상부도어만 열고 닫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안전문은, 상기 제1잠금장치 및 제2잠금장치로 흐르는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안전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전스위치를 누르면 상기 제2잠금장치로 흐르는 전류는 차단되고, 상기 제1잠금장치로만 전류가 흐름으로써 상기 상부도어가 상기 하부도어에 고정되어 상기 상부도어 및 하부도어를 함께 열고 닫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하부도어에는, 유아 또는 애완동물을 지켜볼 수 있는 투시창;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아 또는 애완동물용 안전문은 상부도어와 하부도어로 분리 형성되고 상부도어 및 하부도어에 각각 잠금장치를 형성하여 선택적으로 개폐가 가능하기 때문에 별도로 안전울타리를 설치 할 필요가 없이, 하부도어를 문틀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부도어만 따로 개방하여 간편하게 하부도어를 안전울타리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문틀에 안전울타리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사용하지 않을 경우 별도로 분리하여 보관할 필요도 없기 때문에,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재 등의 비상 상황 시, 안전스위치를 누르면 즉시 상부도어와 하부도어를 함께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신속하게 비상 상황에 대처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하부도어에 투시창을 형성하여 상부도어와 하부도어를 모두 닫은 상태에서도 투시창을 통해 유아 또는 애완동물을 지켜볼 수 있으며, 하부도어를 닫아 안전울타리로 사용하고 상부도어만 연 상태에서도 일어서지 않고 앉은 상태에서 편안하게 유아 또는 애완동물을 지켜볼 수 있다.
또한, 안전문을 현관에 설치할 경우, 투시창을 회동가능하게 설치하여 애완동물의 이동 통로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 또는 애완동물용 안전문에서 상부도어만 개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 또는 애완동물용 안전문에서 상부도어 및 하부도어가 함께 개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 또는 애완동물용 안전문에서 상부도어 및 하부도어의 개방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아 또는 애완동물용 안전문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 또는 애완동물용 안전문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 또는 애완동물용 안전문에서 상부도어만 개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 또는 애완동물용 안전문에서 상부도어 및 하부도어가 함께 개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 또는 애완동물용 안전문에서 상부도어 및 하부도어의 개방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 또는 애완동물용 안전문(이하 '안전문'이라 함)은 현관 또는 방의 문틀(40)에 상부도어(10)와 하부도어(20)로 분리 형성되며, 상부도어(10) 및 하부도어(20)의 개폐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안전스위치(30) 및 잠금장치(11, 2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3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부도어(10)의 상단에는 유아 또는 애완동물을 지켜볼 수 있는 창문(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좌측 하단에는 상부도어(10) 및 하부도어(20)를 열고 닫을 수 있는 손잡이(1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도어(10)의 최하단 중앙에는 전원부(31)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상부도어(10)를 하부도어(20)에 고정하는 제1잠금장치(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잠금장치(11)는 전원부(3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전류가 흐르게 되면 내부에 형성된 데드볼트(11b)를 돌출시켜 하부도어(20) 최상단 중앙의 데드볼트(11b)와 맞닿는 곳에 위치한 제1스트라이커(11a)에 인입시킴으로써 상부도어(10)를 하부도어(20)에 고정시켜 잠금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때, 제1잠금장치(11)와 제1스트라이커(11a)의 위치를 반대로 바꿔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제1잠금장치(11)를 하부도어(20)의 최상단 중앙에 형성하고, 제1스트라이커(11a)를 상부도어(10)의 최하단 중앙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부도어(20)는 상부도어(10)의 하단에 분리 형성되며, 하부도어(20)의 좌측 하단에는 제2스트라이커(21a)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2스트라이커(21a)와 마주보는 위치의 문틀(40)에는 제2잠금장치(21)가 형성되어 있어, 전원부(3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전류가 흐르게 되면 내부에 형성된 데드볼트(21b)를 돌출시켜 데드볼트(21b)와 맞닿는 곳에 위치한 제2스트라이커(21a)에 인입시킴으로써, 하부도어(20)를 문틀(40)에 고정시켜 잠금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때, 제2잠금장치(21)와 제2스트라이커(21a)의 위치를 반대로 바꿔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제2잠금장치(21)를 하부도어(20)의 좌측 하단에 형성하고, 제2스트라이커(21a)를 문틀(40)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안전스위치(30)는 제1잠금장치(11) 및 제2잠금장치(21)로 흐르는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 전원부(31)로부터 공급된 전원에 의해 발생된 전류가 흐르는 전선이 안전스위치(30)의 내부를 통해 제1잠금장치(11) 및 제2잠금장치(21)쪽으로 나누어진다. 이때, 안전스위치(30) 내부에서 제1잠금장치(11) 및 제2잠금장치(21)로 이어지는 전선에는 접점(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으며, 평상시에는 제1잠금장치(11)로 이어지는 전선의 접점(미도시)이 열려있어 제1잠금장치(11)로 전류가 흐르지 못하게 되고, 안전스위치(30)를 누르게 되면 접점(미도시)이 닫히게 되면서 제1잠금장치(11)로 전류가 흐르게 된다. 또한, 평상시에는 제2잠금장치(21)로 이어지는 전선의 접점(미도시)은 닫혀있어 제2잠금장치(21)로 전류가 흐르게 되며, 안전스위치(30)를 누르게 되면 접점(미도시)이 열리게 되면서 제2잠금장치(21)로 전류가 흐르지 못하게 된다. 이외에도, 제1잠금장치(11) 및 제2잠금장치(21)를 선택적으로 잠금시키는 방식은 다양한 공지의 구성들을 사용하여 대체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 또는 애완동물용 안전문의 작동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3(a)는 평상시 안전문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 및 도 3(b)는 비상시 또는 전체 열림 동작시 안전문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제2잠금장치(21)로 이어지는 안전스위치(30) 내부 전선의 접점(미도시)이 닫혀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제2잠금장치(21)에 전류가 흘러 제2잠금장치(21)의 데드볼트(21b)가 돌출되어 제2스트라이커(21a)에 인입됨으로써, 하부도어(20)가 문틀(40)에 고정되어 잠금 상태가 되며, 제1잠금장치(11)로 이어지는 안전스위치(30) 내부 전선의 접점(미도시)은 열린 상태로 전류가 차단되기 때문에, 제1잠금장치(11)의 데드볼트(11b)가 내부로 인입됨으로써 열림 상태가 되어, 상부도어(10)는 열고 닫을 수 있으며 하부도어(20)는 문틀(40)에 고정된다. 따라서, 평상시에 하부도어(20)는 유아 또는 애완동물이 밖으로 나가지 못하게 하는 안전울타리의 역할을 하며, 상부도어(10)를 열어 보호자가 들어가고 나갈 수 있는 출입문의 역할을 하게 된다.
반면, 안전스위치(30)를 누르게 되면, 도 2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잠금장치(21)로 이어지는 안전스위치(30) 내부 전선의 접점(미도시)이 열리게 되면서 제2잠금장치(21)로 흐르던 전류가 차단되어 제2잠금장치(21)의 데드볼트(21b)가 제2잠금장치(21)의 내부로 인입됨으로써 열림 상태가 되며, 제1잠금장치(11)로 이어지는 안전스위치(30) 내부 전선의 접점(미도시)은 닫히게 되어 제1잠금장치(11)에 전류가 흘러 제1잠금장치(11)의 데드볼트(11b)가 돌출되어 제1스트라이커(11a)에 인입됨으로써, 상부도어(10)를 하부도어(20)에 고정시켜 잠금 상태가 되도록 한다. 따라서, 화재 등의 비상시 또는 안전문 전체를 열고 닫고자 할 경우에 안전스위치(30)를 누르게 되면, 상기와 같이, 하부도어(20)는 열림 상태가 되고, 상부도어(10)는 하부도어(20)에 고정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손잡이(12)를 잡고 안전문을 열게 되면,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도어(10)와 하부도어(20)를 포함한 안전문 전체가 열리게 된다. 이에 따라, 화재 등의 비상 상황 시 안전스위치(30)를 누르면 즉시 상부도어(10)와 하부도어(20)를 함께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신속하게 비상 상황에 대처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한편, 안전스위치(30)를 다시 한 번 더 누르게 되면 하부도어(20)가 문틀(40)에 고정되고, 상부도어(10)만 열고 닫을 수 있는 평상시의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아 또는 애완동물용 안전문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아 또는 애완동물용 안전문에는 하부도어(20)에 투시창(22)이 추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부도어(10) 및 하부도어(20)를 모두 닫은 상태에서도 투시창(22)을 통해 유아 또는 애완동물을 지켜볼 수 있으며, 하부도어(20)를 닫아 안전울타리의 용도로 사용하고 상부도어(10)만 연 상태에서도 굳이 일어서지 않고 앉은 상태에서도 편안하게 유아 또는 애완동물을 지켜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4에는 하부도어(20)에 투시창(22)이 고정된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투시창(22)의 상단을 힌지 결합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 경우, 안전문을 현관에 설치하게 되면 투시창(22)을 애완동물의 이동 통로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 또는 애완동물용 안전문은 상부도어와 하부도어로 분리 형성되고 상부도어 및 하부도어에 각각 잠금장치를 형성하여 선택적으로 개폐가 가능하기 때문에 별도로 안전울타리를 설치 할 필요가 없이, 하부도어를 문틀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부도어만 따로 개방하여 간편하게 하부도어를 안전울타리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문틀에 안전울타리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사용하지 않을 경우 별도로 분리하여 보관할 필요도 없기 때문에,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재 등의 비상 상황 시, 안전스위치를 누르면 즉시 상부도어와 하부도어를 함께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신속하게 비상 상황에 대처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하부도어에 투시창을 형성하여 상부도어와 하부도어를 모두 닫은 상태에서도 투시창을 통해 유아 또는 애완동물을 지켜볼 수 있으며, 하부도어를 닫아 안전울타리로 사용하고 상부도어만 연 상태에서도 일어서지 않고 앉은 상태에서 편안하게 유아 또는 애완동물을 지켜볼 수 있다.
또한, 안전문을 현관에 설치할 경우, 투시창을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애완동물의 이동 통로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 : 상부도어
11 : 제1잠금장치
11a : 제1스트라이커
11b : 데드볼트
12 : 손잡이
13 : 창문
20 : 하부도어
21 : 제2잠금장치
21a : 제2스트라이커
21b : 데드볼트
22 : 투시창
30 : 안전스위치
31 : 전원부
40 : 문틀

Claims (3)

  1. 제1잠금장치가 형성된 상부도어;
    상기 상부도어의 하단에 분리 형성되며, 제2잠금장치가 형성된 하부도어;
    상기 제1잠금장치 및 제2잠금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및
    상기 제1잠금장치 및 제2잠금장치로 흐르는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안전스위치;를 포함하며,
    평상시에는 상기 안전스위치의 내부를 통해 상기 제1잠금장치로 이어지는 전선의 접점이 열려있어 상기 제1잠금장치로 흐르는 전류가 차단되어 상기 제1잠금장치가 열림 상태가 됨으로써 상기 상부도어는 열고 닫을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상기 안전스위치의 내부를 통해 상기 제2잠금장치로 이어지는 전선의 접점이 닫혀있어 상기 제2잠금장치에 전류가 흘러 상기 제2잠금장치가 잠금 상태가 됨으로써 상기 하부도어는 문틀에 고정되어 잠금 상태가 되어, 상기 상부도어는 보호자가 들어가고 나갈 수 있는 출입문의 역할을 하며 상기 하부도어는 유아 또는 애완동물이 밖으로 나가지 못하게 하는 안전울타리의 역할을 하고,
    상기 안전스위치를 누르면 상기 제2잠금장치로 이어지는 상기 안전스위치 내부 전선의 접점이 열리게 되면서 상기 제2잠금장치로 흐르던 전류가 차단되어 상기 제2잠금장치가 열림 상태가 되고, 상기 제1잠금장치로 이어지는 상기 안전스위치 내부 전선의 접점이 닫히게 되면서 상기 제1잠금장치에 전류가 흘러 상기 제1잠금장치가 닫힘 상태가 됨으로써 상기 상부도어를 하부도어에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상부도어 및 하부도어를 포함한 안전문 전체를 열고 닫을 수 있으며,
    상기 안전스위치를 다시 한 번 더 누르면 상기 하부도어가 상기 문틀에 고정되고, 상기 상부도어만 열고 닫을 수 있는 평상시의 상태로 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또는 애완동물용 안전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도어에는,
    유아 또는 애완동물을 지켜볼 수 있는 투시창;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또는 애완동물용 안전문.
KR1020180049021A 2018-04-27 2018-04-27 유아 또는 애완동물용 안전문 KR102111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9021A KR102111354B1 (ko) 2018-04-27 2018-04-27 유아 또는 애완동물용 안전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9021A KR102111354B1 (ko) 2018-04-27 2018-04-27 유아 또는 애완동물용 안전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4934A KR20190124934A (ko) 2019-11-06
KR102111354B1 true KR102111354B1 (ko) 2020-05-15

Family

ID=68541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9021A KR102111354B1 (ko) 2018-04-27 2018-04-27 유아 또는 애완동물용 안전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13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8108A (ko) 2021-11-10 2023-05-17 주식회사 유엑스팩토리 ToF 센서를 이용한 자동 개폐 안전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7186B1 (ko) * 2020-04-16 2020-10-16 나영선 비상 탈출이 가능한 도어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4952A (ja) * 2004-04-28 2005-11-10 Sumitomo Forestry Co Ltd 上下分割ドア
JP6216542B2 (ja) * 2013-06-07 2017-10-18 トヨタホーム株式会社 出入り口の開閉制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4952A (ja) * 2004-04-28 2005-11-10 Sumitomo Forestry Co Ltd 上下分割ドア
JP6216542B2 (ja) * 2013-06-07 2017-10-18 トヨタホーム株式会社 出入り口の開閉制御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8108A (ko) 2021-11-10 2023-05-17 주식회사 유엑스팩토리 ToF 센서를 이용한 자동 개폐 안전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4934A (ko) 2019-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1354B1 (ko) 유아 또는 애완동물용 안전문
US20150330126A1 (en) Latch mechanism
KR101744888B1 (ko) 창문의 잠금장치
KR101091801B1 (ko) 도어 보조 잠금장치
KR20100072815A (ko) 방범 출입문
KR20210050877A (ko) 유아 또는 애완동물용 안전문
KR101014366B1 (ko) 자동개폐가 가능한 건축물의 환기용 창문 구조
KR200246124Y1 (ko) 출입문용 방범창
KR20220014010A (ko) 창문 개폐용 안전장치
KR101015374B1 (ko) 안전 창호
KR20110026356A (ko) 여닫이문의 3지점 잠금장치
KR20150042955A (ko) 확장된 발코니용 창호 시스템
KR101122311B1 (ko) 여닫이문의 3지점 잠금장치
JP4453913B2 (ja) 自動扉の施錠装置
KR101583997B1 (ko) 컵 핸들형 도어 개폐장치
US11788346B2 (en) Securable pet door
KR200486599Y1 (ko) 창문 안전 잠금장치
KR20140050358A (ko) 제연용 환기창
KR20240066584A (ko) 비상 탈출 방범창
KR200192853Y1 (ko) 미닫이 창문의 열림 제어장치
KR910008462Y1 (ko) 보조문이 장치된 현관문
JPH10148070A (ja) ドア開口部の開閉装置
JPH0755247Y2 (ja) 引き戸の中間ロック装置
JP2004300901A (ja) 網戸付ドア及びその取付け装置並びに丁番
JP3151819U (ja) 両開き扉の保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