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8172Y1 - 마늘순 절단기 - Google Patents

마늘순 절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8172Y1
KR200458172Y1 KR2020100005158U KR20100005158U KR200458172Y1 KR 200458172 Y1 KR200458172 Y1 KR 200458172Y1 KR 2020100005158 U KR2020100005158 U KR 2020100005158U KR 20100005158 U KR20100005158 U KR 20100005158U KR 200458172 Y1 KR200458172 Y1 KR 2004581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blade
garlic
guide rod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51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0899U (ko
Inventor
강순택
Original Assignee
강순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순택 filed Critical 강순택
Priority to KR20201000051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172Y1/ko
Publication of KR201100108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8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1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1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00Hand-cutting implements for harvesting
    • A01D1/08Attaching means for blades
    • A01D1/12Attaching means for blades with blades adjustable in several ways

Abstract

본 고안은 마늘순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노지에 생육하고 있는 마늘의 종 부분을 절단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특히 절단을 요하는 마늘순의 일지점이 지지된 상태에서, 적층하여 후퇴하는 날에 의해 절단되도록 구성하여, 마늘순의 절단에 따른 안정성과 편리성이 겸비되도록 한 마늘순 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마늘순 절단기{Cutter for the stalk of a garlic}
본 고안은 마늘순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노지에 생육하고 있는 마늘의 종 부분을 절단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특히 절단을 요하는 마늘순의 일지점이 지지된 상태에서, 적층하여 후퇴하는 날에 의해 절단되도록 구성하여, 마늘순의 절단에 따른 안정성과 편리성이 겸비되도록 한 마늘순 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늘의 재배시 마늘이 완숙기에 접어들면 마늘순이 엽초 밖으로 출현하기 시작하는데, 생장하는 마늘순을 그대로 두면 마늘순에서 나온 눈인 주아(珠芽)의 발육과 마늘쪽의 비대가 경합을 하게 되어 양분의 이동이 분산되고 이에 따라 마늘통의 비대가 좋지 못하게 되므로, 수시로 마늘순을 채취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수작업을 통해 마늘순을 장시간 절단하면, 마늘순을 파지하여 절단하는 작업자의 손가락이 맵고 아프고 마늘순이 끝까지 뽑히지 않고 중간에서 끊기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한편,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공고 0212335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손잡이 간의 선단에 창형태의 절단칼을 매설하고 절단칼의 양측부에 나팔형상으로 벌어진 넓은 간격부와 협소부를 형성한 지지간을 탄력 설치한 마늘대 절단기를 제안한 바 있다.
상기 마늘대 절단기는, 나팔형상으로 벌어지는 지지간 사이로 마늘대를 진입시키면, 이 마늘대에 손잡이 간의 선단에 매설된 절단칼이 절입되어 절단하도록 한 형태이다.
그러나, 상기 마늘대 절단기는 지지간 사이로 진입된 마늘대의 안정된 지지가 형성되지 아니하는 관계로, 절단칼의 절입에 의한 마늘대의 절단이 안정되게 이룩되기 어렵다.
또한, 마늘대가 약한 경우 지지간 사이로 마늘대가 진입하는 과정에 휘어져 반복적인 시행착오에 의해 작업성이 현저히 떨어지고, 이를 해소하고자 지지간 사이의 탄성을 임의로 약화시키면 마늘대의 구속력 약화되어 마늘대가 외부로 이탈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될 수도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노지에 생육하고 있는 마늘의 종 부분을 절단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특히 절단을 요하는 마늘순의 일지점이 지지된 상태에서, 적층하여 후퇴하는 날에 의해 절단되도록 구성하여, 마늘순의 절단에 따른 안정성과 편리성이 겸비되도록 한 마늘순 절단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고안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마늘순 절단기는,
가이드봉과, 상기 가이드봉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마늘순을 절단하는 절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마늘순 절단기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후방면에 날이 형성된 후크형 칼날이 가이드봉의 선단부에 진퇴구조로 적층하여 설치된 형태로 구성되어, 후크형 칼날은 외력에 의해 가이드봉을 따라 진퇴하도록 구성되어서,
마늘순이 절단구간인 후크형 칼날의 후방면과 가이드봉 선단 사이에 위치하면 후크형 칼날은 후퇴하여 후방면에 형성된 날을 마늘순에 절입시켜 절단하고, 이때 마늘순의 절단부위 하부 일지점, 또는 상부 일지점은 가이드봉의 선단에 지지된 상태에서 절단부위가 후퇴하는 후크형 칼날의 날에 의해 절단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단부는 후방면에 날이 형성된 후크형 칼날이 가이드봉의 선단부에 진퇴구조로 설치된 형태로 구성되어, 절단구간인 후크형 칼날의 후방면과 가이드봉의 선단부 사이의 일편에는 진입구가 형성되어서,
상기 절단구간인 후크형 칼날의 후방면과 가이드봉의 선단 사이에 마늘순이 진입구를 통해 진입하며 위치되면, 후크형 칼날은 외력에 의해 후퇴하여 후방면에 형성된 날을 마늘순에 절입시켜 절단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단부는, 가이드봉의 선단부에 슬라이더가 진퇴구조로 설치되고, 이 슬라이더에는 한 쌍의 후크형 칼날이 힌지축을 통해 좌우 대칭되게 설치된 형태로 구성되는 한편, 상기 슬라이더에 설치된 후크형 칼날은 각각 전방면은 경사지고 후방면은 직교된 형태로 구성되어 절단부의 전방에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는 'V'형의 진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V'형의 진입구를 형성하는 후크형 칼날은 각각 스프링에 의해 내측으로 당겨지도록 구성되어서,
마늘순이 후크형 칼날의 경사면과의 간섭을 통해 'V'자형 진입구를 개방하여 절단구간인 후크형 칼날의 후방면과 가이드봉의 선단 사이로 진입하면, 'V'자형 진입구는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폐쇄되어 마늘순은 절단구간에 구속되고, 이 상태에서 슬라이더 및 이 슬라이더에 설치된 후크형 칼날은 외력에 의해 후퇴하여 절단구간에 구속된 마늘순을 후크형 칼날의 날이 절단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절단부를 구성하는 후크형 칼날은, 노브를 통한 수조작 또는 솔레로이드로부터 외력을 인가받아 진퇴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마늘순이 가이드봉의 선단에 지지된 상태에서 후크형 칼날이 후퇴하면서 후방면에 형성된 날을 통해 마늘순을 절단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후크형 칼날의 날이 반복적인 절단과 절단과정에서 마늘순에서 분비된 점액질에 의해 무더지더라도, 마늘순을 안정되게 절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장치를 통한 마늘순의 절단과정에 후크형 칼날의 날을 반복적으로 연마하거나 교체하는 등 주기적인 보수과정이 불필요하므로, 주기적인 보수에 따른 번거로움이 사라지고, 또 날의 보수에 의해 작업이 지체되는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다.
특히, 본 장치는 절단구간에 위치된 마늘순에 날을 절입시켜 절단하기 위해 작업자가 손목 스냅을 사용하여 가이드봉을 반복적으로 휘두르는 과정이 불필요하므로, 작업에 따른 피로도가 감소되고, 또 마늘순의 절단에 따른 편리성과 신속성이 확보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 1 실시형태로 제안하고 있는 마늘순 절단기의 전체 구성, 및 이를 통한 마늘순의 절단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에서 제 2 실시형태로 제안하고 있는 마늘순 절단기의 전체 구성, 및 이를 통한 마늘순의 절단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마늘순 절단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 1 실시형태로 제안하고 있는 마늘순 절단기의 전체 구성, 및 이를 통한 마늘순의 절단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에서 제 2 실시형태로 제안하고 있는 마늘순 절단기의 전체 구성, 및 이를 통한 마늘순의 절단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마늘순 절단기(1, 1')는,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업자가 후미에 형성된 손잡이(12)를 통해 가이드봉(10)을 파지한 상태에서, 가이드 봉(10)의 선단부에 설치된 절단부(20, 30)를 통해 노지에서 자생하고 있는 마늘순(V)에 절단하도록 고안된 것이다.
상기 절단부(20, 30)는, 후방면(21a, 31b)에 날(22a-a, 31b-a)이 형성된 후크형 칼날(21, 31, 31')이 가이드봉(10)의 선단부에 진퇴구조로 적층하여 설치된 형태로 이루어져, 노지에서 자생하는 마늘의 마늘순(V)은 가이드봉(10)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외력에 의해 후퇴하는 후크형 칼날(21, 31, 31')의 날(22a-a, 31b-a)에 의해 절단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가이드봉(10)에 진퇴구조로 설치된 후크형 칼날(21, 31, 31')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와이어(24) 또는 연결로드 등의 연결부재를 통해 가이드봉(10)의 후미에 형성된 노브(25)와 연결되어 노브(25)의 조작에 의해 진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위치(36)의 조작에 의해 배터리(미도시)로부터 전류를 인가받아 외력을 생성하는 솔레로이드(35)와 직결 또는 와이어(34) 등의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되어 스위치(36)의 조작에 의한 솔레로이드(35)의 구동에 의해 진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솔레로이드(35)를 전동모터로 치환하여 구성하고 이 전동모터에 권취드럼을 형성하여, 스위치(36)의 조작을 통한 전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후크형 칼이 진퇴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원의 기술적 범주인 것이 자명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마늘순 절단기(1, 1')는 손잡이(12)를 통해 가이드봉(10)의 후미를 파지한 작업자가, 후크형 칼날(21, 31, 31')의 후방면(21a, 31b)과 가이드봉(10) 선단 사이에 형성된 절단구간(20a, 30b)에 마늘순(V)을 위치시키면, 후크형 칼날(21, 31, 31')은 노브(25)를 통한 수조작, 또는 스위치(36)의 조작에 따른 전동에 의해 후퇴하여 후방면(21a, 31b)에 형성된 날(22a-a, 31b-a)을 마늘순(V)을 절입시켜 절단한다.
이때, 가이드봉(10)의 선단부에 후크형 칼날(21, 31, 31')은 적층하여 설치된 관계로, 마늘순(V)의 절단부위 하부 일지점, 또는 상부 일지점은 가이드봉(10)의 선단에 지지된 상태에서 후퇴하는 후크형 칼날(21, 31, 31')의 날(22a-a, 31b-a)이 절입하여 절단된다.
이와 같이 마늘순(V)이 가이드봉(10)의 선단에 지지시킨 상태에서 후크형 칼날(21, 31, 31')의 날(22a-a, 31b-a)이 절입하여 절단되도록 구성하면, 마늘순(V)이 후퇴하는 후크형 칼날(21, 31, 31')의 날(22a-a, 31b-a)에 절입되지 아니하고 휘어져 절단이 안정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기술적 사상이 적용된 마늘순 절단기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상술하고 있으며, 후술되는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하나의 후크형 칼날로 이루어진 절단부(20)를 갖는 마늘순 절단기(1)를 상술하고 있고, 제 2 실시형태에서는 한 쌍의 후크형 칼날로 이루어진 절단부(30)를 갖는 마늘순 절단기(1')를 각각 제안하고 있다.
[제 1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마늘순 절단기(1)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이드봉(10)의 선단부에 하나의 후크형 칼날(21)로 이루어진 절단부(20)를 구비한 형태로, 이러한 절단부(20)를 구비한 마늘순 절단기(1)는 절단구간(20a)을 형성하는 후크형 칼날(21)과 가이드봉(10)의 선단 사이에 일측이 개방된 진입구(20a-a)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나의 후크형 칼날(21)을, 가이드봉(10)의 선단부에 형성된 안내공(11)을 관통한 안내핀(23)을 통해 가이드봉(10)에 진퇴구조로 적층되게 설치하고, 상기 후크형 칼날(21)을 고정한 안내핀(23)과 가이드봉(10)의 후미에 형성된 노브(25)를 와이어(24)를 통해 상호 연결하여, 수조작에 의한 노브(25)의 진퇴작용에 의해 후크형 칼날(21)이 안내공(11)을 따라 진퇴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봉(10)의 선단에는 지지홈(13)이 요입되게 형성되어, 일편에 형성된 진입구(20a-a)를 통해 절단구간(20a)에 진입되어 후퇴하는 후크형 칼날(21)에 견착되어 후퇴하는 마늘순(V)이 가이드봉(10)의 선단에 형성된 지지홈(13)에 안정되게 지지된 상태에서, 후퇴하는 후크형 칼날(21)의 날(22a-a)에 의해 절단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마늘순 절단기(1)는 작업자가, 도 1a와 같이 손잡이(12)를 통해 가이드 봉(10)의 후미를 파지하여 일편에 형성된 진입구(20a-a)를 통해 후크형 칼날(21)과 가이드봉(10)의 선단 사이에 형성된 절단구간(20a)에 마늘순(V)을 진입시키고, 이 상태에서 도 1b와 같이 노브(25)를 조작하여 후크형 칼날(21)을 후퇴시키면, 도 1c와 같이 마늘순(V)은 가이드봉(10)의 선단에 지지된 상태에서 후퇴하는 후크형 칼날(21)에 의해 절단된다.
[제 2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이드봉(10)의 선단부에 슬라이더(32)를 진퇴구조로 설치하고, 이 슬라이더(32)에 한 쌍의 후크형 칼날(31, 31')을 힌지축(32a)을 통해 좌우 대칭되게 설치하여, 절단부(30)의 전방에 진입구(30a)가 형성되도록 한 형태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한 쌍의 후크형 칼날(31, 31')이 설치된 슬라이더(32)와 가이드봉(10)의 후미에 형성된 솔레로이드(35)를 연결부재인 와이어(34)를 통해 상호 연결하여, 스위치(36)의 조작에 따라 솔레로이드(35)의 구동에 의해 슬라이더(32) 및 이 슬라이더(32)에 설치된 후크형 칼날(31, 31')이 진퇴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슬라이더(32)에 설치된 한 쌍의 후크형 칼날(31, 31')은 전방면(31a)은 경사지고 날(31b-a)이 형성된 후방면(31b)은 직교된 형태로 이루어져, 이들 슬라이더(32)에 대칭되게 배치된 후크형 칼날(31. 31') 사이에는 대칭하는 경사진 전방면(31a)에 의해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는 'V'형의 진입구(30a)가 형성된다.
상기 'V'형의 진입구(30a)를 형성한 후크형 칼날(31, 31')은, 각각 스프링(33)에 의해 내측으로 당겨지도록 구성되어, 'V'형의 진입구(30a)는 평상시에는 스프링(3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폐쇄된다.
그리고, 마늘순(V)이 절단부(30)의 전방으로 진입하면 'V'형의 진입구(30a)는 탄력적으로 개방되고, 이후 진입구(30a)를 통해 마늘순(V)이 절단구간(30b)인 후크형 칼날(31, 31')의 후방면(31b)과 가이드봉(10)의 선단 사이로 진입되면 'V'형의 진입구(30a)는 스프링(33)의 탄성 복원에 의해 재 폐쇄되어서, 진입구(30a)를 통해 진입된 마늘순(V)은 한 쌍의 후크형 칼날(31, 31')의 후방면(31b)과 가이드봉(10)의 선단 사이에 형성된 절단구간(30b)에서 구속된다.
즉, 한 쌍의 후크형 칼날(31, 31')에 의해 형성된 'V'형의 진입구(30a)는 평상시에는 도 2a와 같이 스프링(3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형성하고, 도 2b와 같이 마늘순(V)이 전방으로 진입할 때는 개방되므로, 'V'형의 진입구(30a)를 통해 절단구간(30b)인 후크형 칼날(31, 31')의 후방면(31b)과 가이드봉(10)의 선단 사이에 진입된 마늘순(V)은 진입구(30a)의 폐쇄에 의해 구속된다.
따라서 상기 마늘순(V)이, 도 2c과 도 2d와 같이 후크형 칼날(31, 31')의 경사진 전방면(31a)과의 간섭을 통해 'V'자형 진입구(30a)를 개방하여 절단구간(30b)인 후크형 칼날(31, 31')의 후방면(31b)과 가이드봉(10)의 선단 사이로 진입하면, 'V'자형 진입구(30a)는 스프링(33)의 복원력에 의해 폐쇄된다.
이 상태에서 스위치(36)의 조작에 의한 솔레로이드(35)의 구동에 의해 도 2c와 같이 슬라이더(32) 및 이 슬라이더(32)에 설치된 후크형 칼날(31, 31')들이 후퇴하면, 절단구간(30b)에 진입된 마늘순(V)은 가이드봉(10)의 선단에 지지된 상태에서 후퇴하는 후크형 칼날(31, 31')의 날(31b-a)에 의해 안정되게 절단된다.
1, 1'. 마늘순 절단기
10. 가이드봉 11. 안내공
12. 손잡이
20. 절단부
20a. 절단구간 20a-a. 진입구
21. 후크형 칼날 21a. 후방면
22a-a. 날 23. 안내핀
24. 와이어 25. 노브
30. 절단부 30a. 'V'형 진입구
30b. 절단구간
31, 31'. 후크형 칼날 31a. 전방면
31b. 후방면 31b-a. 날
32. 슬라이더 32a. 힌지축
33. 스프링
34. 와이어 35. 솔레로이드
36. 스위치

Claims (4)

  1. 가이드봉과, 상기 가이드봉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마늘순을 절단하는 절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마늘순 절단기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후방면에 날이 형성된 후크형 칼날이 가이드봉의 선단부에 진퇴구조로 적층하여 설치된 형태로 구성되어, 후크형 칼날은 외력에 의해 가이드봉을 따라 진퇴하도록 구성되어서,
    마늘순이 절단구간인 후크형 칼날의 후방면과 가이드봉 선단 사이에 위치하면 후크형 칼날은 후퇴하여 후방면에 형성된 날을 마늘순에 절입시켜 절단하고, 이때 마늘순의 절단부위 하부 일지점, 또는 상부 일지점은 가이드봉의 선단에 지지된 상태에서 절단부위가 후퇴하는 후크형 칼날의 날에 의해 절단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순 절단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후방면에 날이 형성된 하나의 후크형 칼날이 가이드봉의 선단부에 진퇴구조로 설치된 형태로 구성되어, 절단구간인 후크형 칼날의 후방면과 가이드봉의 선단부 사이의 일편에는 진입구가 형성되어서,
    상기 절단구간인 후크형 칼날의 후방면과 가이드봉의 선단 사이에 마늘순이 진입구를 통해 진입하며 위치되면, 후크형 칼날은 외력에 의해 후퇴하여 후방면에 형성된 날을 마늘순에 절입시켜 절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순 절단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가이드봉의 선단부에 슬라이더가 진퇴구조로 설치되고, 이 슬라이더에는 한 쌍의 후크형 칼날이 힌지축을 통해 좌우 대칭되게 설치된 형태로 구성되는 한편, 상기 슬라이더에 설치된 후크형 칼날은 각각 전방면은 경사지고 후방면은 직교된 형태로 구성되어 절단부의 전방에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는 'V'형의 진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V'형의 진입구를 형성하는 후크형 칼날은 각각 스프링에 의해 내측으로 당겨지도록 구성되어서,
    마늘순이 후크형 칼날의 경사면과의 간섭을 통해 'V'자형 진입구를 개방하여 절단구간인 후크형 칼날의 후방면과 가이드봉의 선단 사이로 진입하면, 'V'자형 진입구는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폐쇄되어 마늘순은 절단구간에 구속되고, 이 상태에서 슬라이더 및 이 슬라이더에 설치된 후크형 칼날은 외력에 의해 후퇴하여 절단구간에 구속된 마늘순을 후크형 칼날의 날이 절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순 절단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형 칼날은 솔레로이드로부터 외력을 인가받아 진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순 절단기.
KR2020100005158U 2010-05-17 2010-05-17 마늘순 절단기 KR2004581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158U KR200458172Y1 (ko) 2010-05-17 2010-05-17 마늘순 절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158U KR200458172Y1 (ko) 2010-05-17 2010-05-17 마늘순 절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899U KR20110010899U (ko) 2011-11-23
KR200458172Y1 true KR200458172Y1 (ko) 2012-01-25

Family

ID=45842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5158U KR200458172Y1 (ko) 2010-05-17 2010-05-17 마늘순 절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17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38621A (zh) * 2018-06-14 2018-11-06 从佳乐 一种农业手动割草镰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4159U (ko) * 1998-10-24 1999-01-25 백남천 마늘대 절단기
KR20030044916A (ko) * 2000-06-16 2003-06-09 넥스웨이브 솔루션스 모듈러 컴퓨터 시스템 및 관련 프로세스
KR200344916Y1 (ko) 2003-12-27 2004-03-18 하일근 마늘종 채취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4159U (ko) * 1998-10-24 1999-01-25 백남천 마늘대 절단기
KR20030044916A (ko) * 2000-06-16 2003-06-09 넥스웨이브 솔루션스 모듈러 컴퓨터 시스템 및 관련 프로세스
KR200344916Y1 (ko) 2003-12-27 2004-03-18 하일근 마늘종 채취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38621A (zh) * 2018-06-14 2018-11-06 从佳乐 一种农业手动割草镰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899U (ko) 2011-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5881B1 (ko) 원예용 결속기
WO2017206775A1 (zh) 一种割胶机及割胶方法
CN106073836B (zh) 一种打结器及具有该打结器的打结系统
KR200476050Y1 (ko) 전동 전지가위
KR200458172Y1 (ko) 마늘순 절단기
CN205111899U (zh) 多功能推拉剪
US9744679B2 (en) Multifunctional tool
CN201878574U (zh) 新型园林高枝夹剪
KR20160116634A (ko) 순치기용 전동 커팅장치
CN204443250U (zh) 一种高枝剪
KR20110110948A (ko) 가위
DE102011008314B4 (de) Haarschneidemaschine
CN208338335U (zh) 一种水果采摘机器手
CN109156159B (zh) 一种多用途水果采摘装置
JP2014176132A (ja) 樹木枝切ホットスティック
DE202009013746U1 (de) Astschere
CN202535786U (zh) 一种高枝剪
KR20130124712A (ko) 귤 수확용 가위
US9107351B2 (en) Lopper devices for pruning trees and brushes
CN208480333U (zh) 一种用于苗木分枝去除的简便刀具
US11202408B2 (en) Fruit picker and branch trimmer
CN210491944U (zh) 作物藤蔓快速捆绑装置及捆绑截断一体化装置
JP6191868B2 (ja) 有核果実を加工する果実加工器具
KR200476030Y1 (ko) 가지 비틈 집게
AT10839U1 (de) Haarschneidegerä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