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4712A - 귤 수확용 가위 - Google Patents

귤 수확용 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4712A
KR20130124712A KR1020120048037A KR20120048037A KR20130124712A KR 20130124712 A KR20130124712 A KR 20130124712A KR 1020120048037 A KR1020120048037 A KR 1020120048037A KR 20120048037 A KR20120048037 A KR 20120048037A KR 20130124712 A KR20130124712 A KR 20130124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tangerine
scissors
blade
guid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8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창근
Original Assignee
동국정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정밀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국정밀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8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4712A/ko
Publication of KR20130124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47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4Devices for picking apples or like fruit
    • A01D46/247Manually operated fruit-pick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2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귤 수확용 가위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나뭇가지에 매달려 있는 귤을 수확하기 위해 귤의 꼭지부분 나뭇가지를 가위로 절단하는 절단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귤의 표피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고 용이하게 절단을 할 수 있도록 한 귤 수확용 가위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두개의 칼날이 교차되게 양측 절단칼날부를 고정축핀으로 연결하고 손잡이부의 내측에 토션스프링으로 탄성지지되어 절단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위에 있어서, 상기 양측 절단칼날부의 뾰쪽한 선단부에 절단안내돌부를 형성하되 상기 절단안내돌부는 칼날이 교차되는 반대편 칼날면에 일정두께로 뭉툭하게 각각 형성된 귤 수확용 가위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귤 수확용 가위 {Orange reaping scissors}
본 발명은 귤 수확용 가위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나뭇가지에 매달려 있는 귤을 수확하기 위해 귤의 꼭지부분 나뭇가지를 가위로 절단하는 절단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귤의 표피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고 용이하게 절단을 할 수 있도록 한 귤 수확용 가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귤은 비타민 A, C의 함량이 높고 기호도가 비교적 높은 과일로서 가시가 줄기 사이에 돋아 있으며, 열매 가지가 다른 과수와 달리 매우 단단하기 때문에 가위로 수확하게 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귤을 나뭇가지에서 절단하기 위해 전지가위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전지가위는 나뭇가지를 치기 위한 목적으로 나뭇가지를 용이하게 협지하여 절단하기 위한 절단날을 구성하면서 절단날의 선단부는 끝이 뾰쪽한 형태로 되어 있다.
이러한 전지가위를 이용하여 귤의 꼭지부분에 있는 나뭇가지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절단날 선단부의 두께가 얇고 뾰쪽한 부분에 귤의 표피(껍질)에 닿으면서 손상을 일으키게 되어 귤의 상품가치를 떨어뜨리고 보관성도 좋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단단한 가지를 절단하게 될 때 가위 손잡이의 일부분에 손의 힘이 집중되어 파지되므로 많은 힘이 들게 되었다.
또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20-2011-0009575호로 개시된 가지수용부를 형성시킨 과일수확 및 전전용 가위에서는 고정가위날(1)과 가동가위날(2)이 축봉(3)으로 힌지 연결되고 고정가위날(1)의 고정부(1a)가 지지대(4) 끝에 형성한 고정부(4a)에 체결구로 체결되어 고정되고 지지대 타단에 손잡이(4b)가 형성되며 가동가위날(2)의 작동편(2a)에 지지대 속으로 관통되어 작동하는 작동레버(5)가 연결되어 수동으로 가위날을 개폐시키는 공지된 것에 있어서, 고정가위날(1)의 외측면에 부착되며 칼날높이와 같은 높이를 유지하고 칼날모양에 대응하는 오목곡면으로 받침면이 형성되어 요철돌기를 구비하는 가지 받침대(10)와 가동가위날(2)의 측면에 장착되어 가지받침대(10)위에 접촉되며, 선단부가 가동가위날의 끝에 부착한 힌지축(H)에 연결되고 하단이 가동가위날의 칼날부와 같은 볼록곡면을 가지는 두줄의 압착면(20a)이 형성되어 요철돌기(A)가 형성되고 내측단에 형성된 연결공(20b)에 가동가위날의 중간부 지지축(6)에 장치된 양팔스프링(7)의 가동탄간(7a)이 연결되어 고정가위날 쪽으로 스프링의 탄력이 작동하는 가지압착구(20)로 된 가지수용부를 형성시킨 과일수확 및 전전용 가위로 되어 있습니다.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에서는 나뭇가지를 절단하면서 힌지연결된 가지압착구에 의해 나뭇가지가 잘려져도 가위날에서 이완되지 않고 가지 수용부의 가지받침대와 가지압착구 사이에 끼워져서 가위날을 벌릴때까지 유지되도록 한 것이어서 귤과 같이 많은 과일이 주렁주렁 매달려있는 경우에는 오히려 신속한 절단작업을 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힌지연결되는 가지압착구에 의한 복잡한 구조에 제조원가 상승의 원인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절단날의 두께가 얇고 뾰쪽한 선단부에 의해 귤 껍질이 손상될 우려가 있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두개의 칼날이교차되게 양측 절단칼날부를 고정축핀으로 연결하고 손잡이부의 내측에 토션스프링으로 탄성지지되어 절단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위에 있어서 상기 양측 절단칼날부의 뾰쪽한 선단부에 절단안내돌부를 형성하되 상기 절단안내돌부는 칼날이 교차되는 반대편 칼날면에 일정두께로 뭉툭하게 각각 형성되어 양측 절단칼날부가 교차될 수 있게 하면서 절단안내돌부에 의해 절단칼날부의 선단부가 귤의 표피에 닿더라도 손상되지 않도록 한 귤 수확용 가위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위의 일측 손잡이부에 엄지와 검지 사이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파지부를 구비하여 안정된 파지상태로 절단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 작업피로도를 줄이면서 절단작업시의 힘을 집중하여 절단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두개의 칼날이 교차되게 양측 절단칼날부를 고정축핀으로 연결하고 손잡이부의 내측에 토션스프링으로 탄성지지되어 절단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위에 있어서, 상기 양측 절단칼날부의 뾰쪽한 선단부에 절단안내돌부를 형성하되 상기 절단안내돌부는 칼날이 교차되는 반대편 칼날면에 일정두께로 뭉툭하게 각각 형성된 귤 수확용 가위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단안내돌부는 칼날면의 날카로운 끝단부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위의 일측 손잡이부에는 엄지와 검지 사이의 오목한 부분을 받쳐줄 수 있는 형태의 곡면으로 되어있는 지지대가 외측으로 돌출된 보조파지부를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귤 수확용 가위는 양측 절단칼날부의 선단부에 뭉툭한 절단안내돌부가 형성되어 귤의 표피가 손상되지 않고 귤 수확을 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절단안내돌부는 칼날이 교차되는 반대편 칼날면에 각각 형성됨으로써 양측 칼날면이 교차하는 절단작용에 지장을 주지않게 되며, 절단안내돌부가 형성된 칼날면(102) 부분은 칼날면의 날카로운 끝단부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과일수확과정에서 작업자가 상처를 입는 것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위를 파지하여 절단작업을 하게 될 때 가위의 일측 손잡이부에 엄지와 검지 사이의 오목한 부분을 받쳐줄 수 있는 형태의 보조파지부에 작업자가 안정된 상태로 파지하여 귤 수확을 할 수 있게 되어 작업피로도를 줄일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절단작업시의 힘을 집중하여 절단력을 높일 수 있게 되어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가지수용부를 형성시킨 과일수확 및 전전용 가위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귤 수확용 가위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귤 수확용 가위를 나타낸 전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귤 수확용 가위에서 절단칼날부를 오므린 상태를 나타낸 전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귤 수확용 가위의 절단칼날부의 선단부에 구비된 절단안내돌부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귤 수확용 가위를 이용한 사용상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귤 수확용 가위는, 두개의 칼날이 교차되게 양측 절단칼날부(100)를 고정축핀(110)으로 연결하고 손잡이부(120)의 내측은 토션스프링(130)으로 탄성지지되어 절단칼날부(100)가 벌어지도록 하고 손잡이부(120)의 파지시에 오므려져서 절단칼날부(100)의 칼날면(102)에 의해 절단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에서 칼날면(102)의 길이방향의 선단부는 완만하게 상향 곡면이 형성되도록 하여 선단부 내측의 칼날면(102)으로 나뭇가지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양측 절단칼날부(100)는 선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구비하면서 양측 절단칼날부(100)의 길이방향 선단부에 절단안내돌부(140)를 형성하되 칼날이 교차되는 반대편 칼날면(102)에 일정두께로 뭉툭하게 각각 형성됨으로써 양측 칼날면(102)은 교차가 가능하도록 하면서 절단안내돌부(140)에 의해 절단칼날부(100)의 선단부가 귤의 표피에 닿더라도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절단안내돌부(140)는 원형 또는 사각형 등으로 이루어지되 각형으로 된 경우에는 모서리 부분을 곡면 처리하여 날카로운 부분이 없도록 하고, 절단안내돌부(140)는 절단칼날부(100)에 비해 두께가 2~3배 정도의 두께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절단안내돌부(140)는 칼날면(102)의 날카로운 끝단부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나뭇가지가 절단칼날부(100)의 교차되는 내측으로 용이하게 안내될 수 있도록 하면서 과일수확과정에서 작업자가 상처를 입는 것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위의 일측 손잡이부(120)에는 엄지와 검지 사이의 오목한 부분을 받쳐줄 수 있는 형태의 곡면으로 되어있는 지지대가 외측으로 돌출된 보조파지부(150)를 형성하여 보조파지부(150)에 의해 가위를 파지하여 절단작업을 하는 작업자가 안정된 파지상태로 절단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작업피로도를 줄이면서 절단작업시의 힘을 집중하여 절단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가위를 이용하여 귤의 꼭지부분에 있는 나뭇가지를 절단하여 수확하게 되는 것으로, 귤은 나뭇가지에 밀집된 형태로 매달려 있으므로 절단작업과정에서 가위가 표피(껍질) 부분에 쉽게 닿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귤 수확용 가위는 양측 절단칼날부(100)의 선단부에 뭉툭한 절단안내돌부(14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귤의 표피에 절단칼날부(100)의 선단부에 닿게 되더라도 귤의 표피가 손상되지 않고 귤 수확을 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절단안내돌부(140)는 칼날이 교차되는 반대편 칼날면(102)에 일정두께로 뭉툭하게 각각 형성됨으로써 양측 칼날면(102)이 교차하는 절단작용에 지장을 주지하고 나뭇가지 절단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절단안내돌부(140)가 형성된 부분의 칼날면(102) 부분은 칼날면(102)의 날카로운 끝단부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나뭇가지가 절단칼날부(100)의 교차되는 내측으로 용이하게 안내될 수 있도록 하면서 과일수확과정에서 작업자가 상처를 입는 것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위를 파지하여 절단작업을 하게 될 때 가위의 일측 손잡이부(120)에 엄지와 검지 사이의 오목한 부분을 받쳐줄 수 있는 형태의 곡면으로 되어있는 지지대가 외측으로 돌출된 보조파지부(150)에 작업자가 안정된 상태로 파지하여 귤 수확을 할 수 있게 되어 작업피로도를 줄일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절단작업시의 힘을 집중하여 절단력을 높일 수 있게 되어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절단칼날부 102 : 칼날면
110 : 고정축핀 120 : 손잡이부
130 : 토션스프링 140 : 절단안내돌부
150 : 보조파지부

Claims (3)

  1. 두개의 칼날이 교차되게 양측 절단칼날부(100)를 고정축핀(110)으로 연결하고 손잡이부(120)의 내측에 토션스프링(130)으로 탄성지지되어 절단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위에 있어서,
    상기 양측 절단칼날부(100)의 뾰쪽한 선단부에 절단안내돌부(140)를 형성하되 상기 절단안내돌부(140)는 칼날이 교차되는 반대편 칼날면(102)에 일정두께로 뭉툭하게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귤 수확용 가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안내돌부(140)는 칼날면(102)의 날카로운 끝단부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귤 수확용 가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위의 일측 손잡이부(120)에는 엄지와 검지 사이의 오목한 부분을 받쳐줄 수 있는 형태의 곡면으로 되어있는 지지대가 외측으로 돌출된 보조파지부(150)를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귤 수확용 가위.
KR1020120048037A 2012-05-07 2012-05-07 귤 수확용 가위 KR201301247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037A KR20130124712A (ko) 2012-05-07 2012-05-07 귤 수확용 가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037A KR20130124712A (ko) 2012-05-07 2012-05-07 귤 수확용 가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4712A true KR20130124712A (ko) 2013-11-15

Family

ID=49853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8037A KR20130124712A (ko) 2012-05-07 2012-05-07 귤 수확용 가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471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15417A (zh) * 2018-09-20 2020-03-27 黑龙江工程学院 一种草莓采摘专用剪刀
KR20200102106A (ko) * 2019-02-21 2020-08-31 김규석 전지가위의 가위날
CN113575134A (zh) * 2020-12-15 2021-11-02 周俞成 一种中草药加工用杜仲皮开采装置及使用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15417A (zh) * 2018-09-20 2020-03-27 黑龙江工程学院 一种草莓采摘专用剪刀
KR20200102106A (ko) * 2019-02-21 2020-08-31 김규석 전지가위의 가위날
CN113575134A (zh) * 2020-12-15 2021-11-02 周俞成 一种中草药加工用杜仲皮开采装置及使用方法
CN113575134B (zh) * 2020-12-15 2022-05-27 安徽九合堂国药有限公司 一种中草药加工用杜仲皮开采装置及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0971B1 (ko) 열매 수확기
KR20130124712A (ko) 귤 수확용 가위
EP3375276B1 (en) Pruning shears having both functions of hanging on tree branch and absorbing shock
KR200476050Y1 (ko) 전동 전지가위
CN204409036U (zh) 一种园艺用的刀具
US5189794A (en) Pair of shears with tongs
CN207022548U (zh) 一种具有弯折型结构的摘果剪刀
CN202535786U (zh) 一种高枝剪
CN205017876U (zh) 套在手指上用于采摘苹果的u型剪
CN211960118U (zh) 一种摘果叶装置
CN211458052U (zh) 一种单握式腕力驱动水果采摘剪刀
CN200969762Y (zh) 一种花椒采摘装置
CN220776590U (zh) 一种球状包裹式火龙果采摘剪
CN218941786U (zh) 一种人参果采果用果梗剪
CN219479310U (zh) 一种火龙果去皮切块手套
CN202112041U (zh) 花椒果采割器
CN204616442U (zh) 一种水果采摘工具
CN103503703A (zh) 一种花卉的除刺剪刀
CN211378843U (zh) 茶叶种植用茶叶修剪设备
CN210519476U (zh) 一种花椒采摘剪
CN211020056U (zh) 空心菜采摘装置
KR200328081Y1 (ko) 과일꼭지 절단용 가위
CN220755578U (zh) 一种手套式花椒采收工具
CN204721899U (zh) 枝秆剪
KR102282824B1 (ko) 과실나무 신초수세 조절용 염지가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