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4916Y1 - 마늘종 채취기 - Google Patents

마늘종 채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4916Y1
KR200344916Y1 KR20-2003-0040332U KR20030040332U KR200344916Y1 KR 200344916 Y1 KR200344916 Y1 KR 200344916Y1 KR 20030040332 U KR20030040332 U KR 20030040332U KR 200344916 Y1 KR200344916 Y1 KR 2003449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lic
handle
tape
cutting
spec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403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일근
Original Assignee
하일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일근 filed Critical 하일근
Priority to KR20-2003-00403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49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49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49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23/00Topping machines
    • A01D23/02Topping machines cutting the tops before being lif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3/00Accessories for digging harvesters
    • A01D33/02Foliage-separat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23/00Topping machines
    • A01D23/02Topping machines cutting the tops before being lifted
    • A01D2023/024Devices with fix blades for topp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A23N15/04Devices for topping fruit or vegetab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마늘종 채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잡이간의 선단에 설치되는 절단구에 마늘종안내홈과 마늘잎분리날을 형성하여 마늘종이 마늘잎과 분리되어 채취 가능하도록 하고, 아울러 손잡이간의 중간부에 바인딩테이프와 테이프커터가 구비되어 채취한 마늘종을 현장에서 곧바로 일정 수량의 단으로 바로 묶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늘종의 채취 및 단묶음 작업을 한결 편리하게 하여 그 작업효율의 향상을 가져오는 마늘종 채취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선단과 후단에 캡이 구비되고 일정 길이를 갖는 관체의 손잡이간과; 단면 'C'형상을 갖도록 만곡되어 그 내측으로 마늘종이 안내되는 마늘종안내홈이 형성되고, 선단에는 마늘잎분리날이 형성되며, 선단부 일측에는 상기 마늘종안내홈과 소정 간격 이격된 후향의 절단공천공날이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간의 선단 외주부에 장착되는 절단구와; 상기 손잡이간의 중간부에 관통 형성된 삽입공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는 롤형 바인딩테이프와; 상면에 테이프지지버튼이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설되는 버튼설치홈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상기 바인딩테이프가 안내되는 가이드공이 상기 버튼설치홈의 바닥면과 경사를 이루어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의 후방에서 손잡이간의 내측으로 삽설되는 테이프안내구와; 절취톱날이 전단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의 주변 손잡이간의 일측 외주부에 돌설되는 테이프커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종 채취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마늘종 채취기{A picking tool of the stalk of a garlic}
본 고안은 마늘종 채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잡이간의 선단에 설치되는 절단구에 마늘종안내홈과 마늘잎분리날을 형성하여 마늘종이 마늘잎과 분리되어 채취 가능하도록 하고, 아울러 손잡이간의 중간부에 바인딩테이프와 테이프커터가 구비되어 채취한 마늘종을 현장에서 곧바로 일정 수량의 단으로 바로 묶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늘종의 채취 및 단묶음 작업을 한결 편리하게 하여 그 작업효율의 향상을 가져오는 마늘종 채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늘의 재배시 마늘이 완숙기에 접어들면 마늘종이 엽초 밖으로 출현하기 시작하는데, 생장하는 마늘종을 그대로 두면 마늘종에서 나온 눈인 주아(珠芽)의 발육과 마늘쪽의 비대가 경합을 하게 되어 양분의 이동이 분산되고 이에 따라 마늘통의 비대가 좋지 못하게 될 뿐 아니라, 마늘종은 그 자체 음식물로서의 상품성을 지니므로, 수시로 마늘종을 채취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마늘종의 채취작업시 직접 사람의 손가락을 이용하는 경우 손가락이 맵고 아프게 되고 마늘종이 끝까지 뽑히지 않고 중간에서 끊기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종래에는 손잡이간의 선단에 창형태의 절단칼을 매설하고 상기 절단칼의 양측부에 나팔형상으로 벌어진 넓은 간격부와 협소부를 형성한 지지간을 탄력 설치한 구조의 마늘대 절단기를 이용하여 상기 지지간의 개구된 넓은 간격부로부터 협소부쪽으로 마늘대를 밀어 넣음에 의해 절단칼에 의해 마늘대가 절단되도록 하고(실제로는 절단칼에 의해 절단공이 형성되고 이 상태에서 마늘대를 상방향으로 잡아 당기면 상기 절단공 형성부에서 마늘대가 절단되게 됨) 이에 의해 마늘종을 채취하는 방식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마늘대 절단기를 이용하여 마늘종을 채취하는 경우에는 마늘종의 하부에서 마늘종을 둘러싸고 있는 마늘잎이 마늘종에 부착된 상태로 함께 절단되므로 마늘대를 절단한 후, 부착된 마늘잎을 제거하는 별도의 작업이 필요케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마늘대 절단기에는 채취한 마늘종을 단묶음 할 수 있는 바인딩 수단이 함께 구비되지 않아 마늘종 채취작업시에 마늘대 절단기 외에 바인딩 작업을 위한 바인딩테이프와 테이프 절단칼 등을 별도로 준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손잡이간의 선단에 설치되는 절단구에 마늘종안내홈과 마늘잎분리날을 형성하여 마늘종이 마늘잎과 분리되어 채취 가능하도록 하고, 아울러 손잡이간의 후단부에 바인딩테이프와 테이프커터를 구비하여 채취한 마늘종을 현장에서 일정 수량의 단으로 묶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늘종의 채취 및 단묶음 작업을 한결 편리하게 하여 그 작업효율의 향상을 가져오는 마늘종 채취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인딩테이프 및 테이프안내구 설치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절단공천공날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마늘잎분리날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인딩테이프 및 테이프안내구의 사용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손잡이간 11. 11' : 캡 20 : 절단구
21 : 마늘종안내홈 22 : 절단공천공날 23 : 마늘잎분리날
24 : 리벳 30 : 바인딩테이프 31, 31' : 삽입공
32 : 고정핀 33 : 너트 40 : 테이프안내구
41 : 가이드공 42 : 테이프지지버튼 43 : 버튼설치홈
44 : 체결볼트 50 : 테이프커터 60 : 마늘종
61 : 마늘대 62 : 마늘잎 63 : 절단공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인딩테이프 및 테이프안내구 설치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로서,
본 고안은, 일정 길이를 갖는 관체의 손잡이간(10)과; 단면 'C'형상을 갖도록 만곡되어 그 내측으로 마늘종(60)이 안내되는 마늘종안내홈(21)이 형성되고, 선단부 일측에는 상기 마늘종안내홈(21)과 소정 간격 이격된 후향의 절단공천공날(22)이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간(10)의 선단 외주부에 장착되는 절단구(20)와; 상기 손잡이간(10)의 중간부에 관통 형성된 삽입공(31)(3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는 롤형 바인딩테이프(30)와; 상기 바인딩테이프(30)가 안내되는 가이드공(41)이 일측면과 상면을 관통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31)(31')의 후방에서 손잡이간(10)의 내측으로 삽설되는 테이프안내구(40)와; 절취톱날이 전단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31)(31')의 주변 손잡이간(10)의 일측 외주부에 돌설되는 테이프커터(50);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 손잡이간(10)은 그 선단과 후단에 각각 캡(11)(11')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단구(20)의 선단에는 마늘잎분리날(23)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테이프안내구(40)는 그 상면에 테이프지지버튼(42)이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설되는 버튼설치홈(43)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1과 11'는 각각 손잡이간(10)의 선단과 후단을 씌워 막는 캡이고, 24는 상기 절단구(20)를 손잡이간(10)의 선단에 고정하는 리벳, 32는 상기 롤형 바인딩테이프(30)를 손잡이간(1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핀, 33은 너트, 44는 상기 테이프안내구(40)를 손잡이간(10)과 체결시키는 체결볼트이다. 그리고, 61은 마늘대, 62는 마늘잎, 63은 마늘대(61)에 형성된 절단공이다.
상기 마늘종안내홈(21)은 그 내경이 통상적인 마늘종(60)의 굵기보다 다소 큰 정도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상기 절단공천공날(22)을 이용해 절단코자 하는 마늘종(60)의 높이부에 절단공(63)을 형성한 후, 마늘종(60)을 상기 절단구(20)의 마늘종안내홈(21)에 삽입하여 절단구(20)를 마늘대(61) 방향으로 밀어 넣음과 동시에 절단구(20)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마늘종(60)을 잡아당겨 마늘종(60)의 상기 절단공(63) 형성부위가 절단되도록 하고, 이와 같이 절단된 일정수의 마늘종(60)을 손잡이간(10)의 중간부에 구비된 바인딩테이프(30)를 이용하여 단묶음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하,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본 고안의 절단공천공날(22)의 사용상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먼저 작업자는 손잡이간(10)의 선단 외주부에 장착되는 절단구(20)에 형성된 절단공천공날(22)을 이용하여 마늘종(60)을 절단코자 하는 높이상의 마늘대(61) 부위에 절단공(63)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절단공천공날(22)은 상기 마늘종안내홈(21)과 나란하게 후방으로 형성되어지므로 작업자가 마늘대(61)를 상기 절단구(20)의 개구부 단부에 지지시키면서 본 고안을 잡아당기는 동작에 의해 절단공(63)이 형성되도록 하여 절단공(63) 형성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절단공(63)을 형성한 후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늘종(60)을 상기 절단구(20)의 마늘종안내홈(21)에 삽입시켜 마늘종(60)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절단구(20)를 마늘대(61) 방향으로 밀어 넣으면서 절단구(20)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마늘종(60)을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마늘종(60)의 하부에서 마늘종(60)을 감싸고 있는 마늘잎(62)은 상기 절단구(20)의 선단에 형성된 마늘잎분리날(23)에 의해 마늘종(60)으로부터 분리되어짐과 동시에 절단공(63)이 천공된 부분이 절단됨과 동시에 마늘종(60)이 뽑혀 나오게 된다. 즉, 마늘종(60)의 채취작업과 동시에 마늘종(60) 하단부의 마늘잎(62)이 분리되므로 별도의 마늘잎(62) 분리를 위한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 채취된 마늘종(60)은 그 보관 또는 운반을 위해 일정 수량별로 단묶음하게 되는데, 작업자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간(10)의 중간부에 구비된 바인딩테이프(30)를 상기 테이프안내구(40)에 형성된 가이드공(41)을 통하여 버튼설치홈(43)의 저면으로 단묶음을 하기에 충분한 정도의 길이만큼 인출하여 단묶음 작업을 하면 된다. 그리고, 단묶음이 이루어지고 나면 도 6의 (b)에 도시된 것처럼 테이프지지버튼(42)을 진행시켜 상기 테이프지지버튼(42)이 상기 버튼설치홈(43)의 내측면과 함께 테이프를 교지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삽입공(31)(31')의 주변부 손잡이간(10)의 일측 외주부에 돌설된 테이프커터(50)를 이용하여 바인딩테이프(30)를 절단하면 된다. 즉, 본 고안의 마늘쫑 채취기를 이용하여 간단히 단묶음 작업도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바인딩테이프(30)와 테이프커터(50)를 별도록 준비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으며, 또한, 작업현장에서 바인딩테이프(30)나 테이프커터(50)를 분실케 될 염려가 없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마늘종의 채취작업시 마늘종을 마늘잎과 분리하여 채취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별도의 바인딩테이프나 테이프커터를 준비하지 않더라도 채취한 마늘종을 현장에서 일정 수량으로 바로 단묶음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늘종의 채취 및 단묶음 작업의 효율을 한층 향상시키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일정 길이를 갖는 관체의 손잡이간(10)과;
    단면 'C'형상을 갖도록 만곡되어 그 내측으로 마늘종(60)이 안내되는 마늘종안내홈(21)이 형성되고, 선단부 일측에는 상기 마늘종안내홈(21)과 소정 간격 이격된 후향의 절단공천공날(22)이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간(10)의 선단 외주부에 장착되는 절단구(20)와;
    상기 손잡이간(10)의 중간부에 관통 형성된 삽입공(31)(3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는 롤형 바인딩테이프(30)와;
    상기 바인딩테이프(30)가 안내되는 가이드공(41)이 일측면과 상면을 관통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31)(31')의 후방에서 손잡이간(10)의 내측으로 삽설되는 테이프안내구(40)와;
    절취톱날이 전단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31)(31')의 주변 손잡이간(10)의 일측 외주부에 돌설되는 테이프커터(5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종 채취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간(10)은 그 선단과 후단에 각각 캡(11)(11')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종 채취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구(20)의 선단에는 마늘잎분리날(23)이 형성됨을특징으로 하는 마늘종 채취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안내구(40)는 그 상면에 테이프지지버튼(42)이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설되는 버튼설치홈(43)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종 채취기.
KR20-2003-0040332U 2003-12-27 2003-12-27 마늘종 채취기 KR2003449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40332U KR200344916Y1 (ko) 2003-12-27 2003-12-27 마늘종 채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40332U KR200344916Y1 (ko) 2003-12-27 2003-12-27 마늘종 채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4916Y1 true KR200344916Y1 (ko) 2004-03-18

Family

ID=49426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40332U KR200344916Y1 (ko) 2003-12-27 2003-12-27 마늘종 채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491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172Y1 (ko) 2010-05-17 2012-01-25 강순택 마늘순 절단기
KR101269307B1 (ko) 2011-05-06 2013-05-29 박문환 마늘줄기 인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172Y1 (ko) 2010-05-17 2012-01-25 강순택 마늘순 절단기
KR101269307B1 (ko) 2011-05-06 2013-05-29 박문환 마늘줄기 인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75866B1 (en) Bone marrow extraction tool
CN102821706B (zh) 具有枢转保持部件的毛囊单位移除工具
KR200344916Y1 (ko) 마늘종 채취기
US5261163A (en) Stem cutting device
CN114885759B (zh) 一种羊肚菌采摘剪
KR101845293B1 (ko) 안전 커터
KR102657694B1 (ko) 적과 및 전지용 다목적 가위
JP2006014736A (ja) 釣り用アクセサリ、特に釣り糸カッター
KR200472350Y1 (ko) 밭작물 뽑는 기구
JP2010213676A (ja) 高所タラの芽採り器
US5377374A (en) Turf and garden tool
CN211745503U (zh) 一种绿化用修剪设备的防护机构
CN217742322U (zh) 一种采摘工具
RU209201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бора ягод,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морошки
KR101269307B1 (ko) 마늘줄기 인출장치
CN220830898U (zh) 一种育苗嫁接工具
KR200158689Y1 (ko) 집게형 과일 채취기구
CN212306222U (zh) 一种烤烟茎秆环剥装置
CN212936766U (zh) 一种便携式花椒采摘装置
KR20190064159A (ko) 모발 채취용 핸드피스
CN221010817U (zh) 一种手持式酸枣叶采收器
CN216626750U (zh) 一种树木修剪工具
JP3107581U (ja) 剪定鋏装着用の受取網
CN211909698U (zh) 一种枪式花椒采摘和剪枝器
KR960003048Y1 (ko) 가위에 부설된 사무용 칼의 칼날 교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