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8689Y1 - 집게형 과일 채취기구 - Google Patents

집게형 과일 채취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8689Y1
KR200158689Y1 KR2019970029828U KR19970029828U KR200158689Y1 KR 200158689 Y1 KR200158689 Y1 KR 200158689Y1 KR 2019970029828 U KR2019970029828 U KR 2019970029828U KR 19970029828 U KR19970029828 U KR 19970029828U KR 200158689 Y1 KR200158689 Y1 KR 2001586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tongs
guide hole
fruit
twee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98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6416U (ko
Inventor
이이훈
Original Assignee
이이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이훈 filed Critical 이이훈
Priority to KR20199700298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8689Y1/ko
Publication of KR199900164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64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86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86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4Devices for picking apples or like fruit
    • A01D46/247Manually operated fruit-pick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2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1/00Other hand impl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과수(果樹)에 열린 과일을 채취하는 집게형 과일 채취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꼭지가 짧은 과일도 집게로 쉽게 집은 후 손상함이 없이 절단하여 채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형 단면 형상의 상부가 개방된 복수의 삽지홈(11),(11')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후방에는 축공(21) 및 선단부가 낮은 경사부(31)와 직선부(31')가 서로 이어진 안내공(41)을 뚫은 속집게(1)와; 측면의 형상이 상기 속집게(1)와 동형이며 일측으로 칼날부(32)을 갖는 복수의 삽지홈(12),(12')과 후방에 장공(22) 및 경사안내공(42)을 뚫은 속집게(1)에 내장되게 한 절단도(2)와; ∩형 단면형상이며 후방에는 속집게(1)의 축공(21)과 일치하는 축공(23) 및 안내공(41)과 대칭상의 경사부(33)와 직선부(33')를 서로 이어진 안내공(43)을 뚫은 겉집게(3)와; 절단도(2)를 내장한 속집게(1)의 상방에서 겉집게(3)를 씌운 후 안내공(41),(43)과 경사안내공(42)을 일치시켜 걸고리부(14)를 끼워서 걸리게 한 제어간(4)과; 절단도(2)를 내장한 속집게(1)와 겉집게(3) 및 제어간(4)의 중간조립체에서 제어간(4) 후단측을 수직절결공(15)을 통해 밀어 넣고 선단에 뚫은 구멍과 속집게(1)의 축공(21), 절단도(2)의 장공(22), 겉집게(3)의 축공(23)을 일치시킨 후 보울트-너트(6)를 죄어 붙일 수 있도록 한 케이싱(5)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집게형 과일 채취기구
본 고안은 과수(果樹)에 열린 과일을 채취하는 집게형 과일 채취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꼭지가 짧은 과일도 집게로 쉽게 집은 후 손상함이 없이 절단하여 채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현재까지 과수의 높은 위치에 매달린 과일을 채취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막대봉의 끝에 전지가위를 달아 꼭지를 절단하는 방법과, 집게로 집어서 강제로 비틀어서 따는 방법 그리고 막대봉의 끝에 전동식 절단도를 장착한 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이들 방법은 하나같이 꼭지를 추적하는 과정에서 과일에 손상을 가하게 될 뿐만 아니라 개량단감과 같이 꼭지가 짧은 경우에는 절단위치의 정확한 선정에 어려움이 따랐다.
또한, 막대봉의 끝에 전지가위 혹은 전동실 절단도를 장착한 것은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제작이 까다로우며 가격이 높은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이 용이하며, 과일꼭지를 쉽게 추적하여 손상없이 절단한 후 지상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한 집게형 과일 채취기구를 제공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집게형 과일 채취기구는 상부가 개방된 복수의 삽지홈을 갖는 ∪형 단면의 속집게와 속집게 내부에 내장되는 동형의 삽지홈 및 삽지홈의 일측에 칼날부를 형성한 슬라이더 그리고 슬라이더를 내장한 속집게가 씌워지는 ∩형 단면의 겉집게를 동일축상에 결합하고, 그 후방에 뚫은 대칭형의 경사부 및 직선부가 서로 이어진 안내공에 제어간의 선을 전, 후진이 가능하도록 끼워서 구성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의 이러한 구성이 주된 특징이며, 이같은 구성에 따라 소기의 목적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과일 채취기구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조립체의 A-A선 단면설명도.
제3(a),(b),(c)도는 과일꼭지의 절단과정을 차례로 보인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속집게 2 : 절단도
3 : 겉집게 4 : 제어간
5 : 케이싱 6 : 보울트-너트
11, 11', 12, 12' : 삽지홈 21, 23 : 축공
22 : 장공 32 : 칼날부
41, 43 : 안내공 42 : 경사안내공
제1도 내지 제3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집게형 과일 채취 기구는 속집게(1)와 절단도(2), 겉집게(3) 및 제어간(4)으로 구성된다.
속집게(1)는 ∪형 단면 형상이고 상부가 개방되는 복수의 삽지홈(11),(11')을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고 있으며, 그 후방으로는 축공(21) 및 선단부가 낮은 경사부(31)와 직선부(31')를 서로 이어지도록 한 안내공(41)이 뚫려 있다.
절단도(2)는 상기 속집게(1) 내부에 내장되는 것으로서, 그 측면 형상이 속집게(1)와 동형을 이루며 일측에 칼날부(32)을 갖는 복수의 삽지홈(12),(12')과 후방으로는 횡방향의 장공(22) 및 경사안내공(42)이 뚫려 있다.
겉집게(3)는 ∩자형 단면 형상이며, 후방으로는 속집게(1)의 축공(21)과 일치하는 축공(23) 및 안내공(41)과 대칭상의 경사부(33)와 직선부(33')를 서로 이어지도록 한 안내공(43)이 뚫려 있다.
상기 겉집게(3)는 절단도(2)를 내장되게 한 속집게(1) 상방에서 씌운 후에 속집게(1)의 안내공(41), 절단도(2)의 경사안내공(42), 겉집게(3)의 안내공(43)을 일치시켜 제어간(4)의 걸고리부(14)를 끼워서 걸리게 한다.
이러한 중간조립체에서 케이싱(5)의 선단에 뚫은 수직절결공(15)을 통해 제어간(4)의 후단측을 밀어 넣고 케이싱(5)에 뚫은 구멍과 속집게(1)의 축공(21), 절단도(2)의 장공(22), 겉집게(3)의 축공(23)을 일치시킨 후 보울트-너트(6)를 죄어 붙인다.
그리고, 케이싱(5)의 후단관(25)내에 위치하는 제어간(4)과 통상의 막대관(7)내에서 코일스프링(8)의 탄발력에 의해 전진되어 있는 강선(17)의 선단과 연결한 다음, 상기 후단관(25)과 막대관(7)을 서로 이음하여 도시하지 않은 막대관(7) 후단부에 설치한 레버조작에 의해 강선(17)이 당겨지게 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9는 과일꼭지, 10은 채집망연결링을 표시한 것이다.
이어서, 본 고안에 의한 집게형 과일채취기의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속집게(1)와 겉집게(3)는 코일스프링(8)의 탄발력으로 항상 밀려서 전진위치에 있는 제어간(4)에 의해 벌어진 상태에 있게 된다.
여기서, 벌어진 상태라 함은 속집게(1)와 겉집게(3)가 오므라지기 위한 대기상태의 자세 즉, 레버를 당기기 전의 평상시의 위치를 말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과수에 열린 과일을 채취할 때는 포착한 과일의 과일꼭지(9)를 제3(a)도와 같이 벌어진 속집게(1)와 겉집게(3)사이에 위치시키고 레버를 당기면 제어간(4)이 후진하게 된다.
제어간(4)의 후진에 따라 걸고리부(14)가 대칭형인 속집게(1)의 안내공(41)상의 경사부(31), 절단도(2)의 경사안내공(42), 겉집게(3)의 안내공(43)상의 경사부(33)내를 후진하면서 1단계 동작으로 속집게(1)와 겉집게(3)는 제3(b)도와 같이 오므라진다.
이때, 과일꼭지(9)는 속집게(1)의 상단을 둥글게 형성한 복수의 삽지홈(11),(11')과 이에 일치하는 절단도(2)의 삽지홈(12),(12')상에 유도되고 그 상부를 겉집게(3)의 하단면이 폐쇄하게 된다.
이러한 모습은 제2도에서 단면도로 잘 나타내 보이고 있다.
그리고, 레버를 더욱 당기면 제3(c)도와 같이 2단계 동작으로 제어간(4)의 후진에 따라 걸고리부(14)가 속집게(1)와 겉집게(3)의 안내공(41),(43)상의 직선부(31'),(33')내에서 미끄러져 후진하게 되므로, 이때 걸고리부(14)가 속집게(1)에 내장된 절단도(2)의 경사안내공(42) 후단을 당겨서 장공(22)의 여유 길이만큼 후진시킨다.
절단도(2)의 후진으로 과일꼭지(9)는 속집게(1)의 삽지홈(11),(11') 후벽에 받쳐지는 상태로 절단도(2)의 날카로운 칼날부(32)가 지나치면서 절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꼭지가 절단된 과일은 속집게(1)와 겉집게(3) 등부분의 채집망 연결링(10)에 결착된 채집망(도시되지 않음)내에 떨어져 손상없이 지상으로 안전하게 유도된다.
이후에 레버를 놓게 되면 코일스프링(8)의 탄발력에 의해 제어간(4)이 원위치로 전진하게 되고, 제어간(4)의 전진에 따라 그 선단의 걸고리부(14)가 속집게(1)와 겉집게(3)의 안내공(41),(43)상의 직선부(31'),(33')내를 전진하다가 경사부(31),(43) 및 경사안내공(42)에서는 각 경사부(31),(43) 및 경사안내공(42)의 벌어진 쪽을 미끄러지면서 밀어 붙이게 된다.
걸고리부(14)가 각 경사부(31),(43) 및 경사안내공(42)의 벌어진 쪽을 밀어붙이게 되면 각 경사부(31),(43) 및 경사안내공(42)의 외측단이 모두 걸고리부(14)쪽으로 모이게 됨에 따라 보울트-너트(6)의 보울트를 축지점으로 시이소오동작에 의해 절단도(2)를 포함한 속집게(1)와 겉집게(3)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벌어져 원위치로 복귀되는, 즉 제3(a)도와 같이 다음의 동작수행을 위한 대기 자세를 취하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한 집게형 과일 채취기구는 지상에서 과수의 과일꼭지를 쉽게 추적하여 레버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꼭지를 용이하게 절단, 과일을 손상없이 채취하여 별도의 채취망을 이용하여 지상으로 안전하게 유도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이 용이하여 구입가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사용이 편리하여 채취작업의 능률이 보다 향상되는 등의 효과가 기대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형 단면 형상의 상부가 개방된 복수의 삽지홈(11)(11')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후방에는 축공(21) 및 선단부가 낮은 경사부(31)와 직선부(31')가 서로 이어진 안내공(41)을 뚫은 속집게(1)와; 측면의 형상이 상기 속집게(1)와 동형이며 일측으로 칼날부(32)을 갖는 복수의 삽지홈(12)(12')과 후방에 장공(22) 및 경사안내공(42)을 뚫은 속집게(1)에 내장되게 한 절단도(2)와; ∩형 단면 형상이며 후방에는 속집게(1)의 축공(21)과 일치하는 축공(23) 및 안내공(41)과 대칭상의 경사부(33)와 직선부(33')를 서로 이어진 안내공(43)을 뚫은 겉집게(3)와; 절단도(2)를 내장한 속집게(1)의 상방에서 겉집게(3)를 씌운 후 안내공(41),(43)과 경사안내공(42)을 일치시켜 걸고리부(14)를 끼워서 걸리게 한 제어간(4)과; 절단도(2)를 내장한 속집게(1)와 겉집게(3) 및 제어간(4)의 중간조립체에서 제어간(4) 후단측을 수직절결공(15)을 통해 밀어 넣고 선단에 뚫은 구멍과 속집게(1)의 축공(21), 절단도(2)의 장공(22), 겉집게(3)의 축공(23)을 일치시킨 후 보울트-너트(6)를 죄어 붙일 수 있도록 한 케이싱(5)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형 과일 채취기구.
KR2019970029828U 1997-10-28 1997-10-28 집게형 과일 채취기구 KR2001586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9828U KR200158689Y1 (ko) 1997-10-28 1997-10-28 집게형 과일 채취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9828U KR200158689Y1 (ko) 1997-10-28 1997-10-28 집게형 과일 채취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416U KR19990016416U (ko) 1999-05-25
KR200158689Y1 true KR200158689Y1 (ko) 1999-10-15

Family

ID=19512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9828U KR200158689Y1 (ko) 1997-10-28 1997-10-28 집게형 과일 채취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868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26429A (zh) * 2019-07-23 2019-10-15 河南科技学院 一种采摘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416U (ko) 1999-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81740B1 (en) Debris collection and vegetation removal apparatus
CN102821706B (zh) 具有枢转保持部件的毛囊单位移除工具
KR200158689Y1 (ko) 집게형 과일 채취기구
US20090194300A1 (en) Brush Grubber
KR101811679B1 (ko) 나뭇가지 유인용 클립
KR200145393Y1 (ko) 과일 채취기구
US4057925A (en) Fishing lure retriever
CN210328570U (zh) 手持式夹剪一体采摘器
CN2087866U (zh) 摘果剪枝枪
CN210406080U (zh) 一种田间拔草工具
KR20220133485A (ko) 적과 및 전지용 다목적 가위
CN210808305U (zh) 一种用于柚子采摘的枝条切断装置
CN208227747U (zh) 人工辅助水果快速采摘收集装置
JP2014155366A (ja) 営巣除去用絶縁工具及びこれを用いた営巣除去方法
JP2006141388A (ja) 魚の口中で自動的に拡張する能動釣り針
US2155839A (en) Weed-pulling appliance
US4157198A (en) Weed removing tool
KR200224402Y1 (ko) 전지 가위
KR950006816B1 (ko) 채과기
KR200344916Y1 (ko) 마늘종 채취기
KR200207577Y1 (ko) 과일 채취기구
CN209897706U (zh) 一种枳壳种植用修剪装置
CN211909698U (zh) 一种枪式花椒采摘和剪枝器
KR102523428B1 (ko) 과일 수확기
KR20070005898A (ko) 야자 열매 바나나 열매 채취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