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3485A - 적과 및 전지용 다목적 가위 - Google Patents

적과 및 전지용 다목적 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3485A
KR20220133485A KR1020210038647A KR20210038647A KR20220133485A KR 20220133485 A KR20220133485 A KR 20220133485A KR 1020210038647 A KR1020210038647 A KR 1020210038647A KR 20210038647 A KR20210038647 A KR 20210038647A KR 20220133485 A KR20220133485 A KR 20220133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pole
attachment
tip
sciss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8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7694B1 (ko
Inventor
김규석
Original Assignee
김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석 filed Critical 김규석
Priority to KR1020210038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7694B1/ko
Publication of KR20220133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3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7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7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2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 A01G3/025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having elongated or extended handles
    • A01G3/0251Loppers, i.e. branch cutters with two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06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12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andles
    • B26B13/14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andles without gripping bows in the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28Joi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일농사에서 열매솎기(적과작업) 작업을 하거나 과수의 가지치기와 웃자란 곁가지를 제거하거나 가지 제거작업(전지작업)을 할 때 사용하는 적과 및 전지용 다목적 가위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인 것은, 가위날의 형태를 새롭게 하여 적과 작업 및 전지작업이 용이하게 되고, 곁가지 제거용 칼날을 장대선단부에 착탈할 수 있게 구성하여 보다 편리하고 능률적인 작업이 가능하도록 만든 다목적 가위이다.

Description

적과 및 전지용 다목적 가위{agricultural scissors for cutting branches}
본 발명은 과일농사에서 열매솎기(적과작업) 작업을 하거나 과수의 가지치기와 웃자란 곁가지를 제거하거나 가지 제거작업(전지작업)을 할 때 사용하는 적과 및 전지용 다목적 가위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인 것은, 가위날의 형태를 새롭게 하여 적과 작업 및 전지작업이 용이하게 되고, 곁가지 제거용 칼날을 장대선단부에 착탈할 수 있게 구성하여 보다 편리하고 능률적인 작업이 가능하도록 만든 다목적 가위를 얻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적과 또는 전지용 가위는 장대 선단에 고정가위날과 가동가위날을 부착하되, 고정가위날은 날끝이 장대선단에서 길이방향으로 향하도록 만들어 장대에 부착하고, 가동가위날은 고정가위날 측면에 힌지축봉으로 연결하여 가동가위날의 가동편을 장대 속으로 장치한 작동간에 부착하여 손잡이에 장치한 작동레버로 작동간을 당기고 밀어서 가동가위날을 개폐하도록 만들기 때문에 장대선단에 배치된 고정가위날과 가동가위날의 날부가 장대의 길이와 나란하게 형성되어 고정가위날과 가동가위날의 날이 장대 길이 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으로 개폐되기 때문에 적과 또는 전지작업을 할 때, 가위날의 끝을 과일 사이에 투입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 적과 및 전지작업이 불편할 결점이 있고, 특히 웃자라난 곁가지를 제거할 수 없어 별도의 도구를 사용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선행기술 특허등록 제10-1837730호
본 발명은 상기 불편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다.
본 발명은 장대선단부에 부착되는 고정가위날의 부착돌편 선단부를 장대선단부착부에서 측방으로 일정길이가 돌출되게 절곡시켜, 절곡돌출부를 형성하고, 절곡돌출부 외주에서 장대선단으로 향해 일정각도 경사지게 경사날판을 형성하여, 경사날판을 따라 경사날부와 오목날부를 구분되게 형성하여 적과부와 전지부가 구분되게 형성한 다음, 절곡돌출부 측면에 가동가위날을 부착하여 가동가위날의 날부가 고정날의 경사날부에서 오목날부 까지 접촉하도록 만든 가동가위날을 장치함으로써, 가동가위날의 날부가 장대선단 길이방향과 일정각도로 경사지는 고정가위날의 경사날부와 오목날부에 교합하여 적과와 전지가 이루어지게 하고, 장대선단 고정가위날 부착부외면에 날부가 "
Figure pat00001
" 형으로 되는 곁가지 제거용 칼날을 착탈가능케 부착함으로써, 곁가지 제거도 편리하게 장대가위의 기능성을 대폭향상시켜 사용이 편리한 적과 및 전지용 다목적 가위가 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장대선단부에 부착되는 고정가위날이 장대선단에 고정되는 부착돌편 선단부에서 측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되게 절곡되어 돌출된 절곡돌출부 외주에서 장대선단부를 향해 일정각도를 가지는 경사면을 이루게 경사날판을 형성한 다음, 경사진 날판의 경사면을 따라 적과부와 전지부가 형성되게 경사날부와 오목날부를 형성하고, 경사날부와 오목날부에 가동날의 날부가 접촉되도록 했기 때문에, 장대선단부에 부착된 가위날이 마치 페리카나새의 부리처럼 경사지게 형성되어 적과부나 전지부에 가위날을 투입하기 편하게 되는 이점이 있고, 절단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고, 경사날부에는 끝에 적과부가 배치되고, 내측에 전지부가 배치되므로, 적과시는 날끝을 이용하여 적과를 하고, 전지시는 날의 내측을 이용하여 전지를 할 수 있게 되므로, 효과적인 적과와 전지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가동날의 작동돌편과 작동레버 사이에 가설되는 작동간의 작동거리를 작동레버에 부착한 작동거리 조정구를 이용하여 작동거리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적과시는 가동날이 개폐되는 각도를 좁게 선택하고, 전지시는 가동날의 개폐각이 크도록 선택할 수 있어서 작업종류에 따라 가동가위날의 개폐각을 선택하여 보다 능률적으로 작업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또한, 본 발명은 장대선단부 고정가위날의 부착부에 곁가지 제거용 칼날을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곁가지를 절단작업을 할 때, 가동가위날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곁가지 제거용 칼날을 고정가위날의 부착부 또는 그 반대측 부착부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서 곁가지 제거작업이 편리하게 되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특히, 곁가지 제거용 칼날을 부착할 때는, 고정가위날 부착돌편에 형성된 나사공에서 양측볼트만 풀어 곁가지제거용 칼날부착부의 부착구멍을 고정가위날 부착돌편의 양측나사공에 일치시킨 후, 고정가위날의 고정볼트를 나사조립하거나, 장대선단부 반대측에 형성한 부착부의 제2부착구멍에 나사끼움된 볼트를 풀고, 곁가지 제거용 칼날의 부착부 부착구멍을 제2부착구멍과 나사구멍판의 나사구멍에 맞추고, 볼트를 나사조립하여 부착할 수 있으므로, 장대선단 양측면에 선택적으로 부착할 수 있어서 곁가지가 자라난 방향에 맞게 칼날을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부착부에서 분리하여 보관하였다가 사용시에 다시 부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사시도
도 2는 가-가'선단면도
도 3은 도 1의 반대측 사시도
도 4(a)(b)(c)는 본 발명의 가동가위날을 고정시키고 개폐되는 작동상태 예시도
도 5는 도 4의 반대측 예시도
도 6(a)는 본 발명의 가위날이 분리된 사시도
도 6(b)는 조립상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곁가지 제거용 칼날이 조립되는 부분의 분해 사시도
도 8(a)(b)(c)는 도 4(a)(b)(c)의 확대도
도 9는 도 8의 조정원판과 다른 조정구에 의거 가위날이 고정되고 개폐되는 작동상태 예시도
도 10은 도 9의 조정원판을 보이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손잡이와 작동레버의 구조를 보이는 파절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길이 60∼150cm 되는 파이프로 된 장대(1) 선단부(1a)에 고정가위날(20)과, 가동가위날(21)로 구성되는 가위날(2)을 장치하고, 가동가위날의 작동돌편(203) 연결구멍(214)에 장대속으로 장치한 작동간(3)의 선단연결공(301)을 결합하여 연결구(301a)로 연결하고, 작동간의 후측단부를 장대후단부에 부착한 손잡이(4)의 작동레버(5) 연결공(5a)에 연결구(302)로 연결하여 작동레버를 당겨서 가동가위날을 고정가위날에 교합하고, 작동레버를 놓으면 탄발스프링(10)의 복원력으로 원위치되게 하는 장대가위에 있어서,
고정가위날(20)은 내측방에 장대(1) 선단부(1a)에 삽입되는 부착돌편(201)을 형성하여 부착돌편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나사구멍(202)(203)(204)을 형성하고, 부착돌편과 접촉하는 장대(1) 선단부(1a) 주벽에 부착구멍(101)(102)(103)을 형성하여 장대선단부에 고정가위날의 부착돌편을 장대선단의 부착구멍관 부착돌편의 나사구멍을 일치시켜 삽입하여 볼트(B1)(B2)(B3)로 나사결합시키고,
또한, 고정가위날(20)은 부착돌편(201) 선단부를 장대(1) 선단에서 측방으로 향하게 절곡하여 일정길이의 절곡돌출편(205)을 형성하고, 절곡돌출편에 지지구멍(206)을 형성하고, 절곡돌출편 외주에서 장대선단을 향해 78∼82도 되는 각으로 연장되고, 끝이 뾰족하게 되는 경사날판(207)을 형성하여 경사날판에는 경사면을 따라 형성되는 경사날부(207a)와 경사면에서 요입되는 오목날부(207b)를 구분되게 형성하여, 경사날부(207a)와 오목날부(207b)의 경계부에 미끄럼방지날부(207c)를 형성하고, 오목날부(207b) 날면에 "∨"형 요입홈(207d)을 형성하며,
고정가위날 절곡돌출부(205) 외측면에 결합하는 가동가위날(21)은 고정가위날(20)의 절곡돌출편(205) 측면에 밀착하는 밀착판(210)에 지지구멍(211)을 뚫어 밀착판(210)을 고정가위날 절곡돌출편(205)에 지지축봉(208)과, 너트(208a)로 결합시키고, 밀착판(210) 외주에서 경사날판(207) 쪽으로 끝이 뾰족한 가동날판(212)을 형성하여 내측에 칼날(212a)을 형성하고, 가동날판과 일정각도로 절곡되게 작동돌편(213)을 형성하여 작동돌편 하단부에 연결구멍(214)을 뚫어 작동간(3)의 선단연결공(301)을 연결구(301a)로 연결하고,
장대선단 주벽에 형성된 부착구멍(101)(102)(103) 외측에 날부(701)가 "
Figure pat00002
"형으로 되고 부착판(702)에 연결공(703)(704)(705)이 형성되어 고정가위날(20)의 부착돌편(201) 나사구멍에 볼트(B1)(B2)(B3)를 이용하여 부착되는 곁가지 제거칼날(7)이 구비된다.
한편, 곁가지 제거칼날(7)은 장대선단주벽 부착구멍(101)(102)(103) 반대측에 제2부착구멍(104)(105)(106)을 형성하여 내측에 제2부착구멍과 일치되는 위치에 나사구멍(801)(802)(803)이 형성된 나사구멍판(8)을 개제하고, 장대선단 고정가위날 부착구멍 반대측의 제2부착구멍에 부착판(702)을 밀착시키고, 부착판(702)의 연결공을 제2부착구멍과 나사구멍판(8)의 나사구멍에 일치시키고, 볼트(804)(805)(806)를 나사끼움하여 부착시키는 것이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은 손잡이(4)에 장치된 작동레버(5)에 지지구멍(5b)을 형성하고, 조정구(9)의 원판(901)에 형성한 연결구멍(902)을 일치시켜 축봉(903)을 끼워 너트(903a)로 고정하여 원판이 축봉(903)을 중심으로 제자리 회전되게 한 다음, 원판(901) 외주면에 일정길이의 " ┻"형 고정돌기(904)(905) 또는 " ━ " 형 고정돌기(906)를 구분되게 형성되어 손잡이 내면에 형성된 계단형 걸림턱(401) 또는 걸림턱(402)(403)에 선택적으로 걸림되게 함으로써, 작동간(3)의 작동거리를 선택하여 가동가위날(21)이 벌어지는 각도를 적과와 전지에 맞도록 조절할 수 있게 한 구성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미설명 부호 10은 작동레버 탄발스프링이다.
1 : 장대 1a : 선단부
2 : 가위날 3 : 작동간
4 : 손잡이 5 : 작동레버
7 : 제거칼날 8 : 나사구멍판
9 : 조정구 20 : 고정가위날
21 : 가동가위날 101,102,103 : 부착구멍
104,105,106 : 제2부착구멍 201 : 부착돌편
202,203,204 : 나사구멍 205 : 절곡돌출편
206 : 지지구멍 207 : 경사날판
207a : 경사날부 207b : 오목날부
207c : 미끄럼방지날부 207d : "
Figure pat00003
"형 요입홈
208 : 지지축봉 208a : 너트
210 : 밀착판 211 : 지지구멍
212 : 가동날판 212a : 칼날
213 : 작동돌편 214 : 연결구멍
301 : 선단연결공 301a : 연결구
302 : 연결구 401,402, 403 : 걸림턱
701 : 날부 702 : 부착판
703,704,705 : 연결공 801,802,803 : 나사구멍
804,805,806 : 볼트 901 : 원판
902 : 연결구멍 903 : 축봉
903a : 너트 904,905 : "┻"형 고정돌기
906 : "━"형 고정돌기 B1,B2,B3 : 볼트

Claims (3)

  1. 길이 60∼150cm 되는 파이프로 된 장대(1) 선단부(1a)에 고정가위날(20)과, 가동가위날(21)로 구성되는 가위날(2)을 장치하고, 가동가위날의 작동돌편(203) 연결공(2014)에 장대속으로 장치한 작동간(3)의 선단연결공(301)을 결합하여 연결구(301a)로 연결하고, 작동간의 후측단부를 장대후단부에 부착한 손잡이(4)의 작동레버(5) 연결공(5a)에 연결구(302)로 연결하여 작동레버를 당겨서 가동가위날을 고정가위날에 교합하고, 작동레버를 놓으면 탄발스프링(10)의 복원력으로 원위치되게 하는 장대가위에 있어서,
    고정가위날(20)은 내측방에 장대(1) 선단부(1a)에 삽입되는 부착돌편(201)을 형성하여 부착돌편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나사구멍(202)(203)(204)을 형성하고, 부착돌편과 접촉하는 장대(1) 선단부(1a) 주벽에 부착구멍(101)(102)(103)을 형성하여 장대선단부에 고정가위날의 부착돌편을 삽입하여 장대선단의 부착구멍과 부착돌편의 나사구멍을 일치시켜 볼트(B1)(B2)(B3)로 나사결합시키고, 또한 고정가위날(20)은 부착돌편(201) 선단부를 장대(1) 선단에서 측방으로 향하게 절곡하여 일정길이의 절곡돌출편(205)을 형성하고, 절곡돌출편에 지지구멍(206)을 형성하고, 절곡돌출편 외주에서 장대선단을 향해 78∼82도 되는 각으로 연장되고, 끝이 뾰족하게 되는 경사날판(207)을 형성하여 경사날판에는 경사면을 따라 형성되는 경사날부(207a)와 경사면에서 요입되는 오목날부(207b)를 구분되게 형성하여, 경사날부(207a)와, 오목날부(207b)의 경계부에 미끄럼방지날부(207c)를 형성하고, 오목날부(207b) 날면에 "∨"형 요입홈(207d)을 형성하며,
    가동가위날(21)은 고정가위날(20)의 절곡돌출편(205) 측면에 밀착하는 밀착판(210)에 지지구멍(211)을 뚫어 밀착판(210)을 고정가위날 절곡돌출편(205)에 지지축봉(208)과, 너트(208a)로 결합시키고, 밀착판(210) 외주에서 경사날판(207) 쪽으로 끝이 뾰족한 가동날판(212)을 형성하여 내측에 칼날(212a)을 형성하고, 가동날판과 일정각도로 절곡되게 작동돌편(213)을 형성하여 작동돌편 하단부에 연결구멍(214)을 뚫어 작동간(3)의 선단연결공(301)을 연결구(301a)로 연결하고,
    장대선단 주벽에 형성된 부착구멍(101)(102)(103) 외측에 날부(701)가 "
    Figure pat00004
    "형으로 되고 부착판(702)에 연결공(703)(704)(705)이 형성되어 고정가위날(20)의 부착돌편(201) 나사구멍에 볼트(B1)(B2)(B3)를 이용하여 부착되는 곁가지 제거칼날(7)을 부착되는 적과 및 전지용 다목적 장대가위.
  2. 청구항 1에서,
    곁가지 제거칼날(7)은 장대선단주벽 부착구멍(101)(102)(103)반대측에 제2부착구멍(104)(105)(106)을 형성하여 내측에 제2부착구멍과 일치되는 위치에 나사구멍(801)(802)(803)이 형성된 나사구멍판(8)을 개제하고, 볼트(804)(805)(806)를 이용하여 장대선단부 제2부착구멍에 부착되는 것이 포함되는 적과 및 전지용 다목적 장대가위.
  3. 청구항 1에서,
    작동레버(5)에는 원판(901)에 연결구멍(902)을 형성하여 작동레버의 지지구멍(5b)에 끼워 너트(903a)로 고정한 축봉(903)에 끼워 제자리 회전시키고, 외주면에 일정길이의 " ┻"형 고정돌기(904)(905) 또는 " ━ "형 고정돌기(906)를 선택적으로 형성하여 손잡이 내면에 형성한 계단형 걸림턱(401) 또는 계단형 걸림턱(402)(403)에 걸림되는 조정구(9)를 장치하여 작동간(3)의 작동거리를 선택함으로써, 가동가위날이 벌어지는 각도를 적과 또는 전지에 맞추어 선택할 수 있게 한 구성이 포함되는 적과 및 전지용 다목적 가위.
KR1020210038647A 2021-03-25 2021-03-25 적과 및 전지용 다목적 가위 KR102657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647A KR102657694B1 (ko) 2021-03-25 2021-03-25 적과 및 전지용 다목적 가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647A KR102657694B1 (ko) 2021-03-25 2021-03-25 적과 및 전지용 다목적 가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3485A true KR20220133485A (ko) 2022-10-05
KR102657694B1 KR102657694B1 (ko) 2024-04-16

Family

ID=83596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8647A KR102657694B1 (ko) 2021-03-25 2021-03-25 적과 및 전지용 다목적 가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76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847Y1 (ko) 2022-12-19 2024-03-18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수목전지 장대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0262A (ja) * 2005-02-24 2006-09-07 Musashi:Kk 伸縮操作装置
KR20110009575U (ko) * 2010-04-02 2011-10-10 한상준 과일수확 및 전정(剪定)용 가위
KR20150097091A (ko) * 2014-02-18 2015-08-26 김규석 과일수확 및 전정용 가위
KR20160126546A (ko) * 2015-04-24 2016-11-02 김규석 농업용 가위
KR101837730B1 (ko) 2016-04-27 2018-03-12 김규석 마늘순제거 및 적과기
KR101862669B1 (ko) * 2017-02-23 2018-05-31 김규석 연결장대가 절반으로 접혀지는 고지가위
KR20200102106A (ko) * 2019-02-21 2020-08-31 김규석 전지가위의 가위날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0262A (ja) * 2005-02-24 2006-09-07 Musashi:Kk 伸縮操作装置
KR20110009575U (ko) * 2010-04-02 2011-10-10 한상준 과일수확 및 전정(剪定)용 가위
KR20150097091A (ko) * 2014-02-18 2015-08-26 김규석 과일수확 및 전정용 가위
KR20160126546A (ko) * 2015-04-24 2016-11-02 김규석 농업용 가위
KR101837730B1 (ko) 2016-04-27 2018-03-12 김규석 마늘순제거 및 적과기
KR101862669B1 (ko) * 2017-02-23 2018-05-31 김규석 연결장대가 절반으로 접혀지는 고지가위
KR20200102106A (ko) * 2019-02-21 2020-08-31 김규석 전지가위의 가위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847Y1 (ko) 2022-12-19 2024-03-18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수목전지 장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7694B1 (ko) 2024-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36443A (en) Snips
US8109003B2 (en) Pruning shears
JPH0856487A (ja) 複合動作手持ち剪定具
US9883868B2 (en) Tissue and bone graft removal device
US20110192035A1 (en) Compound-action pruning tools
US7819447B1 (en) Hand actuated soil displacement and planting device
US5809654A (en) Tree pruner
KR20220133485A (ko) 적과 및 전지용 다목적 가위
US6173497B1 (en) Nail clippers
US6625888B2 (en) Pruning device
US20090320300A1 (en) Pruning shears
KR101515353B1 (ko) 접목용 가위
US2882085A (en) Hand weeder
US5890295A (en) Complex action cutting device
KR20160126546A (ko) 농업용 가위
US9107351B2 (en) Lopper devices for pruning trees and brushes
US5701672A (en) Complex action nail clipper
US5674022A (en) Tool with handle
US3957299A (en) Weeding tool
KR20210097080A (ko) 마늘순 및 과일나뭇가지 절단용 다목적 가위
KR20170000538A (ko) 개량 장대 낫
CN212034891U (zh) 一种菠萝采摘器
US6959768B1 (en) Weed plucker
CN214257286U (zh) 园林树木清腐装置
US20240057534A1 (en) Spout separating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