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7730B1 - 마늘순제거 및 적과기 - Google Patents

마늘순제거 및 적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7730B1
KR101837730B1 KR1020160051576A KR20160051576A KR101837730B1 KR 101837730 B1 KR101837730 B1 KR 101837730B1 KR 1020160051576 A KR1020160051576 A KR 1020160051576A KR 20160051576 A KR20160051576 A KR 20160051576A KR 101837730 B1 KR101837730 B1 KR 101837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blade
rod
fixed
bra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1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2516A (ko
Inventor
김규석
Original Assignee
김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석 filed Critical 김규석
Priority to KR1020160051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7730B1/ko
Publication of KR20170122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2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7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7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2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 A01G3/025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having elongated or extended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4Devices for picking apples or like frui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2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 A01G3/021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characterized by the arrangement of pivots

Abstract

본 발명은 마늘순제거 및 적과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가동날(200)이 힌지 연결되고, 후단에 형성된 고정부(110)가 장대(300)에 체결되는 고정날(100); 고정날(100)이 힌지 연결되고, 하단에 형성된 가동부(210)에 작동봉(400)의 일단이 연결되는 가동날(200); 선단에는 고정날(100)의 고정부(110)가 체결되고 후단에는 손잡이(500)의 고정레버(510)가 연결되는 장대(300); 선단은 가동날(200)의 가동부(210)에 연결되고 후단은 손잡이(500)의 작동레버(520)에 연결되어 수동으로 가위날을 개폐시키는 작동봉(40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손잡이(500)는, 고정레버(510)와 작동레버(520)가 축볼트(511)에 의해 힌지 연결되고, 고정레버(510)의 하단에는 걸림턱(513)이 형성되며, 작동레버(520)의 선단에 형성된 연결홈(521)에는 작동봉(400)의 후단이 끼워져 연결되며 작동레버(520)의 일측면(523)에는 안전핀(530)이 회전가능케 체결되며, 안전핀(530)의 외주면에는 회전돌부(531)가 돌출형성되고 회전돌부(531)의 외측면에는 제1,2걸림돌기(532)(533)가 차례로 형성되어, 고정레버(510)의 걸림턱(513)에 작동레버(520)의 안전핀(530)의 제1,2걸림돌기(532)(533)가 선택적으로 걸려지거나 벗어나게 하여 작동레버(520)의 벌어지는 각도를 조정할 수 있게 한 것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가지의 굵기에 따라 손잡이의 작동레버가 벌어지는 각도를 조정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작동레버를 힘을 주어 오므렸다 폈다 하는 동작을 가지의 굵기에 따라 필요한 만큼의 각도만 수행하게 함으로써 손에 무리가 가지 않게 되고 작업 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마늘순제거 및 적과기{Cutter for the stalk of a garlic}
본 발명은 마늘순제거 및 적과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가지의 굵기에 따라 손잡이의 작동레버가 벌어지는 각도를 조정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작업시 손에 무리가 가지 않고 작업 효율이 향상되는 마늘순제거 및 적과기에 관한 것이다.
본원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된 등록특허 제10-1437265호(이하 선등록발명)가 등록되어 있으나, 선등록발명은 가지를 자르기 위해 손잡이의 안전핀을 해제하면 손잡이의 작동레버가 가지의 굵기에 관계없이 필요이상으로 벌어져서 사용자가 장시간 작업을 하게 되면 손에 무리가 가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가위날의 사이에 가지를 끼운 후 자를 경우에 가지가 가위날에서 벗어나려고 하여 사용자가 한 손으로 가지를 잡고 한 손만으로 잘라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1. 등록특허공보 제10-1437265호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지의 굵기에 따라 손잡이의 작동레버가 벌어지는 각도를 조정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작동레버를 힘을 주어 오므렸다 폈다 하는 동작을 가지의 굵기에 따라 필요한 만큼의 각도만 수행하게 함으로써 손에 무리가 가지 않게 되고 작업 효율이 향상되는 마늘순제거 및 적과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장대와 나란하게 설치되는 작동봉이 지지구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작동봉이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한 마늘순제거 및 적과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늘순제거 및 적과기는 가동날(200)이 힌지 연결되고, 후단에 형성된 고정부(110)가 장대(300)에 체결되는 고정날(100);
고정날(100)이 힌지 연결되고, 하단에 형성된 가동부(210)에 작동봉(400)의 일단이 연결되는 가동날(200);
선단에는 고정날(100)의 고정부(110)가 체결되고 후단에는 손잡이(500)의 고정레버(510)가 연결되는 장대(300);
선단은 가동날(200)의 가동부(210)에 연결되고 후단은 손잡이(500)의 작동레버(520)에 연결되어 수동으로 가위날을 개폐시키는 작동봉(40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손잡이(500)는,
고정레버(510)와 작동레버(520)가 축볼트(511)에 의해 힌지 연결되고,
고정레버(510)의 하단에는 걸림턱(513)이 형성되며,
작동레버(520)의 선단에 형성된 연결홈(521)에는 작동봉(400)의 후단이 끼워져 연결되며 작동레버(520)의 일측면(523)에는 안전핀(530)이 회전가능케 체결되며,
안전핀(530)의 외주면에는 회전돌부(531)가 돌출형성되고 회전돌부(531)의 외측면에는 제1,2걸림돌기(532)(533)가 차례로 형성되어,
고정레버(510)의 걸림턱(513)에 작동레버(520)의 안전핀(530)의 제1,2걸림돌기(532)(533)가 선택적으로 걸려지거나 벗어나게 하여 작동레버(520)의 벌어지는 각도를 조정할 수 있게 한 것을 포함한다.
한편, 고정날(100a)은 고정날(100a)의 가지가 얹혀지는 날의 상단에 가지걸림홈(130)을 형성하여 가지가 안정적으로 잘려지도록 한 것을 포함한다.
또한, 작동봉(400a)은 일정 폭과 길이를 가지는 평철로 형성하고 양단에는 구멍(420)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작동봉(400b)은 일정 폭과 길이를 가지는 평철로 형성하되 양단에는 고리(430)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단에는 결합공(610)을 형성하여 장대(300)가 끼워져 체결되고 하단에는 안내홈(620)을 형성하여 작동봉의 일측이 끼워져 슬라이드 되는 지지구(600)를 포함한다.
또한, 상단에는 결합홈(610a)을 형성하여 장대(300)의 일측이 착탈가능하게 체결되고 하단에는 안내홈(620)을 형성하여 작동봉의 일측이 끼워져 슬라이드 되는 지지구(600a)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늘순제거 및 적과기는 가지의 굵기에 따라 손잡이의 작동레버가 벌어지는 각도를 조정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작동레버를 힘을 주어 오므렸다 폈다 하는 동작을 가지의 굵기에 따라 필요한 만큼의 각도만 수행하게 함으로써 손에 무리가 가지 않게 되고 작업 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대와 나란하게 설치되는 작동봉이 지지구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작동봉이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정날의 가지가 얹혀지는 날의 상단에는 가지걸림홈을 형성하여 가지가 가지걸림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가지를 자를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지를 쉽게 자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부분 측면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도 1의 손잡이를 나타낸 부분 측면도로서, 도 5는 안전핀의 회전돌부의 단부가 걸림턱에 걸려진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안전핀의 제1걸림돌기가 걸림턱에 걸려진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안전핀의 제2걸림돌기가 걸림턱에 걸려진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안전핀의 걸림돌기가 걸림턱에서 벗어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지지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지지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고정날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2는 작동봉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3은 작동봉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들 중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도면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있음을 유의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공지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음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와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의 부분 측면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늘순제거 및 적과기는 고정날(100), 가동날(200), 장대(300), 작동봉(400), 손잡이(500), 지지구(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고정날(100)과 가동날(200)은 축피스(101)에 의해 힌지연결된다.
고정날(100)의 후단에는 고정부(110)를 형성한다. 고정날(100)의 고정부(110)에는 장대(300)의 선단에 형성된 고정날 연결부(310)의 삽입홈(311)이 끼워져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된다. 고정날(100)의 측면에는 가지받침대(120)를 결합하여 잘린 가지를 받쳐주는 역할을 하게 한다. 가지받침대(120)의 상면에는 톱니형 돌기가 형성된 받침면(121)을 형성한다.
이때, 도 11은 고정날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고정날(100a)의 가지가 얹혀지는 날의 상단에는 가지걸림홈(130)을 형성하여 가지가 가지걸림홈(130)에 끼워진 상태에서 가지를 자를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지를 쉽게 자를 수 있게 된다.
가동날(200)의 하단에는 가동부(210)를 형성한다. 가동날(200)의 가동부(210)에는 작동봉(400)의 선단이 체결볼트(211)에 의해 연결된다. 가동날(200)의 측면에는 고정날(100)의 가지받침대(120)에 대응되도록 가지압착구(220)를 결합하여 가지받침대(120)와 함께 잘린 가지가 떨어지지 않게 잡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가지압착구(220)의 하단면에는 가지받침대(120)의 받침면(121)의 톱니형 돌기에 치합되도록 톱니형 돌기를 형성한 압착면(221)이 형성된다.
장대(300)의 선단에 형성된 고정날 연결부(310)에는 고정날(100)의 고정부(110)가 체결되고 장대(300)의 후단에는 손잡이(500)의 고정레버(510)의 연결관(515)이 연결된다.
작동봉(400)의 선단은 가동날(200)의 가동부(210)에 체결볼트(211)로 연결된다. 작동봉(400)의 후단은 손잡이(500)의 작동레버(520)의 연결홈(521)에 끼워져서 축봉(522)에 의해 연결된다. 손잡이(500)의 작동레버(520)를 작동시키면 작동봉(400)에 연결된 가동날(200)의 가동부(210)가 작동하여 수동으로 가위날을 개폐시키게 된다. 작동봉(400)은 일정 길이를 가지는 철사로 제작하고 양단을 구부려서 고리(410)를 형성한다. 작동봉(400)의 양측 고리에 가동날(200)의 가동부(210)와 작동레버(520)가 각각 연결된다.
한편, 도 5 내지 도 8은 도 1의 손잡이를 나타낸 부분 측면도로서, 도 5는 안전핀의 회전돌부의 단부가 걸림턱에 걸려진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안전핀의 제1걸림돌기가 걸림턱에 걸려진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안전핀의 제2걸림돌기가 걸림턱에 걸려진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안전핀의 걸림돌기가 걸림턱에서 벗어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손잡이(500)는 고정레버(510), 작동레버(520), 안전핀(5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레버(510)와 작동레버(520)는 축볼트(511)에 의해 힌지 연결된다. 축볼트(511)의 외주연에는 코일스프링(512)을 탄설하여 고정레버(510)에 대하여 작동레버(520)가 벌어지는 작용을 하게 한다. 고정레버(510)의 하단에는 안전핀(530)의 각 부위가 선택적으로 걸려지도록 걸림턱(513)을 형성한다.
작동레버(520)의 선단에 형성된 연결홈(521)에는 작동봉(400)의 후단이 끼워져 축봉(522)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작동레버(520)의 일측면(523)에는 안전핀(530)이 체결나사(535)에 의해 회전가능케 체결된다. 안전핀(530)은 작동레버(520)의 벌어지는 각도를 단계별로 제한하게 된다.
안전핀(530)의 외주면에는 회전돌부(531)가 돌출형성되고 회전돌부(531)의 외측면에는 제1,2걸림돌기(532)(533)가 일정간격 차례로 돌출형성된다.
그리하여, 고정레버(510)의 걸림턱(513)에 작동레버(520)의 안전핀(530)의 제1,2걸림돌기(532)(533)가 선택적으로 걸려지거나 벗어나게 하여 작동레버(520)의 벌어지는 각도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고정레버(510)의 걸림턱(513)에 걸려지는 작동레버(520)의 안전핀(530)의 각 부위에 따른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1) 걸림턱(513)에 안전핀(530)의 회전돌부(531)의 단부가 걸려질 경우(도 5 참조): 본 발명의 가위를 사용하지 않고 보관할 경우로서, 작동레버(520)의 벌어지는 각도가 가장 작으며 동시에 가위날의 고정날(100)과 가동날(200)이 서로 겹쳐지도록 오므려져서 가위날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게 된다.
2) 걸림턱(513)에 안전핀(530)의 제1걸림돌부가 걸려질 경우(도 6 참조): 본 발명의 가위로 굵기가 가장 가늘고 작은 가지를 자를 경우로서, 작동레버(520)의 벌어지는 각도가 약간 벌어지며 동시에 가위날의 고정날(100)과 가동날(200)이 약간 펼쳐진다.
3) 걸림턱(513)에 안전핀(530)의 제2걸림돌부가 걸려질 경우(도 7 참조): 본 발명의 가위로 상기한 2)의 경우보다 굵기가 더 큰 가지를 자를 경우로서, 작동레버(520)의 벌어지는 각도가 상기한 2)의 경우보다 조금 더 벌어지며 동시에 가위날의 고정날(100)과 가동날(200)이 조금 더 펼쳐진다.
4) 걸림턱(513)에 안전핀(530)의 제1,2걸림돌부가 모두 벗어나서 안전핀(530)의 외주면(534)이 고정레버(510)의 저면(514)에 걸려지는 경우(도 8 참조): 본 발명의 가위로 상기한 3)의 경우보다 굵기가 더 큰 가지를 자를 경우로서, 작동레버(520)의 벌어지는 각도가 상기한 3)의 경우보다 더 벌어져서 작동레버(520)가 가장 크게 벌어지며 동시에 가위날의 고정날(100)과 가동날(200)도 가장 큰 각도로 펼쳐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마늘순제거 및 적과기는 가지의 굵기에 따라 손잡이(500)의 작동레버(520)가 벌어지는 각도를 조정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작동레버(520)를 힘을 주어 오므렸다 폈다 하는 동작을 가지의 굵기에 따라 필요한 만큼의 각도만 수행하게 함으로써 손에 무리가 가지 않게 되고 작업 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한편, 도 9는 도 1의 지지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지지구(600)는 장대(300)와 나란히 설치된 작동봉(400)을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지지구(600)의 상단에는 결합공(610)을 형성하여 장대(300)가 끼워져 체결되고 지지구(600)의 하단에는 안내홈(620)을 형성하여 작동봉(400)의 일측이 끼워져 슬라이드 된다.
또한, 도 10은 지지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지지구(600a)의 상단에 결합홈(610a)을 형성하여 장대(300)의 일측이 용이하게 착탈되도록 구성되고 지지구(600)의 하단에는 안내홈(620)을 형성하여 작동봉(400)의 일측이 끼워져 슬라이드 된다.
한편, 도 12는 작동봉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3은 작동봉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2에서 작동봉(400a)은 일정 폭과 길이를 가지는 평철로 형성하고 양단에는 구멍(42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3에서 작동봉(400b)은 일정 길이를 가지는 철사봉으로 형성하되 철사봉의 양단을 납작하게 눌러서 형성한 원형판에 구멍을 뚫어서 고리(430)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작동봉의 형상에 따라 지지구의 안내홈의 형상도 대응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장대(300)와 나란하게 설치되는 작동봉(400)이 지지구(60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작동봉(400)이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나 응용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00, 100a : 고정날 110 : 고정부
120 : 가지받침대 130 : 가지걸림홈
200 : 가동날 210 : 가동부
220 : 가지압착구 300 : 장대
400, 400a, 400b : 작동봉
410, 430 : 고리 420 : 구멍
500 : 손잡이 510 : 고정레버
513 : 걸림턱 514 : 저면
520 : 작동레버 530 : 안전핀
531 : 회전돌부 532 : 제1걸림돌기
533 : 제2걸림돌기 534 : 외주면
600, 600a : 지지구 610 : 결합공
610a : 결합홈 620 : 안내홈

Claims (6)

  1. 가동날(200)이 힌지 연결되고, 후단에 형성된 고정부(110)가 장대(300)에 체결되는 고정날(100);
    고정날(100)이 힌지 연결되고, 하단에 형성된 가동부(210)에 작동봉(400)의 일단이 연결되는 가동날(200);
    선단에는 고정날(100)의 고정부(110)가 체결되고 후단에는 손잡이(500)의 고정레버(510)가 연결되는 장대(300);
    선단은 가동날(200)의 가동부(210)에 연결되고 후단은 손잡이(500)의 작동레버(520)에 연결되어 수동으로 가위날을 개폐시키는 작동봉(40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고정날(100)의 고정부(110)에는 장대(300)의 선단에 형성된 고정날 연결부(310)의 삽입홈(311)이 끼워져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며,
    고정날(100)의 측면에는 가지받침대(120)를 결합하여 잘린 가지를 받쳐주는 역할을 하고, 가지받침대(120)의 상면에는 톱니형 돌기가 형성된 받침면(121)을 형성하며,
    가동날(200)의 측면에는 고정날(100)의 가지받침대(120)에 대응되도록 가지압착구(220)를 결합하여 가지받침대(120)와 함께 잘린 가지가 떨어지지 않게 잡아주는 역할을 하고, 가지압착구(220)의 하단면에는 가지받침대(120)의 받침면(121)의 톱니형 돌기에 치합되도록 톱니형 돌기를 형성한 압착면(221)이 형성되며,
    작동봉(400)은 일정 길이를 가지는 철사로 제작하고 양단을 구부려서 고리(410)를 형성하고, 작동봉(400)의 양측 고리에 가동날(200)의 가동부(210)와 작동레버(520)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손잡이(500)는,
    고정레버(510)와 작동레버(520)가 축볼트(511)에 의해 힌지 연결되고,
    축볼트(511)의 외주연에는 코일스프링(512)을 탄설하여 고정레버(510)에 대하여 작동레버(520)가 벌어지는 작용을 하게하고,
    고정레버(510)의 하단에는 걸림턱(513)이 형성되며,
    작동레버(520)의 선단에 형성된 연결홈(521)에는 작동봉(400)의 후단이 끼워져 축봉(522)에 의해 연결되며 작동레버(520)의 일측면(523)에는 안전핀(530)이 체결나사(535)에 의해 회전가능케 체결되며,
    안전핀(530)은 작동레버(520)의 벌어지는 각도를 단계별로 제한하게 되고,
    안전핀(530)의 외주면에는 회전돌부(531)가 돌출형성되고 회전돌부(531)의 외측면에는 제1,2걸림돌기(532)(533)가 차례로 형성되어,
    고정레버(510)의 걸림턱(513)에 작동레버(520)의 안전핀(530)의 제1,2걸림돌기(532)(533)가 선택적으로 걸려지거나 벗어나게 하여 가지의 굵기에 따라 작동레버(520)의 벌어지는 각도를 조정할 수 있게 하여 고정날(100)과 가동날(200)이 펼쳐지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손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키고,
    고정날(100a)은 고정날(100a)의 가지가 얹혀지는 날의 상단에 가지걸림홈(130)을 형성하여 가지가 안정적으로 잘려지도록 하며,
    상단에는 결합홈(610a)을 형성하여 장대(300)의 일측이 착탈가능하게 체결되고 하단에는 안내홈(620)을 형성하여 작동봉의 일측이 끼워져 슬라이드 되는 지지구(600a)를 포함하는 마늘순제거 및 적과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60051576A 2016-04-27 2016-04-27 마늘순제거 및 적과기 KR101837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576A KR101837730B1 (ko) 2016-04-27 2016-04-27 마늘순제거 및 적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576A KR101837730B1 (ko) 2016-04-27 2016-04-27 마늘순제거 및 적과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2516A KR20170122516A (ko) 2017-11-06
KR101837730B1 true KR101837730B1 (ko) 2018-03-12

Family

ID=60384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1576A KR101837730B1 (ko) 2016-04-27 2016-04-27 마늘순제거 및 적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773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5391A (ko) 2018-10-22 2020-05-04 김규석 마늘순 및 과일나뭇가지 절단용 다목적 가위
KR20220133485A (ko) 2021-03-25 2022-10-05 김규석 적과 및 전지용 다목적 가위
KR20230109288A (ko) 2022-01-13 2023-07-20 김규석 마늘순 및 과일나뭇가지 절단용 다목적 가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30855B (zh) * 2021-04-13 2022-10-11 河南科技大学 一种蒜苔采摘机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5391A (ko) 2018-10-22 2020-05-04 김규석 마늘순 및 과일나뭇가지 절단용 다목적 가위
KR20210097080A (ko) 2018-10-22 2021-08-06 김규석 마늘순 및 과일나뭇가지 절단용 다목적 가위
KR20220133485A (ko) 2021-03-25 2022-10-05 김규석 적과 및 전지용 다목적 가위
KR20230109288A (ko) 2022-01-13 2023-07-20 김규석 마늘순 및 과일나뭇가지 절단용 다목적 가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2516A (ko) 2017-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7730B1 (ko) 마늘순제거 및 적과기
US8286954B2 (en) Locking pliers with one or two slide bars each secured to a stationary jaw carrier
US9511500B2 (en) Cutting tool
CA2558469A1 (en) Melon wedger
KR20150097091A (ko) 과일수확 및 전정용 가위
WO2016041107A1 (zh) 一种高枝剪
US20070119057A1 (en) High-branch shears
KR101516493B1 (ko) 다용도 집게
US2715270A (en) Locking means for pruning shears or the like
TWM541937U (zh) 刀與鞘的組合結構
KR20110009575U (ko) 과일수확 및 전정(剪定)용 가위
US20110185577A1 (en) Hand-held cutter with an auxiliary handle for performing an initial cutting operation
US11832626B2 (en) Oyster shucking apparatus
CN110113937B (zh) 手持工具
CN109070247A (zh) 夹持设备
GB2349792A (en) Manually-operable extendable shears
US20120047749A1 (en) Pruning Hook Performing a Shearing Action Step by Step
US1162264A (en) Twine-cutter.
KR101845293B1 (ko) 안전 커터
CN207534851U (zh) 剪刀镊
US7131677B2 (en) Weeder
JP6910390B2 (ja) 高所手動小枝切り機
JPH0620376Y2 (ja) 高枝切断機
US2241679A (en) Rope pulling and holding device
KR200364378Y1 (ko) 손톱깎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