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6493B1 - 다용도 집게 - Google Patents

다용도 집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6493B1
KR101516493B1 KR1020130132072A KR20130132072A KR101516493B1 KR 101516493 B1 KR101516493 B1 KR 101516493B1 KR 1020130132072 A KR1020130132072 A KR 1020130132072A KR 20130132072 A KR20130132072 A KR 20130132072A KR 101516493 B1 KR101516493 B1 KR 101516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rod
piece
handle
op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2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설명환
임홍길
Original Assignee
설명환
임홍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339350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51649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설명환, 임홍길 filed Critical 설명환
Priority to KR1020130132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64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6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6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2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7/00Pliers; Other hand-held gripping tools with jaws on pivoted limbs; Details applicable generally to pivoted-limb hand tools
    • B25B7/02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7/00Pliers; Other hand-held gripping tools with jaws on pivoted limbs; Details applicable generally to pivoted-limb hand tools
    • B25B7/12Pliers; Other hand-held gripping tools with jaws on pivoted limbs; Details applicable generally to pivoted-limb hand tools involving special transmission means between the handles and the jaws, e.g. toggle levers, g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7/00Pliers; Other hand-held gripping tools with jaws on pivoted limbs; Details applicable generally to pivoted-limb hand tools
    • B25B7/14Lock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9/00Hand-held gripping tool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group B25B7/00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용도 집게에 관한 것으로서,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동작하며, 힘의 조절이 용이하고, 적은 힘으로 작동시킬 수 있어 장시간 사용하여도 불편함이 없는 다용도 집게를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중공의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10); 상기 몸체(10) 내부에 수용되는 것으로 일측 단부에는 결합통공(21)이 관통 형성된 작동봉(20); 상기 몸체(10)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용수철고정돌기(33) 및 한 쌍의 이탈방지벽(35)이 형성되어 용수철(70)을 고정 배치할 수 있으며, 일측에는 레버인출공(31) 및 레버회동축(32)이 형성되어 작동레버(60)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손잡이(30); 상기 몸체(10)의 타단부에 형성된 지지편(40); 상기 지지편(40)에 작동봉(20)과 함께 힌지 결합되는 집게편(50); 상기 손잡이(30) 일측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작동봉(20)의 단부와 연결되어 작동봉(20)을 전후 방향으로 이송 동작시키는 것으로, 손잡이(30) 외부에 배치되는 누름바(61) 및 손잡이(30) 내부로 인입 배치되는 연결돌기(6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작동레버(60); 상기 손잡이(30)의 내측에 수용되어 용수철고정돌기(33)로부터 일단이 고정 지지되고, 또 다른 일단은 작동봉(20)에 연결되어 전진 동작한 작동봉(20)을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용수철(7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연결돌기(62)는 결합통공(21)에 삽입 연결되어 작동레버(60)의 회전동작이 작동봉(20)의 직진동작으로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용도 집게 {Multipurpose Tongs}
본 발명은 다용도 집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동레버를 누르면 작동레버가 몸체 내의 작동봉을 전진시키고 작동봉의 단부에서 힌지 연결된 집게편이 오므려지면서 각종 물체를 간편하게 집을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중음식점 등에서는 손님이 신발을 현관에 벗어 놓으면 서비스하는 종업원이 신발장에 신발을 보관하였다가 손님이 돌아갈 때 다시 신발을 신발장에 꺼내서 손님이 신을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서비스를 위하여 현관에서 손님들의 신발을 정리하기 위하여 신발장에 넣고 꺼내는 작업은 주로 손을 사용하는 것이므로 신발에 기생하는 무좀균과 같은 각종 병원균에 감염되는 등의 폐단이 발생되었을 뿐 아니라 비위생적이었으므로 보다 음식점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없었다.
이러한 폐단을 줄이기 위하여 식당에서는 신발의 정리를 위하여 신발을 신발장에 넣고 꺼내는 작업을 보다 청결하게 유지하여 음식점을 보다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집게를 사용하게 되었다.
상기 집게는 신발 뿐만 아니라 바닥의 휴지 등 위생상 손으로 집기 어려운 물체를 줍는 용도로 사용되기도 하였고, 나무에서 떨어진 밤송이를 채취하는 용도로도 사용되는 등 다양한 용도로 집게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다용도 집게에 대한 구성은 손잡이 레버의 동작에 대응하여 몸체 단부에서 힌지로 연결된 집게편이 동작하는 구성이 대부분이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집게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공 내에 작동봉(120)이 삽입되며 일측 끝단 부근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111)와, 상기 슬롯에 삽입되어 몸체(111)를 관통하여 구성되고 중간부가 작동봉(120)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는 손잡이부(160)와, 상기 몸체(111)의 타측 내면에는 내경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작동봉(120)의 외경과 이격 형성되는 핀(121)과, 상기 작동봉(120)이 내경에 삽입되고 상기 몸체(111) 내부에 구성되는 스프링(130)과, 상기 몸체(111)의 타단에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작동봉(120)이 관통되는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의 양측 가장자리의 끝단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링크편(141,142)으로 구성된 지지편(140)과, 상기 지지편(140)의 링크편(141,142)과 중간부가 힌지 결합되고,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ㄱ'형상으로 절곡되어 일측은
상기 작동봉(120)의 타단에 힌지 결합되는 작동편(153)으로 구성되고, 타측은 중간부를 기준으로 약간 절곡되어 상부집게편(152)과 하부집게편으로 구성되되, 상기 하부집게편(151)은 끝단의 양측면이 톱날 형상으로 구성되어 밤을 집는 집게편(150)과, 상기 몸체(111) 일측에 일단이 외주면에 일체형으로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손잡이부(160)의 일단에 힌지 고정되는 고정레버(163)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종래기술의 작용을 살펴보면, 상기 손잡이를 손으로 잡고 상부작동레버(162)를 엄지손가락 등으로 몸체(111)에 인접하게 잡아당기면 손잡이부(160)에 고정되고 몸체(111) 내에 있는 작동봉(120)이 스프링(130)을 압축하면서 탄력적으로 상승하게 되면서 작동봉(120)의 하부의 핀(121)에 의해 힌지 결합된 한쌍의 작동편(153)들이 링크편(141,142)들에 지지된 상태에서 위로 당겨지게 된다.
상기 양측 링크편(141,142)에 핀(121)으로 힌지 결합된 양측 작동편(153)들이 집게편(150)과 링크편(141,142)에 핀(121)에 의한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어 작동편(153)이 서로 마주보게 오므려들면서 하부집게편(151)도 서로 마주보게 접근하게 되어 하부집게편(151) 사이에 있는 밤을 쉽게 집을 수 있게 된다.
상기 몸체(111)에 밀착시켰던 상부작동레버(162)를 놓아주면 스프링(130)이 탄발 복원되면서 스프링(130)의 복원력에 의하여 작동봉(120)이 다시 하강되어 양측 작동편(153)들이 집게편(150)과 링크편(141,142)에 핀(121)으로 결합된 힌지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양측 하부집게편(151)들을 밀어 외측으로 벌어지게하여 하부집게편(151)이 원위치하게 된다.
보편적으로 집게는 사람이 서서 지상으로 집게를 향하게 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종래기술의 집게는 물건을 집기 위하여 손잡이부에 구성된 작동레버를 누르면 작동레버가 몸체 내의 작동봉을 당겨서 작동봉에 힌지 연결된 집게편이 오므려지게 되는 구성으로서 집게 작용시 작동봉의 중량과 작동봉에 작용하는 중력을 합한 힘의 이상으로 작동레버를 눌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하면, 작동봉의 중량과 작동봉에 작용하는 중력을 더한 힘이 더 소요되는 것이다.
또한, 종래기술의 집게는 작동봉의 당김에 의하여 집게편이 오므려드는 구조이므로 하부집게편이 상부집게편보다 외부로 돌출되어 지면과 붙어 있는 넓은 물체을 집기 위하여 하부집게편을 지면과 물체 사이로 넣지 못하여 넓은 물체는 집지는 못하는 문제점도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다용도 집게에 관한 등록특허 제10-1244849호(2013.03.12. 등록)가 제안된 바 있다. 하지만, 상기 등록특허 제10-1244849호는 작동봉의 복귀 동작을 위해 코일형 탄성스프링을 사용하였는데 이는 사용자가 레버를 조작함에 있어서 많은 힘을 필요로하여 불편하였고, 힘이 정확히 전달되지 않아 힘의 손실이 발생하였으며, 이는 장시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종래기술은 집게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도 레버가 항상 벌어져 있어서 보관이 용이하지 못하고 레버에 의한 걸림 및 긁힘 현상으로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5-002743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2736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4849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작동봉의 중량이 손에 부가되지 아니하면서 힘 조절이 용이하여 다양한 형태의 물체를 집어올릴 수 있고,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동작하는 다용도 집게를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힘의 손실이 발생하지 않고, 적은 힘으로 동작할 수 있어 장시간 사용시에도 손목에 무리가 생기지 않는 다용도 집게를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 본 발명은 중공의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에 수용되는 것으로 일측 단부에는 결합통공이 관통 형성된 작동봉과, 상기 몸체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용수철을 고정 배치할 수 있으며 작동레버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손잡이와, 상기 몸체의 타단부에 형성된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에 작동봉과 함께 힌지 결합되는 집게편과, 상기 손잡이 일측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작동봉의 단부와 연결되어 작동봉을 전후 방향으로 이송 동작시키 작동레버와, 상기 손잡이 내측에 수용되며 전진 동작한 작동봉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용수철을 포함하고, 작동레버는 작동봉과 연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구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집게에 의하면, 손잡이에 장착된 작동레버를 누를때 작동레버가 몸체 내의 작동봉을 밀어서 집게편이 오므려지므로 작동봉의 중량이 손에 작용하지 아니하여 집게 작용에 힘이 적게 소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집게편이 지지편 보다 돌출되어 있지 아니하여 지면과 붙어 있는 넓은 물체를 집기에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장홈과 작동봉 및 집게편의 집게장공을 동시에 결합하는 힌지가 집게장공 및 지지장홈에서 슬라이드 작동하여 집게편에서 작동력이 분산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부집게편에 하부집게편이 부착되는 구성으로 집게의 용도에 맞게 하부집게편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수철을 이용하여 작동봉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구조는 적은 힘으로도 집게를 간편하게 작동시킬 수 있어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집게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레버를 고리에 걸어 고정시킬 수 있어 보관이 용이하고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집게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집게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집게의 전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집게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게편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편과 몸체의 결합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게편의 평면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다용도 집게의 주요구성 내부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다용도 집게는 중공의 원형 파이프 형상의 몸체(10)와, 상기 몸체(10) 내부에 수용되는 작동봉(20)과, 상기 몸체(10)의 일단부에 형성된 손잡이(30)와, 상기 몸체(10)의 타단부에 형성된 지지편(40)과, 상기 지지편(40)에 작동봉(20)과 함께 힌지 결합되는 집게편(50)과, 손잡이(30) 일측에서 힌지 결합되고 작동봉(20)의 단부와 연결되어 작동봉(20)을 전후 방향으로 이송 동작시키는 작동레버(60)와, 전진 동작한 작동봉(20)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용수철(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10)는 내부에 작동봉(20)이 수용되는 중공의 원형 파이프의 형태로서, 일측 단부에는 손잡이(30)가 구성되고, 타단에는 지지편(40) 및 집게편(50)이 구성된다.
상기 몸체(10)는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 파이프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나 단가 및 취급성 등을 감안하면 원형 파이프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30)에는 장방향으로 관통된 레버인출공(31)과 레버회동축(32)이 형성되어 작동레버(60)가 손잡이(30) 일측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이때 레버회동축(32)에 결합된 작동레버(60)의 일부분은 손잡이(30) 내측에 수용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작동레버(60)는 손잡이(30) 외부에 배치되는 누름바(61) 및 손잡이(30) 내부로 인입 배치되는 연결돌기(62)로 구성되며, 이러한 작동레버(60)는 'ㄱ'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레버회동축(32)으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작동봉(20)의 일측 단부에는 결합통공(21)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결합통공(21)에는 연결돌기(62)가 끼움 결합되어, 작동레버(60)의 동작에 따라 작동봉(20)이 전후 방향으로 직진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 손잡이(30) 내부에는 용수철(70)이 수용되는데, 용수철(70) 일단부는 작동봉(20)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또 다른 단부는 손잡이(30) 내부의 용수철고정돌기(33)에 연결되어 일측이 고정 지지된다. 그리고, 수용된 용수철(70)과 인접된 양측 위치에는 한 쌍의 이탈방지벽(35)이 더 형성되어 수용된 용수철(70)이 정확한 위치에 배치되며 동작과정에서도 그 위치를 이탈하지 않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작동레버(60)는 용수철(70)의 상시 당김 동작에 따라 상향으로 항상 들려있기 마련인데 이는 사용자가 불편해 할 수 있는 부분이다. 이에 작동레버(60) 누름바(61)의 일측 단부에는 걸림고리(63)를 더 마련하고, 손잡이(30)의 일측 단부에는 레버고정돌기(34)를 돌출 형성하여 걸림고리(63)가 레버고정돌기(34)에 걸림으로써 작동레버(60)의 동작을 차단하고 들림 상태를 눌림 상태로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몸체(10)의 타측 끝단에는 지지편(40)이 구성되는데, 상기 지지편(40)은 상기 몸체(10)의 타측 끝단 즉 하부 외경 양측에 일체형으로 고정되는 결합홈(41)이 구성되고, 상기 결합홈(41)의 끝단에 결합홈(41)과 일체형으로 결합홈(41) 보다 작은 폭으로 관통된 지지장홈(42)이 형성된 지지편(40)이 구성된다.
상기 지지편(40)은 판형으로서 몸체(10)에 결합되는 일측 보다 타측의 폭이 큰 대략 삼각형 형상으로 되고 중앙부는 일측면에서 내면 방향으로 결합홈(41)과 지지장홈(42)이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편(40)에 상기 집게가 힌지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몸체(10)의 타측 끝단의 양측과 지지편(40)과 결합홈(41)의 내면을 용접 등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몸체(10)의 작동봉(20)의 타단이 몸체(10)의 타단 외부로 돌출되고, 돌출된 작동봉(20)의 타단은 지지편(40)의 지지장홈(42)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지지편(40)의 타측의 양측 하단부 가장자리의 끝단에서 각각에는 집게편(50)과 힌지 결합하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어 지지편(40)의 하단부에 집게편(50)이 힌지 결합된다.
즉, 상기 작동봉(20)은 몸체(10)의 하부에 돌출되어 지지장홈(42)에 위치하고 작동봉(20)의 타측 끝단에는 한 쌍의 집게편(50)과 핀 이음으로 힌지(56) 결합되어 있다.
상기 지지편(40)은 하부가 집게편(50)과 핀에 의한 힌지 결합되어 양측 집게편(50)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면서 힌지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집게편(50)은 상기 지지편(40)과 중간부가 힌지 결합되고, 일측이 상기 작동봉(20)의 타단에 힌지 결합되게 구성되고, 작동편(53) 및 상부집게편(52)으로 구분 구성된다.
즉. 상기 집게편(50)은 힌지공을 중심으로 절곡되어 일측에는 관통된 집게장공(54)이 형성된 작동편(53)과, 타측에는 중간부가 절곡된 상부집게편(52)으로 구성된다.
상기 집게편(50)은 중간에 지지편(40)과 핀으로 힌지 결합된 힌지를 중심으로 'ㄱ'형상으로 절곡되어 일측은 작동편(53)이 되고 타측은 상부집게편(52)으로 구성되며 작동편(53)과 상부집게편(52)은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집게장공(54)은 작동편(53)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관통되어 상기 작동봉(20)의 타측 끝단과 상기 집게장공(54) 및 상기 지지장홈(42)이 동시에 힌지(56) 결합되어 상기 작동봉(20)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힌지(56)가 집게장공(54) 및 지지장홈(42)에서 슬라이드 작동에 의하여 집게편(50)이 작동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집게편(50)은 중간이 작동봉(20)의 타단에 힌지 결합되고, 타측이 집게 작용을 하는 상부집게편(52)으로 구성되고, 상부집게편(52)은 작동편(53)에서 절곡되어 일체형으로 연장된 상부집게편(52)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상부집게편(52)에는 일체형으로 연장 구성되고 외주면에 요철이 형성된 평판형의 하부집게편(51)이 더 구성되는데, 상기 상부집게편(52)의 중간에는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집게편(51)의 중간에는 장공의 돌기결합홈이 구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돌기결합홈에 삽입되어 상부집게편(52)과 하부집게편(51)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돌출부의 높이는 상기 하부집게편(51)의 두께와 같거나 조금 작게 구성하여 돌출부가 하부집게편(51)의 평면으로 돌출되지 않게 한다.
본원 발명은 집게편(50)이 띠형으로 구성되고 하부집게편(51)은 집게편(50)과 직각으로 구성되면서 평판형으로 구성되어 집게편(50)의 어느 정도의 넓은 면적으로 구성할 수 있고 또한 하부집게편(51)이 지지편(40) 보다 돌출되어 있지 아니하여 지면과 붙어 있는 넓은 물체로서 강도가 약한 전과 같은 음식을 용이하게 집거나 뒤집힐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집게편(50)은 중간부를 기준으로 약간 절곡되어 상부집게편(52)과 작동편(53)으로 구분되고 상부집게편(52)에 양측면이 요철형상으로 구성된 하부집게편(51)이 구성되어, 집게편(50)이 작동하게 되면 한 쌍의 하부집게편(51)의 요철 형상이 마주보게 되고 이 하부집게편(51) 사이에 쓰레기, 신발 등이 위치하게 하여 양측의 하부집게편(51)이 서로 접근하여 이들을 집게 되게 된다.
상기 하부집게편(51) 또는 상부집게편(52)에는 부드러운 과일을 집을 수 있게 외부 표면에는 우레탄, 고무 등과 같은 완충부재를 코팅하여 과일의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몸체(10)가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몸체(10) 끝단에서 몸체(10) 내에 이물질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작업시에 작업자가 몸체(10) 끝단에 의한 찰과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몸체(10) 상부 끝단에 두껑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집게편(51)과 상부집게편(52)은 수거 효율의 향상을 위해 한 번에 많은 대상물을 집을 수 있도록 하단부가 양방향으로 넓게 형성된 "┻"자형으로 이루어지거나, 하단을 향해 점진적으로 그 폭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손잡이(30) 일측에 연결된 작동레버(60)를 사용자가 누르면 'ㄱ'자 형상의 작동레버(60)는 레버회동축(32)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회전하며, 'ㄱ'자 형상의 작동레버(60)에서 손잡이(30) 내부에 인입 배치된 연결돌기(62)는 연결된 작동봉(20)을 밀어 지지편(40) 및 집게편(50) 측으로 전진시킨다. 이 과정에서 손잡이(30) 내부에 배치된 용수철(70)은 인장되어 작동봉(20)을 손잡이(30) 측으로 끌어당기는 탄성력을 발생시킨다.
작동봉(20)이 지지편(40) 측으로 전진하면, 작동봉(20)의 일단부에 구성되고 지지편(40)과 힌지 결합된 힌지가 지지장홈(42) 내에서 슬라이딩 되고 집게장공(54) 내에서도 슬라이딩을 동시에 하게 된다.
상기 힌지가 집게장공(54) 내에서도 슬라이딩 동작하기에 집게편(50)은 지지편(40)과 힌지 결합에 의하여 이 힌지를 중심으로 작동편(53)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지지편(40)에 핀으로 힌지 결합된 작동편(53)이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어 상부집게편(52)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좁혀지고, 상부집게편(52)에 구성된 하부집게편(51)도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좁혀지면서 상부집게편(52) 및 하부집게편(51) 사이에 배치되는 물건을 집을 수 있게된다.
이후, 사용자가 누르고 있던 작동레버(60)를 놓게되면 용수철(70)의 원위치로 복귀하려는 탄성력에 의해 작동봉(20)은 후진 동작하고, 타단측 한 쌍의 집게편(50)은 역동작하여 다시 상호 이격되며, 눌려있던 작동레버(60)는 상향되어 원위치로 복귀한다.
그리고, 다용도 집게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작동레버(60)를 누른 상태에서 걸림고리(63)를 레버고정돌기(34) 측에 걸어주면 작동레버(60)의 움직임이 차단되어 집게편(50)이 동작하지 않으므로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고 집게편(50)의 요철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이다.
10 : 몸체 20 : 작동봉
21 : 결합통공 30 : 손잡이
31 : 레버인출공 32 : 레버회동축
33 : 용수철고정돌기 34 : 레버고정돌기
35 : 이탈방지벽 40 : 지지편
41 : 결합홈 42 : 지지장홈
50 : 집게편 51 : 하부집게편
52 : 상부집게편 53 : 작동편
54 : 집게장공 56 : 힌지
60 : 작동레버 61 : 누름바
62 : 연결돌기 63 : 걸림고리
70 : 용수철

Claims (3)

  1. 삭제
  2. 중공의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10);
    상기 몸체(10) 내부에 수용되는 것으로 일측 단부에는 결합통공(21)이 관통 형성된 작동봉(20);
    상기 몸체(10)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용수철고정돌기(33) 및 한 쌍의 이탈방지벽(35)이 형성되어 용수철(70)을 고정 배치할 수 있으며, 일측에는 레버인출공(31) 및 레버회동축(32)이 형성되어 작동레버(60)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손잡이(30);
    상기 몸체(10)의 타단부에 형성된 지지편(40);
    상기 지지편(40)에 작동봉(20)과 함께 힌지 결합되는 집게편(50);
    상기 손잡이(30) 일측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작동봉(20)의 단부와 연결되어 작동봉(20)을 전후 방향으로 이송 동작시키는 것으로, 손잡이(30) 외부에 배치되는 누름바(61) 및 손잡이(30) 내부로 인입 배치되는 연결돌기(6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작동레버(60);
    상기 손잡이(30)의 내측에 수용되어 용수철고정돌기(33)로부터 일단이 고정 지지되고, 또 다른 일단은 작동봉(20)에 연결되어 전진 동작한 작동봉(20)을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용수철(7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연결돌기(62)는 결합통공(21)에 삽입 연결되어 작동레버(60)의 회전동작이 작동봉(20)의 직진동작으로 연동되는 것으로,
    상기 누름바(61)의 일측 단부에는 걸림고리(63)를 더 형성하고, 손잡이(30)의 일측 단부에는 레버고정돌기(34)를 돌출 형성하여 걸림고리(63)가 레버고정돌기(34)에 걸림으로써 작동레버(60)의 동작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집게.
  3. 삭제
KR1020130132072A 2013-11-01 2013-11-01 다용도 집게 KR101516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2072A KR101516493B1 (ko) 2013-11-01 2013-11-01 다용도 집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2072A KR101516493B1 (ko) 2013-11-01 2013-11-01 다용도 집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6493B1 true KR101516493B1 (ko) 2015-05-04

Family

ID=53393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2072A KR101516493B1 (ko) 2013-11-01 2013-11-01 다용도 집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649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585A (ko) 2015-06-24 2017-01-03 장병수 복합 용도 포획기
KR20180003088U (ko) 2017-04-19 2018-10-29 서동석 다용도 집게
KR20190090640A (ko) 2018-01-25 2019-08-02 최영화 조간대 저서 생물 포획 장치
KR20190094997A (ko) 2018-02-06 2019-08-14 최정영 조간대 저서 생물 포획 장치
KR20220017146A (ko) * 2020-08-04 2022-02-11 김진묵 그립 집게장치
KR20220026121A (ko) 2020-08-25 2022-03-04 조종곤 어패류 집게 장치
KR20230085443A (ko) * 2021-12-07 2023-06-14 한국전력공사 컷아웃 스위치의 퓨즈홀더 상부 구조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1195U (ko) * 2007-10-08 2007-11-21 조기정 전지가위
KR200443183Y1 (ko) * 2008-09-18 2009-01-20 박재현 이물질 제거용 집게
KR20120123890A (ko) * 2011-05-02 2012-11-12 신명섭 수족관 관리용 집게
KR101244849B1 (ko) * 2010-12-13 2013-03-19 오상준 다용도 집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1195U (ko) * 2007-10-08 2007-11-21 조기정 전지가위
KR200443183Y1 (ko) * 2008-09-18 2009-01-20 박재현 이물질 제거용 집게
KR101244849B1 (ko) * 2010-12-13 2013-03-19 오상준 다용도 집게
KR20120123890A (ko) * 2011-05-02 2012-11-12 신명섭 수족관 관리용 집게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585A (ko) 2015-06-24 2017-01-03 장병수 복합 용도 포획기
KR20180003088U (ko) 2017-04-19 2018-10-29 서동석 다용도 집게
KR200488575Y1 (ko) 2017-04-19 2019-02-22 서동석 다용도 집게
KR20190090640A (ko) 2018-01-25 2019-08-02 최영화 조간대 저서 생물 포획 장치
KR20190094997A (ko) 2018-02-06 2019-08-14 최정영 조간대 저서 생물 포획 장치
KR20220017146A (ko) * 2020-08-04 2022-02-11 김진묵 그립 집게장치
KR102427029B1 (ko) * 2020-08-04 2022-07-29 김진묵 그립 집게장치
KR20220026121A (ko) 2020-08-25 2022-03-04 조종곤 어패류 집게 장치
KR102434625B1 (ko) * 2020-08-25 2022-08-19 조종곤 어패류 집게 장치
KR20230085443A (ko) * 2021-12-07 2023-06-14 한국전력공사 컷아웃 스위치의 퓨즈홀더 상부 구조체
KR102633354B1 (ko) 2021-12-07 2024-02-06 한국전력공사 컷아웃 스위치의 퓨즈홀더 상부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6493B1 (ko) 다용도 집게
US8544919B2 (en) Multi-purpose tongs
US9474428B2 (en) Upright sweep set
US6902060B2 (en) Broom and dustpan kit
US9386901B1 (en) Dust pan with closure
US20080092321A1 (en) Cleaning apparatus
CA2212880A1 (en) Manual pickup device
US9511500B2 (en) Cutting tool
US20110247651A1 (en) Fabric Sweeper
US20070163069A1 (en) Dustpan with a latching mechanism
US10743737B1 (en) Automatic self-wringing microfiber cleaning sponge on an extendable handle
US7784842B1 (en) Hole digging device
CN201201240Y (zh) 一种捡拾器
US20120168455A1 (en) Detactable Handle For Cookware
KR200428883Y1 (ko) 다용도 집게
US20070266588A1 (en) Clothes dryer rake and method of using same
US10100475B1 (en) Animal defecation collection apparatus
US10264722B2 (en) Bulb planter
JP2013070839A (ja) 電気掃除機
US11318601B2 (en) Grip tongs apparatus
US4135700A (en) Lawn weeder
CN221511806U (zh) 一种拆装式簸箕扫帚组合
US6357809B1 (en) Grasping implement
KR200488575Y1 (ko) 다용도 집게
EP4424474A1 (en) Gripp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50922

Effective date: 20160411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200003310;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60519

Effective date: 2016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