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4849B1 - 다용도 집게 - Google Patents

다용도 집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4849B1
KR101244849B1 KR1020100126725A KR20100126725A KR101244849B1 KR 101244849 B1 KR101244849 B1 KR 101244849B1 KR 1020100126725 A KR1020100126725 A KR 1020100126725A KR 20100126725 A KR20100126725 A KR 20100126725A KR 101244849 B1 KR101244849 B1 KR 101244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handle
lever
tongs
op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6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9349A (ko
Inventor
설명환
오상준
Original Assignee
오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531561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24484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오상준 filed Critical 오상준
Priority to KR1020100126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4849B1/ko
Priority to US13/314,378 priority patent/US8544919B2/en
Priority to EP11192818.0A priority patent/EP2463442A3/en
Priority to CN201110432097.XA priority patent/CN102528691B/zh
Priority to JP2011271433A priority patent/JP5848966B2/ja
Publication of KR20120019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9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4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4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oads or like surfaces, with or without moistening of the surface
    • E01H1/12Hand implements, e.g. litter pick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1/00Other hand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 A47J43/283Tongs; Devices for picking, holding or rotating f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00Manipulators positioned in space by hand
    • B25J1/04Manipulators positioned in space by hand rigid, e.g. shelf-reach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oads or like surfaces, with or without moistening of the surface
    • E01H1/12Hand implements, e.g. litter pickers
    • E01H2001/122Details
    • E01H2001/1293Walking cane or the like, i.e. implements allowing handling while in an upright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obotic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Table Equipment (AREA)
  • Gripping Jigs, Holding Jigs, And Positioning Jig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중공의 내부에 작동봉이 삽입되고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삽입되고 일측이 관통된 슬롯이 형성된 손잡이로 구성된 집게에 있어서, 상기 작동봉의 일측 끝단에 구성되고 외주면으로 돌출 구성된 수직플랜지와; 상기 손잡이의 슬롯 부근의 외주면에 일단이 손잡이 몸체와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타측이 외부로 돌출되고 중앙이 관통되어 있는 고정레버와; 상기 고정레버에 중간부가 힌지 고정되고 일측이 손잡이 외부로 형성되는 작동레버와, 타측이 손잡이 내부에 구성되어 상기 수직플랜지를 접촉하는 하부작동레버로 구성된 작동레버로 구성되어; 손잡이에 장착된 작동레버를 누르면 작동레버가 몸체 내의 작동봉을 밀어서 집게편이 오므려지므로 작동봉의 중량이 손에 작용하지 아니하여 집게 작용에 힘이 적게 소요되고 지지장홈과 작동봉 및 집게편의 집게장공을 동시에 결합하는 힌지가 집게장공 및 지지장홈에서 슬라이드 작동하여 집게편에서 작동력이 분산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용도 집게{a pick up pliers}
본원 발명은 다용도 집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손잡이에 장착된 작동레버를 누르면 작동레버가 몸체 내의 작동봉을 밀게되어 작동봉에 힌지 연결된 집게편이 오므려지면서 휴지, 신발 등을 간편하게 집을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중음식점 등에서는 손님이 신발을 현관에 벗어 놓으면 서비스하는 종업원이 신발장에 신발을 보관하였다가 손님이 돌아갈 때 다시 신발을 신발장에 꺼내서 손님이 신을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서비스를 위하여 현관에서 손님들의 신발을 정리하기 위하여 신발장에 넣고 꺼내는 작업은 주로 손을 사용하는 것이므로 신발에 기생하는 무좀균과 같은 각종 병원균에 감염되는 등의 폐단이 발생되었을 뿐 아니라 비위생적이었으므로
보다 음식점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없었다.
이러한 폐단을 줄이기 위하여 식당에서는 신발의 정리를 위하여 신발을 신발장에 넣고 꺼내는 작업을 보다 청결하게 유지하여 음식점을 보다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집게를 사용하게 되었다.
상기 집게는 신발 뿐만 아니라 휴지를 줍는 집게로서 사용되기도 하고 나무에서 저절로 떨어진 밤송이를 채취하는 집게로도 사용되어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종래기술의 집게는 중공 내에 작동봉(120)이 삽입되며 일측 끝단 부근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111)와, 상기 슬롯에 삽입되어 몸체(111)를 관통하여 구성되고 중간부가 작동봉(120)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는 손잡이부(160)와, 상기 몸체(111)의 타측 내면에는 내경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작동봉(120)의 외경과 이격 형성되는 핀(121)과, 상기 작동봉(120)이 내경에 삽입되고 상기 몸체(111) 내부에 구성되는 스프링(130)과, 상기 몸체(111)의 타단에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작동봉(120)이 관통되는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의 양측 가장자리의 끝단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링크편(141,142)으로 구성된 지지편(140)와, 상기 지지편(140)의 링크편(141,142)과 중간부가 힌지 결합되고,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ㄱ'형상으로 절곡되어 일측은 상기 작동봉(120)의 타단에 힌지 결합되는 작동편(153)으로 구성되고, 타측은 중간부를 기준으로 약간 절곡되어 상부집게편(152)과 하부집게편으로 구성되되, 상기 하부집게편(151)은 끝단의 양측면이 톱날 형상으로 구성되어 밤을 집는 집게편(150)와, 상기 몸체(111) 일측에 일단이 외주면에 일체형으로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손잡이부(160)의 일단에 힌지 고정되는 고정레버(163)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종래기술의 작용을 살펴보면, 상기 손잡이를 손으로 잡고 상부작동레버(162)를 엄지손가락 등으로 몸체(111)에 인접하게 잡아당기면 손잡이부(160)에 고정되고 몸체(111) 내에 있는 작동봉(120)이 스프링(130)을 압축하면서 탄력적으로 상승하게 되면서 작동봉(120)의 하부의 핀(121)에 의해 힌지 결합된 한쌍의 작동편(153)들이 링크편(141,142)들에 지지된 상태에서 위로 당겨지게 된다.
상기 양측 링크편(141,142)에 핀(121)으로 힌지 결합된 양측 작동편(153)들이 집게편(150)와 링크편(141,142)에 핀(121)에 의한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어 작동편(153)이 서로 마주보게 오므려들면서 하부집게편(151)도 서로 마주보게 접근하게 되어 하부집게편(151) 사이에 있는 밤을 쉽게 집을 수 있게 된다.
상기 몸체(111)에 밀착시켰던 상부작동레버(162)를 놓아주면 스프링(130)이 탄발 복원되면서 스프링(130)의 복원력에 의하여 작동봉(120)이 다시 하강되어 양측 작동편(153)들이 집게편(150)와 링크편(141,142)에 핀(121)으로 결합된 힌지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양측 하부집게편(151)들을 밀어 외측으로 벌어지게하여 하부집게편(151)이 원위치하게 된다.
보편적으로 집게는 사람이 서서 지상으로 집게를 향하게 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종래기술의 집게는 물건을 집기 위하여 손잡이부에 구성된 작동레버를 누르면 작동레버가 몸체 내의 작동봉을 당겨서 작동봉에 힌지 연결된 집게편이 오므려지게 되는 구성으로서 집게 작용시 작동봉의 중량과 작동봉에 작용하는 중력을 합한 힘의 이상으로 작동레버를 눌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하면, 작동봉의 중량과 작동봉에 작용하는 중력을 더한 힘이 더 소요되는 것이다.
또한, 종래기술의 집게는 상부집게편과 하부집게편의 폭이 동일하고 하부집게편이 외부로 돌출되어 크기를 작게 만들어도 두께보다 넓고 결합 강도가 낮아 쉽게 부셔지는 전과 같은 음식의 만들 때 사용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의 집게는 작동봉의 당김에 의하여 집게편이 오므려드는 구조이므로 하부집게편이 상부집게편보다 외부로 돌출되어 지면과 붙어 있는 넓은 물체을 집기 위하여 하부집게편을 지면과 물체 사이로 넣지 못하여 넓은 물체는 집지는 못하는 경우가 있다.
본원 발명은 상기의 종래기술 집게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작동봉의 중량이 손에 부가되지 아니하면서 전과 같은 음식의 조리에 사용할 수 있으면서 휴지, 신발 등을 집는 일반적인 집게로 사용할 수 있는 다용도 집게를 제공함에 있다.
본원 발명은 중공의 내부에 작동봉이 삽입되고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삽입되고 일측이 관통된 슬롯이 형성된 손잡이로 구성된 집게에 있어서, 상기 작동봉의 일측 끝단에 구성되고 외주면으로 돌출 구성된 수직플랜지와; 상기 손잡이의 슬롯 부근의 외주면에 일단이 손잡이 몸체와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타측이 외부로 돌출되고 중앙이 관통되어 있는 고정레버와; 상기 고정레버에 중간부가 힌지 고정되고 일측이 손잡이 외부로 형성되는 작동레버와, 타측이 손잡이 내부에 구성되어 상기 수직플랜지를 접촉하는 하부작동레버로 구성된 작동레버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기 몸체의 일측 내면에는 내경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작동봉의 외경과 이격 형성되는 핀과; 상기 핀과 상기 수직플랜지 사이에 구성되고 상기 작동봉이 내경에 삽입되는 스프링이 더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기 몸체의 타측 끝단의 외경 양측에 고정되는 결합홈이 구성되고 상기 결합홈의 끝단에 결합홈과 일체형으로 결합홈 보다 작은 폭으로 관통된 지지장홈이 구성된 지지편이 더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기 집게이 힌지공을 중심으로 절곡되어 일측에는 관통된 집게장공이 형성된 작동편과, 타측에는 중간부가 절곡된 상부집게편으로 구성된 집게편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기 상부집게편에는 외주면에 요철이 형성된 평판형의 하부집게편이 더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기 수직플랜지와 결합되고 하부작동레버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수평돌기가 더 구성되는 것이다.
본원 발명은 손잡이에 장착된 작동레버를 누르면 작동레버가 몸체 내의 작동봉을 밀어서 집게편이 오므려지므로 작동봉의 중량이 손에 작용하지 아니하여 집게 작용에 힘이 적게 소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은 하부집게편이 지지편 보다 돌출되어 있지 아니하여 지면과 붙어 있는 넓은 물체를 집기에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은 지지장홈과 작동봉 및 집게편의 집게장공을 동시에 결합하는 힌지가 집게장공 및 지지장홈에서 슬라이드 작동하여 집게편에서 작동력이 분산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부집게편에 하부집게편이 부착되는 구성으로서 집게의 용도에 맞게 하부집게편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종래기술의 집게 단면도.
도 2: 본원 발명의 다용도 집게의 사시도.
도 3: 본원 발명의 다용도 집게의 단면 상태도.
도 4: 본원 발명의 다용도 집게의 작동도.
도 5: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다용도 집게의 단면 상태도.
도 6: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다용도 집게의 작동도.
도 7: 본원 발명의 집게편의 평면도.
도 8: 본원 발명의 지지편와 몸체의 결합 상태도.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본원 발명의 다용도 집게의 사시도인 도 2, 본원 발명의 다용도 집게의 단면 상태도인 도 3,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다용도 집게의 단면 상태도인 도 5, 본원 발명의 집게편의 평면도인 도 7 및 본원 발명의 지지편와 몸체의 결합 상태도인 도 8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원 발명의 다용도 집게(10)는 손잡이(64), 몸체(11), 지지편(40), 집게편(50)의 대별 구성으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11)의 일측 즉 상부에는 손잡이(64)가 구성되고, 몸체(11)의 타측 즉 하부에는 지지편(40)이 구성되고, 지지편(40)에 집게편(50) 및 몸체(11) 내에 구성되는 작동봉(20)이 힌지(56) 결합된다.
상기 몸체(11)는 중공 내에 작동봉(20)이 삽입되는 중공의 원형 파이프의 형태로서 일측 끝단에 원통형의 손잡이(64)가 구성되고, 상기 손잡이(64)는 상기 몸체(11)의 일측 끝단의 외부에 삽입되고 일측 부근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슬롯이 형성된다.
상기 몸체(11)는 단면이 원형, 정사각형 또는 다각형 파이프로 제작이 가능하나 단가 및 취급성 등을 감안하면 원형 파이프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롯은 손잡이(64)의 일측 끝단 부근 즉 상부 부근에 몸체(1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몸체(11)의 종단방향으로 몸체(11) 상부만 관통되게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64)의 슬롯 부근의 외주면에는 일측이 손잡이(64) 몸체와 일체형으로 고정되고, 타측이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고 중앙에 관통되어 있는 관통공이형성된 고정레버(63)가 구성된다.
상기 고정레버(63)에 작동레버(60)이 힌지 고정되는데, 상기 작동레버(60)는 중간부가 힌지용 관통공이 형성되고 일측이 손잡이 외부로 형성되는 상부작동레버(61)와 타측이 상부작동레버(61)와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손잡이(64)의 슬릿에 삽입되어 손잡이(64) 내부에 구성되는 하부작동레버(62)로 구성된다.
즉, 상기 작동레버(60)는 힌지를 중심으로 한 상부작동레버(62)는 몸체(11) 외부에 존재하고 하부작동레버(61)는 일부분이 몸체(11) 내에 존재하게 된다.
상기 작동레버(60)의 힌지용 관통공과 상기 고정레버(63)의 관통공을 핀으로 힌지 결합되어 작동레버(60)가 고정레버(63)에 힌지 회전하게 된다.
즉, 상부작동레버(61)를 작업자가 손으로 손잡이(64) 방향으로 누르면 상부작동레버(61)가 힌지를 중심으로 하향 회전하게 되면서 하부작동레버(62)도 힌지를 중심으로 상부작동레버(61)와 같은 방향으로 힌지 회전하게 된다.
상기 몸체(11) 내에는 형성되면서 몸체(11)의 양단이 몸체(11)의 외부로 돌출되는 중실의 작동봉(20)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봉(20)의 일측 끝단에 구성되는 외주면으로 플랜지로 돌출 구성된 수직플랜지(22-1)가 구성된다.
상기 작동봉(20)은 단면이 원형, 정사각형 또는 다각형 봉으로 제작이 가능하나 단가 및 취급성 등을 감안하면 원형 봉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동레버(60)의 하부작동레버(62)는 상기 수직플랜지(22-1)의 측면과 접촉하게 구성되어 상기 상부작동레버(61)의 작동에 의하여 고정레버(63)를 중심으로 힌지 회전되는 하부작동레버(62)가 수직플랜지(22-1)를 밀게 되고 수직플랜지(22-1)와 일체형으로 구성된 작동봉(20)이 작동하게 된다.
즉, 상기 고정레버(63)는 작동레버(60)의 중간부와 힌지 결합되어 상부작동레버(61)를 작동하게 할 때 하부작동레버(62)가 집게편(50) 방향으로 회전하게 작동봉(20)이 전전하게 하여 작동봉(20)의 타측에 결합된 집게가 작동하게 한다.
한편, 상기 몸체(11)의 일측 내면에 핀(21)이 구성되는데, 상기 핀(21)은 상기 몸체(11)의 일측 내면에는 내경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작동봉(20)의 외경과 이격 형성되면서 상기 수직플랜지(22-1)와도 이격되게 구성된다.
상기 수직플랜지(22-1)의 외경 작동봉(20)의 외경보다 크면서 몸체(11)의 내경보다 작게할 수도 있고 크게 할 수도 있는데, 수직플랜지(22-1)의 작동시 수직플랜지(22-1)가 몸체(11) 내에 삽입 작동되게 구성할 경우에는 수직플랜지(22-1)의 외경을 몸체(11)의 내경보다 작게하고, 수직플랜지(22-1)의 작동시 수직플랜지(22-1)가 몸체(11) 내에 삽입되지 않고 작동되게 구성할 경우에는 수직플랜지(22-1)의 외경을 몸체(11)의 내경보다 크게 하면 되나 수직플랜지(22-1)의 외경이 작을 경우에도 수직플랜지(22-1)가 몸체(11) 내에 삽입되지 않게 작동하여도 무관하다.
상기 핀(21)과 상기 수직플랜지(22-1) 사이에 구성되면서 상기 작동봉(20)이 내경에 삽입되는 스프링(30)이 구성되는데, 상기 스프링(30)은 일부가 상기 몸체(11) 내부에 구성되는 원통 코일 스프링이다.
상기 스프링(30)은 수직플랜지(22-1)를 탄력 지지하게 되어 수직플랜지(22-1)와 일체형으로 구성된 작동봉(20)을 탄력 지지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작동봉(20)에 힌지 결합된 집게가 탄력 지지된다.
상기 스프링(30)은 몸체(11)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작동봉(20)에 고정된 수직플랜지(22-1)와 몸체(11) 내부에 구성된 핀(21) 사이에 구성되어 수직플랜지(22-1)를 상부로 밀어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작동레버(60)가 작동되지 아니한 상태에서는 스프링(30)의 탄발 복원력에 의하여 작동봉(20)이 상승되어 집게를 벌어지게 한다.
즉, 상기 스프링(30)은 작동레버(60)가 작동될 경우에는 핀(21)과 수직플랜지(22-1) 사이에서 압축되고 작동레버(60)가 원위치되면 복원되어 작동봉(20)을 원위치시켜 상기 집게가 원위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작동레버(60)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집게편(50)이 힌지에 의하여 회전 작동된다.
상기 몸체(11)의 타측 끝단에 지지편(40)이 구성되는데, 상기 지지편(40)은 상기 몸체(11)의 타측 끝단 즉 하부 외경 양측에 일체형으로 고정되는 결합홈(41)이 구성되고 상기 결합홈(41)의 끝단에 결합홈(41)과 일체형으로 결합홈(41) 보다 작은 폭으로 관통된 지지장홈(42)이 구성된 지지편(40)이 구성된다.
상기 지지편(40)은 판형으로서 몸체(11)에 결합되는 일측 보다 타측의 폭이 큰 대략 삼각형 형상으로 되고 중앙부는 일측면에서 내면 방향으로 결합홈(41)과 지지장홈(42)이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편(40)에 상기 집게가 힌지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몸체(11)의 타측 끝단의 양측과 지지편(40)과 결합홈(41)의 내면을 용접 등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몸체(11)의 작동봉(20)의 타단이 몸체(11)의 타단 외부로 돌출되고 돌출된 작동봉(20)의 타단은 지지편(40)의 지지장홈(42)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지지편(40)의 타측의 양측 하단부 가장자리의 끝단에서 각각에는 집게편(50)과 힌지 결합하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어 지지편(40)의 하단부에 집게편(50)이 힌지 결합된다.
즉, 상기 작동봉(20)은 몸체(11)의 하부에 돌출되어 지지장홈(42)에 위치하여 작동봉(20)의 타측 끝단에는 한쌍의 집게편(50)과 핀 이음으로 힌지(56) 결합되어 있다.
상기 지지편(40)은 하부는 집게편(50)과 핀에 의한 힌지 결합되어 양측 집게편(50)이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힌지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집게편(50)은 상기 지지편(40)과 중간부가 힌지 결합되고, 일측이 상기 작동봉(20)의 타단에 힌지 결합되게 구성되고, 작동편(53) 및 상부집게편(52)으로 구분 구성된다.
즉. 상기 집게편(50)은 힌지공을 중심으로 절곡되어 일측에는 관통된 집게장공(54)이 형성된 작동편(53)과, 타측에는 중간부가 절곡된 상부집게편(52)으로 구성된다.
상기 집게편(50)은 중간에 지지편(40)과 핀으로 힌지 결합된 힌지를 중심으로 'ㄱ'형상으로 절곡되어 일측은 작동편(53)이 되고 타측은 상부집게편(52)으로 구성되고 작동편(53)과 상부집게편(52)은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집게장공(54)은 작동편(53)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관통되어 상기 작동봉(20)의 타측 끝단과 상기 집게장공(54) 및 상기 지지장홈(42)이 동시에 힌지(56) 결합되어 상기 작동봉(20)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힌지(56)가 집게장공(54) 및 지지장홈(42)에서 슬라이드 작동에 의하여 집게편(50)이 작동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집게편(50)은 중간이 작동봉(20)의 타단에 힌지 결합되고, 타측이 집게 작용을 하는 상부집게편(52)으로 구성되고, 상부집게편(52)은 작동편(53)에서 절곡되어 일체형으로 연장된 상부집게편(52)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상부집게편(52)에는 일체형으로 연장 구성되고 외주면에 요철이 형성된 평판형의 하부집게편(51)이 더 구성되는데, 상기 상부집게편(52)의 중간에는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집게편(51)의 중간에는 장공의 돌기결합홈이 구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돌기결합홈에 삽입되어 상부집게편(52)과 하부집게편(51)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돌출부의 높이는 상기 하부집게편(51)의 두께와 같거나 조금 작게 구성하여 돌출부가 하부집게편(51)의 평면으로 돌출되지 않게 한다.
또한, 상기 하부작동레버(62)에 수평돌기(62-1)를 더 구성할 수도 있는데, 상기 수평돌기(62-1)는 상기 수직플랜지(22-1)와 결합되고 하부작동레버(62)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상기 상부작동레버(61-1)의 작동에 의하여 수평돌기(62-1)가 수직플랜지(22-1)를 밀어 상기 집게편(50)이 작동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상부작동레버(61-1)가 손에 의하여 손잡이(64) 방향으로 작동되면 고정레버(63)를 중심으로 하여 수평돌기(62-1)가 상부작동레버(61-1)와 같은 방향으로 힌지 회전 즉 지지편(40)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수평돌기(62-1)는 수평돌기(62-1)와 맞물려 있는 수직플랜지(22-1)를 밀게되어 수직플랜지(22-1)와 일체형으로 결합된 작동봉(20)이 전진하여 작동봉(20)에 힌지 결합된 집게편(50)이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상부집게편(52)과 하부집게편(51)이 접촉되는 부분을 용접하여 상부집게편(52)과 하부집게편(51)을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하부집게편(51)의 가장자리를 절곡하여 하부집게편(51)의 외주면에 형성된 요철이 서로 마주 보게 구성할 수도 있다.
본원 발명은 집게편(50)이 띠형으로 구성되고 하부집게편(51)은 집게편(50)과 직각으로 구성되면서 평판형으로 구성되어 집게편(50)의 어느 정도의 넓은 면적으로 구성할 수 있고 또한 하부집게편(51)이 지지편(40) 보다 돌출되어 있지 아니하여 지면과 붙어 있는 넓은 물체로서 강도가 약한 전과 같은 음식을 용이하게 집거나 뒤집힐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집게편(50)은 중간부를 기준으로 약간 절곡되어 상부집게편(52)과 작동편(53)으로 구분되고 상부집게편(52)에 양측면이 요철형상으로 구성된 하부집게편(51)이 구성되어, 집게편(50)이 작동하게 되면 한쌍의 하부집게편(51)의 요철 형상이 마주보게 되고 이 하부집게편(51) 사이에 쓰레기, 신발 등이 위치하게 하여 양측의 하부집게편(51)이 서로 접근하여 이들을 집게 되게 된다.
상기 하부집게편(51)에는 부드러운 과일을 집을 수 있게 외부 표면에는 우레판, 고무 등과 같은 완충부재를 코팅되어 과일의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몸체(11)가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몸체(11) 끝단에서 몸체(11) 내에 이물질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작업시에 작업자가 몸체(11) 끝단에 의한 찰과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몸체(11) 상부 끝단에 두껑이 구성된다.
본원 발명의 다용도 집게(10)의 단면 상태도인 도 3, 본원 발명의 다용도 집게(10)의 작동도인 도 4,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다용도 집게의 단면 상태도 도 5 및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다용도 집게의 작동도 도 6으로 본원 발명의 작용을 살펴보면,
상기 손잡이(64)를 손으로 잡고 상부작동레버(61)를 손으로 손잡이(64) 방향으로 누르면 고정레버(63)에 힌지 고정되고 상부작동레버(61)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하부작동레버(62)가 지지편(40) 방향으로 힌지 회전하게 된다.
상기 하부작동레버(62)의 힌지 회전에 의하여 하부작동레버(62)가 수직플랜지(22-1)를 밀게 되면서 수직플랜지(22-1)와 핀(21) 사이에 있는 스프링(30)이 압축된다.
이때, 수직플랜지(22-1)에 일체형으로 구성된 작동봉(20)이 지지편(40)으로 전진하게 되고, 작동봉(20)의 타측 끝단에 구성되고 지지편(40)과 힌지 결합된 힌지가 지지장홈(42) 내에서 슬라이딩 되면서 집게장공(54) 내에서도 슬라이딩을 동시에 하게 된다.
상기 힌지가 집게장공(54) 내에서도 슬라이딩으로 인하여 집게편은 지지편(40)과 힌지 결합에 의하여 이 힌지를 중심으로 작동편(53)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지지편(40)에 핀으로 힌지 결합된 작동편(53)이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어 상부집게편(52)이 서로 마주보게 오므라들게 되어 상부집게편(52)에 구성된 하부집게편(51)도 서로 마주보게 접근하게 되어 하부집게편(51) 사이에 있는 물건을 쉽게 집을 수 있게 된다.
상기 몸체(11)에 밀착시켰던 상부작동레버(61)를 놓아주면 스프링(30)이 탄발 복원되면서 스프링(30)의 복원력에 의하여 작동봉(20)이 상승하어 상부집게편(52)이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양측 하부집게편(51)들이 외측으로 벌어지게 되어 하부집게편(51)이 원위치하게 된다.
또한, 다른 실시예는 상기 하부작동레버(62)의 힌지 회전에 의하여 수평돌기(62-1)가 수평돌기(62-1)와 맞물려 있는 수직플랜지(22-1)를 하부작동레버(62)가 밀게 되면서 수직플랜지(22-1)와 핀(21) 사이에 있는 스프링(30)이 압축되면 그 이후의 작용은 상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원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원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원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다용도 집게 11: 몸체
20: 작동봉 21: 핀
22-1: 수직플랜지 30: 스프링
40: 지지편 41: 결합홈
42: 지지장홈 50: 집게편
51: 하부집게편 52: 상부집게편
53: 작동편 54: 집게장공
56: 힌지 60, 60-1: 작동레버
61, 61-1: 상부작동레버 62: 하부작동레버
62-1: 수평돌기 63: 고정레버
64: 손잡이부

Claims (6)

  1. 중공의 내부에 작동봉이 삽입되고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삽입되고 일측이 관통된 슬롯이 형성된 손잡이와,
    상기 작동봉의 일측 끝단에 구성되고 외주면으로 돌출 구성된 수직플랜지와,
    상기 손잡이의 슬롯 부근의 외주면에 일단이 손잡이 몸체와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타측이 외부로 돌출되고 중앙이 관통되어 있는 고정레버와,
    상기 고정레버에 중간부가 힌지 고정되고 일측이 손잡이 외부로 형성되는 상부작동레버와, 타측이 손잡이 내부에 구성되어 상기 수직플랜지를 접촉하는 하부작동레버로 구성된 작동레버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의 타측 끝단의 외경 양측에 고정되는 결합홈이 구성되고 상기 결합홈의 끝단에 결합홈과 일체형으로 결합홈 보다 작은 폭으로 관통된 지지장홈이 구성된 지지편이 더 구성되고;
    힌지공을 중심으로 절곡되어 일측에는 관통된 집게장공이 형성된 작동편과, 타측에는 중간부가 절곡된 상부집게편으로 구성된 집게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작동봉의 타측 끝단과 상기 집게장공 및 상기 지지장홈이 동시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작동봉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힌지가 집게장공 및 지지장홈에서 슬라이드 작동에 의하여 집게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집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측 내면에는 내경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작동봉의 외경과 이격 형성되는 핀과;
    상기 핀과 상기 수직플랜지 사이에 구성되고 상기 작동봉이 내경에 삽입되는 스프링이 더 구성되어;
    상기 스프링이 상기 작동봉을 원위치시켜 상기 집게가 원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집게.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집게편에는 외주면에 요철이 형성된 평판형의 하부집게편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집게.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플랜지와 결합되고 하부작동레버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수평돌기가 더 구성되어;
    상기 상부작동레버의 작동에 의하여 수평돌기가 수직플랜지를 밀어 상기 집게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집게.
KR1020100126725A 2010-12-13 2010-12-13 다용도 집게 KR101244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6725A KR101244849B1 (ko) 2010-12-13 2010-12-13 다용도 집게
US13/314,378 US8544919B2 (en) 2010-12-13 2011-12-08 Multi-purpose tongs
EP11192818.0A EP2463442A3 (en) 2010-12-13 2011-12-09 Multi-purpose tongs
CN201110432097.XA CN102528691B (zh) 2010-12-13 2011-12-12 多功能夹具
JP2011271433A JP5848966B2 (ja) 2010-12-13 2011-12-12 多用途挟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6725A KR101244849B1 (ko) 2010-12-13 2010-12-13 다용도 집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349A KR20120019349A (ko) 2012-03-06
KR101244849B1 true KR101244849B1 (ko) 2013-03-19

Family

ID=45315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6725A KR101244849B1 (ko) 2010-12-13 2010-12-13 다용도 집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544919B2 (ko)
EP (1) EP2463442A3 (ko)
JP (1) JP5848966B2 (ko)
KR (1) KR101244849B1 (ko)
CN (1) CN102528691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6493B1 (ko) * 2013-11-01 2015-05-04 설명환 다용도 집게
CN104589299A (zh) * 2015-02-09 2015-05-06 张琦 一种工业废料焚烧炉操控手钳
KR20180003088U (ko) 2017-04-19 2018-10-29 서동석 다용도 집게
KR20220026121A (ko) 2020-08-25 2022-03-04 조종곤 어패류 집게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19527A1 (en) * 2010-11-12 2012-05-17 Jeffery Dale Deitemeyer Barbeque grilling utensil
CN102657464A (zh) * 2012-05-09 2012-09-12 吴善锁 新型公用夹菜装置
KR200471878Y1 (ko) * 2012-09-13 2014-03-19 김정도 반사필름 설치용 벽돌집게
KR101415744B1 (ko) 2013-02-20 2014-07-0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스트링선택트랜지스터들의 문턱전압을 모니터링하는 ssl 상태 확인 빌딩을 구비한 3차원 적층형 낸드 플래시 메모리 어레이, 그 모니터링 및 구동방법
US9056393B1 (en) * 2013-03-15 2015-06-16 Commercial Christmas Clip Company Llc Light installation pole
US11052512B1 (en) * 2013-05-08 2021-07-06 Clay A. Allison Adjustable knife sharpener and clamping assembly
US10744614B1 (en) 2013-05-08 2020-08-18 Clay A. Allison Adjustable sharpe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utting implements
US20150217442A1 (en) * 2014-01-31 2015-08-06 James Russell ALEXANDER Installation device for storm drain trap
JP6041404B1 (ja) * 2015-08-19 2016-12-07 省二 柳川 トング
US9737975B1 (en) * 2016-04-08 2017-08-22 Tim Tripi Clamping tool
CN105803847A (zh) * 2016-04-18 2016-07-27 中国宣纸股份有限公司 大尺寸宣纸的固定夹
CN107344340B (zh) * 2016-05-06 2019-05-17 共茂工业股份有限公司 可自动夹固的钳子
GB2555098A (en) * 2016-10-13 2018-04-25 Schalk Visser Hendrik Hand operated extension gripper
US11154129B2 (en) * 2017-03-31 2021-10-26 Creative Touch Solutions Llc Wheelchair joystick retriever
CN107521783A (zh) * 2017-09-05 2017-12-29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夹纸机构及玻璃拆包机
US10981280B2 (en) * 2017-10-16 2021-04-20 Sensor Networks, Inc. Mechanize retrieval tool with camera
CN107732782A (zh) * 2017-11-16 2018-02-23 国网浙江乐清市供电有限公司 一种10kV配电线路悬挂垃圾带电处理工具
CN108527302A (zh) * 2018-05-25 2018-09-14 吴江远洋电气有限责任公司 一种有载调压开关油室异物夹取装置
CN108755545B (zh) * 2018-06-14 2019-08-30 倪若鸿 一种多元化垃圾拾取装置
KR102032416B1 (ko) * 2019-02-25 2019-10-15 김용구 내열형 에어 클램프 장치
JP7224960B2 (ja) * 2019-02-27 2023-02-20 株式会社日向製錬所 るつぼ支持具
US10913514B2 (en) * 2019-04-18 2021-02-09 Roy W. Martin Deployable boat hook
KR102334059B1 (ko) * 2019-11-18 2021-12-02 (주)지비엔텍 회전구동방식의 록킹 모듈
US11897076B2 (en) 2021-04-20 2024-02-13 Clay A. Allison Knife sharpener with clamping assembly
CN114227637A (zh) * 2021-12-31 2022-03-25 王奕陶 一种模具加工夹具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30444U (ja) * 1991-05-23 1992-11-30 富士通株式会社 ウエーハ把持工具
KR100857014B1 (ko) * 2007-10-11 2008-09-04 허만국 비닐 코팅된 벽보의 제거기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20899A (en) * 1916-05-10 1917-03-27 Niels Christian Sorensen Tongs.
US2518994A (en) * 1946-08-21 1950-08-15 William J Miller Forceps
US2827694A (en) * 1955-01-07 1958-03-25 Otto F Trippler Hand-operated cam actuated pivoted jaw tool
US2981133A (en) * 1959-01-05 1961-04-25 Allen E Campman Ratcheting pliers
US3219376A (en) * 1963-01-25 1965-11-23 Gerald L Peters Remote control article handling tool
US3372480A (en) * 1966-06-15 1968-03-12 Kelsey Hayes Co Cam actuated pivoted jaw tool
US4225174A (en) * 1977-11-21 1980-09-30 Hennessy Michael P Jaw-type refuse collecting device
FR2544354A1 (fr) * 1983-04-18 1984-10-19 Jocel Appareil individuel pour le ramassage d'objets a terre, notamment de dejections animales
US4547010A (en) * 1984-03-06 1985-10-15 Camp Walter M Mechanical weed remover
CA1247876A (en) * 1985-12-09 1989-01-03 Egisto Di Carlo Cooking utensil
US4669769A (en) * 1986-02-28 1987-06-02 Polder Jr John Pick up device
JPH0374579U (ko) * 1989-11-22 1991-07-26
US20040145196A1 (en) * 2003-01-28 2004-07-29 Katz Sidney I. Pooch pooh snatcher
US20040194320A1 (en) * 2003-04-02 2004-10-07 Jung-Te Hsieh Apparatus for pruning high branches
ES2244329B1 (es) * 2004-04-19 2007-02-16 Biomed S.A. Dispositivo para la recogida de heces y productos contaminados.
JP4990025B2 (ja) * 2007-05-17 2012-08-01 株式会社三英社製作所 万能把持スティック
JP4321875B1 (ja) * 2008-08-12 2009-08-26 株式会社高橋工業 ハンドマニプレー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30444U (ja) * 1991-05-23 1992-11-30 富士通株式会社 ウエーハ把持工具
KR100857014B1 (ko) * 2007-10-11 2008-09-04 허만국 비닐 코팅된 벽보의 제거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6493B1 (ko) * 2013-11-01 2015-05-04 설명환 다용도 집게
CN104589299A (zh) * 2015-02-09 2015-05-06 张琦 一种工业废料焚烧炉操控手钳
KR20180003088U (ko) 2017-04-19 2018-10-29 서동석 다용도 집게
KR20220026121A (ko) 2020-08-25 2022-03-04 조종곤 어패류 집게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125917A (ja) 2012-07-05
EP2463442A3 (en) 2013-05-22
KR20120019349A (ko) 2012-03-06
CN102528691B (zh) 2014-08-13
EP2463442A2 (en) 2012-06-13
CN102528691A (zh) 2012-07-04
US8544919B2 (en) 2013-10-01
JP5848966B2 (ja) 2016-01-27
US20120146351A1 (en) 2012-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4849B1 (ko) 다용도 집게
US3560039A (en) Sanitation device
KR101516493B1 (ko) 다용도 집게
US9315308B2 (en) Receptacle top with removable dust pan lid
US20130305893A1 (en) Multifunctional cooking utensil
KR100698600B1 (ko) 기능성 쓰레받기
US20110147545A1 (en) Portable bag holding device
US20200018027A1 (en) Waste collector
US5237749A (en) Hand tool for peeling elongated vegetables
AU2007281013B2 (en) Food rack
DE202007014304U1 (de) Vorratsbehälter zur Selbstbedienung für Stückgüter
US20060208511A1 (en) Pan lifting implement
KR20130005535U (ko) 접이식 캠핑용 그릴 테이블
KR101560153B1 (ko) 양면 사용이 가능한 밀대 청소기
US10100475B1 (en) Animal defecation collection apparatus
JP3233233U (ja) プレスツール
US20200022555A1 (en) Mop draining bucket adapter
KR20110003409U (ko) 쓰레기통 겸용 쓰레받기
KR200492105Y1 (ko) 간이 쓰레기통
US2237836A (en) Collection receptacle
KR101231979B1 (ko) 음식용기용 집게
US6357809B1 (en) Grasping implement
KR101387964B1 (ko) 쓰레받기 겸용 휴지통
US900908A (en) Hot-egg opener and holder.
US10874258B2 (en) Cake pan inversion tool and st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4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50729

Effective date: 20160323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0004080;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50729

Effective date: 20160323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60118

Effective date: 20160405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0000145;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60118

Effective date: 20160405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0000147;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60118

Effective date: 20160405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60502

Effective date: 20160715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200006135;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60810

Effective date: 20161103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200002874;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60429

Effective date: 20161103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200002867;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60429

Effective date: 20161103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300002676; JUDGMENT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61124

Effective date: 20170309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