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2416B1 - 내열형 에어 클램프 장치 - Google Patents

내열형 에어 클램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2416B1
KR102032416B1 KR1020190021884A KR20190021884A KR102032416B1 KR 102032416 B1 KR102032416 B1 KR 102032416B1 KR 1020190021884 A KR1020190021884 A KR 1020190021884A KR 20190021884 A KR20190021884 A KR 20190021884A KR 102032416 B1 KR102032416 B1 KR 102032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driving lever
drive
pin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1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구
Original Assignee
김용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구 filed Critical 김용구
Priority to KR1020190021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24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2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2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06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 B25B5/061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with fluid drive
    • B25B5/064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with fluid drive with clamping means pivoting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ress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04Clamps with pivoted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06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 B25B5/067C-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14Clamps for work of special profile
    • B25B5/145Clamps for work of special profile for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내열형 에어 클램프 장치는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왕복운동을 수행하는 실린더부; 실린더부의 일단에 결합되어 왕복운동에 의해 위치가 변경되는 구동 블록; 구동 블록과 구동핀을 통해 연결되며, 구동 블록의 직선운동에 따라 구동핀의 슬라이딩 구동을 유도하는 가이드 홈, 및 가이드 홈에 의해 발생한 구동핀의 슬라이딩 구동에 의해 유도되는 회전운동의 중심축을 수용하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실린더부의 일단이 전진시 개방되고, 실린더부의 일단이 후퇴시 폐쇄되는 구동 레버; 고정홈에 삽입되어 구동 레버의 회전운동의 중심축을 형성하는 고정핀; 및 고정핀을 통해 상기 구동 레버와 결합되고, 내측에 실린더부의 일단과 구동 블록의 직선운동 및 구동 레버의 회전운동을 수용하기 위한 구동공간이 형성된 클램프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내열형 에어 클램프 장치{HEAT RESISTANT AIR CLAMP DEVICE}
본 발명은 내열형 에어 클램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온 공정을 통해 생산되는 강판 또는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합판 등의 판재 등을 파지하는 내열형 에어 클램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이나 빌딩과 같은 구조물 또는 기구 구조물을 제작하는 작업현장에서는 대상물의 특성상 예를 들어 벽체 표면에 붙은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청소하거나 또는 표면에 도장작업이나 부가물을 시공하는 등과 같이 높은 위치에서 작업을 하는 고소작업이 요구될 때가 있으며, 이러한 작업을 위해 구조물을 구속시키는 클램프가 사용된다.
또한, 고온에서 성형된 강재 또는 판재의 운반시 클램프를 활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렇게 사용되는 클램프는 형태에 따라 C타입, G타입, F타입 등으로 분류된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1754822호(이하 '선행문헌'이라 함)에는 고열의 철강소재를 그립하는 그립장치가 개시된다. 다만, 선행문헌에 개시된 그립장치는 구동연결부를 통해 실린더와 가동핑거팁이 연결된다. 이처럼, 동력원과 클램프 구조물 사이에 추가적인 구조물이 연결됨에 따라 제조과정이 복잡하고, 반복적인 장비사용시 유지보수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54822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조가 간소화된 내열형 에어 클램프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물 간 연결 구조를 최소화하여 제조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내열형 에어 클램프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내열형 에어 클램프 장치는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왕복운동을 수행하는 실린더부; 상기 실린더부의 일단에 결합되어 왕복운동에 의해 위치가 변경되는 구동 블록; 상기 구동 블록과 구동핀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구동 블록의 직선운동에 따라 상기 구동핀의 슬라이딩 구동을 유도하는 가이드 홈, 및 상기 가이드 홈에 의해 발생한 상기 구동핀의 슬라이딩 구동에 의해 유도되는 회전운동의 중심축을 수용하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부의 일단이 전진시 개방되고, 상기 실린더부의 일단이 후퇴시 폐쇄되는 구동 레버;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어 상기 구동 레버의 회전운동의 중심축을 형성하는 고정핀; 및 상기 고정핀을 통해 상기 구동 레버와 결합되고, 내측에 상기 실린더부의 일단과 구동 블록의 직선운동 및 상기 구동 레버의 회전운동을 수용하기 위한 구동공간이 형성된 클램프 하우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구동 레버는, 상기 실린더부의 일단이 전진시 상방으로 개방되고, 상기 실린더부의 일단이 후퇴시 하방으로 폐쇄되는 제1 구동레버; 및 상기 실린더부의 일단이 전진시 하방으로 개방되고, 상기 실린더부의 일단이 후퇴시 상방으로 폐쇄되어 상기 제1 구동레버와 접촉하는 제2 구동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구동레버는, 상기 제2 구동레버와 접촉하는 영역에 기설정된 형상의 제1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구동레버는, 상기 제1 돌기의 형상에 맞물리는 제2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내열형 에어 클램프 장치는 상기 구동 레버의 폐쇄시, 폐쇄된 구동 레버와 접촉하는 탈착형 고정 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프 하우징은, 상기 실린더부의 일단이 후퇴하여 상기 구동 레버가 폐쇄되는 경우, 상기 구동 레버와 접촉하는 상기 고정 블록을 설치하기 위한 결합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 레버는, 상기 고정 블록과 접촉하는 영역에 기설정된 형상의 제3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블록은, 상기 구동 레버의 제3 돌기와 맞물리는 제4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블록은, 상기 클램프 하우징의 전단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 레버가 상기 클램프 하우징의 전단방향으로 폐쇄되는 경우 상기 구동 레버와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블록은, 상기 클램프 하우징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 레버가 상기 클램프 하우징의 상단방향으로 폐쇄되는 경우 상기 구동 레버와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부는, 상기 구동 블록의 직선운동을 유도하는 에어 실린더; 내측에 상기 에어 실린더를 저장하는 실린더 커버; 및 상기 실린더 커버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 커버를 개폐하는 커버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 실린더는, 상기 구동 레버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 블록의 후퇴구동을 유도하여, 상기 구동 레버를 통해 수용되는 대상으로 전달되는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 레버, 구동핀 및 고정핀은, 탄소강으로 형성되고, 상기 클램프 하우징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내열형 에어 클램프 장치는 구동핀의 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된 구동 레버가 실린더부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직접 전달받음으로써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추가적인 구조물이 요구되지 않으며, 이를 통해 클램프 장치의 사용시 발생가능한 고장요소를 감소시켜 관리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열형 에어 클램프 장치는 구동 레버와 접촉하는 고정 블록을 클램프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 사용과정에서 마모 또는 손상된 고정 블록을 교체함으로써 클램프 장치의 기대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열형 에어 클램프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내열형 에어 클램프 장치의 투상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내열형 에어 클램프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내열형 에어 클램프 장치의 투상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내열형 에어 클램프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5의 내열형 에어 클램프 장치의 투상도를 나타낸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내열형 에어 클램프 장치는 구동핀의 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된 구동 레버가 실린더부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직접 전달받음으로써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추가적인 구조물이 요구되지 않으며, 이를 통해 클램프 장치의 사용시 발생가능한 고장요소를 감소시켜 관리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열형 에어 클램프 장치는 고온에서 성형되는 강판과 같은 소재의 운반시에 발생하는 손상, 변형 등을 방지하기 위해 내열성이 뛰어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열형 에어 클램프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내열형 에어 클램프 장치의 투상도를 나타낸다.
도 1,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열형 에어 클램프 장치(1, 이하 클램프 장치)는 실린더부(11), 구동 블록(13), 구동 레버(15a, 15b), 고정핀(17) 및 클램프 하우징(19)을 포함한다.
실린더부(11)는 클램프 장치(1)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기설정된 범위에서 왕복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실린더부(11)는 에어 실린더(111), 실린더 커버(113) 및 커버 덮개(115)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 실린더(111)는 구동 블록(13)의 직선운동을 유도할 수 있다. 에어 실린더(111)는 외부 동력원을 통해 압력을 조절하는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에어 실린더(111)는 공기 압력을 통해 일단이 전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일단에 결합된 구동 블록(13)이 전진할 수 있다. 유사하게, 에어 실린더(111) 내측에서 공기에 의한 압력이 하강하는 경우 일단이 후퇴할 수 있으며, 일단에 결합된 구동 블록(13)이 후퇴할 수 있다. 또한, 에어 실린더(111)는 구동 레버가 폐쇄된 상태에서 구동 블록(13)의 후퇴구동을 유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에어 실린더(111)는 구동 레버(15a, 15b)를 통해 수용되는 대상으로 전달되는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에어 실린더(111)는 구동 레버가 폐쇄된 상태에서 구동 레버의 접촉면적으로 가해지는 압력을 조절하기 위해 일단을 후퇴시키며, 이를 통해 구동 블록(13)의 후퇴구동이 유도될 수 있다. 에어 실린더(111)는 전진 및 후퇴가 가능한 일단을 제외한 영역이 실린더 커버(113) 내측에 저장될 수 있다.
실린더 커버(113)는 내측에 에어 실린더(111)를 저장할 수 있다. 실린더 커버(113)로부터 에어 실린더(111)의 일단이 노출될 수 있으며, 노출된 일단의 왕복운동이 수행될 수 있다. 실린더 커버(113)는 내열성, 내약품성이 뛰어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세하게는 SUS304 강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린더 커버(113)의 내측에는 에어 실린더(111) 및 에어 실린더(111)에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원장치가 저장될 수 있다. 실린더 커버(113)에 저장된 장치의 보수 등을 위해 실린더 커버(113)의 개폐기능이 요구되며, 이에 따라 커버 덮개(115)를 통해 실린더 커버(113)를 개폐할 수 있다.
커버 덮개(115)는 실린더 커버(113)의 상단에 결합되어 실린더 커버(113)를 개폐할 수 있다. 도 2a과 같이 커버 덮개(115)는 실린더 커버(113)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으나 설계상의 변형에 따라 측면 또는 후면에 커버 덮개(115)가 위치할 수 있다.
구동 블록(13)은 실린더부(11)의 일단에 결합되어 왕복운동에 의해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구동 블록(13)은 실린더부(11)와 결합된 형태로 실린더부(11)의 운동을 구동레버로 전달하는 구성요소로 이해될 수 있다. 구동 블록(13)은 구동핀(153)이 결합되기 위한 홈이 형성되며, 결합된 구동핀(153)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구동핀(153)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구동 레버는 제1 구동레버(15a) 및 제2 구동레버(1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레버(15a)는 실린더부(11)의 일단이 전진시 상방으로 개방되고, 실린더부(11)의 일단이 후퇴시 하방으로 폐쇄될 수 있다.
즉, 에어 실린더(111)에 의해 실린더부(11)의 일단이 전진하는 경우, 실린더부(11)에 연결된 구동 블록(13)이 함께 전진하며, 제1 구동레버(15a)에 결합된 구동핀(153)이 가이드 홈(155)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구동핀(153)의 위치가 변함에 따라 가이드 홈(155)의 내벽으로 전달되는 압력의 방향이 변경되게 되며, 이를 통해 제1 구동레버(15a)가 고정핀(17)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하며, 구동 블록(13)이 정지하게되면 제1 구동레버(15a)의 회전운동이 멈추어 개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유사하게, 에어 실린더(111)에 의해 실린더부(11)의 일단이 후퇴하는 경우, 실린더부(11)에 연결된 구동 블록(13)이 함께 후퇴하며, 제1 구동레버(15a)에 결합된 구동핀(153)이 가이드 홈(155)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구동핀(153)의 위치가 변함에 따라 가이드 홈(155)의 내벽으로 전달되는 압력의 방향이 변경되게 되며, 이를 통해 제1 구동레버(15a)가 고정핀(17)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하며, 구동 블록(13)이 정지하게되면 제1 구동레버(15a)의 회전운동이 멈추어 폐쇄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폐쇄된 상태의 제1 구동레버(15a)는 제2 구동레버(15b)와 접촉할 수 있다. 제1 구동레버(15a)는 제2 구동레버(15b)와 접촉하는 영역에 기설정된 형상의 제1 돌기(151a)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구동레버(15b)는 실린더부(11)의 일단이 전진시 하방으로 개방되고, 실린더부(11)의 일단이 후퇴시 상방으로 폐쇄되어 제1 구동레버(15a)와 접촉할 수 있다.
즉, 에어 실린더(111)에 의해 실린더부(11)의 일단이 전진하는 경우, 실린더부(11)에 연결된 구동 블록(13)이 함께 전진하며, 제2 구동레버(15b)에 결합된 구동핀(153)이 가이드 홈(155)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구동핀(153)의 위치가 변함에 따라 가이드 홈(155)의 내벽으로 전달되는 압력의 방향이 변경되게 되며, 이를 통해 제2 구동레버(15b)가 고정핀(17)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하며, 구동 블록(13)이 정지하게되면 제2 구동레버(15b)의 회전운동이 멈추어 개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유사하게, 에어 실린더(111)에 의해 실린더부(11)의 일단이 후퇴하는 경우, 실린더부(11)에 연결된 구동 블록(13)이 함께 후퇴하며, 제2 구동레버(15b)에 결합된 구동핀(153)이 가이드 홈(155)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구동핀(153)의 위치가 변함에 따라 가이드 홈(155)의 내벽으로 전달되는 압력의 방향이 변경되게 되며, 이를 통해 제2 구동레버(15b)가 고정핀(17)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하며, 구동 블록(13)이 정지하게되면 제2 구동레버(15b)의 회전운동이 멈추어 폐쇄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폐쇄된 제2 구동레버(15b)는 제1 돌기(151a)의 형상에 맞물리는 제2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돌기(151b)는 제1 구동레버(15a)와 제2 구동레버(15b) 사이에 강판, 판재 등의 물건이 수용되는 경우 마찰력을 증가시켜 안정성을 확보하기위한 구조이며, 고온 공정을 통해 성형된 재료를 용이하게 파지하기 위해 내열성과 내마모성을 가진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동 레버의 구동특성은 하기의 실시 예에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구동 레버는 구동핀(153), 가이드 홈(155) 및 고정홈(157)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핀(153)은 구동 블록(13)과 구동 레버(15a, 15b)를 연결할 수 있다. 구동핀(153)은 구동 블록(13)에 고정결합되고, 구동 레버에서 슬라이딩 구동할 수 있다. 구동핀(153)의 슬라이딩 구동을 위해 구동 레버에는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홈(155)은 구동 블록(13)의 직선운동에 따라 구동핀(153)의 슬라이딩 구동을 유도할 수 있다. 특히, 가이드 홈(155)의 내측에서 슬라이딩 구동하는 구동핀(153)에 의해 구동 레버로 전달되는 압력의 방향이 변경됨으로써, 고정핀(17)을 회전축으로 회전운동이 유도될 수 있다.
고정홈(157)은 가이드 홈(155)에 의해 발생한 구동핀(153)의 슬라이딩 구동에 의해 유도되는 회전운동의 중심축을 수용할 수 있다. 즉, 구동 레버를 고정시키는 고정홈(157)과 구동핀(153)의 슬라이딩 구동을 유도하는 가이드 홈(155)을 통해 구동 레버의 회전운동이 유도될 수 있다. 이처럼, 구동 레버(15a, 15b)는 실린더부(11)의 일단이 전진시 개방되고, 실린더부(11)의 일단이 후퇴시 폐쇄될 수 있다.
한편, 해당 실시 예에서는 한 쌍의 구동 레버를 통해 클램프 장치가 개폐되는 예시를 나타내었으나, 단일한 구동 레버와 고정 블록을 통해 클램프 장치가 개폐되는 예시들을 도 3 내지 도 6을 통해 상술하도록 한다.
고정핀(17)은 고정홈(157)에 삽입되어 구동 레버의 회전운동의 중심축을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핀(17)을 통해 구동 레버가 클램프 하우징(19)에 고정될 수 있으며, 구동 레버(15a, 15b)는 다양한 방향으로 전달되는 압력에 따라 회전운동이 유도될 수 있다. 고정핀(17)이 삽입된 고정홈(157)은 구동 레버의 유연한 회전운동을 위해 베어링 등의 보조장치가 추가될 수 있다.
클램프 하우징(19)은 고정핀(17)을 통해 구동 레버(15a, 15b)와 결합될 수 있다. 클램프 하우징(19)은 내측에 실린더부(11)의 일단과 구동 블록(13)의 직선운동 및 구동 레버(15a, 15b)의 회전운동을 수용하기 위한 구동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해당 실시 예뿐 아니라 후술하게되는 모든 실시 예에서 구동 레버, 구동핀 및 고정핀은 탄소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클램프 하우징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구동 레버가 상이한 형태로 제공되는 실시 예들을 도면을 통해 상술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내열형 에어 클램프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내열형 에어 클램프 장치의 투상도를 나타낸다.
도 3,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내열형 에어 클램프 장치(2, 이하 클램프 장치)는 실린더부(21), 구동 블록(23), 구동 레버(25), 고정핀(27) 및 클램프 하우징(29)을 포함하며, 구동 레버(25)와 접촉하는 고정 블록(26)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해당 실시 예에서 도 1 내지 도 2에 개시된 실시 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해당 실시 예에서, 클램프 하우징(29)은 결합공(291)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결합공(291)은 실린더부(21)의 일단이 후퇴하여 구동 레버(25)가 폐쇄되는 경우, 구동 레버(25)와 접촉하는 고정 블록(26)을 설치할 수 있다.
한편, 구동 레버(25)는 고정 블록(26)과 접촉하는 영역에 기설정된 형상의 제3 돌기(251)가 형성될 수 있다. 구동 레버(25)는 실린더부(21)의 일단이 전진함에 따라 폐쇄될 수 있으며, 이때 제3 돌기(251)가 고정 블록(26)과 접촉할 수 있다.
이처럼, 고정 블록(26)은 구동 레버(25)의 폐쇄시, 폐쇄된 구동 레버(25)와 접촉할 수 있다. 특히, 고정 블록(26)은 제3 돌기(251)와 맞물리는 제4 돌기(261)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돌기(251)와 제4 돌기(261)는 상호 맞물릴 수 있다.
도 4a와 같이 해당 실시 예에서, 고정 블록(26)은 클램프 하우징(29)의 전단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 블록(26)은 구동 레버(25)가 클램프 하우징(29)의 전단방향으로 폐쇄되는 경우 구동 레버(25)와 접촉할 수 있다. 해당 실시 예는 도 1 내지 도 2에 개시된 실시 예보다 클램프 장치(2)의 하단에 공간이 협소한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상세하게, 구동 레버(25)의 상방향 개폐만이 실시되기 때문에 클램프 장치(2) 하단에는 구동을 위한 공간이 요구되지 않고, 클램프 장치(2) 전방으로 물건을 파지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내열형 에어 클램프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도 5의 내열형 에어 클램프 장치의 투상도를 나타낸다.
도 5,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내열형 에어 클램프 장치(3, 이하 클램프 장치)는 실린더부(31), 구동 블록(33), 구동 레버(35), 고정핀(37) 및 클램프 하우징(39)을 포함하며, 구동 레버(35)와 접촉하는 고정 블록(36)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해당 실시 예에서, 도 3 내지 도 4의 실시 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6a와 같이 해당 실시 예에서, 고정 블록(36)은 클램프 하우징(39)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 블록(36)은 구동 레버(35)가 클램프 하우징(39)의 상단방향으로 폐쇄되는 경우 구동 레버(35)와 접촉할 수 있다. 해당 실시 예는 도 1 내지 도 2에 개시된 실시 예보다 클램프 장치(3)의 하단에 공간이 협소한 경우에 적용될 수 있으며, 도 3 내지 도 4에 개시된 실시 예와 물건의 파지방법이 상이한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상세하게, 구동 레버(35)의 상방향 개폐만이 실시되기 때문에 클램프 장치(3) 하단에는 구동을 위한 공간이 요구되지 않고, 클램프 장치(3) 전방으로 노출되는 물건을 파지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클램프 장치(3)로 파지되는 물건이 강판, 합판 등의 넓은 판형태의 물건인 경우 고정 블록(36)을 통해 물건을 지지하는 파지 형태가 운반에 용이하므로, 해당 실시 예를 적용할 수 있다.
한편, 클램프 장치(2, 3)의 지속적인 사용 또는 제3 돌기(251, 361)와의 마찰로 인해 제4 돌기(261, 361)의 형상이 손상되거나 고정 블록(26, 36)에 마모가 발생한 경우, 고정 블록(26, 36)을 클램프 하우징(29, 39)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며, 고정 블록(26, 36)을 결합공(291, 391)에 결합시켜 고정 블록(26, 36)을 교체할 수 있다. 이처럼, 열손상 또는 마찰손상 등이 발생한 고정 블록(26, 36)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으며, 클램프 장치(2, 3)의 기대수명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 2, 3: 내열형 에어 클램프 장치
11, 21, 31: 실린더부
111, 211, 311: 에어 실린더
113, 213, 313: 실린더 커버
115, 215, 315: 커버 덮개
13. 23. 33: 구동 블록
15a: 제1 구동레버
151a: 제1 돌기
15b: 제2 구동레버
151b: 제2 돌기
25, 35: 구동 레버
251, 351: 제3 돌기
153, 253, 353: 구동핀
155, 255, 355: 가이드 홈
157, 257, 357: 고정홈
26, 36: 고정 블록
261, 361: 제4 돌기
17, 27, 37: 고정핀
19, 29, 39: 클램프 하우징
291, 391: 결합공

Claims (12)

  1.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왕복운동을 수행하는 실린더부;
    상기 실린더부의 일단에 결합되어 왕복운동에 의해 위치가 변경되는 구동 블록;
    상기 구동 블록과 구동핀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구동 블록의 직선운동에 따라 상기 구동핀의 슬라이딩 구동을 유도하는 가이드 홈, 및 상기 가이드 홈에 의해 발생한 상기 구동핀의 슬라이딩 구동에 의해 유도되는 회전운동의 중심축을 수용하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부의 일단이 전진시 개방되고, 상기 실린더부의 일단이 후퇴시 폐쇄되는 구동 레버;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어 상기 구동 레버의 회전운동의 중심축을 형성하는 고정핀; 및
    상기 고정핀을 통해 상기 구동 레버와 결합되고, 내측에 상기 실린더부의 일단과 구동 블록의 직선운동 및 상기 구동 레버의 회전운동을 수용하기 위한 구동공간이 형성된 클램프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 레버는,
    상기 실린더부의 일단이 전진시 상방으로 개방되고, 상기 실린더부의 일단이 후퇴시 하방으로 폐쇄되는 제1 구동레버; 및
    상기 실린더부의 일단이 전진시 하방으로 개방되고, 상기 실린더부의 일단이 후퇴시 상방으로 폐쇄되어 상기 제1 구동레버와 접촉하는 제2 구동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구동레버는 상기 제2 구동레버와 접촉하는 영역에 기설정된 형상의 제1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구동레버는 상기 제1 돌기의 형상에 맞물리는 제2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실린더부의 일단이 전진하는 경우, 실린더부에 연결된 구동 블록이 함께 전진하며, 상기 제1구동레버 및 상기 제2구동레버와 결합된 구동핀이 상기 가이드홈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구동하며, 상기 구동핀의 위치가 변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 홈의 내벽으로 전달되는 압력 방향이 변경되게 하며, 상기 압력 방향의 변경에 따라 상기 제1구동레버가 고정핀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운동하며, 상기 제2구동레버가 고정핀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운동하며, 상기 구동 블록이 정지하게 되면 상기 제1구동레버 및 상기 제2구동레버의 회전운동이 멈춘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실린더부는,
    상기 구동 블록의 직선운동을 유도하는 에어 실린더;
    내측에 상기 에어 실린더를 저장하는 실린더 커버; 및
    상기 실린더 커버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 커버를 개폐하는 커버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 실린더는,
    상기 구동 레버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 블록의 후퇴구동을 유도하여, 상기 구동 레버를 통해 수용되는 대상으로 전달되는 압력을 증가시키는, 내열형 에어 클램프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레버, 구동핀 및 고정핀은,
    탄소강으로 형성되고,
    상기 클램프 하우징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된, 내열형 에어 클램프 장치.
KR1020190021884A 2019-02-25 2019-02-25 내열형 에어 클램프 장치 KR102032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884A KR102032416B1 (ko) 2019-02-25 2019-02-25 내열형 에어 클램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884A KR102032416B1 (ko) 2019-02-25 2019-02-25 내열형 에어 클램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2416B1 true KR102032416B1 (ko) 2019-10-15

Family

ID=68209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1884A KR102032416B1 (ko) 2019-02-25 2019-02-25 내열형 에어 클램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24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54153A (zh) * 2022-03-23 2022-06-24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穿板夹紧装置
KR102586348B1 (ko) * 2023-05-03 2023-10-11 주식회사 팸텍 내열 클램핑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7047B1 (ko) * 1995-06-06 2004-05-22 비이티이엠코포레이션 배력장치
KR20120019349A (ko) * 2010-12-13 2012-03-06 오상준 다용도 집게
US20160167202A1 (en) * 2014-03-20 2016-06-16 Univer S.P.A. Pneumatically operable work tool
KR101754822B1 (ko) 2017-01-13 2017-07-06 이병국 그립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7047B1 (ko) * 1995-06-06 2004-05-22 비이티이엠코포레이션 배력장치
KR20120019349A (ko) * 2010-12-13 2012-03-06 오상준 다용도 집게
US20160167202A1 (en) * 2014-03-20 2016-06-16 Univer S.P.A. Pneumatically operable work tool
KR101754822B1 (ko) 2017-01-13 2017-07-06 이병국 그립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54153A (zh) * 2022-03-23 2022-06-24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穿板夹紧装置
KR102586348B1 (ko) * 2023-05-03 2023-10-11 주식회사 팸텍 내열 클램핑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2416B1 (ko) 내열형 에어 클램프 장치
JP5329657B2 (ja) 削岩装置、ドリルビット交換装置およびドリルビット交換方法
KR101643374B1 (ko) 클램프 장치
JP5997628B2 (ja) 防護管挿入器
JPWO2016114186A1 (ja) ワイヤ送給機構
JP2014503121A5 (ko)
EP1702721A1 (en) Clamping and centering device for work pieces, having a hook-shaped clamping member
JP5091203B2 (ja) Tig溶接装置
NO333965B1 (no) Nedihulls aktuator
KR101650671B1 (ko) 절단 공구
CN110153549A (zh) 包括具有有限磨损和快速拆卸的旋转臂的焊钳
JP4588620B2 (ja) 真空処理装置
KR102113886B1 (ko) 공작기계
US20190001468A1 (en) Device for Clamping a Part to a Tool
JP2015009330A (ja) 組付け装置
JP6227578B2 (ja) 把持装置
CN110653647B (zh) 换刀装置的夹持臂和机床
JP6122371B2 (ja) スライディングノズル装置
JP6534787B2 (ja) 円筒体把持装置
JPH08200206A (ja) ばね式アクチュエータ
JP6168492B2 (ja) グローブ交換治具
JP2016112631A (ja) チャック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搬送装置
WO2017168929A1 (ja) シリンダ
US2854239A (en) Chuck
WO2019240611A1 (ru) Захват для роботизированного манипулятор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