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4059B1 - 회전구동방식의 록킹 모듈 - Google Patents

회전구동방식의 록킹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4059B1
KR102334059B1 KR1020190147270A KR20190147270A KR102334059B1 KR 102334059 B1 KR102334059 B1 KR 102334059B1 KR 1020190147270 A KR1020190147270 A KR 1020190147270A KR 20190147270 A KR20190147270 A KR 20190147270A KR 102334059 B1 KR102334059 B1 KR 102334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pair
plates
long hole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7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9891A (ko
Inventor
이광영
Original Assignee
(주)지비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비엔텍 filed Critical (주)지비엔텍
Priority to KR1020190147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4059B1/ko
Publication of KR20210059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9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4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4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B23P19/047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for flexible profiles, e.g. sealing or decorating strips in grooves or on other profiles by devices moving along the flexible prof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25B27/1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mounting or demounting piston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8/00Portable power-driven joining or separation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바꾸는 캠 모듈을 통해 플레이트의 간격을 조절함으로 소형의 대상물을 잡거나 틈을 벌릴 수 있는 회전구동방식의 록킹 모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회전구동방식의 록킹 모듈 {Rotating Drive Type Locking Module}
본 발명은 회전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바꾸는 캠 모듈을 통해 플레이트의 간격을 조절함으로 소형의 대상물을 잡거나 틈을 벌릴 수 있는 회전구동방식의 록킹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형의 물체를 잡거나 지지하기 위한 작업용 공구로는 펜치나 콤비네이션 플라이어가 사용된다.
세부적으로 펜치의 경우 통상 선재를 잡고 구부리거나 자르는 용도로 활용하며 물체의 압착 기능이 더해진 압착펜치나, 주둥이가 가늘고 길어 전자기기의 수리, 조립 등 작은 부품을 잡기에 적합한 롱노우즈 펜치(일명 라디오 펜치) 등으로 분류되며 사용목적에 맞게 다양한 사이즈로 제작되고 있다.
콤비네이션 플라이어도 실질적으로 펜치와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져 물건을 잡거나 파이프 잡아 돌리기, 철선 절단 등을 위해 사용되며 물건의 크기에 따라 벌어지는 크기를 조절 가능하거나, 입의 형상에 따라 롱노우즈, 씬노우즈, 벤트노즈 플라이어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이 존재한다.
이러한 펜치나 콤비네이션 플라이어는 공통으로 한쪽에 입 부분과 다른 쪽에 손잡이가 중앙에서 교차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한 쌍의 손잡이를 쥐는 동작으로 물체를 잡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지렛대의 원리가 적용되어 손의 힘보다 큰 힘이 물체에 가해져 파손 가능성이 있는 물체의 경우 힘 조절 실패로 놓치는 등 사용이 쉽지 않을 뿐 아니라 소형 물체에 사용하기 위해 공구의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손에 맞지 않는 불편함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41369호 (2016.07.1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바꾸는 캠 모듈을 회전시키는 동작을 통해 플레이트의 간격을 조절하며 항시 동일한 힘으로 정확하게 대상물을 잡거나 틈을 벌리는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회전구동방식의 록킹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중앙부분에 전후로 관통된 제1핀과, 상기 제1핀 하측으로 상하 방향 길이를 갖도록 전후로 관통된 장공과, 상기 장공을 전후로 관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핀과, 상기 제2핀을 상측으로 밀어주도록 작용하는 제1스프링을 구비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통 형상의 제1몸체; 상기 제1몸체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핀을 축으로 회전하되, 상기 제2핀의 초기위치인 제1점과 상기 제1핀과 접하며 상기 장공의 길이에 대응하는 지점에 형성된 제2점을 지름으로 하는 반원호 형상을 하며 상기 제2핀이 통과하여 이동을 가이드하는 관통부가 형성된 원판 형상의 캠 유닛; 내부 공간이 연결되도록 상기 제1몸체 하측에 결합하되,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플레이트와, 상단이 상기 제2핀에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되 하측으로 폭이 좁아지며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 사이로 삽입되는 샤프트와,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가 서로 접하도록 작용하는 제2스프링을 구비한 제2몸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2몸체는,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가 회동 가능하도록 상단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힌지와, 상기 제2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관통부는 한쪽 끝과 다른 쪽 끝 부분에 제2핀의 지지를 위한 록킹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캠 유닛을 회전시키는 동작을 통해 샤프트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며 이동 중 접촉력으로 한 쌍의 플레이트를 집게 형태로 조작하여 물체를 견고하게 집거나 스냅링을 비롯한 틈을 벌리는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캠 유닛을 회전시키는 동작만으로 간편하고 신속하게 조임 또는 벌림 동작이 이루어지며 플레이트의 흰지 구조 및 스프링의 회동력을 통해 소형, 강도가 약한 재질의 물체도 항상 동일한 힘으로 잡을 수 있어 작업시 한층 향상된 조작 안정성 및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형을 나타낸 제1작동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를 나타낸 제2작동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캠 유닛의 부분확대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회전구동방식의 록킹 모듈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본 발명은 상하방향으로 연결된 두 개의 몸체 측 제1몸체(1) 및 제2몸체(3)와, 상기 제1몸체(1)에 결합된 캠 유닛(2)과 상기 제2몸체(3) 하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플레이트(31)를 통해 외형이 구성되며, 상기 캠 유닛(2)을 회전시키는 동작을 통해 한 쌍의 플레이트(31) 사이가 좁아지거나 벌어지는 동작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1몸체(1)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통 형상의 구조체로서, 기본적으로 첨부된 도면과 같이 상하방향의 길이를 갖는다. 첨부된 도면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1몸체(1)가 원통형 상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다각기둥이나 육면체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몸체(1)의 중앙부분에는 제1핀(11)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후술되는 캠 유닛(2)이 상기 제1핀(11)을 축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핀(11) 하측으로는 상하 방향 길이를 갖도록 전후로 관통된 장공(13)이 형성되며, 제2핀(12)이 상기 장공(13)을 전후로 관통하여 장공(13)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2핀(12)의 하측으로 제2핀(12)을 상측으로 밀어주도록 작용하는 제1스프링(14)이 설치되어 제2핀(12)이 상시 제1핀(11) 측으로 근접한 상태를 유지하며, 하측으로 이동 후 복귀동작을 돕는다.
상기 제1몸체(1) 전면으로는 상기 제1핀(11)을 축으로 회전하는 캠 유닛(2)이 설치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캠 유닛의 부분확대도로서, 상기 캠 유닛(2)은 원판 형태의 구조체로 사용자가 손으로 돌릴 수 있도록 테두리 원주면과 미끄러짐 방지를 위한 요철구조가 형성되며, 상기 제2핀(12)의 초기위치인 제1점과 상기 제1핀(11)과 접하며 상기 장공(13)의 길이에 대응하는 지점에 형성된 제2점을 지름으로 하는 반원호 형상을 하며 상기 제2핀(12)이 통과하여 이동이 가이드되는 관통부(21)가 형성된다.
즉 첨부된 도 1을 기준으로 제2핀(12)의 초기위치인 제1점과 제1핀의 상측 캠 유닛(2)의 테두리에 근접한 제2점을 지름으로 우측으로 형성된 반원호 형상으로 관통부(21)가 형성되며 이때 상기 제1점과 제2점의 사이의 거리, 즉 반원호의 지름은 상기 제1몸체(1)에 형성된 장공(13)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약간 작게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형을 나타낸 제1작동상태도로서, 이러한 관통부(21)는 캠 유닛(2)의 회전운동을 상기 제2핀(12)의 상하방향의 직선 운동으로 전환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2핀(12)은 장공(13)과 함께 관통부(21)를 따라 이동하며, 도 3(a)와 같은 상태에서 캠 유닛(2)을 시계방향으로 180도 회전시켜 도 3(b)와 같이 제2핀(12)이 장공(13) 및 관통부(21)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도 3(b)의 상태에서 캠 유닛(2)을 반시계방향으로 180도 회전시킴으로 도 3(a)와 같이 제2핀이 장공(13) 및 관통부(21)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복귀 동작은 상기 제1스프링(14)의 작용력을 통해 더욱 쉽게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관통부(21)는 한쪽 끝과 다른 쪽 끝 부분에 제2핀(12)의 지지를 위한 록킹부(211)를 포함하여 각각 상단 및 하단의 위치에서 의도치 않은 외력에 의해 캠 유닛(2)이 회전하며 제2핀(12)의 위치가 변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를 위한 상기 록킹부(211)는 전체적으로 반원호를 이루는 관통부(21)의 한쪽 끝과 다른 쪽 끝 부분에 일부 직선구간을 형성함으로 제2핀(12)이 해당 구간에서 밀착되며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몸체(3)는 상기 제1몸체(1) 하측으로 결합되며 내부공간이 서로 연결된다. 제2몸체(3) 또한 첨부된 도면에서는 직육면체 형태로 도시하고 있으나 그 형상이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1몸체(1)의 중심을 따라 하측으로 관통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몸체(3)의 내부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31)가 집게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즉 한 쌍의 플레이트(31)의 사이가 좁아지며 소형의 물체를 집거나 특정 틈새나 스냅 링 등에 상기 플레이트(31)의 단부를 삽입한 상태에 플레이트(31)를 사이를 넓혀 벌릴 수 있도록 하는 등 사용 목적에 대응한 형태로 제작된 한 쌍의 플레이트(31)가 좌우 대칭되는 형태로 상호 간격 조절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플레이트가 좌우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형태도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31)가 상기 제2몸체(3) 내부에서 각각 좌우로 회동 가능하도록 플레이트(31) 상단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힌지(32)를 통해 결합하여 플레이트(31) 하단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31) 외측에 밀어주는 힘을 발생시키는 제2스프링(34)을 각각 설치하여 한 쌍의 플레이트(31)가 서로 접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하게 되며, 상단이 상기 제2핀(12)에 연결되며 제2핀(12)의 이동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되 하측으로 폭이 좁아지며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31) 사이로 삽입되는 샤프트(33)가 설치되어, 샤프트(33)의 승하강에 따라 한 쌍의 플레이트(31) 간격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2스프링(34)의 외측으로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볼트형상의 조절부(35)를 제2몸체(3) 외측으로 헤드가 노출되도록 구성하여, 이를 조여줌으로 제2스프링의 장력을 높이고 풀어줌으로 장력을 줄여 물체를 집는 힘을 조절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를 나타낸 제2작동상태도로서, 도 4(a)와 같이 초기 제2핀(12) 및 샤프트(33)가 상승한 상태에서 제2스프링(34)의 작용력에 의해 한 쌍의 플레이트(31)가 서로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며, 사용자가 캠 유닛(2)을 시계방향으로 돌려 제2핀(12)이 하강하며 함께 하강하는 샤프트(33)의 하단이 한 쌍의 플레이트(31) 사이로 파고들며 사이를 벌리게 된다.
이러한 메커니즘을 통해 종래의 펜치나 콤비네이션 플라이어와 달리 캠 유닛을 회전하는 동작으로 플레이트 단부를 좁혀 물체를 집거나, 플레이트 단부를 벌릴 수 있으며 항상 동일한 힘으로 소형의 물체를 견고히 잡아 고정하거나 스냅 링이나 틈을 벌리는 등의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 제1몸체 11: 제1핀 12: 제2핀
13: 장공 14: 제1스프링
2: 캠 유닛 21: 관통부 211: 록킹부
3: 제2몸체 31: 플레이트 32: 힌지
33: 샤프트 34: 제2스프링
35: 조절부

Claims (3)

  1. 중앙부분에 전후로 관통된 제1핀(11)과, 상기 제1핀(11) 하측으로 상하 방향 길이를 갖도록 전후로 관통된 장공(13)과, 상기 장공(13)을 전후로 관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핀(12)과, 상기 제2핀(12)을 상측으로 밀어주도록 작용하는 제1스프링(14)을 구비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통 형상의 제1몸체(1);
    상기 제1몸체(1)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핀(11)을 축으로 회전하되, 상기 제2핀(12)의 초기위치인 제1점과 상기 제1핀(11)과 접하며 상기 장공(13)의 길이에 대응하는 지점에 형성된 제2점을 지름으로 하는 반원호 형상을 하며 상기 제2핀(12)이 통과하여 이동을 가이드하는 관통부(21)가 형성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제2핀(12)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원판 형상의 캠 유닛(2);
    내부 공간이 연결되도록 상기 제1몸체(1) 하측에 결합하되,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플레이트(31)와, 상단이 상기 제2핀(12)에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되 하측으로 폭이 좁아지며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31)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31)를 사이를 넓혀 벌리는 샤프트(33)와,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31)가 서로 접하도록 작용하는 제2스프링(34)과,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31)가 회동 가능하도록 상단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힌지(32)와, 상기 제2스프링(34)의 장력을 조절하는 조절부(35)를 구비한 제2몸체(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구동방식의 록킹 모듈.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21)는 한쪽 끝과 다른 쪽 끝 부분에 제2핀의 지지를 위한 록킹부(2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구동방식의 록킹 모듈.
KR1020190147270A 2019-11-18 2019-11-18 회전구동방식의 록킹 모듈 KR102334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270A KR102334059B1 (ko) 2019-11-18 2019-11-18 회전구동방식의 록킹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270A KR102334059B1 (ko) 2019-11-18 2019-11-18 회전구동방식의 록킹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9891A KR20210059891A (ko) 2021-05-26
KR102334059B1 true KR102334059B1 (ko) 2021-12-02

Family

ID=76137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7270A KR102334059B1 (ko) 2019-11-18 2019-11-18 회전구동방식의 록킹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405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7577B1 (ko) * 1990-05-30 1999-06-15 헬무트 로젠벨겔 구멍작업 부품을 갖춘 구멍 팽창공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511490A1 (de) * 1975-03-15 1976-09-23 Edwin Rothenberger Schweisstec Vorrichtung zum aufweiten von rohrleitungsenden
JPS6165730A (ja) * 1984-09-06 1986-04-04 Atsugi Motor Parts Co Ltd C形止め輪の拡径装置
JPS6176227A (ja) * 1985-02-19 1986-04-18 Tdk Corp 電子部品の把持装置
KR101244849B1 (ko) * 2010-12-13 2013-03-19 오상준 다용도 집게
KR101641369B1 (ko) 2015-06-02 2016-07-20 주식회사 서원기술 조임가압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7577B1 (ko) * 1990-05-30 1999-06-15 헬무트 로젠벨겔 구멍작업 부품을 갖춘 구멍 팽창공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9891A (ko) 2021-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1178B2 (en) Switchable pliers and method for use
CN104274122A (zh) 吸尘器-抽吸管
FR2956603A1 (fr) Pince de verrouillage
US9114511B1 (en) Ratchet connector
KR102334059B1 (ko) 회전구동방식의 록킹 모듈
US5176048A (en) Pliers having substantially parallel jaw movement
FR3006656A3 (fr) Machine telle qu'une tondeuse a gazon a guidon pivotant
JP4343666B2 (ja) トング
JP7007545B2 (ja) 大型鉄筋篭を結束する結束線の結束装置
EP2596912A1 (en) Lever mechanism for adjustable pliers
EP1916063B1 (fr) Pinces
US966300A (en) Pipe-wrench.
US20050182442A1 (en) Medical gripping and/or retaining instrument
US759869A (en) Wrench.
US873571A (en) Combination-tool.
US1241378A (en) Stove-lid lifter.
US1196060A (en) Jab-openeb
US962414A (en) Pliers, nippers, and similar tool.
US156124A (en) Improvement in watch-keys
US1017143A (en) Wrench.
US979327A (en) Wrench.
US686192A (en) Screw-driver.
US988869A (en) Hand-operated tool and implement.
US1058376A (en) Wire-twisting tool.
US1010631A (en) Screw-dri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