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0153B1 - 양면 사용이 가능한 밀대 청소기 - Google Patents

양면 사용이 가능한 밀대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0153B1
KR101560153B1 KR1020140040757A KR20140040757A KR101560153B1 KR 101560153 B1 KR101560153 B1 KR 101560153B1 KR 1020140040757 A KR1020140040757 A KR 1020140040757A KR 20140040757 A KR20140040757 A KR 20140040757A KR 101560153 B1 KR101560153 B1 KR 101560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cloth
fixing
cleaning
main body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0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5541A (ko
Inventor
임상철
임상보
임상희
Original Assignee
임상철
임상보
임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상철, 임상보, 임상희 filed Critical 임상철
Priority to KR1020140040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0153B1/ko
Publication of KR20150115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5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0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0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42Details
    • A47L13/44Securing scouring-cloths to the brush or like body of the imple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47L13/256Plate frames for mops made of clo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16Cloths; Pads;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47L13/255Plate frames for mops of textile fringes or the like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대 청소기는, 청소포가 고정되고, 편평한 제1 바닥면과 이에 반대되는 편평한 제2 바닥면이 형성된 본체부의 일 측 가장자리 쪽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 밀대부가 통과되어 결합됨으로써 상기 본체부가 회전가능해지고, 상기 본체부는 타 측에 타측 고정부가 형성되어 청소포의 타 측 가장자리를 고정시킬 수 있는 한편, 복수의 제1 일측 고정부가 상기 제1 바닥면 일 측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복수의 제2 일측 고정부가 상기 제2 바닥면 일 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일측 고정부는 절개된 부분을 구비하는 복수의 고정편이 구비되되, 상기 청소포의 일 측 가장자리를 제1 바닥면을 지나 제2 일측 고정부의 고정편에 고정하여 상기 청소포의 일 면을 상기 제1 바닥면에 밀착시켜 사용하고, 다시 분리하여 제2 바닥면을 지나 제1 일측 고정부의 고정편에 끼움 고정하여 상기 청소포의 타 면을 제2 바닥면에 밀착시켜 사용가능하다.

Description

양면 사용이 가능한 밀대 청소기{DOUBLE SIDED MOP CLEANER}
본 발명은 양면 사용이 가능한 밀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청소포의 양면을 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밀대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밀대 청소기는 사용자가 서서 바닥을 닦을 수 있는 기구로서, 일반적으로 마루, 거실, 교실 등을 청소하는 데 사용된다. 밀대 청소기는, 청소포의 양쪽 가장자리가 고정되며 청소포를 바닥에 밀착되도록 하는 본체부와, 본체부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가슴 정도의 높이까지 연장되는 길이를 가지는 밀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밀대 청소기는 청소를 할 때에는 허리를 펴고 사용할 수 있으나, 청소포를 교체하거나 청소포에서 바닥에 닿는 면을 바꿔야 할 경우에는 허리를 굽히고 손으로 이를 조작하여야 한다. 특히, 청소포에서 바닥에 닿는 면을 바꿔야 할 경우에는 본체부에 고정된 청소포의 양쪽 가장자리를 각기 본체부로부터 분리한 후에 청소포를 뒤집어서 다시 본체부에 청소포의 양쪽 가장자리를 고정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청소포의 재사용을 위하여 청소포를 뒤집어서 끼울 때에는 이미 청소가 마무리되어 지저분한 청소포를 손으로 여러 번 만져야 하므로 위생상의 문제가 있고, 청소포의 양쪽 가장자리를 분리하고 재고정하는 복잡한 과정을 겪어야 한다. 이에 따라 청소포를 양쪽으로 사용하기보다는 청소포의 한면만을 사용하고 청소포를 버리는 경우가 더 많았다.
즉, 기존의 밀대 청소에서는 청소포의 양면 사용이 복잡하고 비위생적이기 때문에, 청소포의 일면만을 사용한 후에 이를 버리는 경우가 더 많아서 자원이 낭비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청소포에서 바닥에 닿는 면을 쉽게 바꿀 수 있어 쉽게 청소포의 양면을 편하게 사용하여 청소할 수 있는. 양면 사용이 가능한 밀대 청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대 청소기는, 청소포가 고정되고, 편평한 제1 바닥면과 이에 반대되는 편평한 제2 바닥면이 형성된 본체부의 일 측 가장자리 쪽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 밀대부가 통과되어 결합됨으로써 상기 본체부가 회전가능해지고, 상기 본체부는 타 측에 타측 고정부가 형성되어 청소포의 타 측 가장자리를 고정시킬 수 있는 한편, 복수의 제1 일측 고정부가 상기 제1 바닥면 일 측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복수의 제2 일측 고정부가 상기 제2 바닥면 일 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일측 고정부는 절개된 부분을 구비하는 복수의 고정편이 구비되되, 상기 청소포의 일 측 가장자리를 제1 바닥면을 지나 제2 일측 고정부의 고정편에 고정하여 상기 청소포의 일 면을 상기 제1 바닥면에 밀착시켜 사용하고, 다시 분리하여 제2 바닥면을 지나 제1 일측 고정부의 고정편에 끼움 고정하여 상기 청소포의 타 면을 제2 바닥면에 밀착시켜 사용가능하다.
상기 타측 고정부가 상기 청소포의 가장자리를 양면에서 가압하여 고정하는 클램프 방식 또는 개폐판 방식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일측 고정부와 상기 제2 일측 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일측 고정부가 상기 연결 부재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일측 고정부가 상기 연결 부재에 타측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청소포가 제1 청소 부재 및 제2 청소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청소 부재와 상기 제1 청소 부재가 서로 다른 용도를 가지거나 서로 다른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청소포의 일측 가장자리를 제1 및 제2 일측 고정부 중 하나로부터 분리한 다음 본체부를 회전시켜 청소포의 일측 가장자리를 제1 및 제2 일측 고정부의 다른 하나에 끼워 넣는 것에 의하여 청소포에서 청소가 되는 면을 교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청소포의 타측 가장자리를 고정한 상태로 청소포에서 청소가 되는 면을 교체할 수 있으므로, 위생적이고 쉽게 청소포를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청소포의 양면 사용을 유도할 수 있어 자원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대 청소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타측 고정부의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타측 고정부의 닫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밀대 청소기에 적용될 수 있는 청소포의 일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11은 도 1에 도시한 밀대 청소기의 동작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설명을 좀더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두께, 넓이 등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하였는바, 본 발명의 두께, 넓이 등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떠한 부분이 다른 부분을 "포함"한다고 할 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부분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다른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분이 위치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위치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대 청소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대 청소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밀대 청소기(100)는, 청소포(도 5 내지 도 11의 참조부호 200, 이하 동일)가 고정되어 청소되는 면(예를 들어, 바닥 등)에 청소포(200)를 밀착시키는 본체부(10)와, 본체부(10)에 결합되며 사용자가 허리를 핀 상태로 잡을 수 있도록 길게 연장되는 밀대부(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부(10)의 일측 가장자리 쪽에 밀대부(20)가 통과하는 개구부(30)가 형성되어, 제1 바닥면(110a)과 이에 반대되는 제2 바닥면(120b)의 위치가 반전되도록(즉, 본체부(110)의 상하가 반전되도록) 본체부(10)가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부(10)의 일측 가장자리에 청소포(200)의 일측 가장자리가 고정되도록 본체부(10)의 양면(즉, 제1 바닥면(110a) 및 제2 바닥면(120a))에 위치하는 제1 일측 고정부(116) 및 제2 일측 고정부(126)와, 청소포(200)의 타측 가장자리가 고정되는 단일의 타측 고정부(138)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청소포(200)에서 청소되는 면에 닿는 면을 쉽게 바꿀 수 있어 청소포(200)의 양면 사용을 쉽게 할 수 있다.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체부(10)는 고정된 청소포(200)를 바닥에 밀착시켜 청소포(200)에 의하여 바닥을 청소할 수 있게 한다. 본체부(10)는 청소포(200)를 소정 면적만큼 바닥에 밀착할 수 있도록 바닥면(110a, 120a)이 다른 면보다 가장 넓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본체부(10)의 바닥면(110a, 120a)의 평면 형상은 두 개의 장변과 이를 연결하는 두 개의 단변을 가지는 대략적인 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체부(10)의 평면 형상이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본체부(10)가 청소포(200)의 제1 청소 부재(도 5 내지 도 11의 참조부호 202, 이하 동일)을 청소되는 면에 밀착하도록 편평하게 형성된 제1 바닥면(110a)와, 제1 바닥면(110a)과 반대되며 청소포(200)의 제2 청소 부재(도 5 내지 도 11의 참조부호 204, 이하 동일)을 청소되는 면에 밀착하도록 편평하게 형성된 제2 바닥면(120a)을 포함한다. 즉, 본체부(10)에서 청소포(200)를 밀착시키는 면이 제1 바닥면(110a)과 제2 바닥면(120a)의 두 개의 면으로 구비된다. 이는 청소되는 면에 청소포를 밀착시키는 바닥면이 하나 구비되고 외관 등을 위하여 상부면은 라운드진 형상 등을 가지는 종래의 본체부와 다르다.
그리고 본체부(10)에서 밀대부(20)가 결합되는 밀대 고정부(102)로부터 본체부(10)의 일측 가장자리 사이에 밀대부(20)가 통과하도록 길게 형성되는 개구부(30)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밀대부(20)의 길이 방향과 개구부(30)의 길이 방향이 일치하게 되면 밀대부(20)가 개구부(30)을 통과할 수 있게 된다. 밀대부(20)가 개구부(30)을 통과하는 것에 의하여 본체부(10)의 제1 바닥면(110a)과 제2 바닥면(120a)의 위치를 반전시킬 수 있어, 제1 바닥면(110a)과 제2 바닥면(120a) 중에서 청소되는 면에 밀착되는 면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밀대부(20)에 가해진 사용자의 힘이 본체부(10)에 균형적으로 가해질 수 있도록 밀대 고정부(102)가 본체부(10)의 중앙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개구부(30)는 본체부(10)의 중앙 부분과 본체부(10)의 장변 사이에서 본체부(10)의 단변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개구부(30)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개구부(30)의 길이가 길어지면 본체부(10)의 강도가 저하될 수 있고 개구부(30)가 형성된 부분은 청소포(200)를 가압할 수 없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개구부(30)의 길이를 최소화하는 것에 의하여 본체부(10)의 강도 저하, 바닥과 청소포(200)의 밀착 면적 저하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밀대부(20)는, 길게 이어지는 봉 형상의 밀대봉(22)과, 밀대봉(22)을 본체부(10)의 밀대 고정부(102)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결합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24)는 제1 바닥면(110a)과 제2 바닥면(120a)을 반전시킬 수 있도록 밀대봉(22)이 개구부(30)를 통과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밀대봉(22)을 밀대 고정부(102)에 고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한 결합부(24)의 구조, 방식으로는 다양한 구조,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부(10)의 제1 바닥면(110a) 또는 제2 바닥면(120a)이 청소되는 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본체부(10)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부(24)와 밀대봉(22)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회전 결합부(26)를 더 포함하여, 본체부(10)이 청소되는 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회전 결합부(26)의 구조, 방식으로는 다양한 구조,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밀대봉(22)이 결합부(24)에 직접 연결되어 밀대봉(22)이 개구부(30)를 통과하는 방향으로만 회전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체부(10)는 제1 바닥면(110a)을 구비하는 제1 부분(110)과, 제2 바닥면(120a)을 구비하는 제2 부분(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110)은, 바닥부(112)와, 바닥부(112)의 일측 가장자리 쪽에 위치하며 일정한 높이를 가지도록 돌출되는 측면부(114)와, 제1 바닥면(110a)에서 청소포(200)의 일측 가장자리를 고정하는 제1 일측 고정부(116)와, 제1 바닥면(110a)의 타측 가장자리 쪽에 위치하며 타측 고정부(138)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타측 부분(118)를 포함한다.
바닥부(112)는 청소포(200)를 청소되는 면에 밀착할 수 있도록 편평한 외면을 가질 수 있다. 바닥부(112)의 편평한 외면이 제1 바닥면(110a)을 구성할 수 있다. 즉, 단일의 바닥부(112)의 외면이 제1 바닥면(110a)을 구성한다. 바닥부(112)에서 개구부(30)에 대응하는 부분에 개구부(30a)가 위치할 수 있다.
바닥부(112)의 일측에는 제1 바닥면(110a)의 일측 가장자리 쪽의 이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1 높이를 가지도록 돌출되는 측면부(114)가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부분(110)의 타측에는 바닥부(112)와 측면부(114)에 의하여 내부 공간부가 위치하게 된다. 내부 공간부를 구비하는 것에 의하여 본체부(10)의 무게를 줄여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하고 재료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내부 공간부 내부에 제1 일측 고정부(116)와 제2 일측 고정부(126)을 함께 고정하는 연결 부재(136)가 위치하도록 하여 제1 및 제2 일측 고정부(116, 126)의 고정 구조를 단순하고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에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측면부(114)는, 바닥부(112)의 개구부(30a)가 있는 부분에서는 개구부(30a)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본체부(10)의 개구부(30)의 측면을 구성할 수 있다. 측면부(114)에서 제1 타측 부분(118)에 인접한 부분에는 제2 타측 부분(128)이 고정되는 힌지 고정부(138a)가 위치할 수 있고, 측면부(114)에서 개구부(30)의 측면을 구성하는 부분 중에 본체부(10)의 중앙 부분에 인접한 쪽에 밀대부(20)가 고정되는 밀대 고정부(102)가 위치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힌지 고정부(138a)가 측면부(114)에 형성된 홈으로 구성되고 밀대 고정부(102)가 측면부(114)에 형성된 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힌지 고정부(138a) 및/또는 밀대 고정부(102)로는 다양한 방식, 형상, 구조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밀대 고정부(102)는 본체부(10)의 바닥면(110a, 120a)이 아닌 개구부(30)의 측면을 구성하는 측면부(114)에 고정된다. 즉, 밀대부(20)가 개구부(30)의 내부 쪽에 위치하도록 고정되어 밀대부(20)가 회전에 의하여 개구부(30) 내부를 쉽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달리, 종래에는 본체부의 상하 반전되어 회전되는 것을 고려하지 않았으므로, 라운드진 형상 등을 가지는 상부면에 밀대부가 고정되었다.
바닥부(112)에서 내부 공간부를 구성하는 부분에는 제1 일측 고정부(116)가 위치하는 제1 홀(116a)이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제1 일측 고정부(116)가 제1 바닥면(110a)에 위치하게 된다. 제1 홀(116a)은 제1 일측 고정부(116)의 개수에 대응하도록 복수 개 위치할 수 있다. 제1 일측 고정부(116)에 대해서는 추후에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바닥부(112)의 타측 위에는 측면부(114)의 제1 높이보다 작고 제1 바닥면(110a)보다 높은 제2 높이를 가지도록 돌출되는 제1 타측 부분(118)이 위치할 수 있다. 제1 타측 부분(118)에 대해서는 추후에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 부분(120)은, 측면부(114) 위에 위치하여 내부 공간부를 덮는 덮개부(124)와, 제2 바닥면(120a)에서 청소포(200)의 일측 가장자리를 고정하는 제2 일측 고정부(126)와, 제1 타측 부분(118)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타측 부분(128)을 포함할 수 있다.
덮개부(124)는 청소포(200)를 청소되는 면에 밀착할 수 있도록 편평한 외면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타측 부분(128)은 청소포(200)를 청소되는 면에 밀착할 수 있도록 편평한 외면을 가질 수 있다. 덮개부(124)의 외면과 제2 타측 부분(128)의 외면이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여 이들이 함께 본체부(110)의 제2 바닥면(120a)을 구성할 수 있다.
덮개부(124)는 제1 부분(110)의 측면부(114) 위에 결합되는 편평한 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덮개부(124)에는 제2 일측 고정부(126)가 위치하는 제2 홀(126a)이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제2 일측 고정부(126)가 제2 바닥면(120a) 쪽으로 위치할 수 있다. 제2 홀(126a)은 제2 일측 고정부(126)의 개수에 대응하도록 복수 개 위치할 수 있다. 제2 일측 고정부(126)에 대해서는 추후에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덮개부(124)에서 개구부(30)에 대응하는 부분에 개구부(30b)가 위치할 수 있다.
제2 타측 부분(128)은 제1 타측 부분(118)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청소포(200)의 타측 가장자리를 고정하는 타측 고정부(138)를 구성할 수 있다. 제2 타측 부분(128)은 측면부(114)의 제1 높이보다 작고 덮개부(124)의 두께보다 큰 제3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타측 고정부(138)를 먼저 상세하게 설명한 다음 제1 및 제2 일측 고정부(116, 126)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타측 고정부(138)는 청소포(200)의 타측 가장자리를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여 청소포(200)를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타측 고정부(138)에 청소포(200)의 타측 가장자리가 고정된 상태에서는 제1 바닥면(110a)과 제2 바닥면(120a)의 위치 반전을 위하여 본체부(10)가 회전되는 경우에도 타측 고정부(138)가 청소포(200)가 빠지지 않도록 청소포(200)의 타측 가장자리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타측 고정부(138)는 청소포(200)의 타측 가장자리를 양면에서 가압하는 클램프 방식 또는 개폐판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즉, 타측 고정부(138)의 제1 타측 부분(118)과 제2 타측 부분(128)은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일측이 개폐되는 두 개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타측 부분(128)에서 중앙 부분 쪽에 가까운 부분에 측면부(114)의 힌지 고정부(138a)에 끼워지는 회전 결합부(138b)가 위치할 수 있다. 그러면, 제2 타측 부분(128)의 중앙 부분 쪽은 제1 타측 부분(118)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측 쪽은 제1 타측 부분(118)와 거리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개폐될 수 있다.
제1 타측 부분(118)과 제2 타측 부분(128) 사이에 청소포(200)가 위치되므로, 제1 타측 부분(118)과 제2 타측 부분(128)이 청소포(200)를 양면에서 가압하여 청소포(200)의 타측 가장자리 부분이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제1 및 제2 타측 부분(118, 128)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져 청소포(200)의 타측 가장자리 부분을 전체적이고 연속적으로 고정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타측 고정부(138)를 구성하는 제1 타측 부분(118)과 제2 타측 부분(128)이 본체부(10)의 타측 가장자리를 따라 길게 이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제1 타측 부분(118)와 제2 타측 부분(128) 사이에 청소포(200)의 타측 가장자리를 전체적으로 끼운 상태에서 청소포(200)의 양면을 가압하여 청소포(200)를 면을 가압하여 청소포(200)의 타측 가장자리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타측 부분(118)은 제2 높이를 가지고 제2 타측 부분(128)은 제3 높이를 가질 수 있는데, 제1 타측 부분(118)의 제2 높이와 제2 타측 부분(118)의 제3 높이의 합은 측면부(116)의 제1 높이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그러면, 타측 고정부(138)가 닫힌 상태에서 제2 타측 부분(128)의 외면과 덮개부(124)의 외면이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면서 제1 타측 부분(118)와 제2 타측 부분(128) 사이에는 청소포(200)가 완벽하게 가압된 상태로 위치하여 청소포(200)의 타측 가장자리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1 타측 부분(118)의 내면에는 제1 요철부(118a)가 형성되고, 제2 타측 부분(128)의 내면에는 제1 요철부(118a)에 맞물리는 제2 요철부(128a)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요철부(118a, 128a)는 청소포(200)의 타측 가장자리가 연장되는 방향(즉, 본체부(10)의 타측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 개가 길게 연장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및 제2 요철부(118a, 128a)는 서로 맞물리는 형상을 가져 청소포(200)의 양면을 가압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타측 고정부(138)가 닫힌 상태일 때 그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제1 타측 부분(118)와 제2 타측 부분(128)에 이들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 부재(118b, 128b)가 위치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고정 부재(118b, 128b)가 자석으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정 부재(118b, 128b)로는 억지 끼움 결합 등과 같은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타측 고정부(138)가 열린 상태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타측 부분(128)의 외측 쪽이 제1 타측 부분(118)으로부터 멀리 위치하므로, 청소포(200)를 빼거나 청소포(200)를 제1 타측 부분(118)과 제2 타측 부분(128) 사이에 놓을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측 고정부(138)가 닫힌 상태에서는 제1 타측 부분(118)과 제2 타측 부분(128)이 서로 밀착되고, 그 상태를 고정 부재(118b, 128b)가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일측 고정부(116, 126)는 쉬운 조작에 의하여 청소포(200)의 일측 가장자리를 고정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에 일측 가장자리를 쉽게 분리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제1 및 제2 일측 고정부(116, 126)는 일정한 형상으로 절개된 부분(CP)을 가지며 탄성력을 가지는 복수 개의 고정편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면, 절개된 부분(CP)에 청소포(200)의 일측 가장자리 부분을 밀어서 끼워 넣으면 복수 개의 고정편이 청소포(200)를 맞물려서 잡고 있는 상태가 되므로 청소포(200)의 가장자리 부분을 쉽게 고정할 수 있다. 그러면, 본체부(10)에 의하여 청소포(200)를 청소되는 면에 밀착한 상태로 바닥을 닦는 경우에는 제1 또는 제2 일측 고정부(116, 126)의 복수의 고정편이 청소포(200)의 일측 가장자리를 고정하고 있으므로 청소포(200)가 제1 또는 제2 일측 고정부(116, 126)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청소포(200)의 일측 가장자리를 잡고 복수의 고정편의 탄성력보다 큰 힘을 주어 잡아 당기게 되면 청소포(200)의 일측 가장자리를 제1 또는 제2 일측 고정부(116, 126)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 및 제2 일측 고정부(116, 126)의 절개된 부분(CP)이 중심으로부터 사방을 향하여 연장된 방사상의 형상을 가져 복수 개의 고정편이 부채꼴 형상을 가지는 것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절개된 부분(CP)이 Y자 형상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일측 고정부(116)가 위치하는 본체부(10)의 일측 가장자리는 개구부(30b)가 위치하는 부분이다. 제1 일측 고정부(116)는 개구부(30b)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하나씩 위치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2 일측 고정부(126)는 개구부(30b)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하나씩 위치할 수 있다. 그러면, 청소포(200)의 타측 가장자리의 양쪽을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청소포(200)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면서도 제1 또는 제2 일측 고정부(116, 126)의 개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및 제2 일측 고정부(116, 126)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일측 고정부(116)와 제2 일측 고정부(126)는 평면으로 볼 때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는 제1 일측 고정부(116)와 제2 일측 고정부(126)는 하나의 연결 부재(136)에 의하여 연결되어 일체화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연결 부재(136)의 일측 단부에 제1 일측 고정부(116)가 위치하고 타측 단부에 제2 일측 고정부(126)가 위치하여, 이들이 일체화될 수 있다. 연결 부재(136)는 내부가 비어 있는 파이프 형상을 가져 제1 또는 제2 일측 고정부(116, 126) 내부로 밀어서 끼워진 청소포(200)가 연결 부재(136) 내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면, 제1 및 제2 일측 고정부(116, 126)를 구비한 연결 부재(136)를 제1 홀(116a) 및 제2 홀(126b)에 끼우는 것에 의하여 본체부(10)의 양면에 위치한 제1 및 제2 일측 고정부(116, 126)를 쉽게 설치할 수 있고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연결 부재(136)를 구비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에는 제1 일측 고정부(116)가 바닥부(112)에 고정되고, 제2 일측 고정부(126)가 덮개부(124)에 고정될 수 있다. 그 외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타측 고정부(138)가 청소포(200)의 타측 가장자리를 양면에서 가압하여 고정하는 클램프 방식 또는 개폐판 방식을 가지고, 제1 및 제2 일측 고정부(116, 126)가 절개된 부분(CP)를 구비하는 복수의 고정편을 구비하여 청소포(200)의 일측 가장자리의 일부를 밀어서 끼워 넣는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이 타측 고정부(138)와 제1 및 제2 일측 고정부(116, 126)의 구조를 다르게 한다. 이에 따라 본체부(100)의 회전 시에서 타측 고정부(138)에 의하여 청소포(200)의 타측 가장자리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도록 하고, 제1 및 제2 일측 고정부(116, 126)에 의하여 청소포(200)의 일측 가잘자리를 쉽게 분리하고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의하여 청소포(200)에서 청소되는 면에 밀착되는 면을 편하게 교체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추후에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밀대 청소기에 적용될 수 있는 청소포(200)의 일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청소포(200)는, 제1 청소 부재(202)와, 제2 청소 부재(204)와, 제1 청소 부재(202)와 제2 청소 부재(204) 사이에 위치하는 이격 부재(206)를 포함하여 일체화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청소 부재(202)와 제2 청소 부재(204)는 서로 다른 용도를 가지도록 다른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 청소 부재(202, 204)는 부직포 청소포, 일회용 물티슈 청소포, 극세사 청소패드 등으로 다양한 물질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청소포(200)가 애완 동물의 털이나 용변을 처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청소포(200)의 제1 청소 부재(202)가 애완 동물의 용변을 흡수하는 용도를 하고 제2 청소 부재(204)가 물기 등을 닦는 용도를 가질 수 있다. 또는, 청소포(200)의 제1 청소 부재(202)가 젖은 걸레의 용도를 가지고, 제2 청소 부재(204)가 마른 걸레의 용도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하나의 청소포(200)를 이용하여 젖은 걸레로 청소를 한 후에 마른 걸레로 물기를 제거할 수 있다.
이격 부재(206)는 제1 청소 부재(202)와 제2 청소 부재(204)가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제1 청소 부재(202)와 제2 청소 부재(204)를 물리적 및 화학적으로 이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격 부재(206)로는 알려진 다양한 물질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일 예로, 방수 기능을 가지는 수지 필름, 수지 시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격 부재(206)로는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을 포함하는 필름 또는 시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밀대 청소기(100)가 청소포(200)의 양면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 청소포(200)의 양면에 다른 용도, 재질 등의 제1 청소 부재(202) 및 제2 청소 부재(204)를 가지도록 하여 이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소포(200)가 일면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된 것일 수도 있고, 제1 청소 부재(202)와 제2 청소 부재(204)가 동일한 물질, 용도 등을 가질 수도 있다. 그 외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대 청소기(100)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대 청소기(100)의 동작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청소포(200)의 타측 가장자리를 타측 고정부(128)에 고정하고 청소포(200)가 제1 바닥면(110a)을 전체적으로 덮도록 한 상태에서 일측 가장자리를 제1 일측 고정부(126)에 고정한다. 그러면, 청소포(200)의 제2 청소 부재(204)가 제1 바닥면(110a)에 인접하고 제1 청소 부재(202)가 외면으로 위치하게 된다. 본체부(10)의 제1 바닥면(110a)이 청소포(110)의 제1 청소 부재(202)를 청소되는 면에 밀착한 상태로 가압하는 것에 의하여 제1 청소 부재(202)에 의하여 청소를 할 수 있다.
청소포(200)의 제1 청소 부재(202)으로 청소를 마무리하여 제2 청소 부재(204)으로 청소를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청소포(200)의 일측 가장자리 부분을 당겨서 청소포(200)의 일측 가장자리를 제2 일측 고정부(126)로부터 분리한다. 이어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대부(20)를 들어올리면 본체부(10)가 개구부(30)를 통과하면서 본체부(10)의 바닥면(110a, 120a) 및 청소포(200)가 바닥에 수직하게 된다. 이어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청소 부재(202) 쪽에 제2 바닥면(120a)이 밀착되도록 밀대부(20)를 이용하여 본체부(10)를 밀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바닥면(120a)을 덮으면서 청소포(200)가 위치하고 제2 청소 부재(204)가 외면으로 위치하게 된다. 이어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청소포(200)의 일측 가장자리를 제1 일측 고정부(116)에 고정하면, 청소포(200)의 제1 청소 부재(202)가 제2 바닥면(120a)에 인접하고 제2 청소 부재(204)가 외면으로 위치한 상태로 청소포(200)가 고정된다. 본체부(10)의 제2 바닥면(120a)이 청소포(200)의 제2 청소 부재(204)를 청소되는 면에 밀착한 상태로 가압하는 것에 의하여 제2 청소 부재(204)에 의하여 청소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청소포(200)의 일측 가장자리를 제1 및 제2 일측 고정부(116, 126) 하나로부터 분리한 다음 본체부(10)를 회전시켜 청소포(200)의 일측 가장자리를 제1 및 제2 일측 고정부(116, 126)의 다른 하나에 끼워 넣는 것에 의하여 청소포(200)에서 청소가 되는 면을 교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청소포(200)의 타측 가장자리를 고정한 상태로 청소포(200)에서 청소가 되는 면을 교체할 수 있으므로, 위생적이고 쉽게 청소포(200)를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청소포(200)의 양면 사용을 유도할 수 있어 자원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른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밀대 청소기
10: 본체부
20: 밀대부
30: 개구부
116: 제1 일측 고정부
126: 제2 일측 고정부
138: 타측 고정부

Claims (6)

  1. 청소포가 고정되고, 편평한 제1 바닥면과 이에 반대되는 편평한 제2 바닥면이 형성된 본체부의 일 측 가장자리 쪽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 밀대부가 통과되어 결합됨으로써 상기 본체부가 회전가능해지고,
    상기 본체부는 타 측에 타측 고정부가 형성되어 청소포의 타 측 가장자리를 고정시킬 수 있는 한편, 복수의 제1 일측 고정부가 상기 제1 바닥면 일 측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복수의 제2 일측 고정부가 상기 제2 바닥면 일 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일측 고정부는 절개된 부분을 구비하는 복수의 고정편이 구비되되,
    상기 청소포의 일 측 가장자리를 제1 바닥면을 지나 제2 일측 고정부의 고정편에 고정하여 상기 청소포의 일 면을 상기 제1 바닥면에 밀착시켜 사용하고, 다시 분리하여 제2 바닥면을 지나 제1 일측 고정부의 고정편에 끼움 고정하여 상기 청소포의 타 면을 제2 바닥면에 밀착시켜 사용가능한 밀대 청소기.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측 고정부가 상기 청소포의 가장자리를 양면에서 가압하여 고정하는 클램프 방식 또는 개폐판 방식을 가지는 밀대 청소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일측 고정부와 상기 제2 일측 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일측 고정부가 상기 연결 부재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일측 고정부가 상기 연결 부재에 타측 단부에 위치하는 밀대 청소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포가 제1 청소 부재 및 제2 청소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청소 부재와 상기 제1 청소 부재가 서로 다른 용도를 가지거나 서로 다른 물질로 구성되는 밀대 청소기.

KR1020140040757A 2014-04-04 2014-04-04 양면 사용이 가능한 밀대 청소기 KR101560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757A KR101560153B1 (ko) 2014-04-04 2014-04-04 양면 사용이 가능한 밀대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757A KR101560153B1 (ko) 2014-04-04 2014-04-04 양면 사용이 가능한 밀대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5541A KR20150115541A (ko) 2015-10-14
KR101560153B1 true KR101560153B1 (ko) 2015-10-15

Family

ID=54357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0757A KR101560153B1 (ko) 2014-04-04 2014-04-04 양면 사용이 가능한 밀대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01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5854B1 (ko) 2020-04-06 2021-05-24 김승휘 밀대 청소기
KR102255863B1 (ko) 2020-04-06 2021-05-24 김승휘 밀대 청소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2862B1 (ko) * 2020-10-18 2021-11-04 이훈재 양면형 청소 밀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5854B1 (ko) 2020-04-06 2021-05-24 김승휘 밀대 청소기
KR102255863B1 (ko) 2020-04-06 2021-05-24 김승휘 밀대 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5541A (ko) 2015-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53304A (en) Easily releasable mat holder
KR101244849B1 (ko) 다용도 집게
US20060070196A1 (en) Mop having scrubbing area
RU2345751C2 (ru) Подкладочный элемент для опорной поверхности операционного стола
KR101560153B1 (ko) 양면 사용이 가능한 밀대 청소기
EP3235415B1 (en) Flat mop
US8407847B1 (en) Wet and dry disposable cloth sweeper
CA2600126C (en) Cleaning body and squeeze mop comprising said cleaning body
US20120198645A1 (en) Surface cleaner
JP6765168B2 (ja) 清掃用具
KR200424529Y1 (ko) 밀걸레
KR101988593B1 (ko) 청소 장치
US20170127891A1 (en) Device for cleaning a slat of a shutter having a specific lateral profile
KR101268995B1 (ko) 젓가락 자동정렬기
WO2020095488A1 (ja) 清掃具用の清掃ヘッド、上記清掃ヘッドを備える清掃具、清掃シートの、上記清掃具への使用、及び上記清掃具用の清掃シート
TW202017526A (zh) 清掃具用清掃頭、具備前述清掃頭的清掃具、清掃薄片使用於前述清掃具的使用方法、及前述清掃具用清掃薄片
KR200480784Y1 (ko) 베개 커버
US2715744A (en) Mops
WO2020095576A1 (ja) 清掃具用の清掃ヘッド、上記清掃ヘッドを備える清掃具、清掃シートの、上記清掃具への使用、及び上記清掃具用の清掃シート
JP3140187U (ja) 清掃用具
KR200412463Y1 (ko) 칠판 지우개
WO2020137512A1 (ja) 清掃用具
KR101331450B1 (ko) 신발주머니
JP6553798B1 (ja) 清掃具用の清掃ヘッド、上記清掃ヘッドを備える清掃具、清掃シートの、上記清掃具への使用、及び上記清掃具用の清掃シート
KR200209751Y1 (ko) 걸레판 회전식 밀걸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