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9751Y1 - 걸레판 회전식 밀걸레 - Google Patents

걸레판 회전식 밀걸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9751Y1
KR200209751Y1 KR2020000022393U KR20000022393U KR200209751Y1 KR 200209751 Y1 KR200209751 Y1 KR 200209751Y1 KR 2020000022393 U KR2020000022393 U KR 2020000022393U KR 20000022393 U KR20000022393 U KR 20000022393U KR 200209751 Y1 KR200209751 Y1 KR 2002097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p
mop plate
plate
support
fixed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23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낙현
Original Assignee
송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낙현 filed Critical 송낙현
Priority to KR20200000223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97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97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9751Y1/ko

Link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걸레판 회전식 밀걸레에 관한 것으로, 자루에 대하여 걸레판을 회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이 걸레판에 착탈가능한 걸레를 채용함으로써, 걸레의 상·하 양면을 모두 사용하여 보다 넓은 면적을 청소하는데 효용성을 높이도록 한 걸레판 회전식 밀걸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걸레판 회전식 밀걸레는, 일단측에 손잡이(46)가 형성되고, 타단측에 양갈래의 지지대(14)가 형성된 자루(12)와; 상기 지지대(14)의 각 단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레판 고정축(20)과; 상기 걸레판 고정축(20)이 횡방향으로 내설되고, 이 걸레판 고정축(20)에 대하여 자유회동되는 걸레판(18)과; 상기 지지대(14)의 단부가 상기 걸레판 고정축(20)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레판 회전부(32)와; 상기 걸레판(18)에 씌어지면서 착탈되게 일측에 개방부(28)를 갖는 걸레(26)와; 상기 걸레(26)의 개방부(28)를 덮어 걸레판(18)의 빠짐을 방지토록 한 결합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걸레판 회전식 밀걸레{DUSTER FOR ROTATING DUSTCLOTH PLATE}
본 고안은 걸레판 회전식 밀걸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루에 대하여 걸레판을 회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이 걸레판에 착탈가능한 양면의 걸레를 채용함으로써, 걸레의 상·하 양면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걸레판 회전식 밀걸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걸레·자루걸레·봉걸레(이하, 봉걸레로 통칭한다)라 불리는 걸레들은 기다란 봉의 일단측에 걸레를 설치하여 건물바닥이나 벽 또는 화장실 등을 청소하는데 사용한다.
상기한 봉걸레의 구조를 간략히 설명하면, 긴 봉의 일단측에 수술모양의 천이나 양모 등으로 이루어진 걸레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봉걸레는 전술한 바와 같이, 건물 바닥 등의 먼지나, 또는 건물 바닥, 화장실 바닥 등의 물기를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먼지나 물기는 봉걸레의 흡착,흡습력에 의하여 용이하게 제거되므로, 사용자가 걸레질을 할 경우 무리하여 걸레에 가압력을 주지 않아도 먼지나 물기는 쉽게 제거할 수 있으나, 바닥면에 이물질이 눌러 붙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봉걸레로 청소하기가 용이하지 못하였다.
이에, 봉의 일단측에 별도의 고정판이 설치되고, 이 고정판의 일면에 걸레가 설치되어서 사용자가 압력을 가한 만큼 걸레가 바닥면에 대하여 밀착력이 커지는 밀걸레가 제공되었고, 이러한 밀걸레를 이용하여 바닥면 등에 눌러 붙어 있는 이물질 등을 제거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밀걸레는 걸레가 고정판의 일측면에만 고정설치되어 있으므로, 청소시에 일면만 사용가능한 바, 쉽게 걸레가 더러워져 자주 세척한 후 사용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자루에 대하여 걸레판을 회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이 걸레판에 착탈가능한 걸레를 채용함으로써, 걸레의 상·하 양면을 모두 사용하여 보다 넓은 면적을 청소하는데 효용성을 높이도록 한 걸레판 회전식 밀걸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걸레판 회전식 밀걸레는, 일단측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타단측에 양갈래의 지지대가 형성된 자루와; 상기 지지대의 각 단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레판 고정축과; 상기 걸레판 고정축이 횡방향으로 내설되고, 이 걸레판 고정축에 대하여 자유회동되는 걸레판과; 상기 지지대의 단부가 상기 고정축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레판 회전부와; 상기 걸레판에 씌어지면서 착탈되게 일측에 개방부를 갖는 걸레와; 상기 걸레의 개방부를 덮어 걸레판의 빠짐을 방지토록 한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레판의 전면적에 걸쳐 연질고무가 코팅되어 있고, 상기 연질고무의 상·하면에는 일정간격으로 물결모양을 이루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걸레에 형성된 결합수단은 부직포 또는 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걸레와 걸레판에 탄성가압력을 주어 상호 밀착력을 증대시키도록 상기 지지대의 양 내측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설치된 보조 지지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레판 회전식 밀걸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걸레판과 걸레를 분리시킨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레판 회전식 밀걸레에서 자루의 지지대와 걸레판의 결합관계를 확대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레판 회전식 밀걸레에서 걸레판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걸레판 회전식 밀걸레에서 다른 실시예의 걸레판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걸레판 회전식 밀걸레에서 다른 실시예의 걸레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자루 14 : 지지대
16 : 보조 지지대 18 : 걸레판
20 : 걸레판 고정축 22 : 연질고무
24 : 돌출부 26 : 걸레
28 : 개방부 29 : 덮개부
30 : 결합수단 30a,30b : 부직포
30c : 끈 32 : 걸레판 회전부
34,36 : 와셔 38 : 부싱
40 : 보스 42 : 멈춤링
44 : 커버 46 : 손잡이
D : 걸레 개방거리 d : 걸레판의 폭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레판 회전식 밀걸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걸레판과 걸레를 분리시킨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레판 회전식 밀걸레에서 자루와 걸레판의 결합관계를 확대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레판 회전식 밀걸레에서 걸레판의 종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레판 회전식 밀걸레는 크게, 일단이 지지대(14)로 이루어진 자루(12), 걸레판(18), 걸레(26), 걸레판 회전부(3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자루(12)의 일단측에는 손잡이(46)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측에는 일정 각도로 하향절곡된 후, 서로 평행하게 연장형성되어 대칭을 이루는 지지대(1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지지대(14)의 양 내면 사이에는 이 지지대(14)를 연결하는 보조지지대(16)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보조 지지대(16)의 양단은 지지대(14)의 내면측에 대하여 회동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어 있고, 중간부위가 대략 'V'형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14)의 양단은 걸레판(18)의 중앙부위에 횡방향으로 내설된 걸레판 고정축(20)에 힌지결합되는데 이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걸레판(18)은 횡방향을 따라 중앙 부위가 가장 두껍고 전,후단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얇아져서 그 종단면 형상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형을 이루도록 한다. 이와 같이, 걸레판(l8)의 단면이 타원형으로 형성되면 걸레판(18)의 횡방향 양단에서 가압했을 경우 걸레판(18) 전체에 가압력이 균등하게 분포된다. 이러한 걸레판은 금형작업으로 제작되는데, 상기 걸레판의 전면적에 걸쳐 연질고무가 금형(미도시됨)내에서 코팅되도록 하되, 상·하 금형에 일정간격으로 연속되는 S자 형상의 요부(미도시됨)를 형성하여, 금형작업으로 완성된 걸레판은 외면에 횡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물결모양의 돌출부가 일체형성된 연질고무가 코팅되도록 한다.
상기 걸레판(18)에 코팅된 연질고무(22)는 밀걸레질시 걸레판(18)과, 이 걸레판(18)에 착탈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걸레(26) 사이의 슬립을 방지하고, 상기 연질고무(22)로부터 돌출형성된 돌출부(24)는 걸레질시 바닥면과 걸레 사이의 가압력을 증대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걸레판(18)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걸레(26)가 착탈되어지는데,이 걸레(2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에 개방부(28)를 갖는 육면체의 포대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개방부(28)는 걸레(26)의 일측면에서 양측으로 개방거리(D)만큼 연장되어 형성되는데, 이 개방거리(D)는 걸레(26)가 걸레판(18)에 씌어질 때 걸레판 고정축(20)의 양단에 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개방거리(D)는 걸레판(18)의 전체적인 폭길이에서 1/2과 동일하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이상을 넘어도 무방하다.
상기 걸레(26)는 개방부(28)를 기점으로 상·하로 구분되는데 각각 대향되는 단부에 결합수단(30)이 형성된다. 즉, 걸레(26)의 상·하부를 연결·해제하는 덮개부(29)가 구비되고, 이 덮개부(29)의 일단이 개방부(28)를 기점으로 걸레(26)의 하측에 자유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직각으로 절곡되어 걸레(26) 상측의 내면에 대하여 밀착·해제된다.
따라서, 상기 걸레(26)의 상측 내면에 부직포(30a)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덮개부(29)의 상면에 부직포(30b)를 형성하여 상호 부착시키면, 걸레(26)가 육면체 형상을 이루면서 걸레(26)의 개방부(28)를 막게 된다.
한편, 상기 걸레판(18)에 내설되고, 그 양단이 돌출형성된 걸레판 고정축(20)과 지지대(14)의 양단이 결합되는 걸레판 회전부(32)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걸레판 회전부(32)는 걸레판(18)의 양측에 동일하게 설치되므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일측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걸레판 고정축(20)의 단부에 와셔(34)를 삽입하고, 이 와셔(34)의 외측으로 부싱(38)을 삽입한다. 이때, 상기 부싱(38)은 걸레판 고정축(20)에 대하여 자유회동가능하다.
상기 부싱(38)의 외경으로는 이 부싱(38)과 연동하여 걸레판 고정축(20)에 대하여 자유회동할 수 있는 보스(40)가 삽입되는데, 이 보스(40)는 지지대(14)의 단부와 일체화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지지대(14)의 보스(40)를 부싱(38)의 외경에 끼운 후, 부싱(38)의 외측에 또 다른 와셔(36)를 삽입하여 부싱(38)을 정위치시키고, 와셔(36)의 외측으로 멈춤링(42)을 끼워 와셔(36)와 부싱(38)이 외측으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며 또, 와셔(36)의 외측으로 커버(44)를 삽입하여 걸레판 회전부(32)의 미관을 유지토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걸레판 회전식 밀걸레의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걸레(26)의 덮개부(29)를 열어 개방부(28)를 통해 자루(12)의 지지대(14)와 연결된 걸레판(18)을 일측으로부터 삽입시킨 후, 덮개부(29)의 상면에 형성된 부직포(30b)를 걸레(26)의 상측 내면에 형성된 부직포(30a)에 부착시켜 걸레판(18)에 걸레(26)가 씌어진 상태로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14)의 양 내측을 통해 연결된 보조 지지대(16)의 볼록 부위가 아래로 향하도록 하여 걸레(26)의 상면에 탄성가압력을 가함으로써, 걸레(26)와 걸레판(18)의 밀착력을 증대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바닥 등의 일정면적을 밀걸레질하여 걸레(26)의 일면이 더러워질 경우, 걸레판(18)에 대하여 걸레(26)가 밀착되도록 압력을 가하고 있는 보조 지지대(16)의 볼록부위를 위로 향하도록 하여 가압력을 해제시키고, 이어서 걸레판(18)을 일측방향으로 180°회전시킨 후, 다시 보조 지지대(16)를 원상태로 하여 밀걸레질을 하면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걸레(26)의 상·하면을 모두 사용하여 걸레(26) 전체가 더러워져서 걸레(26)를 세척하고자 할 경우에는, 덮개부(29)의 부직포(30b)와 걸레(26)의 부직포(30a)의 부착됨을 해제시켜 개방부(28)를 오픈시킨 후, 이 개방부(28)를 통해 걸레판(18)을 빼낸다. 이와 같이 분리된 걸레(26)를 세척 후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순서로 다시 걸레판(18)에 씌워 고정하여 반복적으로 사용하면 된다. 한편,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걸레판 회전식 밀걸레에서 걸레판의 형상을 달리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걸레판(18)의 각 모서리부를 라운드형성하여 건물의 구석을 걸레질하기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걸레판 회전식 밀걸레에서 걸레의 개방부를 결합하는 수단으로 끈(30c)을 이용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걸레(26)의 개방부(28) 상·하측 내면에 각각 서로 대응하는 한쌍의 끈(30c)을 일정간격으로 다수 형성하여서 걸레판(18)이 삽입된 상태에서 끈(30c)을 묶어 보다 효과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걸레의 개방부 결합 수단을 지퍼로 구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걸레판 회전식 밀걸레는 자루에 대하여 걸레판을 간단한 구조로 회동가능하게 구성하고, 이 걸레판에 양면의 걸레를 착탈가능하게 채용함으로써, 걸레의 양면을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바닥면등을 청소하게 되는 바, 청소의 효용성이 증대된다. 또한, 종래에는 딱딱한 걸레판과 걸레가 직접 접촉하므로써, 걸레가 쉽게 마모되었으나, 본 고안에서는 걸레판에 연질고무를 코팅하여 사용하므로 걸레의 마모를 최소화하는 한편, 걸레판의 연질고무와 걸레 사이의 마찰력으로 인하여 걸레가 걸레판에 대하여 헛도는 것이 방지되고, 연질고무에 형성된 돌출부에 의하여 걸레와 바닥면과의 밀착력이 증대되는 바, 이 또한 청소의 효용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4)

  1. 손잡이와 자루의 끝단에 걸레가 구비되는 밀걸레이 있어서, 일단측에 손잡이(46)가 형성되고, 타단측에 양갈래의 지지대(14)가 형성된 자루(12)와; 상기 지지대(14)의 각 단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레판 고정축(20)과; 상기 걸레판 고정축(20)이 횡방향으로 내설되고, 이 걸레판 고정축(20)에 대하여 자유회동되는 걸레판(18)과; 상기 지지대(14)의 단부가 상기 걸레판 고정축(2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레판 회전부(32)와; 상기 걸레판(18)에 씌어지면서 착탈되게 일측에 개방부(28)를 갖는 걸레(26)와; 상기 걸레(26)의 개방부(38)를 덮어 걸레판(18)의 빠짐을 방지토록 한 결합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레판 회전식 밀걸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레판(26)의 전면적에 걸쳐 연질고무(22)가 코팅되어 있고, 상기 연질고무(22)의 상·하면에는 일정간격으로 물결모양을 이루는 돌출부(24)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레판 회전식 밀걸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레(26)에 형성된 결합수단(30)은 부직포(30a, 30b) 또는 끈(30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레판 회전식 밀걸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레(26)와 걸레판(18)에 탄성가압력을 주어 상호 밀착력을 증대시키도록 상기 지지대(14)의 양 내측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설치된 보조 지지대(16)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레판 회전식 밀걸레.
KR2020000022393U 2000-08-05 2000-08-05 걸레판 회전식 밀걸레 KR2002097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393U KR200209751Y1 (ko) 2000-08-05 2000-08-05 걸레판 회전식 밀걸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393U KR200209751Y1 (ko) 2000-08-05 2000-08-05 걸레판 회전식 밀걸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9751Y1 true KR200209751Y1 (ko) 2001-01-15

Family

ID=73086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2393U KR200209751Y1 (ko) 2000-08-05 2000-08-05 걸레판 회전식 밀걸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975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9952B1 (ko) * 2001-12-26 2004-07-12 이승재 양면 사용이 가능한 밀대
KR100864015B1 (ko) 2007-11-26 2008-10-16 임병규 바닥용 청소도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9952B1 (ko) * 2001-12-26 2004-07-12 이승재 양면 사용이 가능한 밀대
KR100864015B1 (ko) 2007-11-26 2008-10-16 임병규 바닥용 청소도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22110A (en) Cleaning apparatus
KR101283136B1 (ko) 다중 청소면을 구비한 청소 도구
US20040071490A1 (en) Mop with cleaning head member and scrubber
JP2009513259A (ja) 清掃用具
KR101582700B1 (ko) 자체 탈수형 자루걸레
JP2021003546A (ja) 電動モップ用自動掃除可能な収納台
JP2008521450A (ja) こすり落とし領域を有するモップ
US8079112B2 (en) Disposable liquid absorbing cleaning pad for a hand held cleaning implement having an elongated handle
US5655250A (en) Floor cleaning implement
KR20160008647A (ko) 청소용 밀대에 착탈되는 걸레포
US5165138A (en) Cleaning device
KR200209751Y1 (ko) 걸레판 회전식 밀걸레
CN209661560U (zh) 一种拖把清洁工具
JP3071400B2 (ja) 箒に着合して用いる払掃具
KR200461088Y1 (ko) 빗자루 타입의 밀대걸레
JPH05207942A (ja) 湿乾式真空掃除機
KR200310237Y1 (ko) 간이식 청소기
CN109567700A (zh) 一种拖把清洁工具
KR960000913Y1 (ko) 물걸레 진공청소기의 흡입구
KR200303861Y1 (ko) 덮개가 부착된 테이프 청소기구
CA2545012A1 (en) Device for cleaning floors and similar surfaces
CN217792878U (zh) 一种带电机清洁效率极高的地毯/宠物清洁刷
JP2001169984A (ja) 清掃具
KR930009564A (ko) 습건식 진공 청소기
CN210643929U (zh) 一种多功能拖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