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5854B1 - 밀대 청소기 - Google Patents
밀대 청소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55854B1 KR102255854B1 KR1020200041320A KR20200041320A KR102255854B1 KR 102255854 B1 KR102255854 B1 KR 102255854B1 KR 1020200041320 A KR1020200041320 A KR 1020200041320A KR 20200041320 A KR20200041320 A KR 20200041320A KR 102255854 B1 KR102255854 B1 KR 1022558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d
- connection
- cleaning
- cleaning member
- connection pa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47L13/256—Plate frames for mops made of cloth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클리닝부재를 헤드의 상, 하부면에 모두 부착시켜 상기 헤드를 회전시켜 가면서 상기 헤드의 상, 하부면을 모두 이용하여 청소를 할 수 있는 밀대 청소기가 개시된다. 상기 밀대 청소기는 손잡이부와 결합되는 연결소켓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헤드를 청소면으로부터 이격시키게 되면 클리닝부재가 부착되는 상, 하부면이 지면과 수직이 되도록 상기 헤드가 자중에 의해 회전되어 기립되고, 상기 헤드를 청소면에 접촉시킨 후 가압하게 되면 상, 하부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면이 청소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헤드가 회전되는 헤드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헤드부에 클리닝부재를 부착하여 청소면의 이물질을 깨끗하게 닦아 제거할 수 있는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밀대 청소기는 손잡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헤드에 걸레나 1회용 청소포 또는 물청소포 등과 같은 각종 클리닝부재를 결합시켜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장소에서 바닥이나 각종 청소면을 닦아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청소도구이다.
이와 같은 밀대 청소기의 경우 헤드 상부면에 직물이나 부직포 소재로 제작된 클리닝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복수개의 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클리닝부재가 상기 헤드의 바닥면을 감싸도록 상기 클리닝부재의 모서리부를 상기 결합부에 결합시킨 후, 상기 클리닝부재가 청소면에 밀착되도록 헤드를 청소면에 가압시킨 상태에서 손잡이부를 이용하여 상기 헤드를 전후좌우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청소면의 각종 이물질을 닦아내어 청소를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밀대 청소기의 경우, 사용자가 앉아서 바닥 등과 같은 청소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닦아내지 않고 선 자세로 이동하여 청소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넓은 공간을 빠르게 청소할 수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청소기의 경우에는 헤드부를 상하좌우로 자유롭게 회전시키면서 청소면을 청소를 할 수는 있으나 손잡이가 상기 헤드부의 상부면 중앙부에 상하좌우 회전되도록 연결되는 특성 상, 상기 헤드부의 하부면에만 클리닝부재를 밀착시켜 사용할 수 있을 뿐, 헤드부의 상부면은 상기 손잡이부와의 간섭으로 인하여 클리닝부재를 밀착시켜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종래의 일반적인 청소기의 경우에는 헤드부의 상부면 중앙부에 상기 헤드부와 손잡이부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부가 존재하게 됨으로써 상기 손잡이부를 상기 연결부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상기 헤드부와 수평하게 접는다 하더라도 상기 헤드부의 상부면으로부터 연결부가 소정 높이만큼 돌출되어 있으므로 옷장이나 서랍장과 벽면 사이의 틈새나 냉장고와 벽면 사이의 틈새 등과 같이 좁은 틈새에는 상기 헤드부를 삽입하여 청소를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1252호(고안의 명칭 : 청소기)에 개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와 수평하도록 상기 손잡이부에 분리 교체 가능하게 탄성패널을 결합하여 상기 탄성패널의 양측면에 클리닝부재를 부착시켜 상기 탄성패널의 양측면 모두를 이용하여 청소면을 청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좁은 틈새에도 상기 클리닝부재가 부착된 탄성패널을 삽입하여 청소를 할 수 있는 청소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탄성패널을 손잡이부와 수평하도록 결합시킨 종래의 청소기의 경우 일반적으로 손잡이부가 벽면 등에 지지되도록 세워서 보관하는 청소기의 특성 상, 상기 손잡이부를 벽면 등에 지지되도록 세워서 보관하게 되면 탄성적으로 휘어지는 상기 탄성부재가 손잡이부의 중량과 탄성부재의 자중에 의해 일측으로 휘어진 상태로 보관됨으로써 소정시간 이상 세워서 보관하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의 형태가 휘어진 상태가 되도록 변형되어 탄성부재가 청소면에 전체적으로 고르게 밀착되지 않아 청소면의 청소 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가 손잡이부와 수평하게 결합된 탄성부재의 양측면을 모두 이용하여 청소면을 청소할 수 있는 종래의 일반적인 청소기의 경우 탄성부재의 매우 좁은 하부면만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로 손잡이부가 벽면 등에 지지되도록 세워져 보관됨으로써 청소기에 매우 작은 외력이 가해지기만 하면 청소기가 넘어지는 등 세워서 보관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탄성패널을 손잡이부에 수평하게 결합시킨 청소기의 경우에는 청소 시 탄성패널을 청소면에 가압하여 휘어진 상태로 밀착시켜 청소를 하게 되는 특성 상, 청소 시 클리닝부재가 부착된 상기 탄성패널을 청소면에 가압하여 밀착시키게 되면 상기 탄성패널의 끝단부의 경우 청소면에 밀착되지 않고 청소면으로부터 들떠있는 상태가 됨으로써 탄성패널 전체가 균일한 힘으로 청소면에 밀착되지 않아 청소 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클리닝부재를 헤드의 상, 하부면에 모두 부착시켜 상기 헤드를 회전시켜 가면서 상기 헤드의 상, 하부면을 모두 이용하여 청소를 할 수 있는 밀대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청소기로 평평한 청소면과 각종 틈새 청소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잡이부를 세워서 벽면 등에 지지되도록 보관한다 하더라도 헤드의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 밀대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적은 힘만 손잡이부에 가하게 되면 청소면의 형상과 사용자에 의해 손잡이를 통해 가해지는 힘의 방향에 따라 탄성패널이 가변적으로 변형되면서 청소면에 탄성패널 전체가 탄성적으로 밀착됨으로써 청소면 상태에 상관없이 클리닝부재 전체를 항상 청소면에 밀착시킨 상태로 청소면을 닦아 낼 수 있는 밀대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클리닝부재의 원단 종류나 크기 및 두께에 제한 없이 충분한 쿠션감을 제공하여 두께가 매우 얇은 일회용 클리닝부재의 경우에도 쿠션감 있게 청소면에 전체면을 견고하게 밀착시킨 상태로 청소면을 닦아낼 수 있는 밀대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 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손잡이부와 결합되는 연결소켓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헤드를 청소면으로부터 이격시키게 되면 클리닝부재가 부착되는 상, 하부면이 지면과 수직이 되도록 상기 헤드가 자중에 의해 회전되어 기립되고, 상기 헤드를 청소면에 접촉시킨 후 가압하게 되면 상, 하부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면이 청소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헤드가 회전되는 헤드유닛을 포함하는 밀대 청소기를 제시한다.
일예를 들면, 상기 헤드유닛은 상기 연결소켓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 결합부와, 상기 회전 결합부에 상단부가 고정 연결되며 상기 회전 결합부와 하단부 사이에 회전 공간부가 마련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헤드 연결부와, 상기 헤드 연결부의 하단부에 측면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헤드 연결부의 하단부를 중심으로 어느 한 측으로 무게 중심이 편심되어 청소면으로부터 이격시키게 되면 상, 하부면이 지면과 수직이 되도록 자중에 의해 회전되어 기립되는 헤드 및, 상기 헤드의 상, 하부면에 클리닝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부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헤드에 마련되는 클리닝부재 부착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회전 결합부는 상기 연결소켓의 하단부에 좌, 우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 브래킷 및, 상기 연결 브래킷의 하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헤드 연결부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고정 연결되는 연결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헤드 연결부는 상기 회전 결합부의 연결블록에 일부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회전 결합부의 연결블록에 삽입된 제1 연결부를 관통하여 연결블록에 상기 제1 연결부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연결블록에 체결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회전 결합부와의 사이에 헤드가 회전되는 회전 공간부가 마련되도록 상기 제1 연결부로부터 헤드 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로부터 헤드의 중앙부 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헤드의 측면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 연결부는 상기 제3 연결부를 따라 헤드가 슬라이딩 이동되거나 상기 제3 연결부로부터 상기 헤드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이탈 방지수단은 상기 헤드 내부로 삽입된 제3 연결부에 마련되는 고정 홈과, 상기 고정 홈에 체결되는 이탈 방지 링 및, 상기 이탈 방지 링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헤드의 내부에 돌출 형성된 이동 방지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헤드는 내부에 웨이트가 삽입되어 상기 헤드 연결부의 하단부를 중심으로 어느 한 측으로 무게 중심이 편심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상기 헤드는 상기 헤드 연결부의 하단부를 중심으로 양측이 무게가 서로 다르게 제작되어 상기 헤드 연결부의 하단부를 중심으로 어느 한 측으로 무게 중심이 편심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상기 헤드는 상기 헤드 연결부의 하단부에 측면부의 센터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헤드 연결부의 하단부를 중심으로 어느 한 측으로 무게 중심이 편심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헤드유닛은 상기 헤드와 클리닝부재 부착수단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헤드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패널은 상기 헤드와의 사이에 헤드의 좌우방향으로 관통되는 탄성 공간부가 마련되도록 상기 헤드의 하부 또는 상부 방향으로 볼록한 아치 형태로 탄성적으로 휘어진 형태로 상기 헤드에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는 헤드의 상, 하부면을 번갈아 가면서 청소면에 밀착시켜 청소를 할 수 있어 한 번의 클리닝부재 부착만으로 헤드의 상, 하부면을 번갈아 가면서 청소를 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일반적인 밀대 청소기에 비하여 오염된 클리닝부재의 교체 시간이 대폭 연장됨으로써 청소 시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는 종래의 일반적인 밀대 청소기와 같이 헤드의 상, 하부면 중 어느 하나의 면을 청소면에 밀착시킨 후 사용자가 손잡이부를 파지한 상태로 헤드에 힘을 가하여 청소면을 청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3 연결부를 중심으로 손잡이부를 회전시켜 손잡이부와 연결소켓 및 헤드가 수평이 되도록 하면 가구나 가전제품과 벽면 사이에 형성된 틈새나, 창틀, 문틀, 창문과 창문 사이의 틈새, 바닥면과 소파 사이의 틈새 등과 같은 각종 틈새의 청소까지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는 하나의 청소기로 바닥면이나 벽면 등과 같은 평평한 면과 각종 틈새 청소까지도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청소의 편의성을 제공함과 더불어 사용자의 청소기 구매 부담까지도 줄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는 클리닝부재 전체를 헤드의 상, 하부면에 부착시켜 청소를 할 수 있으므로 청소 시 상기 클리닝부재와 클리닝부재 부착수단 사이에 슬립 현상이 전혀 발생되지 않아 청소 시 클리닝부재로 인한 단차가 전혀 발생되지 않음으로써 클리닝부재 전체가 항상 청소면에 안정적으로 밀착된 상태에서 청소면을 닦아낼 수 있으므로 청소 효율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일반적인 밀대 청소기의 경우 일회용 클리닝부재를 사용하게 될 시 클리닝부재의 전, 후방부를 헤드 상부로 접어 올려 클리닝부재의 전, 후방부 모서리를 헤드 상부에 마련되어 있는 결합 홈부에 삽입하여 클리닝부재를 헤드에 고정시키는 특성 상 클리닝부재의 전, 후방부는 전혀 사용할 수 없으나, 본 발명에 따른 밀대용 청소기는 클리닝부재 전체가 헤드의 상, 하부면에 클리닝부재 부착수단에 의해 부착됨으로써 낭비되는 면적 없이 클리닝부재 전체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클리닝부재의 소모량을 종래의 밀대 청소기에 비해 대폭 절감할 수 있으므로 자원 절약 측면에서도 탁월한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는 헤드와 탄성패널 사이에 탄성 공간부가 마련됨과 동시에 탄성패널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청소면의 형상과 사용자에 의해 손잡이부를 통해 가해지는 힘의 방향에 따라 탄성패널이 가변적으로 변형되면서 보다 큰 힘으로 클리닝부재 전체가 청소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적은 힘을 들이고도 청소면을 보다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으므로 청소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는 두께가 매우 얇은 부직포 등으로 제작된 일회용 청소포와 같은 클리닝부재를 사용하여 청소할 시에도 클리닝부재 전체를 청소면에 견고하게 밀착시킬 수 있는 충분한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보다 적은 힘을 가하고도 보다 큰 힘으로 클리닝부재 전체를 청소면에 밀착시켜 클리닝부재 전체를 사용하여 청소면을 닦아낼 수 있으므로 청소 효율을 더욱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관 시에는 종래의 일반적인 밀대 청소기와 마찬가지로 헤드를 바닥면에 밀착시킨 상태로 손잡이부를 벽면 등에 기대어 보관할 수 있으므로 보관상의 편의성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궁극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는 청소 효율을 한층 더 향상시켜 사용자에게 청소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청소기로 평평한 청소면과 각종 틈새까지도 청소할 수 있으며 일회용 클리닝부재의 소모량도 대폭 줄일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청소기 및 일회용 클리닝부재의 구매 부담을 대폭 줄여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원까지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의 사시도
도 2는 헤드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이탈 방지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헤드가 기립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 내지 도 7은 클리닝부재 부착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의 사시도
도 9 내지 도 10은 손잡이부와 연결소켓을 회전 결합부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헤드유닛 측으로 접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헤드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이탈 방지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헤드가 기립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 내지 도 7은 클리닝부재 부착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의 사시도
도 9 내지 도 10은 손잡이부와 연결소켓을 회전 결합부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헤드유닛 측으로 접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헤드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3은 이탈 방지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는 헤드가 기립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 내지 도 7은 클리닝부재 부착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100)는 손잡이부(110), 연결소켓(120) 및, 헤드유닛(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110)는 텔레스코프 형태와 같이 다단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부(110)의 하단부에는 나사부가 형성된 결합부(도시되지 않음)가 마련됨으로써 상기 연결소켓(120)과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손잡이부(110)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복수개로 나뉘어져 제작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로 서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소켓(120)은 내부에 나사부(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손잡이부(110)의 하단부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소켓(120)과 손잡이부(110)는 나사 결합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손잡이부(110)의 하단부를 상기 연결소켓(120)에 삽입한 후 상기 연결소켓(120)과 손잡이부(110)를 관통하도록 상기 연결소켓(120)에 고정부재(도시되지 않음)를 결합시켜 상기 연결소켓(120)을 상기 손잡이부(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도 있다.
상기 헤드유닛(130)은 상기 연결소켓(1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후술되는 헤드유닛(130)의 헤드(133)를 청소면으로부터 이격시키게 되면 클리닝부재(140)가 부착되는 상, 하부면이 지면과 수직이 되도록 상기 헤드(133)가 자중에 의해 회전되어 기립될 수 있으며, 상기 헤드(133)를 청소면에 접촉시킨 후 가압하게 되면 상기 헤드(133)의 상, 하부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면이 청소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헤드(133)가 회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100)는 헤드유닛(130)의 헤드(133)를 청소면에 접촉시킨 후 사용자가 손잡이부(110)를 잡고 청소면에 상기 헤드(133)를 가압하게 되면 헤드의 상, 하부면 중 원하는 어느 하나의 면을 청소면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헤드(133)를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바닥 등과 같이 개방되어 있는 청소면의 경우에는 일반적인 밀대 청소기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헤드(133)의 상, 하부면 중 원하는 어느 하나의 면을 청소면에 밀착시켜 청소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헤드(133)의 상, 하부면 모두를 사용하여 청소를 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보관 시 헤드(133)를 바닥면에 밀착시킨 후 손잡이부(110)를 벽면 등에 기대어 일반적인 밀대 청소기와 같이 보관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본 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100)는 헤드유닛(133)을 청소면으로부터 이격시키게 되면 클리닝부재(140)가 부착되어 있는 헤드(133)의 상, 하부면이 지면과 수직이 되도록 상기 헤드(133)가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됨으로써 개방되지 않은 옷장이나 냉장고 등과 같은 물건들과 벽체 사이의 틈새에도 상기 헤드유닛(133)을 삽입하여 청소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헤드유닛(130)은 회전 결합부(131), 헤드 연결부(132), 헤드(133) 및, 클리닝부재 부착수단(1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결합부(131)는 상기 연결소켓(1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회전 결합부(131)는 상기 연결소켓(120)의 하단부에 좌우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131c)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회전 결합부(131)는 연결 브래킷(131a) 및, 연결블록(131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브래킷(131a)은 상기 연결소켓(120)의 하단부에 좌, 우 회전 가능하게 힌지(131c)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블록(131b)은 상기 연결 브래킷(131a)의 하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헤드 연결부(132)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블록(131b)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는 상기 헤드 연결부(132)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삽입 홈(131d)이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 홈(131d)이 상기 연결블록(131b)의 양측면 모두에 마련될 경우에는 상기 연결블록(131b)의 양측면에 마련된 삽입 홈(131d)은 서로 연통된 홀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헤드 연결부(132)는 적어도 하나가 상기 회전 결합부(131)에 상단부가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헤드 연결부(132)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결합부(131)의 일측에 하나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회전 결합부(131)의 양측에 한 쌍이 연결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상기 헤드 연결부(132)는 상기 회전 결합부(131)와 연결되는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에 회전 공간부(S1)가 마련되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헤드 연결부(132)는 제1 연결부(132a), 고정부재(132d), 제2 연결부(132b) 및, 제3 연결부(132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132a)는 상기 회전 결합부(131)의 연결블록(131b)에 일부가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32d)는 상기 회전 결합부(131)의 연결블록(131b)에 삽입된 제1 연결부(132a)를 관통하여 상기 연결블록(131b)에 상기 제1 연결부(132a)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연결블록(131b)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부(132b)는 상기 회전 결합부(131)와의 사이에 헤드(133)가 회전되는 회전 공간부(S1)가 마련되도록 상기 제1 연결부(132a)로부터 헤드(133) 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연결부(132c)는 상기 제2 연결부(132b)로부터 헤드(133)의 중앙부 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헤드(133)의 측면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헤드 연결부(132)는 이탈 방지수단(132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탈 방지수단(132e)은 상기 제3 연결부(132c)를 따라 헤드(133)가 좌우 슬라이딩 이동되거나 상기 제3 연결부(132c)로부터 상기 헤드(133)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이탈 방지수단(132e)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홈(1321), 이탈 방지 링(1322) 및, 이동 방지 블록(13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홈(1321)은 상기 헤드(133) 내부로 삽입된 제3 연결부(132c)의 외주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이탈 방지 링(1322)은 상기 고정 홈(1321)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이탈 방지 블록(1323)은 상기 이탈 방지 링(1322)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헤드(133)의 내부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헤드(133)는 상기 헤드 연결부(132)의 하단부에 측면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헤드(133)는 상기 헤드 연결부(132)의 하단부, 즉 상기 제3 연결부(132c)를 중심으로 어느 한 측으로 무게 중심이 편심되어 상기 헤드(133)를 청소면으로부터 이격시키게 되면 클리닝부재(140)가 부착되는 상, 하부면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과 수직이 되도록 자중에 의해 회전되어 기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헤드(133)는 내부에 웨이트(133a)가 삽입되어 상기 헤드 연결부(132)의 하단부인 제3 연결부(132c)를 중심으로 어느 한 측으로 무게 중심이 편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헤드(133)를 청소면으로부터 이격시키게 되면 상, 하부면이 지면과 수직이 되도록 자중에 의해 회전되어 기립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상기 헤드(133)는 상기 헤드 연결부(132)의 하단부인 제3 연결부(132c)를 중심으로 양측이 무게가 서로 다르게 제작되어 상기 헤드 연결부(132)의 하단부인 상기 제3 연결부(132c)를 중심으로 어느 한 측으로 무게 중심이 편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헤드(133)를 청소면으로부터 이격시키게 되면 상, 하부면이 지면과 수직이 되도록 자중에 의해 회전되어 기립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상기 헤드(133)는 측면부의 센터로부터 전방부 또는 후방부 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를 상기 헤드 연결부(132)의 하단부인 제3 연결부(132c)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킴으로써 상기 헤드 연결부(132)의 하단부인 제3 연결부(132c)를 중심으로 어느 한 측으로 무게 중심이 편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헤드(133)를 청소면으로부터 이격시키게 되면 상, 하부면이 지면과 수직이 되도록 자중에 의해 회전되어 기립될 수 있다.
상기 클리닝부재 부착수단(134)은 상기 헤드(133)의 상, 하부면에 클리닝부재(140)를 탈착 가능하게 부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헤드(133)에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클리닝부재 부착수단(134)은 상기 헤드(133)의 상, 하부면에 클리닝부재(140)를 전체를 고르게 탈착 가능하도록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걸레질을 하는 사용자에게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헤드(133)의 상, 하부면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클리닝부재 부착수단(134)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헤드(133)와 일체가 되도록 상기 헤드(133)의 표면에 돌출 형성된 'T'자 형상의 복수개의 부착돌기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클리닝부재 부착수단(134)은 상기 헤드(133)의 상, 하부면에 접착수단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착수단으로는 양면테이프나 접착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클리닝부재 부착수단(134)은 상기 헤드(133)에 봉재, 열융착, 고주파 방식 등에 의해서도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클리닝부재 부착수단(134)은 상기 헤드(133)와 함께 사용자에게 쿠션감을 제공함으로써 클리닝부재(140)를 상기 헤드(133)에 부착하여 사용할 시 상기 클리닝부재(140)가 청소면에 밀착되는 면적을 넓힐 수 있도록 하여 두께가 얇은 부직포 등으로 제작된 일회용 청소포와 같은 클리닝부재(140)를 사용한 청소를 한층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클리닝부재 부착수단(134)은 바디부(134a) 및, 결합부재(134b)를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34a)는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헤드(133)에 접착수단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134b)는 상기 바디부(134a)에 결합되어 상기 클리닝부재(140)를 탈착 가능하게 상기 헤드(133)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집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결합부재(134b)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길이가 동일한 집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상기 결합부재(13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길이가 서로 다른 집게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부재(134b)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나 하단부는 클리닝부재(140)의 부착력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빗자루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합부재(134b)는 집게 형태로 형성되어 끝단부가 직물이나 부직포 등으로 제작된 클리닝부재(140)의 틈새에 끼워짐으로써 헤드에 마른 클리닝부재(140) 뿐만 아니라 젖은 클리닝부재(140)도 견고하게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100)는 클리닝부재(140)의 원단 선택의 폭이 매우 넓음과 동시에 마르거나 물에 젖은 클리닝부재(140)를 모두 사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장소에서 다양한 청소 작업을 진행할 시에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2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100)는 탄성패널(135)이 추가되는 구성을 제외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기 탄성패널(135)을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100)의 헤드유닛(130)은 탄성패널(1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패널(135)은 상기 헤드유닛(130)의 헤드(133)에 적어도 하나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탄성패널(135)은 상기 헤드(133)와의 사이에 헤드(133)의 좌우방향으로 탄성 공간부(S2)가 마련되도록 상기 헤드(133)의 하부 또는 상부 방향으로 볼록한 아치 형태로 탄성적으로 휘어진 상태로 상기 헤드(133)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탄성패널(135)은 헤드(133)와의 사이에 탄성 공간부(S2)가 마련됨과 동시에 자체 탄성 복원력에 의해 탄성패널(135)을 청소면에 밀착시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할 시 청소면의 형상과 사용자에 의해 손잡이부(110)를 통해 가해지는 힘의 방향에 따라 가변적으로 변형되면서 청소면에 전체가 탄성적으로 밀착되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탄성패널(135)은 두께가 얇은 일회용 청소포와 같은 클리닝부재(140)를 사용할 시에도 걸레질을 하는 사용자에게 두께가 두꺼운 걸레와 같은 클리닝부재(140)를 사용할 시와 동일한 쿠션감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보다 적은 힘을 가하더라도 손잡이부(110)로부터 전달되는 힘이 클리닝부재(140) 전체에 고르게 분산되어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탄성패널(135)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중앙부에서부터 헤드의 전후방향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차적으로 두꺼워지도록 형성됨으로써 보다 탄성적으로 가변되면서 청소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100)의 경우 상기 헤드(133)에 탄성패널(135)이 결합됨으로써 클리닝부재(140)가 부착되는 클리닝부재 부착수단(134)은 상기 탄성패널(135)에 부착된다.
여기서, 상기 클리닝부재 부착수단(134)은 탄성패널(135)에 부착되는 것을 제외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의 클리닝부재 부착수단(134)과 실질적으로 동일함으로써 상기 클리닝부재 부착수단(134)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0는 손잡이부와 연결소켓을 회전 결합부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헤드유닛 측으로 접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100)는 회전 결합부(131)에 고정 연결되는 제1 연결부(132a)와 헤드(133)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 연결부(132c) 사이에 상기 헤드(133)가 상기 제3 결합부(132c)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는 회전 공간부(S1)가 마련되도록 헤드 연결부(132)가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헤드(133)의 상, 하부면 중 원하는 면을 청소면에 밀착시켜 청소면을 청소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종래의 일반적인 밀대 청소기는 헤드를 상하좌우로 자유롭게 회전시키면서 청소면을 청소를 할 수 있으나, 손잡이부가 헤드의 상부면 중앙부에 상하좌우 회전되도록 연결되는 특성 상, 헤드와 손잡이부와의 간섭으로 인하여 상기 헤드의 상부면과 하부면이 서로 전환되도록 상기 헤드를 180도 회전시켜 청소면에 밀착시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헤드의 상부면에는 클리닝부재를 부착시켜 사용할 수 없으므로 청소 시 헤드의 하부면만 사용된다.
따라서, 종래의 일반적인 밀대 청소기는 청소면의 청소 시 헤드의 하부면만 사용할 수 있고 상부면은 전혀 사용할 수 없으므로 사용자가 오염된 클리닝부재를 자주 교체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100)는 헤드 연결부(132)의 제1, 3 연결부(132a)(132c) 사이에 헤드(133)가 회전될 수 있는 회전 공간부(S1)가 마련됨으로써 헤드(133)가 손잡이부(110)나 회전 결합부(131) 등과의 간섭 없이 상, 하부면이 전환되어 청소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3 연결부(132c)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133)의 상, 하부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헤드 연결부(132)의 제3 연결부(132c)가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헤드(133)의 측면에 상기 제3 연결부(132c)가 연결됨으로써 상기 헤드(133)의 상, 하부면은 평평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100)는 청소 시 상기 헤드(133)의 상, 하부면 모두에 클리닝부재(140)를 부착한 후 상기 헤드(133)의 상, 하부면을 번갈아 가면서 청소면에 밀착시켜 청소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100)는 청소 시 한 번의 클리닝부재(140) 부착만으로 헤드의 상, 하부면을 번갈아 가면서 청소면을 청소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일반적인 밀대 청소기에 비하여 오염된 클리닝부재(140)의 교체 시간이 대폭 연장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100)는 상기 헤드(133)가 상기 제3 연결부(132c)를 중심으로 어느 한 측으로 무게 중심이 편심되도록 측면부가 제3 연결부(132c)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상기 헤드(133)의 상, 하부면 중 어느 하나의 면을 청소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부(110)를 이용하여 상기 헤드(133)를 청소면으로부터 이격시키게 되면 상기 헤드(133)가 상, 하부면이 지면과 수직이 되도록 자중에 의해 상기 제3 연결부(132c)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기립된다.
상기와 같이 제3 연결부(132c)를 중심으로 헤드(133)가 상, 하부면이 지면과 수직이 되도록 자중에 의해 기립된 상태에서 손잡이부(110)를 헤드 연결부(132)의 제3 연결부(132c)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상기 손잡이부(110), 연결소켓(120) 및, 헤드(133)를 수평하게 만들게 되면 상기 헤드(133)를 각종 가구와 벽면 사이의 틈새, 냉장고 등과 같은 전자제품과 벽면 사이 틈새, 유리창과 유리창 사이의 틈새 등에 삽입하여 청소를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헤드(133)의 상, 하부면 중 사용자가 원하는 면을 바닥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110)를 헤드 연결부(132)의 제3 연결부(132c)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상기 헤드(133)와 함께 손잡이부(110), 연결소켓(120)을 바닥면에 밀착시켜 수평하게 만들게 되면 상기 헤드(133)를 각종 가구와 바닥면 사이의 틈새에 삽입하여 청소를 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헤드(133)를 들어 올려 기립시키거나 헤드(133)의 상, 하부면 중 원하는 면을 바닥에 밀착시킨 후 손잡이부(110)를 제3 연결부(132c)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손잡이부(110)와 연결소켓(120)을 상기 헤드(133)와 수평하게 만든 상태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소켓(120)과 손잡이부(110)가 제3 연결부(132c) 측으로 접히거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소켓(120)과 손잡이부(110)가 헤드(133)의 후면부 측으로 접히도록 상기 손잡이부(110)를 회전 결합부(131)를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상, 하부 높이가 매우 낮은 좁은 틈새에도 헤드(133)를 삽입하여 청소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100)는 사용하지 않고 보관할 시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133)의 상, 하부면 중 어느 하나의 면이 바닥에 밀착된 상태에서 손잡이부(110)를 제3 연결부(132c)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들어 올려 상기 헤드(133)의 상, 하부면 중 어느 하나의 면은 바닥면에 밀착되고 손잡이부(110)는 벽면 등에 지지되도록 세워서 보관이 가능함으로써 헤드(133)가 변형되는 현상 없이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보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110)는 클리닝부재 부착수단(134)으로 헤드(133)의 표면에 돌출 형성된 부착돌기를 사용하거나, 상기 헤드(133)에 접착수단에 의해 부착되는 바디부(134a))에 집게 형태로 결합된 결합부재(134b)로 형성된 클리닝부재 부착수단(134)을 사용함으로써 클리닝부재(140) 전체를 사용하여 청소면을 청소할 수 있다.
즉, 종래의 일반적인 밀대 청소기는 헤드의 상부면에 복수개의 결합 홈부가 형성되어 헤드의 하부면에 클리닝부재를 밀착시킨 후 상기 클리닝부재의 전, 후방부를 헤드의 상부면 측으로 접어 올린 후 상기 클리닝부재의 모서리부를 상기 결합 홈부에 삽입하여 상기 클리닝부재를 헤드에 고정시켜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일회용 클리닝부재를 사용하여 청소를 하게 될 경우에는 상기 헤드의 상부면 측으로 접어 올려져 상기 결합 홈부에 삽입되는 클리닝부재의 전, 후방 측은 전혀 사용되지 않고 클리닝부재가 버려지게 됨으로써 일회용 클리닝부재의 소모량이 증가되어 자원이 낭비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100)는 클리닝부재(140) 전체를 클리닝부재 부착수단(134)을 이용하여 헤드의 상, 하부면에 부착시켜 청소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회용 클리닝부재(140)를 사용한다 하더라도 낭비되는 면적 없이 클리닝부재(140) 전체를 사용하여 청소를 할 수 있어 클리닝부재(140)의 소모량을 절감할 수 있으므로 자원 절약 측면에서도 탁월한 장점이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100)는 헤드(133)와 탄성패널(135) 사이에 탄성 공간부(S2)가 마련됨과 동시에 탄성패널(135)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청소면의 형상과 사용자에 의해 손잡이부(110)를 통해 가해지는 힘의 방향에 따라 탄성패널(135)이 가변적으로 변형되면서 보다 큰 힘으로 클리닝부재(140) 전체가 청소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적은 힘을 들이고도 청소면을 보다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으므로 청소 효율까지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두께가 매우 얇은 부직포 등으로 제작된 일회용 청소포와 같은 클리닝부재(140)를 사용하여 청소할 시에도 클리닝부재(140) 전체를 청소면에 견고하게 밀착시킬 수 있는 충분한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보다 적은 힘을 가하고도 보다 큰 힘으로 클리닝부재(140) 전체를 청소면에 밀착시켜 클리닝부재(140) 전체를 사용하여 청소면을 닦아낼 수 있으므로 청소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의 경우 스티로폼이나 우레탄 등으로 형성된 탄성부재를 설치하지 않고 헤드(133)와의 사이에 탄성 공간부(S2)가 마련되도록 탄성패널(135)을 헤드(133)에 결합시키는 구조만으로도 두께가 매우 얇은 부직포 등으로 제작된 일회용 청소포와 같은 클리닝부재(140)를 사용하여 습식 청소를 한다 하더라도 물이 스며드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각종 세균이나 곰팡이 등이 번식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며, 물이 스며드는 현상을 방지하가 위한 방수포나 별도의 탄성부재를 전혀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청소기의 제작비용 또한 대폭 절감할 수 있으므로 보다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함과 더불어 보다 저렴한 비용의 청소기를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100)는 헤드(133)의 상, 하부면을 번갈아 가면서 청소면에 밀착시켜 청소를 할 수 있어 한 번의 클리닝부재(140) 부착만으로 헤드의 상, 하부면을 번갈아 가면서 청소를 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일반적인 밀대 청소기에 비하여 오염된 클리닝부재(140)의 교체 시간이 대폭 연장됨으로써 청소 시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100)는 종래의 일반적인 밀대 청소기와 같이 헤드(133)의 상, 하부면 중 어느 하나의 면을 청소면에 밀착시킨 후 사용자가 손잡이부(110)를 파지한 상태로 헤드(133)에 힘을 가하여 청소면을 청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3 연결부(132c)를 중심으로 손잡이부(110)를 회전시켜 손잡이부(110)와 연결소켓(120) 및 헤드(133)가 수평이 되도록 하면 가구나 가전제품과 벽면 사이에 형성된 틈새나, 창틀, 문틀, 창문과 창문 사이의 틈새, 바닥면과 소파 사이의 틈새 등과 같은 각종 틈새의 청소까지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100)는 하나의 청소기로 바닥면이나 벽면 등과 같은 평평한 면과 각종 틈새 청소까지도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청소의 편의성을 제공함과 더불어 사용자의 청소기 구매 부담까지도 줄여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100)는 클리닝부재(140) 전체를 헤드(133)의 상, 하부면에 부착시켜 청소를 할 수 있으므로 청소 시 상기 클리닝부재(140)와 클리닝부재 부착수단(134) 사이에 슬립 현상이 전혀 발생되지 않아 청소 시 클리닝부재(1140)로 인한 단차가 전혀 발생되지 않음으로써 클리닝부재(140) 전체가 항상 청소면에 안정적으로 밀착된 상태에서 청소면을 닦아낼 수 있으므로 청소 효율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일반적인 밀대 청소기의 경우 일회용 클리닝부재를 사용하게 될 시 클리닝부재의 전, 후방부를 헤드 상부로 접어 올려 클리닝부재의 전, 후방부 모서리를 헤드 상부에 마련되어 있는 결합 홈부에 삽입하여 클리닝부재를 헤드에 고정시키는 특성 상 클리닝부재의 전, 후방부는 전혀 사용할 수 없으나, 본 발명에 따른 밀대용 청소기(100)는 클리닝부재(140) 전체가 헤드의 상, 하부면에 클리닝부재 부착수단(134)에 의해 부착됨으로써 낭비되는 면적 없이 클리닝부재(140) 전체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클리닝부재(140)의 소모량을 종래의 밀대 청소기에 비해 대폭 절감할 수 있으므로 자원 절약 측면에서도 탁월한 장점이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100)는 헤드(133)와 탄성패널(135) 사이에 탄성 공간부(S2)가 마련됨과 동시에 탄성패널(135)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청소면의 형상과 사용자에 의해 손잡이부(110)를 통해 가해지는 힘의 방향에 따라 탄성패널(135)이 가변적으로 변형되면서 보다 큰 힘으로 클리닝부재(140) 전체가 청소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적은 힘을 들이고도 청소면을 보다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으므로 청소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100)는 두께가 매우 얇은 부직포 등으로 제작된 일회용 청소포와 같은 클리닝부재(140)를 사용하여 청소할 시에도 클리닝부재(140) 전체를 청소면에 견고하게 밀착시킬 수 있는 충분한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보다 적은 힘을 가하고도 보다 큰 힘으로 클리닝부재(140) 전체를 청소면에 밀착시켜 클리닝부재(140) 전체를 사용하여 청소면을 닦아낼 수 있으므로 청소 효율을 더욱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 손잡이부 (120) : 연결소켓
(130) : 헤드유닛 (140) : 클리닝부재
(130) : 헤드유닛 (140) : 클리닝부재
Claims (11)
- 손잡이부와 결합되는 연결소켓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헤드를 청소면으로부터 이격시키게 되면 클리닝부재가 부착되는 상, 하부면이 지면과 수직이 되도록 상기 헤드가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되어 기립되고, 상기 헤드를 청소면에 접촉시킨 후 가압하게 되면 상, 하부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면이 청소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헤드가 회전되는 헤드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헤드유닛은,
상기 연결소켓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 결합부;
상기 회전 결합부에 상단부가 고정 연결되며 상기 회전 결합부와 하단부 사이에 회전 공간부가 마련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헤드 연결부;
상기 헤드 연결부의 하단부에 측면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헤드 연결부의 하단부를 중심으로 어느 한 측으로 무게 중심이 편심되어 청소면으로부터 이격시키게 되면 상, 하부면이 지면과 수직이 되도록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되어 기립되는 헤드; 및
상기 헤드의 상, 하부면에 클리닝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부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헤드에 마련되는 클리닝부재 부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결합부는,
상기 연결소켓의 하단부에 좌, 우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 브래킷; 및
상기 연결 브래킷의 하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헤드 연결부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고정 연결되는 연결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헤드 연결부는,
상기 회전 결합부의 연결블록에 일부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제1 연결부;
상기 회전 결합부의 연결블록에 삽입된 제1 연결부를 관통하여 연결블록에 상기 제1 연결부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연결블록에 체결되는 고정부재;
상기 회전 결합부와의 사이에 헤드가 회전되는 회전 공간부가 마련되도록 상기 제1 연결부로부터 헤드 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로부터 헤드의 중앙부 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헤드의 측면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 연결부를 포함하여,
상기 헤드를 들어 올려 기립시킨 후 손잡이부를 제3 연결부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손잡이부와 연결소켓을 상기 헤드와 수평하게 만든 상태에서 연결소켓과 손잡이부가 제3 연결부 측으로 접히거나 연결소켓과 손잡이부가 헤드의 후면부 측으로 접히도록 상기 손잡이부를 회전 결합부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상, 하부 높이가 매우 낮은 좁은 틈새에서 헤드를 삽입하여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밀대 청소기.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연결부는,
상기 제3 연결부를 따라 헤드가 슬라이딩 이동되거나 상기 제3 연결부로부터 상기 헤드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밀대 청소기.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수단은,
상기 헤드 내부로 삽입된 제3 연결부에 마련되는 고정 홈;
상기 고정 홈에 체결되는 이탈 방지 링; 및
상기 이탈 방지 링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헤드의 내부에 돌출 형성된 이동 방지 블록을 포함하는 밀대 청소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내부에 웨이트가 삽입되어 상기 헤드 연결부의 하단부를 중심으로 어느 한 측으로 무게 중심이 편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대 청소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상기 헤드 연결부의 하단부를 중심으로 양측이 무게가 서로 다르게 제작되어 상기 헤드 연결부의 하단부를 중심으로 어느 한 측으로 무게 중심이 편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대 청소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상기 헤드 연결부의 하단부에 측면부의 센터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헤드 연결부의 하단부를 중심으로 어느 한 측으로 무게 중심이 편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대 청소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유닛은,
상기 헤드와 클리닝부재 부착수단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헤드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패널을 더 포함하는 밀대 청소기. -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패널은,
상기 헤드와의 사이에 헤드의 좌우방향으로 관통되는 탄성 공간부가 마련되도록 상기 헤드의 하부 또는 상부 방향으로 볼록한 아치 형태로 탄성적으로 휘어진 형태로 상기 헤드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대 청소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41320A KR102255854B1 (ko) | 2020-04-06 | 2020-04-06 | 밀대 청소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41320A KR102255854B1 (ko) | 2020-04-06 | 2020-04-06 | 밀대 청소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55854B1 true KR102255854B1 (ko) | 2021-05-24 |
Family
ID=76153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41320A KR102255854B1 (ko) | 2020-04-06 | 2020-04-06 | 밀대 청소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55854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54622A (ko) * | 2001-12-26 | 2003-07-02 | 이승재 | 양면 사용이 가능한 밀대 |
KR200471252Y1 (ko) | 2013-08-27 | 2014-02-12 | 김태열 | 청소기 |
KR101560153B1 (ko) | 2014-04-04 | 2015-10-15 | 임상철 | 양면 사용이 가능한 밀대 청소기 |
US10052008B1 (en) * | 2013-01-25 | 2018-08-21 | Erik Stanton Chan | Cleaning implement with disposable cleaning pad sleeves |
KR102041877B1 (ko) | 2019-04-26 | 2019-11-06 | 김제훈 | 다기능 밀대 걸레 |
KR102061799B1 (ko) * | 2019-01-31 | 2020-01-02 | 김태열 | 밀대 청소기 |
-
2020
- 2020-04-06 KR KR1020200041320A patent/KR10225585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54622A (ko) * | 2001-12-26 | 2003-07-02 | 이승재 | 양면 사용이 가능한 밀대 |
US10052008B1 (en) * | 2013-01-25 | 2018-08-21 | Erik Stanton Chan | Cleaning implement with disposable cleaning pad sleeves |
KR200471252Y1 (ko) | 2013-08-27 | 2014-02-12 | 김태열 | 청소기 |
KR101560153B1 (ko) | 2014-04-04 | 2015-10-15 | 임상철 | 양면 사용이 가능한 밀대 청소기 |
KR102061799B1 (ko) * | 2019-01-31 | 2020-01-02 | 김태열 | 밀대 청소기 |
KR102041877B1 (ko) | 2019-04-26 | 2019-11-06 | 김제훈 | 다기능 밀대 걸레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627564A1 (en) | Cleaning tool | |
WO2005084516A1 (en) | Cleaning implement | |
CN105996932A (zh) | 清洁工具 | |
KR102255863B1 (ko) | 밀대 청소기 | |
US10070768B2 (en) | Cleaning apparatus, a method of cleaning, and a retrofitting method | |
US20080222825A1 (en) | Cleaning utensil with flexible peripheral regions | |
KR102061799B1 (ko) | 밀대 청소기 | |
US10918256B2 (en) | Cleaning towel system | |
KR102255854B1 (ko) | 밀대 청소기 | |
CN112401797B (zh) | 一种家用瓷盘清洁设备 | |
JP3917580B2 (ja) | 綿布雑巾掃除機 | |
WO2006002653A1 (en) | Mopping device for mopping surfaces to be cleaned, mop holder and mop cover for a mopping device | |
KR101802492B1 (ko) | 수세미 | |
US20090200440A1 (en) | Hangable article for wiping | |
KR200471252Y1 (ko) | 청소기 | |
KR102541341B1 (ko) | 바닥용 청소 도구 | |
KR102197592B1 (ko) | 밀대 청소기 | |
US20150289744A1 (en) | Sponge equipped with liquid receptacle | |
KR102197584B1 (ko) | 밀대 청소기 | |
CN213155708U (zh) | 清洁工具 | |
CN212853325U (zh) | 一种洁面效果好的洗脸巾 | |
CN211460076U (zh) | 一种自挤干拖把 | |
US20210196097A1 (en) | Universal handheld grip for cleaning | |
CN219089164U (zh) | 一种新型拖抹布 | |
CN215959762U (zh) | 一种餐具清洗工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