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7592B1 - 밀대 청소기 - Google Patents

밀대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7592B1
KR102197592B1 KR1020200083757A KR20200083757A KR102197592B1 KR 102197592 B1 KR102197592 B1 KR 102197592B1 KR 1020200083757 A KR1020200083757 A KR 1020200083757A KR 20200083757 A KR20200083757 A KR 20200083757A KR 102197592 B1 KR102197592 B1 KR 102197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cleaning
elastic panel
cleaning membe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3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열
Original Assignee
김태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열 filed Critical 김태열
Priority to KR1020200083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75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7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7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47L13/256Plate frames for mops made of clo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3/00Attaching handles to the implements
    • B25G3/38Hinged, pivoted, swivelling, or folding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사용자가 매우 적은 힘만을 들이고도 청소면에 클리닝부재를 매우 큰 힘으로 탄성적으로 밀착시켜 청소면을 청소할 수 있으며, 탄성 헤드부를 경량화시켜 사용상의 편의성은 확보하면서도 청소면과의 밀착력과 쿠션감은 대폭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에 젖은 클리닝부재를 사용한 후 보관한다 하더라도 각종 세균이나 곰팡이 등이 번식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밀대 청소기가 개시된다. 상기 밀대 청소기는 청소 효율과 청소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켜 청소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으며, 위생적인 보관과 관리가 가능하고, 청소기와 일회용 클리닝부재의 구매 부담을 대폭 줄여줄 수 있으며, 일회용 클리닝부재의 소모량까지도 대폭 줄여 자원 절약 측면에서도 탁월한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대고객 만족도까지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밀대 청소기{MOP}
본 발명은 밀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헤드부에 클리닝부재를 부착하여 청소면의 이물질을 깨끗하게 닦아 제거할 수 있는 밀대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밀대 청소기는 손잡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헤드에 걸레나 청소포 등과 같은 각종 클리닝부재를 결합시켜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장소에서 바닥이나 각종 청소면을 닦아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청소기구이다.
이와 같은 밀대 청소기의 경우 헤드 상부면에 직물이나 부직포 소재로 제작된 클리닝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복수개의 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클리닝부재가 상기 헤드의 바닥면을 감싸도록 상기 클리닝부재의 모서리부를 상기 결합부에 결합시킨 후, 상기 클리닝부재가 청소면에 밀착되도록 헤드를 청소면에 가압시킨 상태에서 손잡이부를 이용하여 상기 헤드를 전후좌우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청소면의 각종 이물질을 닦아내어 청소를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밀대 청소기의 경우, 사용자가 앉아서 바닥 등과 같은 청소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닦아내지 않고 선 자세로 이동하며 청소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넓은 공간을 빠르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밀대 청소기의 경우 청소포가 결합되는 헤드의 바닥면이 평판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청소를 하기 위해 손잡이를 통해 헤드에 힘을 가하게 되면 상기 헤드의 가장자리 부분, 특히 헤드의 전, 후방 가장자리 부분에 힘이 편중되어 전달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헤드에 결합되어 청소면을 닦아내는 클리닝부재의 가장자리 부분은 청소면에 안정적으로 밀착되나, 상기 클리닝부재의 중앙부분은 청소면에 제대로 밀착되지 않게 됨으로써 가장 큰 면적을 가지는 클리닝부재의 중앙부분으로는 청소면을 제대로 닦아낼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66687호(등록일 : 2013년 04월 25일, 걸레바닥 중앙부가 돌출된 밀걸레)에서는 걸레홀더의 바닥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지지대에 밀착될 수 있도록 각 지지돌기가 양쪽 가장자리에서 중앙부로 테이퍼져 있어 걸레가 덮개패드에 씌워진 경우 걸레의 중앙부위가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 밀대걸레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밀대걸레의 경우 걸레홀더의 양쪽 가장자리에서 중앙부로 테이퍼진 다수개의 지지대에 의해 덮개패드의 중앙부가 볼록하도록 돌출된 형상을 유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밀대걸레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밀대를 파지한 상태에서 밀대를 통해 덮개패드 또는 걸레홀더에 테이퍼지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지지대가 탄성적으로 휘어지도록 걸레홀더에 지속적이고 균일한 힘을 가해야만 걸레의 전체면이 청소면에 균일하게 밀착됨으로써 청소 시 과도한 힘을 사용해야 함으로써 사용자의 피로도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지속적이고 균일한 힘을 가하지 못할 경우에는 다수개의 지지대가 탄성력에 의해 원상 복원되었다 다시 휘어지는 현상이 반복적으로 발생됨으로써 걸레의 전체면이 청소면에 고르게 지속적으로 밀착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밀대걸레의 경우 복수개의 지지대가 걸레홀더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덮개패드가 지지됨으로써 청소면에 요철이 있는 등 청소면이 불규칙할 경우에는 걸레의 전체면이 청소면에 고르게 밀착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밀대걸레의 경우에도 클리닝부재의 양측 끝단부위 4개소를 걸레 홀더 상부면에 형성된 결합부에 삽입시켜 고정시키는 구조로서, 상기 걸레 홀더 상부면 측으로 접어 올려지는 클리닝부재의 양측 끝단부는 청소 시 전혀 사용되지 못하므로 일회용 클리닝부재의 사용 시에는 클리닝부재가 과도하게 사용됨으로써 자원이 낭비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밀대걸레는 사용자가 밀대를 파지한 상태에서 밀대를 통해 덮개패드 또는 걸레홀더에 테이퍼지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지지대가 탄성적으로 휘어지도록 걸레홀더에 지속적이고 균일한 힘을 가해야만 걸레의 전체면이 청소면에 균일하게 밀착되는 구조로서,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의해 걸레홀더가 변형되지 않고 다수개의 지지대를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걸레홀더가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힘을 버텨낼 수 있는 견고한 재질을 이용하여 충분한 두께로 제작되어야만 함으로써 제작비용의 과도한 상승은 물론 걸레홀더의 중량이 증가하게 됨으로써 물걸레 등을 부착하여 사용할 시에는 과도한 중량으로 인하여 사용상의 불편함이 따른다.
한편,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556351호(등록일 : 2015년 09월 22일, 바닥 청소가 용이한 밀대걸레)에서는 헤드에는 하부에 탄성부재가 형성된 탄성 고정판과 상기 탄성부재와 탄성 고정판을 감싼 형태의 방수패드가 고정되며, 상기 고정판은 만곡지게 휘어진 형태로 하부에 탄성부재가 접착되어 고정되어, 손잡이 봉에 의해 힘이 가해지면 상기 탄성 고정판이 탄력적으로 휘어지면서 하부의 탄성부재와 함께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된 바닥 청소가 용이한 밀대걸레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밀대걸레의 경우에도 청소포의 양측 끝단부가 헤드의 상부면 측으로 접어 올려져 청소포의 양측 끝단부위 4개소가 상기 헤드의 고정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형태로서, 상기 헤드의 상부로 접어 올려지는 청소포의 양측 끝단부는 청소 시 전혀 사용되지 못하므로 일회용 청소포의 사용 시에는 청소포가 과도하게 사용되어 자원이 낭비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더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바닥 청소가 용이한 밀대걸레의 경우 양 가장자리가 만곡지게 하향 절곡된 탄성 절곡부가 형성된 탄지판과 방수포 사이에 스펀지, 우레탄 등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탄성패드를 삽입하여 청소 시 탄성패드가 가압되면서 청소포 전체가 청소면에 균일하게 밀착되도록 하는 구조로서, 물을 흡수하고 있는 청소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탄성패드에 물이 흡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반드시 탄성패드를 방수포로 감싸야 함으로써 제작비용이 많이 소모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청소포가 청소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후좌우 방향으로 헤드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마찰력에 의해 청소면을 닦아내어 청소를 진행하게 되는 밀대걸레의 특성 상 청소포의 일부분이 말려 방수포가 노출되어 청소면과 밀착된 상태로 사용자가 걸레질을 할 경우에는 상기 방수포가 매우 쉽게 파손되어 상기 탄성패드의 수밀상태를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방수포에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미세한 구멍이 발생될 경우에는 물이 포함된 청소포를 사용할 경우 상기 스펀지나 우레탄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된 탄성패드가 물을 흡수하게 됨으로써 탄성패드의 사용수명이 대폭 줄어들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탄성패드에 물이 흡수된 상태로 밀대걸레를 보관하게 되면 방수포 내부에 실장되어 있는 탄성패드에 각종 세균이나 곰팡이 등이 쉽게 번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게 됨으로써 위생적으로 매우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밀대걸레 또한 청소 시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 고정판이 변형되지 않고 탄지판을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고정판이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힘을 버텨낼 수 있는 견고한 재질을 이용하여 충분한 두께로 제작되어야 함으로써 제작비용의 과도한 상승은 물론 고정판의 중량이 증가하게 됨으로써 헤드의 과도한 중량으로 인하여 사용상의 불편함이 따른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6687호(2013.04.25.)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56351호(2015.09.22.)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매우 적은 힘만을 들이고도 청소면에 클리닝부재를 매우 큰 힘으로 탄성적으로 밀착시켜 청소면을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밀대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탄성 헤드부를 경량화시켜 사용상의 편의성은 확보하면서도 청소면과의 밀착력과 쿠션감은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밀대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에 젖은 클리닝부재를 사용한 후 보관한다 하더라도 각종 세균이나 곰팡이 등이 번식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밀대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 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청소면과 밀착되는 제1 탄성패널과의 사이에 탄성 공간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 탄성패널로부터 소정구간까지는 상향 경사지다가 소정구간 이후부터는 제1 탄성패널과 수평하거나 하향 경사지도록 제2 탄성패널이 제1 탄성패널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접혀진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탄성 헤드부와, 상기 제1 탄성패널에 클리닝부재를 부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탄성패널의 하부면에 마련되는 클리닝부재 부착수단 및, 상기 제2 탄성패널에 손잡이부를 전후좌우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시키는 연결소켓을 포함하여, 상기 클리닝부재가 부착된 탄성 헤드부를 청소면에 밀착시킨 후 사용자가 손잡이부를 청소면과 사선을 이루도록 파지하고 손잡이부에 힘을 가하여 탄성 헤드부를 밀게 되면, 상기 손잡이부를 통해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제2 탄성패널은 가압되어 제1 탄성패널 측으로 탄성적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손잡이부와 연결된 연결소켓은 상기 제2 탄성패널이 회전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사용자가 손잡이부를 청소면과 사선을 이루도록 파지한 상태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상기 손잡이부와 제2 탄성패널 사이의 각도는 수직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증가되도록 변경되도록 하여 상기 탄성 헤드부를 보다 큰 힘으로 청소면에 탄성적으로 밀착시킨 상태로 청소면을 청소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밀대 청소기를 제시한다.
일예를 들면, 상기 제2 탄성패널은 상기 제1 탄성패널의 상부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상기 제1 탄성패널로부터 연장 형성된 벤딩부와, 상기 제2 탄성패널과의 사이에 탄성 공간부가 마련될 수 있도록 상기 벤딩부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상향 경사부 및, 상기 상향 경사부로부터 제1 탄성패널의 끝단부 방향으로 수평하거나 하향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푸시각도 변경부 및, 상기 푸시각도 변경부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연결소켓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소켓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연결소켓은 상기 제2 탄성패널의 푸시각도 변경부에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에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손잡이부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클리닝부재 부착수단은 상기 탄성 헤드부의 제1 탄성패널과 일체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상기 클리닝부재 부착수단은 상기 탄성헤드부의 하부면에 접착수단에 의해 부착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는 사용자가 클리닝부재가 부착되어 있는 탄성 헤드부를 청소면에 밀착시킨 후 손잡이부를 청소면과 사선을 이루도록 파지한 다음 상기 손잡이부에 힘을 가하여 탄성 헤드부를 전방부로 밀게 되면 손잡이부에 의해 제2 탄성패널이 탄성적으로 가압되어 벤딩부를 중심으로 제1 탄성패널 측으로 탄성적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연결소켓의 제1 연결부는 제1 탄성패널의 반대 측으로 회전됨으로써 손잡이부와 제2 탄성패널의 푸시각도 변경부 사이의 각도가 수직에 근접하도록 변경됨과 동시에 상기 제2 탄성패널의 푸시각도 변경부는 청소면과는 사선을 이루게 되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는 상기 손잡이부를 청소면과 수직한 상태가 되도록 들어 올리지 않고 상기 손잡이부를 청소가 용이하도록 청소면과 사선 형태로 파지한 상태에서도 상기 손잡이부와 제2 탄성패널의 푸시각도 변경부가 이루는 각도가 수직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증가되도록 변경되어 클리닝부재가 부착되어 있는 탄성 헤드부를 보다 큰 힘으로 용이하게 청소면에 견고하게 밀착시킨 상태에서 청소면을 청소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2 탄성패널이 가압됨에 따라 발생되는 탄성 복원력까지도 제1 탄성패널에 더해져 클리닝부재를 청소면에 보다 큰 힘으로 견고하게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클리닝부재가 부착되어 있는 제1 탄성패널이 청소면에 큰 힘으로 견고하게 밀착된다 하더라도 상기 제2 탄성패널의 푸시각도 변경부가 청소면과 사선을 이루도록 탄성적으로 가압된 상태를 유지하고 손잡이부는 상기 제2 탄성패널의 푸시각도 변경부와 수직에 근접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손잡이부에 큰 힘을 가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탄성 헤드부를 청소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키면서 청소면을 청소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는 청소가 용이하도록 손잡이부를 청소면과 사선을 이루도록 파지한 상태에서도 매우 적은 힘만 들이고도 클리닝부재를 청소면에 큰 힘으로 탄성적으로 견고하게 밀착시킨 상태에서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청소면을 따라 클리닝부재를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청소면을 보다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찌든 때의 경우에도 매우 손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청소효율과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는 손잡이부를 밀게 되면 상기 손잡이부에 의해 제2 탄성패널이 탄성적으로 가압되어 벤딩부를 중심으로 제1 탄성패널 측으로 회전되면서 제1 탄성패널을 청소면에 탄성적으로 밀착시키는 특성 상,상기 탄성 헤드부를 매우 얇고 심플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탄성 헤드부의 제1, 2 탄성패널 사이에 탄성 공간부가 마련됨과 동시에 탄성 헤드부 자체가 탄성력을 가짐으로써 별도의 쿠션부재를 설치하지 않고도 사용자에게 충분한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탄성 헤드부를 경량화시킴과 동시에 제작비용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는 별도의 쿠션부재를 설치하지 않고도 충분한 쿠션감을 제공함으로써 두께가 매우 얇은 청소포와 같은 클리닝부재의 경우에도 청소면 전체에 탄성적으로 견고하게 밀착시킨 상태로 청소면을 닦아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청소 효율을 더욱 향상시킴과 동시에 청소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는 탄성 헤드부 자체만으로 충분한 쿠션감을 제공함으로써 물이 스며드는 별도의 쿠션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물에 젖은 클리닝부재를 사용하여 습식 청소를 한다 하더라도 탄성 헤드부에 물이 스며들지 않음으로써 각종 세균이나 곰팡이 등의 번식되는 현상이 전혀 발생되지 않아 위생적이 관리가 가능함하고, 별도의 방수포 등도 전혀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청소기 제작비용을 한층 더 절감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저렴한 비용의 청소기를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는 일회용 클리닝부재 전체를 클리닝부재 부착수단 전체에 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일회용 클리닝부재를 낭비되는 면적 없이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회용 클리닝부재의 크기를 제1 탄성패널 면적과 동일하게만 제작하면 됨으로써 일회용 클리닝부재의 개당 크기를 대폭 줄일 수 있으므로 일회용 클리닝부재의 소모량을 대폭 줄여 자원 절약 측면에서도 탁월한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는 클리닝부재 전체가 클리닝부재 부착수단에 고르게 부착되어 사용됨으로써 클리닝부재와 클리닝부재 부착수단 사이에 슬립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청소 시 클리닝부재의 접힘 현상으로 인한 단차가 발생되지 않음으로써 청소효율을 더욱 더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클리닝부재의 크기와 두께 원단 종류에 제한 없이 클리닝부재를 부착하여 매우 편리하게 청소를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청소의 편의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청소기 구매 부담을 대폭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궁극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는 청소 효율과 청소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켜 청소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으며, 위생적인 보관과 관리가 가능하고, 청소기와 일회용 클리닝부재의 구매 부담을 대폭 줄여줄 수 있으며, 일회용 클리닝부재의 소모량까지도 대폭 줄여 자원 절약 측면에서도 탁월한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대고객 만족도까지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밀대 청소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3은 클리닝부재 부착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종래의 일반적인 청소기를 이용하여 청소면을 청소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밀대 청소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3은 클리닝부재 부착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100)는 탄성 헤드부(110), 클리닝부재 부착수단(120), 연결소켓(130) 및, 손잡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헤드부(110)는 청소면과 밀착되는 제1 탄성패널(111)과의 사이에 탄성 공간부(S)가 마련되도록 제2 탄성패널(112)이 제1 탄성패널(111)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접혀진 상태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탄성 헤드부(110)는 제1 탄성패널(111) 및, 제2 탄성패널(1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패널(111)은 사각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청소면에 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탄성패널(111)의 하부면에는 클리닝부재 부착수단(120)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탄성패널(112)은 상기 제1 탄성패널(111)과의 사이에 탄성 공간부(S)가 마련되도록 상기 제1 탄성패널(111)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접혀진 형태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탄성패널(112)에는 연결소켓(130)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탄성패널(112)은 상기 제1 탄성패널(111)로부터 소정구간까지는 상향 경사지다가 소정구간 이후부터는 제1 탄성패널(111)과 수평하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제2 탄성패널(112)은 상기 제1 탄성패널(111)로부터 소정구간까지는 상향 경사지다가 소정구간 이후부터는 제1 탄성패널(111)의 끝단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탄성패널(112)은 벤딩부(112a), 상향 경사부(112b), 푸시각도 변경부 및, 소켓 연결부(112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벤딩부(112a)는 상기 제1 탄성패널(111)의 상부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상기 제1 탄성패널(111)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향 경사부(112b)는 상기 벤딩부(112a)로부터 상향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 탄성패널(111)과의 사이에 탄성 공간부(S)가 마련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푸시각도 변경부(112c)는 상기 상향 경사부(112b)로부터 제1 탄성패널(111)의 끝단부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푸시각도 변경부(112c)는 상기 상향 경사부(112b)로부터 제1 탄성패널(111)의 끝단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상향 경사부(112b)로부터 제1 탄성패널(111)의 끝단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상기 푸시각도 변경부(112c)의 하향 경사지는 각도가 커질수록 상기 클리닝부재(200)가 부착된 탄성 헤드부(110)를 청소면에 밀착시킨 후 사용자가 손잡이부(140)를 청소면과 사선을 이루도록 파지하고 손잡이부(140)에 힘을 가하여 탄성 헤드부(110)를 밀게 될 시 푸시각도 변경부(112c)와 손잡이부(140)가 이루는 각도가 수직에 가까워지게 됨으로써 손잡이부(140)를 통해 보다 큰 힘으로 제2 탄성패널(112)을 청소면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소켓 연결부(112d)는 상기 푸시각도 변경부(112c) 상부에 마련되어 연결소켓(130)과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H1)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2 탄성패널(112)의 길이(L1)는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청소면에 밀착되는 제1 탄성패널(111)의 길이(L2) 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도록 상기 제1 탄성패널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접혀진 형태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탄성패널(112)의 길이(L1)는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청소면에 밀착되는 제1 탄성패널(111)의 길이(L2)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상기 제1 탄성패널(111)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접혀진 형태로 연장 형성될 수 도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제2 탄성패널(112)의 길이(L1)는 상기 청소면에 밀착되는 제1 탄성패널(111)의 길이(L2) 보다 긴 길이를 가지도록 상기 제1 탄성패널(111)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접혀진 형태로 연장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클리닝부재 부착수단(120)은 상기 제1 탄성패널(111)의 하부면에 클리닝부재(200)를 부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탄성패널(111)의 하부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클리닝부재 부착수단(120)은 상기 제1 탄성패널(111)의 하부면에 클리닝부재(200) 전체를 고르게 탈착 가능하도록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걸레질을 하는 사용자에게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제1 탄성패널(111)의 하부면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클리닝부재 부착수단(120)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1 탄성패널(111)과 일체가 되도록 상기 제1 탄성패널(111)의 하부면에 돌출 형성된 'T'자 형상의 복수개의 부착돌기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상기 클리닝부재 부착수단(120)은 상기 제1 탄성패널(111)의 하부면에 접착수단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클리닝부재 부착수단(120)을 상기 제1 탄성패널(111)의 하부면에 부착시키는 접착수단으로는 양면테이프나 접착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클리닝부재 부착수단(120)은 상기 제1 탄성패널(111)에 봉재, 열융착, 고주파 방식 등에 의해서도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클리닝부재 부착수단(1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21) 및, 결합부재(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21)는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 탄성패널(111)에 접착수단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122)는 상기 바디부(121)에 결합되어 상기 클리닝부재(200)를 탈착 가능하게 상기 제1 탄성패널(111)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집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결합부재(122)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길이가 동일한 집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상기 결합부재(122)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길이가 서로 다른 집게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부재(122)는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나 하단부는 클리닝부재(200)의 부착력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빗자루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합부재(122)는 집게 형태로 형성되어 끝단부가 직물이나 부직포 등으로 제작된 클리닝부재(200)의 틈새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제1 탄성패널(111)에 마른 클리닝부재(200) 뿐만 아니라 물에 젖은 클리닝부재(200)도 견고하게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100)는 클리닝부재(200)의 원단 선택의 폭이 매우 넓음과 동시에 마르거나 물에 젖은 클리닝부재(200)를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장소에서 다양한 형태의 청소 작업을 진행할 시 전천후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연결소켓(130)은 상기 제2 탄성패널(112)에 손잡이부(140)를 전후좌우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연결소켓(130)은 제1 연결부(131) 및, 제2 연결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131)는 상기 제2 탄성패널(112)의 푸시각도 변경부(112c)에 마련되어 있는 소켓 연결부(112d)에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H1)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부(132)는 하단부가 상기 제1 연결부(131)에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H2)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연결부(132)의 상단부 내측에는 나사부(도시되지 않음)가 마련되어 상기 손잡이부(140)가 탈착 가능하게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140)는 텔레스코프 형태와 같이 다단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로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부(140)의 하단부에는 나사부(도시되지 않음)가 마련됨으로써 상기 연결소켓(130)의 제2 연결부(132)에 마련되어 있는 나사부(도시되지 않음)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손잡이부(140)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복수개로 나뉘어져 제작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로 서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100)는 상기 클리닝부재(200)가 부착된 탄성 헤드부(110)를 청소면에 밀착시킨 후, 사용자가 손잡이부(140)를 청소면과 사선을 이루도록 파지하고 손잡이부(140)에 힘을 가하여 상기 탄성 헤드부(110)를 전방으로 밀게 되면, 상기 손잡이부(140)를 통해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제2 탄성패널(112)은 가압되어 벤딩부(112a)를 중심으로 제1 탄성패널(111) 측으로 탄성적으로 가압되어 회전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손잡이부(140)와 연결된 연결소켓(130)의 제1 연결부(131)는 상기 소켓 연결부(112c)와 연결되는 힌지(H1)를 중심으로 상기 2 탄성패널(112) 즉, 상기 평판 패널부(112b)가 회전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잡이부(140)를 청소면과 사선을 이루도록 파지한 상태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상기 손잡이부(140)와 제2 탄성패널(112) 사이의 각도(θ)는 수직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증가되도록 변경됨으로써 사용자가 손잡이부(140)를 청소면과 수직이 되도록 들어 올리지 않고 손잡이부(140)가 청소면과 사선을 이루도록 파지한 상태에서도 상기 클리닝부재(200)가 부착되어 있는 탄성 헤드부(110)를 보다 큰 힘으로 청소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청소면을 청소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청소면에 밀착되는 클리닝부재(200)가 부착되어 있는 제1 탄성패널(111)의 경우에는 사용자로부터 손잡이부(140)를 통해 제2 탄성패널(112)에 가해져 전달되는 힘과 더불어 상기 제2 탄성패널(112)이 제1 탄성패널(111) 측으로 탄성적으로 가압되어 회전됨에 따라 발생되는 탄성력이 더해져 청소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됨으로써 보다 적은 힘을 들이고도 청소면을 보다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의 작동과정과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100)는 클리닝부재(200)가 부착되어 있는 탄성 헤드부의 제1 탄성패널(111)은 청소면(F)과 밀착되고, 제2 틴성패널(112)은 상기 제1 탄성패널(111)과의 사이에 탄성 공간부(S)가 마련되도록 상기 제1 탄성패널(111)로부터 연장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제2 탄성패널(112)에는 손잡이부(140)가 연결소켓(130)에 의해 전후좌우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100)를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헤드부(110)를 청소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청소가 용이하도록 사용자가 손잡이부(140)를 화살표 A1방향으로 소정각도 기울여 청소면과 사선을 이루도록 파지하고 손잡이부(140)에 힘을 가하여 탄성 헤드부(110)를 화살표 A2방향인 전방으로 밀게 되면, 상기 손잡이부(140)를 통해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제2 탄성패널(112)은 가압되어 벤딩부(113a)를 중심으로 제1 탄성패널(111) 측인 화살표 A3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되면서 회전된다.
이때, 상기 제2 탄성패널(112)이 가압되어 벤딩부(112a)를 중심으로 제1 탄성패널(111) 측인 화살표 A3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2 탄성패널(112)의 소켓 연결부(112c)에 전후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H1) 연결된 연결소켓(130)의 제1 연결부(131)는 상기 힌지(H1)를 중심으로 제1 탄성패널(111)의 반대 측 방향인 화살표 A4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100)는 사용자가 클리닝부재(200)가 부착된 제1 탄성패널(111)을 청소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손잡이부(140)를 청소면(F)과 사선을 이루도록 파지한 상태로 청소면(F)의 청소를 위하여 손잡이부(140)에 힘을 가하면서 탄성 헤드부(110)를 전방부 방향으로 밀게 되면 제2 탄성패널(112)은 벤딩부(112a)를 중심으로 제1 탄성패널(111) 측으로 탄성적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연결소켓(130)의 제1 연결부(131)는 힌지(H1)를 중심으로 제1 탄성패널(111)의 반대 측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100)는 사용자가 손잡이부(140)를 청소면(F)과 사선을 이루도록 파지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손잡이부(140)에 힘을 가하여 탄성 헤드부(110)를 전방부 방향으로 밀게 되면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청소면(F)과 사선을 이루도록 사용자가 파지하고 있는 손잡이부(140)와 제2 탄성패널(112) 사이의 각도(θ)가 수직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증가되도록 변경되며, 상기 제2 탄성패널(112)은 벤딩부(112a)를 중심으로 제1 탄성패널(111) 측으로 탄성적으로 회전하게 되어 청소면(F)과는 벤딩부(112a) 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상향 경사지는 사선을 이루게 되는 상태가 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손잡이부(140)를 청소면(F)과 사선을 이루도록 파지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손잡이부(140)에 힘을 가하여 탄성 헤드부(110)를 전방부 방향으로 밀게 될 시 상기 청소면(F)과 사선을 이루도록 사용자가 파지하고 있는 손잡이부(140)와 제2 탄성패널(112) 사이의 각도(θ)는 벤딩부(112a)의 곡률 반경을 크게 하거나 푸시각도 변경부(112c)의 하향 경사지는 각도를 크게 하여 수직에 더욱 가까워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푸시각도 변경부(112c)가 상향 경사부(112b)로부터 제1 탄성패널(111)의 끝단부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 형성될 경우에는 제2 탄성패널(112)의 벤딩부(112a)의 곡률반경을 크게 하여 사용자가 손잡이부(140)를 청소면(F)과 사선을 이루도록 파지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손잡이부(140)에 힘을 가하여 탄성 헤드부(110)를 전방부 방향으로 밀게 될 시 손잡이부(140)와 제2 탄성패널(112), 즉 푸시각도 변경부(112c) 사이의 각도(θ)를 수직에 더욱 가까워지게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푸시각도 변경부(112c)가 상향 경사부(112b)로부터 제1 탄성패널(111)의 끝단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될 경우에는 상기 푸시각도 변경부(112c)의 하향 경사지는 각도를 크게 하여 사용자가 손잡이부(140)를 청소면(F)과 사선을 이루도록 파지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손잡이부(140)에 힘을 가하여 탄성 헤드부(110)를 전방부 방향으로 밀게 될 시 손잡이부(140)와 제2 탄성패널(112), 즉 푸시각도 변경부(112c) 사이의 각도(θ)를 수직에 더욱 가까워지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2 탄성패널(112)이 벤딩부(112a)를 중심으로 제1 탄성패널(111) 측으로 회전되어 상기 손잡이부(140)와 제2 탄성패널(112)의 푸시각도 변경부(112c) 사이의 각도가 수직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증가되도록 변경되면 사용자가 보다 적은 힘을 사용하고도 손잡이부(140)를 통해 제2 탄성패널(112)을 보다 강하게 가압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제2 탄성패널(112)이 가압됨에 따라 제1 탄성패널(111)은 탄성적으로 가압되어 청소면(F)에 밀착됨과 동시에 상기 제1 탄성패널(111)에는 상기 제2 탄성패널(112)이 가압됨에 따라 발생되는 화살표 A5 방향의 탄성 복원력까지 더해져 클리닝부재(200)를 청소면(F)에 보다 큰 힘으로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부(140)를 통해 청소면(F)과 사선을 이루도록 벤딩부(112a)를 중심으로 제1 탄성패널(111) 측으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기 제2 탄성패널(112)에 힘을 더 가하게 되면 상기 탄성 헤드부(110)가 청소면(F)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청소면(F)을 청소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 헤드부(110)의 제2 탄성패널(112)은 벤딩부(112a)를 중심으로 탄성적으로 회전되면서 사용자에게 쿠션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2 탄성패널(112)의 탄성 복원력은 상기 탄성 헤드부(110)를 청소면(F)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힘에 더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100)는 헤드부가 단순히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된 종래의 일반적인 청소기를 사용하여 청소면을 청소할 때와 사용자가 동일한 힘을 사용하고도 클리닝부재(200)는 청소면(F)에 보다 큰 힘으로 밀착시키면서도 탄성 헤드부(110)는 적은 힘을 사용하여 매우 손쉽게 청소면(F)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키면서 청소면(F)을 청소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종래의 일반적인 청소기를 이용하여 청소면을 청소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면에 클리닝부재(200)가 부착되는 헤드부(300)가 단순히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된 종래의 일반적인 청소기의 경우에는 헤드부(300)를 청소면(F)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손잡이부(310)를 청소면(F)과 사선을 이루도록 사용자가 파지한 후, 상기 손잡이부(140)에 힘을 가해 상기 청소면(F)에 밀착된 헤드부(300)를 청소면(F)의 청소를 위하여 전방부 방향으로 밀게 되면 상기 청소면(F)과 밀착된 헤드부(300)와 사용자의 힘을 헤드부(300)에 전달하는 손잡이부(310)가 사선을 이루고 있으므로 사용자로부터 손잡이부(310)를 통해 헤드부(300)에 가해지는 힘이 대부분 상기 헤드부(300)를 청소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데 사용되고 일부만이 상기 헤드부(300)를 청소면에 가압하여 밀착시키는데 사용됨으로써 청소면(F)에 묻어 있는 찌든 때의 경우에는 제대로 닦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청소면에 묻어 있는 찌든 때를 닦기 위해서는 클리닝부재(200)를 헤드부(300)로부터 분리시켜 사용자가 클리닝부재(200)를 직접 파지하고 청소면(F)의 찌든 때를 닦아내거나, 사용자가 손잡이부(310)를 헤드부(300)와 수직에 근접하도록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시켜 들어 올린 상태에서 손잡이부(310)를 가압하여 헤드부(300)를 청소면에 큰 힘으로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헤드부(300)를 전후방으로 슬라이딩시켜 청소면(F)에 찌든 때를 닦아야만 하는데, 상기와 같이 손잡이부(310)를 헤드부(300)와 수직에 근접하도록 들어 올린 후 손잡이부(310)를 가압하여 헤드부를 청소면(F)에 큰 힘으로 밀착시킨 상태에서는 상기 헤드부(300)를 청소면(F)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데 큰 힘이 들어가게 됨으로써 청소가 매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100)는 사용자가 손잡이부(140)를 청소면(F)과 사선을 이루도록 파지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도 손잡이부(140)에 힘을 가하여 탄성 헤드부(110)를 전방부 방향으로 밀게 되면 상기 손잡이부(140)와 제2 탄성패널(112)의 푸시각도 변경부(112c) 사이의 각도(θ)가 수직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증가되도록 변경됨과 동시에 상기 제2 탄성패널(112)의 푸시각도 변경부(112c)는 청소면(F)과 사선을 이루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잡이부(140)를 청소면(F)과 사선을 이루도록 파지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도 청소면(F)의 청소를 위해 사용자가 손잡이부(140)에 힘을 가하여 청소면(F)에 밀착되어 있는 탄성 헤드부(110)를 전방부 방향으로 밀게 되면 상기 손잡이부(140)와 제2 탄성패널(112)의 푸시각도 변경부(112c) 사이의 각도(θ)가 수직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증가되도록 변경되면서 손잡이부(140)를 통해 가해지는 힘 대부분이 제2 탄성패널(112)을 제1 탄성패널(111) 측으로 가압하는데 사용됨과 동시에, 상기 제2 탄성패널(112)의 탄성 복원력 또한 제1 탄성패널(111)을 청소면에 밀착시키는 힘에 더해지게 됨으로써 상기 클리닝부재(200)가 부착되어 있는 제1 탄성패널(111)을 청소면(F)에 보다 큰 힘으로 밀착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2 탄성패널(112)이 벤딩부(112a)를 중심으로 제1 탄성패널(111) 측으로 탄성적으로 회전되어 청소면(F)과 사선을 이루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부(140)에 힘을 더 가하여 탄성 헤드부(110)를 전방부로 더 밀어 청소면(F)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탄성 헤드부(110)의 제2 탄성패널(112)은 벤딩부(112a)를 중심으로 제1 탄성패널(111) 측으로 탄성적으로 더 회전되면서 사용자에게 쿠션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2 탄성패널(112)의 탄성 복원력은 상기 탄성 헤드부(110)를 청소면을 밀착시키는 힘과 상기 탄성 헤드부(110)를 청소면(F)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힘에 더해지게 됨으로써 클리닝부재(200)가 부착된 탄성 헤드부(110)를 청소면에는 보다 강한 힘으로 밀착시킨 상태에서 보다 적은 힘으로 탄성 헤드부(110)를 청소면(F)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키면서 청소면을 청소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100)는 사용자가 매우 적은 힘을 사용하고도 청소면(F)을 보다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찌든 때의 경우에도 손잡이부(140)를 청소면(F)과 사선을 이루는 청소가 용이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청소면(F)에 강한 힘으로 탄성적으로 밀착되는 탄성 헤드부(110)를 통해 매우 손쉽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청소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일반적인 밀대 청소기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파지하고 있는 손잡이부를 가압하여 헤드부를 청소면에 직접적으로 밀착시켜야 하는 특성 상 상기 헤드부가 손잡이부를 통해 가해지는 힘을 버텨낼 수 있는 견고한 재질을 이용하여 충분한 두께로 제작되어야만 함으로써 제작비용의 과도한 상승은 물론 헤드부의 중량이 증가하게 됨으로써 물걸레 등을 부착하여 사용할 시에는 헤드부의 과도한 중량으로 인하여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100)는 손잡이부(140)를 밀게 되면 상기 손잡이부(140)에 의해 제2 탄성패널(112)이 탄성적으로 가압되어 벤딩부(112a)를 중심으로 제1 탄성패널(111) 측으로 회전되면서 제1 탄성패널(111)을 청소면에 탄성적으로 밀착시키는 특성 상, 상기 탄성 헤드부(110)를 매우 얇고 심플하게 제작할 수 있으므로 탄성 헤드부(110) 제작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 헤드부(110)의 제1, 2 탄성패널(111)(112)을 매우 얇고 심플하게 제작할 수 있으므로 탄성 헤드부(110)의 제작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헤드부(110)의 중량 또한 대폭 줄일 수 있으므로 물걸레 등을 탄성 헤드부(110)에 부착하여 청소면을 청소할 시에도 탄성 헤드부(110)의 중량으로 인한 사용상의 불편함을 최소화시켜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는 탄성 헤드부(110)의 제1, 2 탄성패널(111)(112) 사이에 탄성 공간부(S)가 마련됨과 동시에 탄성 헤드부(110) 자체가 탄성력을 가지게 됨으로써 청소 시 쿠션감을 제공하기 위한 별도의 스티로폼이나 우레탄 등으로 제작된 쿠션부재를 부착하지 않아도 사용자에게 충분한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두께가 얇은 일회용 청소포와 같은 클리닝부재(200)를 사용할 시에도 걸레질을 하는 사용자에게 두께가 두꺼운 걸레와 같은 클리닝부재(200)를 사용할 시와 동일하거나 그 이상의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탄성 헤드부(110)를 더욱 경량화시킴과 동시에 제작비용을 더욱 절감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100)는 두께가 매우 얇은 부직포 등으로 제작된 일회용 청소포와 같은 클리닝부재(200)를 사용하여 청소할 시에도 클리닝부재(200) 전체를 청소면에 견고하게 밀착시킬 수 있는 충분한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보다 적은 힘을 사용하고도 보다 큰 힘으로 클리닝부재(200) 전체를 청소면에 탄성적으로 밀착시켜 청소면을 닦아낼 수 있으므로 찌든 때도 매우 용이하게 닦아낼 수 있어 청소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일반적인 밀대 청소기의 경우에는 두께가 매우 얇은 부직포 등으로 제작된 일회용 청소포와 같은 클리닝부재를 사용하기 위한 충분한 쿠션감을 제공하기 위하여 헤드부에 스티로폼이나 우레탄 등으로 형성된 쿠션부재를 설치하였으나, 이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밀대 청소기의 경우 물에 젖은 클리닝부재를 사용하여 습식 청소를 할 시 물이 탄성부재에 스며들어 탄성부재에 각종 세균이나 곰팡이 등이 번식하게 되어 위생상에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100)는 쿠션감을 제공하기 위한 스티로폼이나 우레탄 등으로 형성된 별도의 쿠션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물에 젖은 클리닝부재(200)를 사용하여 습식 청소를 한다 하더라도 물이 스며드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각종 세균이나 곰팡이 등이 번식하는 현상이 전혀 발생되지 않으며, 물이 스며드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포 등을 전혀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작비용 또한 더욱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일반적인 밀대 청소기의 경우 헤드부의 전, 후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가지는 클리닝부재의 전, 후방부를 헤드부 측으로 접은 후, 클리닝부재의 전, 후방 양측 끝단부를 헤드부에 마련된 결합부에 삽입 고정시켜 사용하는 형태로써, 클리닝부재의 전, 후방부는 전혀 사용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일회용 청소포와 같은 클리닝부재를 사용하게 되면 전, 후방부는 전혀 사용하지 못하고 버리게 됨으로써 클리닝부재의 소모량이 매우 많아 자원을 낭비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청소기는 클리닝부재(200) 전체를 클리닝부재 부착수단(120) 전체에 밀착시켜 부착시키는 형태로 클리닝부재(200)의 크기를 제1 탄성패널(111)의 크기와 동일하게만 제작하여 사용하게 되면 클리닝부재(200)의 낭비되는 면적 없이 클리닝부재(200) 전체를 사용하여 청소면을 청소할 수 있으므로 클리닝부재(200)의 소모량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클리닝부재(200)의 전, 후방 양측 끝단부를 헤드부에 마련된 결합부에 삽입 고정시켜 사용하는 종래의 일반적인 밀대 청소기의 경우에는 클리닝부재가 헤드부의 바닦면에는 전혀 고정되지 않게 됨으로써 클리닝부재가 부착된 헤드부를 청소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헤드부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청소면을 닦아내게 되는 밀대 청소기의 특성 상 상기 클리닝부재와 헤드부 사이에 슬립 현상이 발생되어 상기 클리닝부재가 겹쳐져 단차가 발생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클리닝부재 전체가 청소면에 제대로 밀착되지 않게 되는 현상이 매우 빈번하게 발생되어 청소 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100)는 클리닝부재(200) 전체가 클리닝부재 부착수단(120)에 고르게 부착되어 고정됨으로써 청소 시 클리닝부재(200)와 클리닝부재 부착수단(120) 사이에 슬립 현상의 전혀 발생되지 않아 클리닝부재(200) 겹침 현상으로 인한 단차가 발생되지 않음으로 클리닝부재(200) 전체가 항상 청소면에 안정적으로 밀착된 상태에서 청소면을 청소할 수 있으므로 청소효율을 더욱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100)는 탄성 헤드부(110)의 제1, 2 탄성패널(111)(112) 사이에 탄성 공간부(S)가 마련되고 탄성 헤드부(110) 자체가 탄성력을 보유함과 더불어 클리닝부재 부착수단(120) 전체에 클리닝부재(200) 전체를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클리닝부재(200)의 크기와 두께 원단 종류에 제한 없이 클리닝부재(200)를 탄성 헤드부(110)에 부착하여 편리하게 청소를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청소의 편의성을 제공함은 물론 사용자의 청소기 구매 부담을 더욱 더 줄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 탄성 헤드부 (111) : 제1 탄성패널
(112) : 제2 탄성패널 (120) : 클리닝부재 부착수단
(130) : 연결소켓 (140) : 손잡이부

Claims (5)

  1. 청소면과 밀착되는 제1 탄성패널과의 사이에 탄성 공간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 탄성패널로부터 소정구간까지는 상향 경사지다가 소정구간 이후부터는 제1 탄성패널과 수평하거나 하향 경사지도록 제2 탄성패널이 제1 탄성패널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접혀진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탄성 헤드부;
    상기 제1 탄성패널에 클리닝부재를 부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탄성패널의 하부면에 마련되는 클리닝부재 부착수단; 및
    상기 제2 탄성패널에 손잡이부를 전후좌우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시키는 연결소켓을 포함하여,
    상기 클리닝부재가 부착된 탄성 헤드부를 청소면에 밀착시킨 후 사용자가 손잡이부를 청소면과 사선을 이루도록 파지하고 손잡이부에 힘을 가하여 탄성 헤드부를 밀게 되면, 상기 손잡이부를 통해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제2 탄성패널은 가압되어 제1 탄성패널 측으로 탄성적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손잡이부와 연결된 연결소켓은 상기 제2 탄성패널이 회전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사용자가 손잡이부를 청소면과 사선을 이루도록 파지한 상태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상기 손잡이부와 제2 탄성패널 사이의 각도는 수직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증가되도록 변경되도록 하여 상기 탄성 헤드부를 보다 큰 힘으로 청소면에 탄성적으로 밀착시킨 상태로 청소면을 청소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밀대 청소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패널은,
    상기 제1 탄성패널의 상부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상기 제1 탄성패널로부터 연장 형성된 벤딩부;
    상기 제2 탄성패널과의 사이에 탄성 공간부가 마련될 수 있도록 상기 벤딩부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상향 경사부; 및
    상기 상향 경사부로부터 제1 탄성패널의 끝단부 방향으로 수평하거나 하향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푸시각도 변경부; 및
    상기 푸시각도 변경부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연결소켓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소켓 연결부를 포함하는 밀대 청소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소켓은,
    상기 제2 탄성패널의 푸시각도 변경부에 전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에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손잡이부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밀대 청소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부재 부착수단은,
    상기 탄성 헤드부의 제1 탄성패널과 일체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대 청소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부재 부착수단은,
    상기 탄성헤드부의 하부면에 접착수단에 의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대 청소기.
KR1020200083757A 2020-07-07 2020-07-07 밀대 청소기 KR102197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757A KR102197592B1 (ko) 2020-07-07 2020-07-07 밀대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757A KR102197592B1 (ko) 2020-07-07 2020-07-07 밀대 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7592B1 true KR102197592B1 (ko) 2020-12-31

Family

ID=74087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3757A KR102197592B1 (ko) 2020-07-07 2020-07-07 밀대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759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687Y1 (ko) 2012-01-13 2013-05-02 유경수 걸레바닥 중앙부가 돌출된 밀걸레
KR200469579Y1 (ko) * 2012-07-03 2013-10-23 이윤희 빗자루 타입의 밀대 걸레
US20150020331A1 (en) * 2013-07-22 2015-01-22 Cherie Devir Pole cleaning apparatus
KR20150072971A (ko) * 2013-12-20 2015-06-30 (주)광진상사 바닥 청소가 용이한 밀대걸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687Y1 (ko) 2012-01-13 2013-05-02 유경수 걸레바닥 중앙부가 돌출된 밀걸레
KR200469579Y1 (ko) * 2012-07-03 2013-10-23 이윤희 빗자루 타입의 밀대 걸레
US20150020331A1 (en) * 2013-07-22 2015-01-22 Cherie Devir Pole cleaning apparatus
KR20150072971A (ko) * 2013-12-20 2015-06-30 (주)광진상사 바닥 청소가 용이한 밀대걸레
KR101556351B1 (ko) 2013-12-20 2015-09-30 (주)광진상사 바닥 청소가 용이한 밀대걸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5282875B2 (en) Mop having scrubbing area
US6216307B1 (en) Hand held cleaning device
US4893369A (en) Hand-held utensil for surface cleaning, mopping and the like
US9386898B2 (en) Washing combination for the cleaning of floors or other planar surfaces
WO2005084516A1 (en) Cleaning implement
MXPA06002511A (es) Implemento limpiador de superficies multiples.
JP2009513259A (ja) 清掃用具
US20090241280A1 (en) Flexible cleaning tool
JP7278416B2 (ja) 多機能モップ付きスティッククリーナー
US6202246B1 (en) Multi-purpose scrub mop
KR102061799B1 (ko) 밀대 청소기
JP3222284U (ja) ふんわりパッド付きのフローリングワイパー
KR102197592B1 (ko) 밀대 청소기
KR102197584B1 (ko) 밀대 청소기
JP2008522771A (ja) モータ付き洗浄器具
CA2696176A1 (en) Flexible cleaning tool
US5575032A (en) Sponge shower cleaner
US20110107537A1 (en) Mop body having recessed side surfaces
KR20210144318A (ko) 밀대 청소기
KR20210144305A (ko) 밀대 청소기
KR20210144312A (ko) 밀대 청소기
KR102255863B1 (ko) 밀대 청소기
WO2007040463A1 (en) Mop
KR101273838B1 (ko) 청소기
GB2203932A (en) Cleaning imp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