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350Y1 - 밭작물 뽑는 기구 - Google Patents

밭작물 뽑는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350Y1
KR200472350Y1 KR2020130007640U KR20130007640U KR200472350Y1 KR 200472350 Y1 KR200472350 Y1 KR 200472350Y1 KR 2020130007640 U KR2020130007640 U KR 2020130007640U KR 20130007640 U KR20130007640 U KR 20130007640U KR 200472350 Y1 KR200472350 Y1 KR 2004723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crop
stem
drawing piece
te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76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5775U (ko
Inventor
서한호
Original Assignee
서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한호 filed Critical 서한호
Priority to KR20201300076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350Y1/ko
Publication of KR201300057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7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3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3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1/00Other hand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5/00Harvesting of standing crops
    • A01D45/003Harvesting of standing crops of millet, sorghu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5/00Harvesting of standing crops
    • A01D45/02Harvesting of standing crops of maize, i.e. kernel harvesting
    • A01D45/026Hand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5/00Harvesting of standing crops
    • A01D45/16Harvesting of standing crops of tobacco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밭작물 뽑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
구성을 살펴보면, 자루(1) 끝에 인발편(2)을 장착하되, 상기 인발편(2)은 본체(2a)에 작물의 줄기를 끼울 수 있는 >형 또는 ⊃형의 홈(21)을 형성하고, 상기 >형 또는 ⊃형의 홈(21)의 내측에 대향지게 다수의 톱니(22) 또는 요철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인발편(2) 본체(2a)의 일 측 또는 양 측에 다수의 톱니(22)를 가진 홈(21)이 형성됨으로서, 작물을 뽑을 때, 작물 줄기 하부에 >형 또는 ⊃형의 홈(21)을 밀어 끼운 상태에서 자루(1) 끝을 약간 들어주게 되면 홈(21) 내측에 형성된 톱니(22)가 작물 줄기의 전 후면을 꽉 물게 되고, 이 상태에서 자루(1)를 잡아채면 미끄러짐 없이 작물이 뿌리채 뽑히게 되는 것이며, 따라서 작물 줄기를 뿌리채 뽑아내는데 있어서 크게 힘들지 않아 신속 간편하게 뽑을 수 있는 있는 효과가 따르게 된다.

Description

밭작물 뽑는 기구{implement for gathering of crops}
본 고안은 고추, 가지, 옥수수 등의 각종 밭작물을 수확한 뒤 남은 줄기를 신속 간편하고도 손쉽게 뽑을 수 있게 한 밭작물 뽑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고추나 콩, 가지, 토마토, 팥, 옥수수 및 담배 등을 비롯한 각종 작물들은 수확한 뒤 남은 줄기는 다음 농사를 위해 뿌리까지 뽑아내는 것이 바람직한데, 줄기를 뿌리까지 뽑아내는 방법은 통상 한 손, 또는 양 손으로 작물의 줄기를 움켜쥐고 뽑아내거나, 또는 낫으로 줄기를 자른 뒤 괭이나 갈고리로서 뿌리를 뽑아내게 됨으로써, 이루 말할 수 없이 힘이 많이 들고 작업의 효율성도 크게 떨어지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고안들이 선 출원 등록되어 있는데, 실용신안등록 제0163938호와 실용신안등록 제0163939호, 그리고 실용신안등록 제0387011호와 실용신안등록 제0442119호가 있다.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0163938호는 자루 끝에 끝이 날카로운 칼날부재를 장착한 것으로 상기 칼날부재 끝을 줄기 하단에 꽂아 당겨 작물을 뿌리채 뽑을 수 있게 한 것이고, 실용신안등록 제0163939호는 길이가 비교적 짧은 자루 끝에 고정형 칼날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형 칼날부재와 대응하는 가동형 칼날부재를 레버로 조작하여 다수의 작물을 모아서 한 번에 뽑아낼 수 있게 한 것이다.
또, 실용신안등록 제0387011호는 내측에 톱니형 요철부를 가진 식물파지부를 ㄱ자 형태로 형성한 것으로 이는 톱니형 요철부가 작물의 줄기를 찍어 강제로 잡아 빼도록 구성된 것이고, 실용신안등록 제0442119호는 내측에 톱날을 형성한 곡형 톱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이 또한 작물의 줄기를 찍어 빼거나 절단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작물 뽑는 기구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따랐다.
즉, 상기한 종래의 기구들은 칼날부재를 ㄱ자 형태로 형성하여 단순히 끝을 뾰족하게 하거나 내측에 톱니형 요철부를 형성한 것으로서, 작물 줄기 한쪽면을 찍어 당기게 되면 톱니형 요철부가 작물줄기 표면에서 미끄러지거나 절단되게 되어 그 효과를 크게 기대할 수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등록 고안들은 현실적으로 상용화되지 못하는 실정에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0163938호 실용신안등록 제0163939호 실용신안등록 제0387011호 실용신안등록 제0442119호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길이가 긴 자루 끝에 내측에 톱니형 요철부가 구비된 >형 또는 ⊃형의 홈을 가진 인발편을 장착함으로서 밭작물을 뽑을 때 >형 또는 ⊃형 홈에 의해 매우 안정적이고 신속 간편하게 뽑을 수 있게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밭작물을 뿌리채 뽑을 수 있는 기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자루(1) 끝에 인발편(2)을 장착하되, 상기 인발편(2)은 본체(2a)에 작물의 줄기를 끼울 수 있는 >형 또는 ⊃형 홈(21)을 형성하고, 상기 >형 또는 ⊃형 홈(21)의 내측에 대향지게 다수의 톱니(22) 또는 요철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홈(21)은 입구가 넓고 안으로 들어갈수록 좁은 형태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발편(2)은 3∼10°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발편(2)은 본체(2a) 양측에 >형 또는 ⊃형의 홈(21)(21')을 대향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인발편(2) 본체(2a)의 일 측 또는 양 측에 다수의 톱니(22)를 가진 >형 또는 ⊃형의 홈(21)이 형성됨으로서, 작물 줄기 하단부에 >형 또는 ⊃형의 홈(21)을 밀어 끼운 상태에서 자루(1) 끝을 약간 들어주게 되면 홈(21) 내측에 형성된 톱니(22)가 작물 줄기(3)의 전 후면에 꽉 물리게 되고, 이 상태에서 자루(1)를 잡아채면 작물이 뿌리채 뽑히게 되는 것이며, 따라서 작물 줄기를 뿌리채 뽑아내는데 있어서 매우 신속 간편하게 할 수 있는 등의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A∼도 2C는 인발편의 여러 실시예를 나타낸 확대 평면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 확대 측면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평면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본 고안은 고추, 콩, 토마토, 옥수수 등, 각종 작물을 수확한 후 작물 줄기(3)를 뿌리채 뽑을 때 사용하는 기구로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도1∼도3에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자루(1) 끝에 리벳이나 나사 등의 체결부재로 인발편(2)을 장착 고정하되, 상기 인발편(2)은 본체(2a)에 작물의 줄기를 끼울 수 있는 >형 또는 ⊃형의 홈(21)이 형성되고, 상기 >형 또는 ⊃형의 홈(21)의 내측에는 다수의 톱니(22) 또는 요철부가 대향지게 형성된다.
또, 상기 >형 또는 ⊃형의 홈(21)은 입구가 넓고 안으로 들어갈수록 좁은 형태로 형성하였는데, 이는 작물의 줄기가 가늘거나 굵은 것을 불문하고 어떤 굵기이든 쉽게 걸어 뽑을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옥수수 줄기와 같이 굵은 대는 홈(21)의 입구 쪽에 끼워지게 되고, 고추대와 같이 가는 줄기는 홈(21)의 안쪽에 끼워지게 되며, 작물의 줄기(3)를 홈(21)에 끼운 뒤에 자루를 약간 들어주게 되면 >형 또는 ⊃형의 홈(21)에 형성된 톱니(22)가 줄기 전 후면을 견고하게 무는 상태로 되며, 이 상태에서 자루(1)를 잡아채게 되면 작물의 줄기에서 톱니(22)가 미끄러지지 않아 손쉽게 작물을 뿌리채 뽑을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또, 본 고안은 인발편 본체(2a)를 3∼10°로 경사지게 형성하였는데, 이는 작물의 줄기(3)에 >형 또는 ⊃형 홈(21)을 끼운 뒤 자루(1)를 약간만 들어주더라도 ⊃형 홈(21) 내측에 형성된 톱니(22)가 줄기(3)를 타이트하게 물어줄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본체(2a)를 하향경사지게 형성하였으므로 자루(1) 끝부분을 들어 올렸을 때 톱니(22) 부분이 작물 줄기(3) 전 후면을 꽉 물어주는 작용을 하게 되므로 미끄럼이 전혀 발생되지 않게 되며, 따라서 작물 줄기는 물론 작물 지주대도 손쉽게 뽑을 수 있어 지주대 인발편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도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이는 인발편(2) 본체(2a) 양측에 >형 또는 ⊃형의 홈(21)(21')을 대향 형성한 것이며, 본체(2a) 양측에 >형 또는 ⊃형 홈(21)(21')을 형성함에 따라 오른손을 주로 사용하는 사람이나 왼손을 사용하는 사람 등 모든 사람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있어서 인발편(2) 본체(2a)는 다양한 형상과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어떤 형상이든 간에 본체(2a)에 ⊃형 홈이 형성된 것이라면 이는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과 사상의 범위 안에서 구조의 변형도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1 : 자루 2 : 인발편 2a : 본체
21,21' : 홈 22 : 톱니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내측에 대향지게 다수의 톱니(22)나 요철부가 형성된 >형 또는 ⊃형 홈(21)을 가진 인발편(2)이 자루 끝에 장착되어 밭작물을 뿌리채 뽑을 수 있는 기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인발편(2)은 3∼10˚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과 동시에 인발편(2)에 형성된 상기 >형 또는 ⊃형 홈(21)은 입구가 넓고 안으로 들어갈수록 좁은 형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밭작물 뽑는 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본체(2a) 양측에 >형 또는 ⊃형 홈(21)(21')을 대향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밭작물 뽑는 기구.
KR2020130007640U 2013-09-10 2013-09-10 밭작물 뽑는 기구 KR2004723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640U KR200472350Y1 (ko) 2013-09-10 2013-09-10 밭작물 뽑는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640U KR200472350Y1 (ko) 2013-09-10 2013-09-10 밭작물 뽑는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775U KR20130005775U (ko) 2013-10-07
KR200472350Y1 true KR200472350Y1 (ko) 2014-04-21

Family

ID=51489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7640U KR200472350Y1 (ko) 2013-09-10 2013-09-10 밭작물 뽑는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35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4371B1 (ko) 2022-08-10 2023-04-20 신택권 잡초 제거용 농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39399A (zh) * 2019-11-19 2020-02-28 贺卫强 一种手持式韭菜切割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6743A (en) * 1980-06-30 1982-04-27 Kazutaka Tamura Weeding tool
JPH03100364U (ko) * 1990-01-30 1991-10-21
JPH11123016A (ja) * 1997-10-21 1999-05-11 Tomita Hamono:Kk 切断具
KR200453148Y1 (ko) 2008-09-22 2011-04-13 이상은 작물채취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6743A (en) * 1980-06-30 1982-04-27 Kazutaka Tamura Weeding tool
JPH03100364U (ko) * 1990-01-30 1991-10-21
JPH11123016A (ja) * 1997-10-21 1999-05-11 Tomita Hamono:Kk 切断具
KR200453148Y1 (ko) 2008-09-22 2011-04-13 이상은 작물채취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4371B1 (ko) 2022-08-10 2023-04-20 신택권 잡초 제거용 농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775U (ko) 2013-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39226B2 (en) V-shaped weed cutting garden tool and edge trimmer
US8925985B2 (en) Garden tool
US2642305A (en) Garden weeder
KR200472350Y1 (ko) 밭작물 뽑는 기구
US2066803A (en) Weeder
US20100200255A1 (en) Gardening tool wtih prongs and blade member
US2296916A (en) Combined wild grass root and grass extracting tool and hoe
US2340917A (en) Weeder
JP2007135508A (ja) 草取り具
JP3219949U (ja) コテ付き草取り具
US2508542A (en) Weeding attachment for garden hoes
KR102125622B1 (ko) 잡초제거기
JP3118026U (ja) 草取具
US3110349A (en) Cultivating and weeding tool
JP3141154U (ja) 除草具
US866308A (en) Grape-cutter.
KR101269307B1 (ko) 마늘줄기 인출장치
US2374929A (en) Weed puller
JP5305369B1 (ja) 除草具
KR101213216B1 (ko) 다용도 농기구
CN209218538U (zh) 一种新型锄头
JP5220945B1 (ja) 雑草除去具
KR200442119Y1 (ko) 고추대 뽑는 기구
JP3163212U (ja) 鎌の刃先部分を鋸刃にした草刈鎌
JP2015136362A (ja) 除草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