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4159U - 마늘대 절단기 - Google Patents

마늘대 절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4159U
KR19990004159U KR2019980020379U KR19980020379U KR19990004159U KR 19990004159 U KR19990004159 U KR 19990004159U KR 2019980020379 U KR2019980020379 U KR 2019980020379U KR 19980020379 U KR19980020379 U KR 19980020379U KR 19990004159 U KR19990004159 U KR 1999000415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lic
cutting
stand
cut
cutting knif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03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12335Y1 (ko
Inventor
백남천
Original Assignee
백남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남천 filed Critical 백남천
Priority to KR20199800203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2335Y1/ko
Publication of KR199900041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41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23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2335Y1/ko

Links

Abstract

[기술분야]
본고안은 마늘 재배시 마늘줄기 중간에 있는 마늘쫑 또는 마늘대를 매우 간편하고 능률적으로 절단할 수 있도록 고안한 마늘대 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해결하려고하는 기술적 과제]
종래에 마늘대를 절단할 때에는 작업자가 한손으로 마늘줄기를 잡고 다른 한손으로 중간에 있는 마늘대를 절단칼로서 일일이 보면서 찾아 절단하게 되므로 절단작업이 용이하지 않고 어려워 능률적인 절단작업을 할 수 없었고 작업시간이 매우 오래 걸리는 폐단이 있었다.
[해결방법의 요지]
본고안은 일정길이로 형성한 손잡이의 선단에 절단칼을 매설하고 이의 외측에 마늘줄기를 지지하는 탄성간을 설치하여 마늘줄기에 꽂아 넣기만 하면 마늘대를 매우 간단히 절단할 수 있게 한 마늘대 절단기를 제공코자 한 데 있다.
[고안의 중요한 용도]
마늘대 절단용.

Description

마늘대 절단기
본고안은 마늘 재배시 마늘줄기 중간에 있는 마늘쫑 또는 마늘대를 매우 간편하고 능률적으로 절단할 수 있도록 고안한 마늘대 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마늘대를 절단할 때에는 작업자가 한손으로 마늘줄기를 잡고 다른 한손으로 중간에 있는 마늘대를 절단칼로서 일일이 보면서 찾아 절단하게 되므로 절단작업이 용이하지 않고 어려워 능률적인 절단작업을 할 수 없었고 작업시간이 매우 오래 걸릴 뿐 아니라 많은 작업자가 필요하여 인건비의 부담이 매우 과중하고 작업자의 손을 다치게 되는 사례가 많는 등 여러 가지의 많은 폐단이 있었다.
본고안은 이와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일정길이로 형성한 손잡이의 선단에 절단칼을 매설하고 이의 외측에 마늘줄기를 지지하는 탄성간을 설치하여 마늘줄기에 꽂아 넣기만 하면 마늘대를 매우 간단히 절단할 수 있게 한 것인데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고안의 사용예시도
도 2 는 본고안의 단면도
도 3 은 마늘대를 절단하기 전의 예시도
도 4 는 마늘대를 절단하는 상태의 예시도
[도면부호의 명칭]
1 : 손잡이간 2 : 절단칼 3 : 간격부
4 : 협소부 5 : 지지간
일정길이로 형성한 손잡이간(1)의 선단에 창형태의 절단칼(2)을 매설하고 절단칼(2)의 양측부에 나팔형상으로 벌어진 넓은 간격부(3)와 협소부(4)를 형성한 지지간(5)을 탄력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6 은 마늘줄기이고, 7 은 마늘대이다.
이와같이 된 본고안은 손잡이간(1)의 선단에 매설한 창형태의 절단칼(2)의 양측부에 넓은 간격부(3)와 협소부(4)를 형성한 지지간(5)을 탄력설치하여서 되는 것으로 여기서, 절단칼(2)은 마늘대(7)를 절단하게되고 지지간(5)은 절단칼(2)이 마늘대(7)를 용이하게 절단하도록 지지하여 중심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당해 지지간(5)은 탄성에 의해 힘을 가하면서 벌리면 벌어지고 놓으면 원상태로 복귀하게 되어 있으며 선단에 형성된 넓은 간격부(3)는 마늘줄기(6)의 직경보다 넓은 간격으로 형성되고 협소부(4)는 마늘대(7)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간격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마늘대(7)를 절단할 때에는 손잡이간(1)을 손으로 잡고 절단할 마늘줄기(6)를 지지간(5)의 넓은 간격부(3)에 인입시키면서 전방으로 약간의 힘을 주어 밀게되면 협소부(4)보다 큰 직경으로된 마늘대(7)가 미는 힘에 의해 협소부(4)를 억지로 벌리면서 지지간(5)의 내부로 들어가게 되는데 이와같이 들어가는 과정에서 마늘줄기(6)는 내향 탄지력을 가지는 지지간(5)에 의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고 이어서 지지간(5)의 사이에 설치된 창형태의 절단칼(2)에 의해 마늘줄기(6)의 내부에 있는 마늘대(7)가 순식간에 절단되어 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고안은 마늘대(7)의 절단작업시 손잡이간(1)을 한손으로 잡고 지지간(5)의 넓은 간격부(3)에 마늘줄기(5)가 인입되도륵 전방으로 밀어넣게 되면 마늘대(7)가 절단되므로 절단작업을 매우 간편하고 능률적으로 할 수 있으며 절단시간이 매우 단축되며 종래와 같이 많은 작업자가 필요로 하지 않아 인건비가 절감되고 손이나 허리가 아프지않는 등 그 효과가 매우 크다.

Claims (1)

  1. 일정길이로 형성한 손잡이간(1)의 선단에 창형태의 절단칼(2)을 매설하고 절단칼(2)의 양측부에 나팔형상으로 벌어진 넓은 간격부(3)와 협소부(4)를 형성한 지지간(5)을 탄력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대 절단기.
KR2019980020379U 1998-10-24 1998-10-24 마늘대 절단기 KR2002123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0379U KR200212335Y1 (ko) 1998-10-24 1998-10-24 마늘대 절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0379U KR200212335Y1 (ko) 1998-10-24 1998-10-24 마늘대 절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4159U true KR19990004159U (ko) 1999-01-25
KR200212335Y1 KR200212335Y1 (ko) 2001-02-15

Family

ID=69710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0379U KR200212335Y1 (ko) 1998-10-24 1998-10-24 마늘대 절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233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171Y1 (ko) * 2010-03-09 2012-01-25 강순택 전동식 마늘종 절단장치
KR200458172Y1 (ko) * 2010-05-17 2012-01-25 강순택 마늘순 절단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2776A (ko) 2014-07-24 2016-02-03 김경희 마늘대 절단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171Y1 (ko) * 2010-03-09 2012-01-25 강순택 전동식 마늘종 절단장치
KR200458172Y1 (ko) * 2010-05-17 2012-01-25 강순택 마늘순 절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2335Y1 (ko) 200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6134576A3 (en) Hair cutting device with hair length indicator means
EP1261287A4 (en) ADJUSTABLE TIP FOR LANZET DEVICE AND METHOD
KR950017032A (ko) 관절단기
JPS5316976A (en) Tool main spindle which can use large diameter tool together with small diameter tool
KR200212335Y1 (ko) 마늘대 절단기
US2294997A (en) Tool carrier for gloves
ATE248539T1 (de) Manikürkapsel
DE59202818D1 (de) Werkzeug zum Abisolieren eines Leiters.
US2565344A (en) Convertible hand tool
GB2260908A (en) Ultrasonic cutter
KR960001263A (ko) 재봉틀의 보빈 스레드 단부 파지장치
JPS6440298A (en) Cutter for food
KR900000291Y1 (ko) 샷틀용 목관교체 겸용 가위
KR200181095Y1 (ko) 골무절단 칼
KR200152173Y1 (ko) 개 빗
KR100320362B1 (ko) 실핀
JP3201971U (ja) 下げ振り
JP2005288134A (ja) ニッパー式爪切り
CN204429644U (zh) 一种新型组合式涂布器
JP3007678U (ja) ピアス装着穴の清掃器具
KR200184914Y1 (ko) 다용도 컷팅장치
JPH0215982A (ja) 折れ込みタップ抜き
Cassisi et al. Future directions of supernovae research: progenitors to remnants. Proceedings. Workshop, Assergi (Italy), 29 Sep-2 Oct 1998.
SE0101242D0 (sv) Penna
ES1047616U (es) Cuello de alma rayada para herramientas de man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