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114Y1 - 스크린 셔터 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린 셔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114Y1
KR200457114Y1 KR2020090017165U KR20090017165U KR200457114Y1 KR 200457114 Y1 KR200457114 Y1 KR 200457114Y1 KR 2020090017165 U KR2020090017165 U KR 2020090017165U KR 20090017165 U KR20090017165 U KR 20090017165U KR 200457114 Y1 KR200457114 Y1 KR 2004571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magnet
guide rail
shutter device
magnetic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71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6895U (ko
Inventor
박용광
Original Assignee
(주)블라인드팩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블라인드팩토리 filed Critical (주)블라인드팩토리
Priority to KR20200900171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114Y1/ko
Publication of KR201100068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8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1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11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E06B9/581Means to prevent or induce disengagement of shutter from side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06B9/72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comprising an electric motor positioned inside the rol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스크린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권취부와, 상기 스크린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레일로 구성된 스크린 셔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에 구비되어 자력에 의해 상기 스크린의 수직 장력을 유지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자석과, 상기 스크린의 일단에 구비되는 상기 스크린의 수평 장력을 유지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자석과, 상기 가이드 레일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2 자석과 함께 상승 또는 하강함과 아울러 외부의 인위적인 힘에 의해 상기 제 2 자석을 이탈시키거나 상기 제 2 자석의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상기 스크린을 고정시키거나 개폐가능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 착탈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외부의 인위적인 힘(예컨대 사물, 차량 또는 그 외 운행수단)이 제품에 충돌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스크린, 제 1, 2 자석, 이동 착탈부.

Description

스크린 셔터 장치{SCREEN SHUTTER DEVICE}
본 고안은 외부의 인위적인 힘을 스크린에 가할 시 자석의 자력에 의해 탈부착되어 스크린을 개폐되도록 구성한 스크린 셔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이나 대형 창고, 모텔 및 주차장등의 출입문을 사용상의 편의성으로 자동문으로 구성하되 비용절감과 설치 및 유지 관리의 용이성을 위해 스크린 셔터 장치로 구성하고 있다.
상기 스크린 셔터 장치는 출입문 상단부에 스크린의 한쪽을 고정하여 구동 모터의 구동에 따라서 권취하는 권취 드림을 내장하는 귄취부를 구성하고, 출입문의 좌, 우 양측으로 스크린의 형상유지와 진행방향을 유도하도록 하는 가이드 레일을 설치한 다음 권취드럼을 회전하여 스크린을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하여 스크린 셔터 장치의 개폐를 결정하도록 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종래의 스크린 셔터 장치는 출입하는 사물이나 차량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스크린을 개폐하는 방식이므로, 스크린이 천천히 개폐되어 사물이나 차량과 충돌에 따른 접촉으로 인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스크린이 사물이나 차량과 접촉될 경우 가이드 레일에서 스크린이 이탈되어 스크린 셔터 기능을 못하고, 이탈된 상태에서 상승 또는 하강하여 스크린 및 가이드 레일이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사물이나 차량이 스크린에 접촉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자석의 자력에 의해 탈부착시키는 스크린 셔터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고안은 외부의 인위적인 힘을 스크린에 가할 시 자석의 자력에 의해 탈부착되어 스크린을 개폐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외부의 인위적인 힘(예컨대 사물, 차량 또는 그 외 운행수단)이 제품에 충돌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스크린 셔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스크린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권취부와, 상기 스크린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레일로 구성된 스크린 셔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에 구비되어 자력에 의해 상기 스크린의 수직 장력을 유지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자석;
상기 스크린의 일단에 구비되는 상기 스크린의 수평 장력을 유지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자석; 및
상기 가이드 레일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2 자석과 함께 상승 또는 하강함과 아울러 외부의 인위적인 힘에 의해 상기 제 2 자석을 이탈시키거나 상기 제 2 자석의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상기 스크린을 고정시키거나 개폐가능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 착탈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스크린 셔터 장치에 의하면,
외부의 인위적인 힘을 스크린에 가할 시 자석의 자력에 의해 탈부착되어 스크린을 개폐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외부의 인위적인 힘(예컨대 사물, 차량 또는 그 외 운행수단)이 제품에 충돌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인해 제품의 사용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예들이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셔터 장치(10)는 구동모터(11)의 구동에 의해 스크린(12)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권취부(13)와, 상기 스크 린(12)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레일(14)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2 자석(20)(30)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 착탈부(40)로 구성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자석(20)들은 후술하는 상기 이동 착탈부(40)를 자력에 의해 고정시켜 상기 스크린(12)의 수직 장력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레일(14)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 2 자석(30)들은 상기 스크린(12)의 수평 장력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스크린(12)의 일단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 착탈부(40)는 상기 제 2 자석(30)과 함께 상승 또는 하강함과 아울러 외부의 인위적인 힘(예컨대 사물, 차량 또는 그 외 운행수단)에 의해 상기 제 2 자석(30)을 이탈시키거나 상기 제 2 자석(30)의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상기 스크린(12)을 고정시키거나 개폐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가이드 레일(14)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스크린(12)에는 상기 이동 착탈부(40)로부터 상기 제 2 자석(30)을 이동시켜 탈부착가능하게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 부재(5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스크린(12)에는 상기 탄성 부재(50)와 연결됨과 아울러 지지하도록 지지 밴드(60)가 구비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12)에는 상기 제 2 자석(30)과 상기 탄성 부재(50) 및 지지 밴드(60)를 감싸면서 결합시킬 수 있도록 결합부(70)가 구비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착탈부(40)는 다수의 베어 링(41a)을 구비한 몸체(41)와, 연결바(42)와,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부착부(43)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41)는 상기 스크린(12)과 함께 상승 또는 하강이동하도록 상기 가이드 레일(14)내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바(42)는 후술하는 상기 부착부(43)를 지지하도록 상기 몸체(41)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부착부(43)는 상기 제 2 자석(30)을 탈부착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연결바(42)의 일단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부착부(43)에는 상기 제 2 자석(30)의 자력을 전달받도록 홈(43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크린(12)에는 상기 스크린(12)의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지지하도록 보조바(80)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스크린 셔터 장치(10)는 공장이나 대형 창고, 모텔 및 주차장등 건물의 출입문에 모두 설치가능하며, 여기서는 외부의 인위적인 힘(예컨대 사물, 차량 또는 그 외 운행수단)의 영향을 많이 받는 건물의 출입문에 설치되는 스크린 셔터 장치(10)를 대표적인 예시로 나타내었다. 하지만, 본 고안은 반드시 건물의 출입문에 설치되는 스크린 셔터 장치(10)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건물의 다양한 장소에 설치 가능하다.(예컨대 창호, 창문, 방충만)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스크린 셔터 장치의 동작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셔터 장치(10)는 구동모터(11)의 구동에 의해 스크린(12)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권취부(13)와, 상기 스크린(12)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레일(14)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2 자석(20)(30)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 착탈부(40)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14)내에 상기 이동 착탈부(40)를 상승 또는 하강가능하게 결합시킨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레일(14)의 일단에는 제 1 자석(20)을 구비하고, 상기 스크린(12)의 일단에 구비된 결합부(70)는 상기 제 2 자석(30), 스프링 및 지지 밴드(60)를 감싸면서 구비한다.
상기 제 2 자석(30)은 상기 이동 착탈부(40)의 부착부(43)와 대응되게 구비된다.
상기 지지 밴드(60)는 상기 스크린(12)에 부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제 1 자석(20)은 상기 이동 착탈부(40)를 자력에 의해 고정시킴과 아울러 상기 스크린(12)의 수직 장력을 유지시킨다.
이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운행수단(F)이 상기 스크린(12)에 접촉시 먼저 상기 제 2 자석(30)이 상기 이동 착탈부(40)에서 이탈됨과 아울러 상기 제 2 자석(30)의 자력이 저하되어 상기 스크린(12)을 개방시킨다. 이때, 상기 제 2 자석(30)과 상기 이동 착탈부(40)가 이탈시 상기 제 2 자석(30)은 상기 탄성 부재(5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스크린(12)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이동 착탈부(40)의 멀어짐과 아울러 상기 제 2 자석(30)의 자력을 저하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운행수단(F)을 계속하여 밀면, 상기 스크린(12)는 상승하여 밀리면서 개방된다.
이때, 상기 이동 착탈부(40)는 상기 가이드 레일(14)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 2 자석(30)과 상기 스크린(12)은 상기 사용자의 운행수단과 함께 밀리면서 이동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의 운행수단(F)이 상기 스크린(12)을 통과하면, 상기 스크린(12)을 다시 하강함과 아울러 상기 이동 착탈부(40)의 위치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스크린(12)은 상기 제 2 자석(30)의 자력에 의해 상기 이동 착탈부(40)에 부착된다.
이때, 상기 제 2 자석(30)이 상기 이동 착탈부(40)에 부착됨과 아울러 상기 스프링은 인장된다.
상기 스크린(12)은 다시 위치되어 건물의 출입문을 닫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스크린 셔터 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의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셔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셔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셔터 장치의 구성 중 제 2 자석과 스프링 및 지지 밴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셔터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셔터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

Claims (5)

  1.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스크린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권취부와, 상기 스크린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레일로 구성된 스크린 셔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에 구비되어 자력에 의해 상기 스크린의 수직 장력을 유지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자석;
    상기 스크린의 일단에 구비되는 상기 스크린의 수평 장력을 유지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자석; 및
    상기 가이드 레일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2 자석과 함께 상승 또는 하강함과 아울러 외부의 인위적인 힘에 의해 상기 제 2 자석을 이탈시키거나 상기 제 2 자석의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상기 스크린을 고정시키거나 개폐가능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 착탈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셔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에는 상기 이동 착탈부로부터 상기 제 2 자석이동시켜 탈부착가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 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셔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에는 상기 탄성 부재와 연결됨과 아울러 지지하는 지지 밴드가 구비되고,
    상기 스크린에는 상기 제 2 자석과 상기 탄성 부재 및 상기 지지 밴드를 감싸면서 결합시키는 결합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셔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착탈부는, 상기 가이드 레일내에서 이동가능하게 하는 다수의 베어링를 구비한 몸체와,
    상기 몸체에 구비되는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 2 자석의 탈부착가능하게 하는 금속재질의 부착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셔터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에는 상기 스크린의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지지하는 보조바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롤 스크린 장치.
KR2020090017165U 2009-12-31 2009-12-31 스크린 셔터 장치 KR2004571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7165U KR200457114Y1 (ko) 2009-12-31 2009-12-31 스크린 셔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7165U KR200457114Y1 (ko) 2009-12-31 2009-12-31 스크린 셔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895U KR20110006895U (ko) 2011-07-07
KR200457114Y1 true KR200457114Y1 (ko) 2011-12-06

Family

ID=45568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7165U KR200457114Y1 (ko) 2009-12-31 2009-12-31 스크린 셔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114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2433A (ja) 1997-08-20 1999-03-05 Chieko Hoshino シャッターの下縁構造
JP2006299523A (ja) 2005-04-15 2006-11-02 Bunka Shutter Co Ltd 開閉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2433A (ja) 1997-08-20 1999-03-05 Chieko Hoshino シャッターの下縁構造
JP2006299523A (ja) 2005-04-15 2006-11-02 Bunka Shutter Co Ltd 開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895U (ko) 201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0510146A (ja) 垂直スライド窓
JP2018035560A (ja) シャッター装置の電源切替方法及びそのシャッター装置
EP3310986B1 (en) Door curtains with position sensor switches
KR100912609B1 (ko) 전동식 차양 시스템
KR200457114Y1 (ko) 스크린 셔터 장치
KR101027799B1 (ko) 전동 개폐형 차고문
KR200395107Y1 (ko) 폴드업 셔터
JP2008303546A (ja) 上げ下げ窓の安全装置
KR20220145169A (ko) 원활한 개폐작동 및 이탈방지를 위한 행거식 개폐문의 상부구조
KR100632994B1 (ko) 추락방지용 미닫이 창문조립체
KR100949142B1 (ko) 과다상승 방지수단이 구비된 출입구 개폐용 천막샷타
JP4765043B2 (ja) シャッター
KR101812597B1 (ko) 대형 도어의 수동 개방장치
KR20120050335A (ko) 스크린 착탈 장치
JPH08177350A (ja) ロール式網戸
KR100736444B1 (ko) 자동 복원이 가능한 스피드 도어
KR20170003498U (ko) 미세 방충망
JP2555073Y2 (ja) パネルシャッターの安全装置
JP4410516B2 (ja) エレベータ出入口の雨どい構造
JP2010138552A (ja) 開閉体座板端部の遮蔽構造
JP2014190138A (ja) スライド式シャッタの補強構造
JP2008106544A (ja) 開閉体案内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開閉体装置
JPH11200744A (ja) シャッターの障害物検知装置
JPH0433357B2 (ko)
KR19980043941U (ko) 전동식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