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498U - 미세 방충망 - Google Patents

미세 방충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498U
KR20170003498U KR2020160006352U KR20160006352U KR20170003498U KR 20170003498 U KR20170003498 U KR 20170003498U KR 2020160006352 U KR2020160006352 U KR 2020160006352U KR 20160006352 U KR20160006352 U KR 20160006352U KR 20170003498 U KR20170003498 U KR 2017000349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older
stopper
screen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3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석민
Original Assignee
조석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석민 filed Critical 조석민
Priority to KR20201600063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3498U/ko
Publication of KR201700034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49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7Mounting of screens to window or door
    • E06B2009/54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78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direct manual operation, e.g. by tassels, by handles
    • E06B2009/785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direct manual operation, e.g. by tassels, by handles by belts, straps, bands, tapes, cords, ta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미세 방충망이 개시된다. 본 고안의 미세 방충망은, 상측부에 롤러 하우징이 구비된 방충망 프레임; 롤러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탄력을 갖는 권취 롤러; 권취 롤러에 권취 되는 미세 방충망; 미세 방충망의 하단부에 결합 되는 방충망 홀더; 방충망 홀더가 결합 되며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방충망 프레임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 되는 홀더 지지프레임; 방충망 프레임에 결합 되어 홀더 지지프레임의 하단부를 방충망 프레임에 근접된 위치에 스토핑(stopping) 시키는 스토퍼부; 홀더 지지프레임의 상단부에 마련되어 홀더 지지프레임이 방충망 프레임과 접촉되는 것을 막는 완충 부재; 및 홀더 지지프레임의 저면부에 결합 되어 홀더 지지프레임과 방충망 프레임의 틈새를 막는 방풍 부재를 포함하고, 홀더 지지프레임의 외벽에는 복수의 스토퍼 홈이 마련되고, 스토퍼부는 복수의 스토퍼 홈으로 탄력적으로 삽입되는 복수의 스토퍼 볼을 구비하며, 복수의 스토퍼 볼이 복수의 스토퍼 홈에 삽입되어 홀더 지지프레임이 방충망 프레임에 근접된 위치로 하강 되어 위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미세 방충망{MOSQUITO NET DEVICE}
본 고안은, 미세 방충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 마련되어 모기를 포함하는 벌레들의 침입을 방지함과 아울러 방풍 및 소음을 차단할 수 있는 미세 방충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독 주택, 빌라, 아파트의 베란다 등에는 해충들이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충망을 설치하여 사용한다. 지금까지의 방충망은 별도의 메인 프레임에 알루미늄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된 방충망을 설치한 구조로서, 창문의 개폐와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방충망은 탈,부착이 어려우므로 인해 방충망이 불필요한 계절에도 쉽게 방충망을 분리하지 못하므로 방충망 사용시의 많은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일자형 미세기 창문의 내부에 롤 타입 방충망을 설치한다. 이 경우 사용시의 편리성이 대폭 향상됨은 물론 외관도 더욱 미려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필요시에만 방충망을 사용하고, 방충망이 불필요할 때에는 방충망을 한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편리하게 방충망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이전의 롤 타입 방충망은 방충망을 고정하는 수단이 복잡하여 제조 비용이 증가 되고 방충망 프레임에 결합하는 과정도 복잡하여 이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된다.
더불어 방충망 프레임의 충격으로 인해 발생 되는 소음을 감소시킴과 아울러 방충망 프레임을 사용 시 하단부의 간극을 메울 수 있는 개선책도 요구된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93156호(오성곤) 2016. 02. 02.
따라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간단한 구조로 마련되어 모기를 포함하는 벌레들의 침입을 방지함과 아울러 방풍 및 소음을 차단할 수 있는 미세 방충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측부에 롤러 하우징이 구비된 방충망 프레임; 상기 롤러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탄력을 갖는 권취 롤러; 상기 권취 롤러에 권취 되는 미세 방충망; 상기 미세 방충망의 하단부에 결합 되는 방충망 홀더; 상기 방충망 홀더가 결합 되며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방충망 프레임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 되는 홀더 지지프레임; 상기 방충망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홀더 지지프레임의 하단부를 상기 방충망 프레임에 근접된 위치에 스토핑(stopping) 시키는 스토퍼부; 상기 홀더 지지프레임의 상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홀더 지지프레임이 상기 방충망 프레임과 접촉되는 것을 막는 완충 부재; 및 상기 홀더 지지프레임의 저면부에 결합 되어 상기 홀더 지지프레임과 상기 방충망 프레임의 틈새를 막는 방풍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 지지프레임의 외벽에는 복수의 스토퍼 홈이 마련되고,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복수의 스토퍼 홈으로 탄력적으로 삽입되는 복수의 스토퍼 볼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스토퍼 볼이 상기 복수의 스토퍼 홈에 삽입되어 상기 홀더 지지프레임이 상기 방충망 프레임에 근접된 위치로 하강 되어 위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방충망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방충망 프레임의 하측부에 결합 되며 복수의 홀이 구비된 스토퍼 바디; 상기 복수의 홀로 일부분이 노출 되도록 상기 스토퍼 바디에 마련되는 상기 복수의 스토퍼 볼; 및 상기 스토퍼 바디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스토퍼 볼을 지지하는 복수의 스토퍼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 지지프레임의 외벽에는 상기 방충망 프레임의 내벽과 접하는 복수으 승강 가이더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홀더 지지프레임에는 손잡이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홀더 지지프레임의 상측부에는 완충부재 홀더가 마련되고,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완충부재 홀더에 끼워 맞춤 결합 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홀더 지지프레임의 외벽에는 복수의 스토퍼 홈을 마련하고, 스토퍼부는 복수의 스토퍼 홈으로 탄력적으로 삽입되는 복수의 스토퍼 볼을 구비하고, 복수의 스토퍼 볼이 복수의 스토퍼 홈에 삽입되어 홀더 지지프레임이 방충망 프레임에 근접된 위치로 하강 되어 위치 고정되므로 간단한 구조로 홀더 지지프레임을 방충망 프레임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홀더 지지프레임에 마련되는 완충 부재가 방충망 프레임에 접촉되어 소음 및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나아가 홀더 지지프레임에 마련되는 방풍 부재에 의해 홀더 지지프레임이 방충망 프레임에 체결된 상태에서 홀더 지지프레임과 방충망 프레임의 간극을 메울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방충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토퍼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스토퍼부의 작동도이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 방충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토퍼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스토퍼부의 작동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미세 방충망(1)은, 상측부에 롤러 하우징(11)이 구비된 방충망 프레임(10)과, 롤러 하우징(1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탄력을 갖는 권취 롤러(20)와, 권취 롤러(20)에 권취 되는 미세 방충망(30)과, 미세 방충망(30)의 하단부에 결합 되는 방충망 홀더(40)와, 방충망 홀더(40)가 결합 되며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방충망 프레임(10)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 되는 홀더 지지프레임(50)과, 방충망 프레임(10)에 결합 되어 홀더 지지프레임(50)의 하단부를 방충망 프레임(10)에 근접된 위치에 스토핑(stopping) 시키는 스토퍼부(60)와, 홀더 지지프레임(50)의 상단부에 마련되어 홀더 지지프레임(50)이 방충망 프레임(10)과 접촉되는 것을 막는 완충 부재(70)와, 홀더 지지프레임(50)의 저면부에 결합 되어 홀더 지지프레임(50)과 방충망 프레임(10)의 틈새를 막는 방풍 부재(80)를 구비한다.
방충망 프레임(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사각형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그 상측부에는 롤러 하우징(11)이 구비된다.
본 실시 예에서 방충망 프레임(10)을 구성하는 각각의 프레임은 서로 분리 가능하게 볼트나 나사 결합 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롤러 하우징(11)은 내부에 권취 롤러(20)를 수용하기 위해 방충망 프레임(10)의 좌우 및 하부 프레임보다 폭이 넓게 마련될 수 있다.
권취 롤러(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 하우징(1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미세 방충망(30)을 권취 하며, 하강 되어 스토퍼부(60)에 스토핑(stopping) 된 미세 방충망(30)의 걸림을 해제한 경우 미세 방충망(30)을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권취 롤러(20)는 공지된 롤 타입 미세 방충망(30)에 채용되는 롤러를 그대로 채용 예를 들어 토션 스프링을 이용하여 미세 방충망(30)을 감거나 풀어주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미세 방충망(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부는 권취 롤러(20)에 결합 되고 타측부는 방충망 홀더(40)에 결합 되어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승강 되는 홀더 지지프레임(50)과 같이 승강 된다.
본 실시 예에서 미세 방충망(30)은 모기를 포함하는 벌레는 물론 미세 먼지의 유입을 막을 수 있는 재질 예를 들어 0.15~0.2mm의 고강도 PET 광택 모노필라멘트사를 사용해서 제작될 수 있다.
방충망 홀더(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 방충망(30)의 하단부에 결합 되어 미세 방충망(30)이 직접 홀더 지지프레임(50)에 결합 되는 것을 막아 미세 방충망(30)의 찢어짐 등의 파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방충망 홀더(40)는 상측부에 미세 방충망(30)이 삽입되는 개구가 마련되고, 이 개구에 미세 방충망(30)의 하단부를 삽입한 후 고정 블록(미도시)을 끼우는 방식으로 미세 방충망(30)을 고정할 수 있다.
홀더 지지프레임(5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충망 홀더(40)를 지지하며,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방충망 프레임(10)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 된다.
본 실시 예에서 홀더 지지프레임(5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가 다른 부분보다 폭이 좁은 사각형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그 상단부에는 방충망 홀더(40)가 삽입되도록 개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방충망 홀더(40)의 하단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 형태로 확장되므로 홀더 지지프레임(50)의 상단부로 삽입된 후 볼 형태가 걸림 지지 되어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홀더 지지프레임(50)의 하측부 외벽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스토퍼 홈(51)이 마련되고, 이 복수의 스토퍼 홈(51)에는 복수의 스토퍼 볼(62)이 삽입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강 되어 고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홀더 지지프레임(50)의 상측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승강 가이더(52)가 마련된다. 이 복수의 승강 가이더(52)는 방충망 프레임(10)의 내벽에 접촉되어 홀더 지지프레임(50)의 승강 시 홀더 지지프레임(50)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홀더 지지프레임(50)의 승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승강 가이더(52)의 하측부 영역의 홀더 지지프레임(50)에는 손잡이(53)가 마련되고, 승강 가이더(52)의 상측부 영역의 홀더 지지프레임(50)에는 완충부재 홀더(54)가 마련된다.
본 실시 예에서 완충부재 홀더(54)는,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ㄴ"자 형상으로 마련되고, 완충부재 홀더(54)에는 완충 부재(70)가 끼워 맞춤 결합 될 수 있다.
스토퍼부(6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충망 프레임(10)의 하측부 내벽에 결합 되어 하강 된 홀더 지지프레임(5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스토퍼부(6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직사각형 형태로 마련되는 스토퍼 바디(61)와, 스토퍼 바디(61)에 마련된 복수의 홀로 돌출 가능하도록 스토퍼 바디(61)에 마련되는 복수의 스토퍼 볼(62)과, 스토퍼 바디(61)의 내부에 마련되어 복수의 스토퍼 볼(62)을 탄성 지지하는 복수의 스토퍼 스프링(63)을 포함한다.
스토퍼부(60)의 스토퍼 바디(6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충망 프레임(10)의 내벽에 결합 되며, 그 결합은 접착제나 나사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스토퍼부(60)의 복수의 스토퍼 볼(6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 지지프레임(50)이 고정되기 전에는 일정 영역이 스토퍼 바디(61)의 외부로 돌출된다. 이 상태에서 홀더 지지프레임(50)이 삽입되면 복수의 스토퍼 볼(62)은 홀더 지지프레임(50)의 외벽에 접촉되어 방충망 프레임(10)의 내벽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복수의 스토퍼 볼(62)의 이동은 스토퍼 스프링(63)의 수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계속해서 홀더 지지프레임(50)이 삽입되어 가장 높은 위치의 스토퍼 볼(62)이 스토퍼 홈(51)에 삽입되면 홀더 지지프레임(50)의 하강은 종료되고 홀더 지지프레임(50)은 스토핑 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완충 부재(7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부재 홀더(54)에 끼워 맞춤 결합 되며, 홀더 지지프레임(50)의 상승 시 방충망 프레임(10)의 내부 천장벽에 충돌되어 홀더 지지프레임(50)이 그 내부 천장벽에 충돌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완충 부재(70)는 고무 재질로 제작될 수 있고,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방풍 부재(8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 지지프레임(50)의 하단부에 마련되어 홀더 지지프레임(50)의 하단부와 방충망 프레임(10)의 틈새를 메우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방풍 부재(80)는 내부가 빈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고무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홀더 지지프레임의 외벽에는 복수의 스토퍼 홈을 마련하고, 스토퍼부는 복수의 스토퍼 홈으로 탄력적으로 삽입되는 복수의 스토퍼 볼을 구비하고, 복수의 스토퍼 볼이 복수의 스토퍼 홈에 삽입되어 홀더 지지프레임이 방충망 프레임에 근접된 위치로 하강 되어 위치 고정되므로 간단한 구조로 홀더 지지프레임을 방충망 프레임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홀더 지지프레임에 마련되는 완충 부재가 방충망 프레임에 접촉되어 소음 및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나아가 홀더 지지프레임에 마련되는 방풍 부재에 의해 홀더 지지프레임이 방충망 프레임에 체결된 상태에서 홀더 지지프레임과 방충망 프레임의 간극을 메울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미세 방충망
10 : 방충망 프레임 11 : 롤러 하우징
20 : 권취 롤러 30 : 미세 방충망
40 : 방충망 홀더 50 : 홀더 지지프레임
51 : 스토퍼 홈 52 : 승강 가이더
53 : 손잡이 54 : 완충부재 홀더
60 : 스토퍼부 61 : 스토퍼 바디
62 : 스토퍼 볼 63 : 스토퍼 스프링
70 : 완충 부재 80 : 방풍 부재

Claims (1)

  1. 상측부에 롤러 하우징이 구비된 방충망 프레임;
    상기 롤러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탄력을 갖는 권취 롤러;
    상기 권취 롤러에 권취 되는 미세 방충망;
    상기 미세 방충망의 하단부에 결합 되는 방충망 홀더;
    상기 방충망 홀더가 결합 되며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방충망 프레임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 되는 홀더 지지프레임;
    상기 방충망 프레임의 내벽 양측면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홀더 지지프레임의 하단부를 상기 방충망 프레임에 근접된 위치에 스토핑(stopping) 시키는 스토퍼부;
    상기 홀더 지지프레임의 상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홀더 지지프레임이 상기 방충망 프레임과 접촉되는 것을 막는 완충 부재; 및
    상기 홀더 지지프레임의 저면부에 결합 되어 상기 홀더 지지프레임과 상기 방충망 프레임의 틈새를 막는 방풍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미세 방충망은 0.15~0.2㎜의 고강도 PET 광택 모노필라멘트사로 형성되며,
    상기 홀더 지지프레임의 외벽에는 상기 방충망 프레임의 내벽과 접하는 복수의 승강 가이더가 마련되고,
    상기 홀더 지지프레임의 외벽의 전후 양측면 하부에는 복수의 스토퍼 홈이 마련되며,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방충망 프레임의 내벽 하측부에 결합 되며 복수의 홀이 구비된 스토퍼 바디와, 상기 복수의 홀로 일부분이 노출 되도록 상기 스토퍼 바디에 마련되는 복수의 스토퍼 볼과, 상기 스토퍼 바디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스토퍼 볼을 탄성 지지하는 복수의 스토퍼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스토퍼 볼이 상기 복수의 스토퍼 홈에 삽입되어 상기 홀더 지지프레임이 상기 방충망 프레임에 근접된 위치로 하강 되어 위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방충망.
KR2020160006352U 2016-10-31 2016-10-31 미세 방충망 KR2017000349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352U KR20170003498U (ko) 2016-10-31 2016-10-31 미세 방충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352U KR20170003498U (ko) 2016-10-31 2016-10-31 미세 방충망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614 Division 2016-03-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498U true KR20170003498U (ko) 2017-10-12

Family

ID=60407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352U KR20170003498U (ko) 2016-10-31 2016-10-31 미세 방충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349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2702A (ko) 2017-11-14 2017-12-04 주식회사 제일캐노피 방충망과 미세망 겸용 방충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156B1 (ko) 2015-06-22 2016-02-15 오성곤 미세방충망 고정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156B1 (ko) 2015-06-22 2016-02-15 오성곤 미세방충망 고정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2702A (ko) 2017-11-14 2017-12-04 주식회사 제일캐노피 방충망과 미세망 겸용 방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6852B1 (ko) 방충망 기능이 구비된 방범창호
KR101871766B1 (ko) 방진 기능이 구비된 롤 타입 방충망
KR101441504B1 (ko) 분리 착탈 가능한 세그먼트 구조의 레일 프레임을 포함한 슬라이딩 방충창 설치 구조
US20150041073A1 (en) Control unit for window curtain assembly
KR101866294B1 (ko) 방충망과 미세망 겸용 방충장치
KR20130059586A (ko) 방충망이탈방지스토퍼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딩창호
KR200469501Y1 (ko) 패브릭 텐션 시스템의 차양막 처짐 방지 장치
KR20170003498U (ko) 미세 방충망
KR200447294Y1 (ko) 롤타입 환경 방충망
KR200474437Y1 (ko) 소음방지 롤 방충망
KR200466679Y1 (ko) 롤 방충망
KR101656272B1 (ko) 탈부착형 방충망
KR20140137137A (ko) 자동개폐식 방충망이 구비된 창문구조
KR200383838Y1 (ko) 외풍 차단 블라인드 구조
KR20210076568A (ko) 방진망과 방충망을 갖는 롤 몸체 이동으로 차단을 다양하게 선택하는 창호
KR101132145B1 (ko) 롤 방충망의 개폐수단을 갖는 창호
KR101328268B1 (ko) 권취식 방충망
KR101323676B1 (ko) 완충기능을 구비한 롤스크린용 하단바와 하단바 캡 및 이를 이용한 롤스크린
JP2011026797A (ja) 補助建具付き建具
KR102249877B1 (ko) 롤 스크린 방충망 장치
KR101618580B1 (ko) 안전창호
JP2007255143A (ja) 窓シャッターにおける操作紐の吊玉の固定装置
KR20180001066U (ko) 롤스크린을 구비한 방충문
KR101804435B1 (ko) 시야 확보 영역을 극대화한 캐터필러형 방충망
KR100773432B1 (ko) 출입문용 롤권취식 방충망의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