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5169A - 원활한 개폐작동 및 이탈방지를 위한 행거식 개폐문의 상부구조 - Google Patents

원활한 개폐작동 및 이탈방지를 위한 행거식 개폐문의 상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5169A
KR20220145169A KR1020210051906A KR20210051906A KR20220145169A KR 20220145169 A KR20220145169 A KR 20220145169A KR 1020210051906 A KR1020210051906 A KR 1020210051906A KR 20210051906 A KR20210051906 A KR 20210051906A KR 20220145169 A KR20220145169 A KR 202201451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door
roller
closing door
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1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철
Original Assignee
김민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철 filed Critical 김민철
Priority to KR1020210051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45169A/ko
Publication of KR20220145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51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05D15/063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on wheels with fixed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17/002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wings which lie one behind the other when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2017/005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05Y2201/434Electromotors;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행거식으로 설치된 개폐문의 상부에 수평롤러와 이탈방지벽을 별도로 설치하여 개폐문에 강한 풍압이나 외력 또는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개폐문 구동부에 구비되어 있는 롤러가 레일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개폐문의 개폐작동이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원활한 개폐작동 및 이탈방지를 위한 행거식 개폐문의 상부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원활한 개폐작동 및 이탈방지를 위한 행거식 개폐문의 상부구조{The upper structure of the hanger-type door for smooth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and prevention of deviation}
본 발명은 행거식 개폐문의 상부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행거식으로 상부가 매달려서 설치된 개폐문에 강한 풍압이나 외력 또는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개폐문 상부에 설치된 개폐구동수단에 구비되어 있는 롤러가 레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원활한 개폐작동 및 이탈방지를 위한 행거식 개폐문의 상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문은 모터의 구동에 의해서 개폐문의 개폐작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문으로, 일반적으로 출입자가 개폐문에 일정 거리 내로 접근했는지를 감지하거나, 등록된 출입카드 정보 또는 생체정보 등 등록된 정보가 입력되거나, 개방스위치가 눌러지는 경우에 자동으로 개폐문이 열리고, 문이 개방된 후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문이 닫히는 방식으로 작동하는 문을 말한다. 이와 같은 자동문은 각종 사무용 건물이나 쇼핑용 건물의 입구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고, 최근에는 공공시설물의 입구에 설치되는 경우도 증가하고 있다.
지금까지 자동문과 관련하여 특허등록 제1798987호, 특허등록 제1884785호, 특허등록 제1907346호 등 많은 기술이 출현했는데, 자동문의 공통적인 구조는 자동문이 설치되는 문틀의 상부 쪽에 설치되어 있는 개폐구동수단에 개폐문의 상부가 행거식으로 매달려서 롤러가 레일 상을 슬라이딩 함에 따라 자동문의 개폐동작이 이뤄지도록 구성되어 있고, 출입자가 개폐문을 수동으로 여닫지 않고 동력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이와 같은 기술들은 정상적인 상태에서 롤러가 레일 상을 슬라이딩하여 자동문의 개폐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기술이기 때문에 강풍이 불어서 풍압에 의해 개폐문의 문짝이 급격히 실내측으로 밀린다거나 문짝에 강한 외력이나 충격이 작용하여 롤러가 레일을 이탈했을 경우에는 아무런 대책이 없다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한편, 특허등록 제1094066호 및 제1233285호 "자동문 및 반자동문용 창호장치"와 같은 기술이 출현했는데, 상기 특허는 슬라이딩 작동하는 개폐문의 하부에 가이드 커버를 결합하고, 가이드 커버를 바닥매립체의 내부까지 삽입함으로써 개폐문의 하단부와 바닥면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가이드 커버가 막아 주기 때문에 틈새를 통해 유입되는 바람과 이물질은 차단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특허들도 강한 바람이 불어서 슬라이딩하는 개폐문이 강한 풍압으로 인하여 실내측으로 밀린다거나 문짝에 강한 외력이나 충격이 작용하여 롤러가 레일을 이탈했을 경우 개폐문이 개폐작동을 할 수 없거나 개폐작동을 어렵게 한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해안가와 같이 강풍이 몰아쳐서 풍압이 센 경우에는 행거식으로 매달려서 설치된 개폐문이 실내측으로 밀리면서 개폐문 상단부에 설치된 개폐구동수단에 구비되어 있는 롤러가 레일로부터 이탈하면서 개폐문의 작동 자체가 불가능하게 되는 심각한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는 행거식으로 설치된 자동문, 반자동문 및 수동식 개폐문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행거식으로 설치된 개폐문의 상부에 수평롤러와 이탈방지벽을 별도로 설치하여 개폐문에 강한 풍압이나 외력 또는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개폐문 구동부에 구비되어 있는 롤러가 레일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개폐문의 개폐작동이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원활한 개폐작동 및 이탈방지를 위한 행거식 개폐문의 상부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활한 개폐작동 및 이탈방지를 위한 행거식 개폐문의 상부구조는, 실내측 방향이 개방된 박스본체와, 상부가 박스본체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박스본체의 개방된 면을 폐쇄하게 되는 박스커버를 구비한 구동부박스; 상기 구동부박스 내부에 설치되어, 롤러가 슬라이딩하면서 개폐문을 개폐시키게 되는 구동부; 상기 박스본체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는 수직부와, 수직부의 하단부(下端部)에서 실내측 방향으로 절곡된 수평부와, 수평부의 선단(先端)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레일을 구비하여 구성된 구동부설치브라켓; 상기 구동부설치브라켓에 구비된 수평부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된 제1이탈방지벽; 상기 롤러를 고정시키고 있는 브라켓과 연결된 제3브라켓에 의해 고정 설치되고, 구동부설치브라켓의 수직부와 제1이탈방지벽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수평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롤러가 구동부설치브라켓에 구비된 레일 상을 이동하면서 개폐문을 개폐하게 되고, 개폐문에 강한 풍압이나 외력 또는 충격이 가해졌을 때 상기 수평롤러의 외주면이 구동부설치브라켓의 수직부 또는 제1이탈방지벽에 접하게 되면서 롤러가 레일 상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해 주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구동부에 모터가 설치되고, 모터의 작동에 의해 롤러가 구동하여 개폐문을 자동으로 개폐시키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구동부설치브라켓의 수직부와 제1이탈방지벽 사이에는 제2이탈방지벽이 더 설치되고, 수평롤러는 제1이탈방지벽과 제2이탈방지벽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수평롤러는 구동부설치브라켓의 수평부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한 쌍이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행거식 개폐문의 상부구조는, 개폐문의 상부에 설치되어 개폐문의 원활한 작동을 위해 레일과 롤러가 구비된 구동부의 측면에 제1이탈방지벽을 설치하고, 구동부설치브라켓의 수직부와 제1이탈방지벽 사이에서 회전하는 수평롤러를 추가적으로 설치한 구조이기 때문에 개폐문에 강한 풍압이나 외력 또는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수평롤러가 구동부설치브라켓의 수직부 또는 제1이탈방지벽에 접촉하면서 더이상 밀리지 않고 지지해 주게 되므로 개폐문이 측면으로 밀리지 않게 되어 롤러가 레일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개폐문의 개폐작동이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행거식으로 설치된 자동문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자동문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A부분(구동부박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행거식 개폐문의 상부구조의 기술적 특징은, 개폐문의 상부에 이탈방지벽과 수평롤러를 추가로 설치하여 개폐문에 강한 풍압이나 외력 또는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개폐문이 일측으로 밀리지 않고 개폐문의 개폐작동이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했다는 점이다.
행거식으로 상부가 매달려서 설치된 자동문은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개폐문을 열지 않고 구동부박스 내에 설치된 모터의 구동에 의해 롤러를 레일 상에서 회전시켜서 개폐문을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구조이고, 행거식으로 설치된 반자동문은 롤러가 레일 상에서 회전하는 것은 동일하지만 모터의 구동에 의해 개폐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직접 개폐문을 수동으로 열고 들어가면 열렸던 문이 댐퍼 또는 스프링 등에 의해 자동으로 닫히는 문이며, 행거식으로 설치된 수동문은 롤러가 레일 상에서 회전하는 것은 동일하지만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열고 닫아 주어야 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행거식으로 설치된 개폐문은 자동문, 반자동문 또는 수동문에 관계없이 모두 개폐문 상부에 설치된 롤러가 레일 상을 회전하면서 열리고 닫히는 구성은 동일하므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자동문을 예로 들어 도시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 따른 행거식 개폐문의 상부구조의 특징적 구성은 자동문, 반자동문 및 수동문 모두에 동일하게 적용된다는 점을 미리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문에서 고정문(10)은 설치될 수도 있고, 고정문을 설치하지 않고 벽체에 포켓을 설치하여 개폐문(20)이 포켓 내부로 출몰하면서 작동할 수도 있어서, 자동문을 설치하는 현장 실정에 맞게 시공하면 된다. 개폐문(20)은 그 상부가 개폐문의 상부에 설치된 구동부박스(30) 내에 행거식으로 매달려서 모터(35)의 구동에 의해 개폐문이 자동으로 개폐작동을 하게 되며, 이와 같은 구조는 자동문의 일반적인 구조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문 상부구조는, 개폐문(20)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성이 내부에 설치되게 되는 구동부박스(30)와, 구동부박스 내부에 설치되어 롤러를 구동시켜 개폐문을 개폐시키는 구동부(33)와, 구동부설치브라켓(34)와, 레일 상에서 회전하는 롤러(333)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제1이탈방지벽(343) 및 수평롤러(36)를 구비하게 된다.
구동부박스(30)는 판상(板狀)의 금속재 부재가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실내측 방향으로 수직 절곡되어 형성된 박스본체(31)와, 판상의 금속재 부재 하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실외측 방향으로 수직 절곡되고 상부가 박스본체(31)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게 되는 박스커버(32)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박스커버(32)는 실내측에서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미설명부호 321은 접근하는 사람을 인식하여 개폐문을 자동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센서이다.
박스본체(31)는 금속재 판재로 일체로 형성해도 되고, 단열을 위해 금속재 부재를 실내측 방향으로 절곡시킨 상면을 분할하여 중간에 단열재를 넣고 이들을 일체로 제작할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은 구조는 보편적으로 실시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문에서 박스본체(31)의 형상이나 구조가 본 발명의 특징적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구동부(33)는 구동부박스(30) 내부에 설치되어, 모터(35)의 구동에 의해 롤러(333)를 구동시켜 개폐문을 개폐시키는 구성이다. 개폐문(20)의 상부에 상단이 'ㄱ'자 형상으로 절곡된 제1브라켓(331)이 고정 설치되고, 제1브라켓(331)의 실외측 측면에는 상단이 'ㄱ'자 형상으로 절곡된 제2브라켓(332)이 제1브라켓(331)에 고정되어 설치되며, 제2브라켓(332)의 실외측에는 롤러(333)가 설치되어, 롤러(333)가 구동부설치브라켓(34)에 구비된 레일(344) 상을 슬라이딩 하면서 개폐문이 개폐되게 된다(도 3 참조). 구동부(33)는 개폐문의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1 및 제2브라켓(331, 332)은 하나의 브라켓으로 설치해도 상관없다.
구동부설치브라켓(34)에는 모터(35)가 장착되게 되고 구동부(33)의 롤러(333)가 회전하면서 이동할 수 있는 레일(344)을 제공하게 되는데, 박스본체(31)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는 수직부(341)와, 수직부(341)의 하단부(下端部)에서 실내측 방향으로 절곡된 수평부(342)와, 수평부(342)의 선단(先端)(롤러가 위치하게 되는 쪽을 말함)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레일(344)을 구비하여 구성된다(도 3 참조).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이 제1이탈방지벽(343)과 수평롤러(36)인데, 제1이탈방지벽(343)은 구동부설치브라켓(34)에 구비된 표면이 평평한 수평부(342)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된 구성이다.
수평롤러(36)는 구동부설치브라켓의 수직부(342)와 제1이탈방지벽(343)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데, 수평롤러(36)는 롤러(333)를 고정시키고 있는 브라켓(제1 및 제2브라켓으로 분리되어 설치된 경우에는 제1 또는 제2브라켓 어디에 고정 설치해도 상관없다)에 고정되어 설치된 제3브라켓(361)에 연결되어 설치된다. 수평롤러(36)는 구동부설치브라켓의 수평부(341)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한 쌍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롤러(333)와 수평롤러(36)는 휠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롤러(333)는 수직으로 설치되어 레일(344) 상에서 슬라이딩하게 되는 반면, 수평롤러(36)는 수평상태로 설치되어 구동부설치브라켓의 수직부(341)와 제1이탈방지벽(343) 사이에서 휠 형상이 수평상태로 위치하면서 움직이게 된다(도 3 참조). 개폐문(20)에 강한 풍압이나 외력 또는 충격이 가해졌을 때 수평롤러(36)의 외주면이 구동부설치브라켓의 수직부(341) 또는 제1이탈방지벽(343)에 접하게 되면서 개폐문이 일측으로 밀리지 않도록 지지해 주게 되므로 롤러(333)가 레일(344) 상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해 주면서 어떤 상황에서도 개폐문이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게 된다.
구동부설치브라켓의 수직부(341)와 제1이탈방지벽(343) 사이에는 제2이탈방지벽(미도시)을 더 설치하여, 수평롤러(36)를 제1이탈방지벽(343)과 제2이탈방지벽 사이에 위치하게 할 수도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행거식으로 매달려서 설치된 반자동문과 수동문은 앞에서 설명한 행거식으로 매달려서 설치된 자동문에서 모터와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타이밍벨트와 같은 구성만 설치되어 있지 않고 레일과 롤러를 포함한 나머지 구성은 동일한 구조이다. 따라서 반자동문과 수동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고정문
20 : 개폐문
30 : 구동부박스 31 : 박스본체
32 : 박스커버 321 : 센서
33 : 구동부 331 : 제1브라켓
332 : 제2브라켓 333 : 롤러
34 : 구동부설치브라켓 341 : 수직부
342 : 수평부 343 : 제1이탈방지벽
344 : 레일 35 : 모터
36 : 수평롤러 361 : 제3브라켓

Claims (4)

  1. 행거식으로 매달려서 설치된 개폐문의 상부에 설치되어 개폐문을 개폐하기 위한 행거식 개폐문의 상부구조에 있어서,
    상기 행거식 개폐문의 상부구조는,
    실내측 방향이 개방된 박스본체와, 상부가 박스본체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박스본체의 개방된 면을 폐쇄하게 되는 박스커버를 구비한 구동부박스;
    상기 구동부박스 내부에 설치되어, 롤러가 슬라이딩하면서 개폐문을 개폐시키게 되는 구동부;
    상기 박스본체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는 수직부와, 수직부의 하단부(下端部)에서 실내측 방향으로 절곡된 수평부와, 수평부의 선단(先端)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레일을 구비하여 구성된 구동부설치브라켓;
    상기 구동부설치브라켓에 구비된 수평부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된 제1이탈방지벽;
    상기 롤러를 고정시키고 있는 브라켓과 연결된 제3브라켓에 의해 고정 설치되고, 구동부설치브라켓의 수직부와 제1이탈방지벽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수평롤러;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롤러가 구동부설치브라켓에 구비된 레일 상을 이동하면서 개폐문을 개폐하게 되고, 개폐문에 강한 풍압이나 외력 또는 충격이 가해졌을 때 상기 수평롤러의 외주면이 구동부설치브라켓의 수직부 또는 제1이탈방지벽에 접하게 되면서 롤러가 레일 상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해 주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활한 개폐작동 및 이탈방지를 위한 행거식 개폐문의 상부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에 모터가 더 설치되고, 모터의 작동에 의해 롤러가 구동하여 개폐문을 자동으로 개폐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활한 개폐작동 및 이탈방지를 위한 행거식 개폐문의 상부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문의 상부에 설치된 구동부설치브라켓의 수직부와 제1이탈방지벽 사이에는 제2이탈방지벽이 더 설치되고, 수평롤러가 제1이탈방지벽과 제2이탈방지벽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활한 개폐작동 및 이탈방지를 위한 행거식 개폐문의 상부구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롤러는 구동부설치브라켓의 수평부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한 쌍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활한 개폐작동 및 이탈방지를 위한 행거식 개폐문의 상부구조.
KR1020210051906A 2021-04-21 2021-04-21 원활한 개폐작동 및 이탈방지를 위한 행거식 개폐문의 상부구조 KR202201451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906A KR20220145169A (ko) 2021-04-21 2021-04-21 원활한 개폐작동 및 이탈방지를 위한 행거식 개폐문의 상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906A KR20220145169A (ko) 2021-04-21 2021-04-21 원활한 개폐작동 및 이탈방지를 위한 행거식 개폐문의 상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5169A true KR20220145169A (ko) 2022-10-28

Family

ID=83835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1906A KR20220145169A (ko) 2021-04-21 2021-04-21 원활한 개폐작동 및 이탈방지를 위한 행거식 개폐문의 상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4516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0181B1 (ko) * 2023-06-14 2023-08-23 김병철 내구성이 향상된 슬라이딩 도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0181B1 (ko) * 2023-06-14 2023-08-23 김병철 내구성이 향상된 슬라이딩 도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38338B1 (en) Door apparatus for an automatic door or semi-automatic door
US8074699B2 (en) Zero step sill extruded flush threshold door seal system
US6973753B2 (en) Sliding door system
AU721399B2 (en) Fire protection door
US5050660A (en) Screen door for large door opening
KR20220145169A (ko) 원활한 개폐작동 및 이탈방지를 위한 행거식 개폐문의 상부구조
US20150218866A1 (en) Partition sweep assembly
EA037902B1 (ru) Направляющая для поднимаемой раздвижной створки
US4262176A (en) Roller shutter safety device
CN106401448B (zh) 电动卷闸门自动防撬锁
KR100985753B1 (ko) 방폭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창호
KR100828091B1 (ko) 슬라이딩 도어의 상부 지지체 결합구조
KR101031096B1 (ko) 자동문 및 자동문 제어방법
US3903647A (en) Automatic sliding door
KR102601812B1 (ko) 기밀성 향상 및 원활한 개폐작동을 위한 자동문 하부의 조립구조
KR102448167B1 (ko) 이탈방지 가이드롤러가 구비된 행거식 출입문
US5850672A (en) Apparatus or kit for closing sliding closure
CN219431733U (zh) 一种全开卷闸门的中柱结构
UA75878C2 (en) Sectional lifting or folding door
CN210659719U (zh) 一种大开度自动复位推拉平开门
KR20190062810A (ko) 슬라이딩 개폐방식의 창호가 설치된 문틀의 원활한 배수 및 외풍방지를 위한 가스켓 조립구조
JP7386068B2 (ja) センサの取付構造
KR102429357B1 (ko) 높낮이 조절 및 재질 변경이 가능한 자동문 하부 구조
KR102665913B1 (ko) 반자동 미닫이문
KR102551169B1 (ko) 차광막이 설치된 자동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