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040Y1 - 승강 장치의 낙하 방지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반도체 패키징용 필름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승강 장치의 낙하 방지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반도체 패키징용 필름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040Y1
KR200457040Y1 KR2020080017479U KR20080017479U KR200457040Y1 KR 200457040 Y1 KR200457040 Y1 KR 200457040Y1 KR 2020080017479 U KR2020080017479 U KR 2020080017479U KR 20080017479 U KR20080017479 U KR 20080017479U KR 200457040 Y1 KR200457040 Y1 KR 2004570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lock
belt
protruding
pow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74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7068U (ko
Inventor
김윤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800174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040Y1/ko
Priority to CN2009202788288U priority patent/CN201694754U/zh
Priority to TW098220892U priority patent/TWM382578U/zh
Publication of KR201000070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0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0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04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126Apparatus for sealing, encapsulating, glassing, decapsulating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13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and applying the article or the web by adhesive to a surf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132Apparatus for placing on an insulating substrate, e.g. t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6Mechanical details, e.g. roller, bel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21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substrates to be conveyed not being semiconductor wafers or large planar substrates, e.g. chips, lead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승강 장치의 낙하 방지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반도체 패키징용 필름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본체와, 일정한 장력을 가진 벨트에 의하여 본체에 대해 승,하강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승강 장치에 있어서, 이동부재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벨트가 일정 이하의 장력을 가질 경우 본체의 특정 위치에 고정되는 돌출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승강 장치의 낙하 방지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반도체 패키징용 필름 이송장치{drop preventing unit of elevating apparatus and film transfering apparatus for semiconductor packaging}
본 고안은 승강 장치의 낙하 방지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반도체 패키징용 필름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승강 장치의 승강 동작에서 벨트가 일정 이하의 장력을 가질 경우, 승강되는 이동부재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승강 장치의 낙하 방지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반도체 패키징용 필름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승강 장치는 특정 물체를 상하방향 또는 경사진 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이동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인 승강 장치에서 상하로 승강할 수 있는 구동 수단으로 벨트 및 와이어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벨트 또는 와이어는 장력이 강하거나 수명이 다하면 끊어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 경우, 승강 장치 내에서 이동되는 이동부재가 낙하되거나 관성에 의해 과도하게 이동되어 바닥에 부딪히거나 타부재와 강하게 충돌되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동부재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는 승강 장치의 낙하 방지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반도체 패키징용 필름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본체와, 일정한 장력을 가진 벨트에 의하여 본체에 대해 승,하강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승강 장치에 있어서, 이동부재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벨트가 일정 이하의 장력을 가질 경우 본체의 특정 위치에 고정되는 돌출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승강 장치의 낙하 방지 유닛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벨트가 일정 이하의 장력이 되거나 끊어지는 경우, 돌출 부재가 본체에 고정되어 돌출 부재와 결합된 이동부재의 낙하를 방지하여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승강 장치의 낙하 방지 유닛은 이동부재가 수직으로 승강되는 승강 장치뿐만 아니라, 경사지게 승강되는 승강 장치에도 적용되어 이동부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동부재가 수평으로 이동되는 이송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승강 장치의 낙하 방지 유닛은 반도체 패키징용 필름 이송장치에서 연성회로 필름이 지연 없이 공급될 수 있게 하는 스프로켓을 승강시키는 승강 장치에 적용됨으로써, 승강 장치에 구비된 벨트가 끊어져서 승강 장치 또는 스프로켓이 낙하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다른 승강 장치의 낙하 방지 유닛이 적용된 승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승강 장치에서 낙하 방지 유닛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의 낙하 방지 유닛(100)은 본체(20)와, 일정한 장력을 가진 벨트(40)에 의하여 상기 본체(20)에 대해 상승 및 하강되는 이동부재(30)를 포함하는 승강 장치(10)에서 상기 이동부재(30)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돌출 부재(110)를 포함한다.
돌출 부재(110)는 벨트(40)가 일정 이하의 장력을 가질 경우 본체(20)의 특정 위치에 고정된다. 또한, 벨트(40)가 끊어지는 경우, 돌출 부재(110)가 본체(20)의 특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돌출 부재(110)는 이동부재(30)에 결합되며, 본체(20)와 유격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돌출 부재(110)가 본체(20)의 특정 위치에 고정되면, 돌출 부재(110)와 결합된 이동부재(30)의 이동이 정지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부재(30)가 낙하되거나 관성에 의해 과도하게 이동되어 바닥에 부딪히거나 타부재와 강하게 충돌하여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전술한 낙하 방지 유닛(100)은 수직으로 승강되는 승강 장치(10)뿐만 아니라, 경사지게 승강되는 승강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동부재가 수평으로 이동되는 이송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는데, 상기 이송 장치에서 벨트가 끊어지는 경우, 관성의 법칙에 의해 계속적으로 이동되는 이동부재를 정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동부재가 타부재와 충돌되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벨트(40)가 일정 이하의 장력을 가질 경우, 돌출 부재(110)를 본체(20)의 특정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낙하 방지 유닛(100)의 일 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낙하 방지 유닛(100)은 탄성모듈(130)과, 유격해제모듈(140)을 구비할 수 있다.
탄성모듈(130)은 본체(20) 방향으로 돌출 부재(110)에 탄성력을 가한다. 탄성모듈(130)은 이동부재(30)에 결합된다. 탄성모듈(130)에는 돌출 부재(110)가 본체(20)와 가까워지는 방향 및 본체(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 탄성모듈(130)의 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유격해제모듈(140)은 벨트(40)가 일정 이하의 장력을 가지는 경우, 돌출 부재(110)와 상기 본체(20) 사이의 유격을 해제하여 돌출 부재(110)가 낙하방지홈(112)에 수용되어 돌출 부재(110)가 고정될 수 있게 한다.
낙하방지홈(112)은 본체(20)에 복수 개로 형성되고, 본체(20)의 이동부재(30)의 승하강 경로를 따라 적어도 일렬로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낙하방지 홈(112)들은 돌출 부재(110)의 이동 궤적을 따라 배열된다. 이는 돌출 부재(110)가 낙하되면서 낙하방지홈(112)들 중 어느 하나에 수용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낙하방지홈(112)들 사이의 간격이 너무 넓게 되면, 벨트(40)가 끊어져서 이동부재(30)가 낙하될 때 이동부재(30)에 가속도가 붙어 돌출 부재(110)가 낙하방지홈(112)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돌출 부재(110)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낙하방지홈(112)들 사이의 간격은 이동부재(30)가 과도하게 가속되지 않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돌출 부재(110)가 낙하방지홈(112)에 수용되어 고정되면, 돌출 부재(110)에 결합한 이동부재(30) 또한 고정될 수 있으므로, 이동부재(30)의 낙하가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유격해제모듈(140)은 고정부재(141)와, 블록(142, 도 3 참조)과, 동력전달부재(143)와, 스프링부재(145)를 구비할 수 있다.
고정부재(141)는 벨트(40)의 일측에 고정 결합된다. 고정부재(141)는 벨트(40)의 이동과 연계하여 이동된다. 그리고, 고정부재(141)는 벨트(40)로부터 연장형성되어 후술할 동력전달부재(143)와 연결된다. 고정부재(141)는 빔(beam), 와이어(wire), 파이프(pipe) 등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블록(142)은 동력전달부재(143)에 결합된다. 블록(142)은 본체(20)와 베이스부재(120) 사이에서 제1위치 및 제2위치 사이를 왕복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베이스부재(120)는 돌출 부재(110)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부재(120)는 돌출 부재(110)의 전면을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 재(120)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블록 수용홀(121)이 형성된다. 베이스부재(120)는 전술한 돌출 부재(110)와 볼트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베이스부재(120)는 돌출 부재(1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위치는 블록(142)이 베이스부재(120)의 블록 수용홀(121)에 수용되지 않고 베이스부재(120)의 후면을 지지하는 위치이다. 블록(142)이 제1위치에 위치된 경우, 베이스부재(120)가 블록(142)에 의해 지지되어 돌출 부재(110)가 본체(20)와 유격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위치는 블록(142)이 베이스부재(120)의 블록 수용홀(121)에 수용된 위치이다. 블록(142)이 제2위치에 위치된 경우, 베이스부재(120)와 돌출 부재(110)는 블록 수용홀(121)에 블록(142)이 수용되는 깊이만큼 본체(20)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돌출 부재(110)는 본체(2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블록 수용홀(121)이 깊이는 돌출 부재(110)가 낙하방지홈(112)에 고정될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동력전달부재(143)는 고정부재(141)와 블록(142)을 연결한다. 벨트(40)의 장력이 약해져서 느슨해지거나 끊어지는 경우, 고정부재(141)와 블록(142)은 동력전달부재(143)에 의해 서로 연계되어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동력전달부재(143)는 고정부재(141)에 고정된 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링부재(145)는 고정부재(141)와 동력전달부재(14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일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스프링부재(145)의 일 예로 인장 스프링일 수 있다. 인장 스프링은 인장되면 복원되려는 성질을 갖는 스프링이다. 인장 스프링은 인장된 상태에서 일단이 고정부재(141)와 동력전달부재(143)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고, 타단이 이동부재(3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유격해제모듈(140)에 의해 돌출 부재(110)와 본체(20) 사이의 유격이 해제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상, 고정부재(141)는 벨트(40)의 우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스프링부재(145)는 고정부재(141)와 동력전달부재(143)를 우측으로 탄성지지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블록(142)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우선, 벨트(40)가 일정 이하의 장력이 되거나 노후되어 끊어지는 경우, 스프링부재(145)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부재(141)는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동력전달부재(143)도 고정부재(141)와 함께 우측으로 연계되어 이동되고, 블록(142)은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블록(142)은 블록 수용홀(121)에 수용되고, 베이스부재(120)와 돌출 부재(110)는 본체(20)를 향해 이동된다. 그 결과, 돌출 부재(110)가 낙하방지홈(112)에 삽입되어 이동부재(30)가 본체(20)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격해제모듈(140)은 회전축(146)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회전축(146)은 동력전달부재(143)의 중앙부를 이동부재(3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회전축(146)은 동력전달부재(143)가 이동부재(3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 경우, 고정부재(141)는 동력전달부재(143)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블록(142)은 동력전달부재(143)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고정부재(141)의 운동이 블록(142)으로 원활하게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상술하면, 고정부재(141)와 동력전달부재(143)가 스프링부재(145)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되는 경우, 동력전달부재(143)가 일방향, 도 2에서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동력전달부재(143)의 회전에 의해 블록(142)이 고정부재(141)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146)은 동력전달부재(143)의 중심에서 상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회전축(146)은 동력전달부재(143)의 상측과 하측을 1:2로 나눈다면, 나눠지는 경계 지점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축(146)을 중심으로 동력전달부재(143)의 상단이 회전되면, 동력전달부재(143)의 하단이 상단보다 상대적으로 더 회전됨으로써, 블록(142)의 이동 거리가 고정부재(141)의 이동 거리보다 길게 되어 블록(142)이 더욱 신속하게 블록 수용홀(121)에 수용될 수 있다.
전술한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141)는 동력전달부재(143)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블록(142)은 동력전달부재(143)에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블록(142)의 슬라이드 이동을 위해, 동력전달부재(143)의 하측에는 슬라이드홈(144)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력전달부재(143)가 스프링부재(145)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되는 과정에서 블록(142)과 동력전달부재(143)가 파손되지 않고 원활하게 상대 이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 치의 낙하 방지 유닛(100)이 동작되는 과정을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3 및 도 4는 승강 장치(10)의 벨트(40)가 끊어지지 않고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 및 도 6은 승강 장치(10)의 벨트(40)가 끊어져서 낙하 방지 유닛(100)이 동작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벨트(40)가 일정 이상의 장력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이동부재(30)는 모터(50, 도 1 참조)에 의해 벨트(40)가 구동되는 과정에서 승강된다. 이 경우, 블록(142)은 블록 수용홀(121)에 수용되지 않고 베이스부재(120)의 후면을 지지하여 돌출 부재(110)가 본체(20)와 유격을 갖도록 배치되게 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벨트(40)가 일정 이하의 장력이 되거나 끊어지는 경우, 벨트(40)가 느슨하게 된다. 고정부재(141)는 스프링부재(145)의 탄성력에 의해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동력전달부재(143)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동력전달부재(143)는 회전축(146)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블록(142)은 우측의 제1위치에서 좌측의 제2위치로 이동된다. 이동된 블록(142)은 블록 수용홀(121)에 수용되고, 베이스부재(120)와 돌출 부재(110)는 본체(20)를 향하여 이동된다. 최종적으로, 돌출 부재(110)는 낙하방지홈(112)에 고정됨으로써, 돌출 부재(110)에 결합한 이동부재(30)가 본체(20)의 최하단까지 낙하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동부재(30)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탄성모듈(130)은 일 예로, 하우징(131)과, 탄성부재(133)를 구비할 수 있다. 하우징(131)은 이동부재(30)에 고정 결합되고, 돌출 부재(110)가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131)에서 본체(20)와 인접한 후면은 돌출 부재(110)가 돌출되어 낙하방지홈(112)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탄성부재(133)는 하우징(131)의 내부에 배치되고, 지지턱(111)을 본체(20)를 향하여 탄성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지지턱(111)은 돌출 부재(11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것이다. 탄성부재(133)는 일 예로 인장 스프링일 수 있다. 이 경우, 인장 스프링은 돌출 부재(110)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일측은 하우징(131)의 내벽과 접촉되며, 타측은 지지턱(111)과 접촉된다. 즉, 인장 스프링은 본체(20) 방향으로 돌출 부재(110)에 탄성력을 가한다.
한편, 하우징(131)은 걸림턱(132)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걸림턱(132)은 하우징(131)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된 것이다. 걸림턱(132)은 지지턱(111)과 접촉되어 돌출 부재(110)가 하우징(131)으로부터 설정 거리 이상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의 낙하 방지 유닛(100)은 반도체 패키징용 필름 이송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8은 승강 장치의 낙하 방지 유닛이 적용된 반도체 패키징용 필름 이송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반도체 패키징 공정은 웨이퍼 상의 칩을 연성회로 필름에 실장하는 본딩(Bonding)공정 및 포팅(Potting)공정을 포함한다. 본딩공정은 칩을 필름 상에 본딩하는 본딩장치(2000)에 의해 수행되며, 포팅공정은 본딩장치(2000)로부터 본딩된 칩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에폭시 수지 등으로 밀봉하는 포팅장치(3000)에 의해 수행된다.
한편, 일반적인 반도체 패키징 공정에서 본딩장치(2000) 및 포팅장치(3000)는 각각 별도도 배치된다. 따라서, 본딩장치(2000)에 구비된 본체에서 리드본딩이 완료된 연성회로 필름은 본딩장치 언로딩부의 배출릴에 권취된 후, 사용자에 의해 본딩장치 언로딩부로부터 분리되며 포팅장치(3000)의 로딩부에 장착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로딩 및 언로딩을 공정마다 반복적으로 수행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결국, 반복적인 로딩 및 언로딩 작업은 공정시간을 증가시키고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본딩장치(2000)와 포팅장치(3000) 사이에 반도체 패키징용 필름 이송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반도체 패키징용 필름 이송장치의 일예로 인라인 버퍼(1000)가 설명될 수 있다. 인라인 버퍼(1000)는 본딩장치(2000)와 포팅장치(3000)를 같은 작업 라인 안에 연결하는 동시에, 연성회로 필름(500)을 연속적으로 이송시켜 본딩장치(2000)와 포팅장치(3000)가 동시에 작동되도록 한다. 이러한 인라인 버퍼(1000)의 일 예로 프레임(1100)과, 스프로켓(1200)과, 미도시된 승강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프레임(1100)에는 가이드홀(1300)이 형성된다. 가이드홀(1300)은 스프로켓(1200)의 승강을 안내하도록 수직으로 길게 형성된다. 스프로켓(1200)은 프레임(1100)의 가이드홀(1300)에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으로, 가이드홀(1300)을 따라 수직으로 승강된다. 스프로켓(1200)은 전술한 승강 장치의 모터와 벨트에 의해 승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인라인 버퍼(1000)는 본딩장치(2000)와 포팅장 치(3000)의 서로 다른 피딩(feeding) 속도를 제어하여 본딩장치(2000)로부터 배출된 연성회로 필름(500)을 지연시키지 않고 포팅장치(3000)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인라인 버퍼(1000)에 구비된 승강 장치에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의 낙하 방지 유닛이 적용됨으로써, 승강 장치의 벨트의 장력이 일정 이하가 되거나 끊어지는 경우, 승강 장치 또는 스프로켓(120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다른 승강 장치의 낙하 방지 유닛이 적용된 승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승강 장치에서 낙하 방지 유닛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다른 승강 장치의 낙하 방지 유닛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승강 장치의 벨트가 끊어지지 않고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승강 장치의 벨트가 끊어져서 낙하 방지 유닛이 동작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다른 승강 장치의 낙하 방지 유닛의 탄성모듈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승강 장치의 낙하 방지 유닛이 적용된 반도체 패키징용 필름 이송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승강장치 20:본체
30:이동부재 40:벨트
50:모터 100:낙하 방지 유닛
110:돌출 부재 111:지지턱
112:낙하방지홈 120:베이스부재
121:블록 수용홀 130:탄성모듈
131:하우징 132:걸림턱
133:탄성부재 140:유격해제모듈
141:고정부재 142:블록
143:동력전달부재 144:슬라이드홈
145:스프링부재 146:회전축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상하로 배치된 낙하방지홈들이 형성된 본체와, 일정한 장력을 가진 벨트에 의하여 상기 본체에 대해 승,하강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승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상기 이동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와 유격을 갖도록 배치되며, 상기 벨트가 일정 이하의 장력을 가질 경우 상기 본체의 특정 위치에 고정되는 돌출 부재;
    상기 돌출 부재를 상기 본체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모듈; 및
    상기 벨트가 일정 이하의 장력을 가지는 경우, 상기 돌출 부재와 상기 본체 사이의 유격을 해제하여 상기 돌출 부재가 상기 낙하방지홈에 수용되게 하는 유격해제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장치의 낙하 방지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부재를 지지하는 것으로,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블록 수용홀이 형성된 베이스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유격해제모듈은:
    상기 벨트의 일측에 고정결합된 고정부재;
    상기 본체와 베이스부재 사이에서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를 이동되도록 배치된 것으로, 상기 제2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블록 수용홀에 수용되는 블록;
    일단은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블록에 결합된 동력전달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동력전달부재 중 어느 하나를 일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장치의 낙하 방지 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격해제모듈은,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중앙부를 상기 이동부재에 고정하는 회전축을 더 구비하고,
    상기 블록은 상기 동력전달부재에 슬라이딩되면서 회전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장치의 낙하 방지 유닛.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방지홈은 상기 본체의 상기 이동부재의 승하강 경로에 맞추어 복수개로 나란히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장치의 낙하 방지 유닛.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부재의 둘레를 따라 지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모듈은:
    상기 이동부재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돌출 부재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턱을 후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장치의 낙하 방지 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지지턱과 접촉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된 걸림턱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장치의 낙하 방지 유닛.
  9.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승강 장치의 낙하 방지 유닛을 구비하는 반도체 패키징용 필름 이송장치.
KR2020080017479U 2008-12-31 2008-12-31 승강 장치의 낙하 방지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반도체 패키징용 필름 이송장치 KR2004570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7479U KR200457040Y1 (ko) 2008-12-31 2008-12-31 승강 장치의 낙하 방지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반도체 패키징용 필름 이송장치
CN2009202788288U CN201694754U (zh) 2008-12-31 2009-11-11 升降设备的防降落装置和包括防降落装置的膜传送设备
TW098220892U TWM382578U (en) 2008-12-31 2009-11-11 Drop prevention unit for elevating apparatus, and film transfer apparatus for semiconductor packaging including the drop prevention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7479U KR200457040Y1 (ko) 2008-12-31 2008-12-31 승강 장치의 낙하 방지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반도체 패키징용 필름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068U KR20100007068U (ko) 2010-07-08
KR200457040Y1 true KR200457040Y1 (ko) 2011-12-05

Family

ID=43395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7479U KR200457040Y1 (ko) 2008-12-31 2008-12-31 승강 장치의 낙하 방지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반도체 패키징용 필름 이송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457040Y1 (ko)
CN (1) CN201694754U (ko)
TW (1) TWM38257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0828A (ko) 2020-09-03 2022-03-11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상하 이동 캐리지의 자유 낙하 방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78406B (zh) * 2014-07-18 2016-07-13 上海豪力起重机械有限公司 光伏硅晶电池片精确排版的旋转定位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20751A (ja) 2006-06-05 2007-12-13 Murata Mach Ltd 昇降台の落下防止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20751A (ja) 2006-06-05 2007-12-13 Murata Mach Ltd 昇降台の落下防止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0828A (ko) 2020-09-03 2022-03-11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상하 이동 캐리지의 자유 낙하 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068U (ko) 2010-07-08
CN201694754U (zh) 2011-01-05
TWM382578U (en) 2010-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0754B1 (ko) 테이프 피딩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부품 실장기용 테이프피더 및 부품실장 방법
US7437999B2 (en) Overhead traveling vehicle system
JP2006074004A (ja) ワーク搬送収納装置,およびそのワーク搬送収納装置を備えた切削装置
KR200457040Y1 (ko) 승강 장치의 낙하 방지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반도체 패키징용 필름 이송장치
KR101479932B1 (ko) 스태커 크레인
US20150329334A1 (en) Overhead hoist transfer system and factory system employing the same
KR100995845B1 (ko) 칩 분류장치용 흡착이송장치
KR100376866B1 (ko) 반도체 칩 이송용 픽커
JP3459786B2 (ja) バルクフィーダおよびチップ供給システム
KR102133212B1 (ko) Led 모듈 제조를 위한 피씨비 절단/로딩 장치
KR100507491B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드롭 리프터
KR100365543B1 (ko) 반도체패키지 제조 장비의 엘리베이터 장치
JP7438630B2 (ja) 搬送車
KR100368164B1 (ko) 반도체패키지용 카셋트 인/아웃 로더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패키지 제조 장치
KR100689838B1 (ko) 웨이퍼 카세트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0607752B1 (ko) Smif 장치
KR20230159960A (ko) 반도체 공정설비에 적용되는 흔들림 방지 장치
JP4464740B2 (ja) 段ばらし装置、段ばらし方法及び実装装置
JP2017088394A (ja) 搬送装置及び天井搬送車
KR20060008375A (ko) 반도체 제조용 웨이퍼 핸들러
JP2002280435A (ja) 基板処理装置
KR20000000248U (ko) 반도체 웨이퍼 이송로봇
KR100874287B1 (ko) 캐리어 지지 장치 및 피처리체 반출 방법
KR101012253B1 (ko) Cmp 장비의 로드스테이션
KR100620168B1 (ko) 스텝퍼의 로컬 진행용 포트에 구비된 웨이퍼카세트 승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